KR200333793Y1 -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모자 - Google Patents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793Y1
KR200333793Y1 KR20-2003-0026530U KR20030026530U KR200333793Y1 KR 200333793 Y1 KR200333793 Y1 KR 200333793Y1 KR 20030026530 U KR20030026530 U KR 20030026530U KR 200333793 Y1 KR200333793 Y1 KR 200333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awning
hat
auxiliary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5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선
Original Assignee
유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선 filed Critical 유광선
Priority to KR20-2003-0026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7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7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45Eye-shades or visors; Shields beside, between or below the eyes

Landscapes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자의 차양의 길이를 착용자가 임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양이 부착된 통상의 모자에 있어서, 모자에 부착된 메인차양(11)의 상하측면에 중첩되어지도록 보조차양(20)을 부착하되, 보조차양(20)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방식으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구현수단으로서는 메인차양(11)의 표면에 지지핀(12)을 형성하고 그 지지핀이 보조차양(20)에 형성된 장공(21)에 위치되도록 하여 보조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모자{CAP HAVING SUBSIDIARY VISOR }
본 고안은 차양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자 차양의 길이를 착용자가 임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방식으로 차양의 인출 및 수납가능하게 구성한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부심이나 얼굴 및 두부를 보호하기 위한 용구로서, 대표적으로 모자와 선글라스가 있다. 하지만 이들이 갖는 각각의 특징으로 해서 모자와 선글라스를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통상적인 차양모와 선글라스의 특징을 결합한 형태의 고안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차양모에 기존의 선글라스를 부착하는 형태로서 모자 일체형, 착탈형 등 다양한 형태의 모자들이 개발되어 공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고안들은 여러 가지 근본적인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그것은 차양의 크기가 극히 제한적인 사이즈로 이루어져 보다 효과적인 자외선을 차단시키지 못하는 점이라 하겠다.
예를 들어, 모자는 머리위에 씌워지는 부분과, 얼굴의 상부에 위치어 자외선이나 햇빛으로부터 얼굴을 가려주는 차양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차양은 전방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있어 햇빚 즉, 자외선이나 직사광선으로 인한 눈부심을 차단하는 작용을 제공하고 있다.
이외에도 밀짚모자와 같이 차양이 원형으로 부착된 모자등도 있으나 차양이 너무 길면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어 통상 차양의 길이는 그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로 제작된다.
그러나, 직사광선이 강한 하절기등에는 자외선이나 눈부심이 더욱 강하게 됨으로 차양의 길이나 폭이 넓은 모자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으나 기존의 모자는 일률적으로 제작되어 그 기능을 충분히 다하지 못하는 점이 있다.
물론 하절기에는 강한 햇빛광선이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해 밀짚모자와 같이 차양이 큰 모자를 착용하기도 하지만 그 사용에 따른 불편함들이 많아 여성이나 어린이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물론 남성용으로 개발된 모자가 없는 것은 아니나 레져문화가 발달한 현대생활에서 야외에서 간편하게 착용 및 휴대하기가 번거로워 폭넓게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모자에서 제한적이고 일률적인 크기로 제작된 모자의 차양을 사용자가 차양의 길이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그 길이를 연장하거나 단축시켜 그 길이를 조절가능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조차양이 부착된 차양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보조차양을 메인차양의 상하측 혹은 중앙에 중첩 혹은 삽입되도록 더 설치하여, 사용자가 차양의 길이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납 혹은 인출가능하도록 결합한 것으로, 메인차양의 상하표면 혹은 양 표면중 어느 한 면, 혹은 이중으로 포개진 메인차양 사이에 지지핀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차양의 상하표면 혹은 그 사이에 장공이 형성된 보조차양을 부착 혹은 삽입하여 보조차양이 그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지도록 함으로서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양을 구비하는 차양모에 보조차양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더 부착하여 그 길이를 연장 혹은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이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 요지로서, 이러한 슬라이드방식의 차양의 설치구조는 모자의 차양을 구비한 다양한 형태의 모자에 적용이 가능하고 그러한 예들은 이하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며 그를 통해 충분히 이해되어 질 것이다.
본 고안은 외관상 통상적인 모자에 보조차양을 설치하여도 일반모자와 외관상 큰 차이가 없이 차양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차양이 원형상으로 제작된 모자에도 채용이 가능하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으로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모자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1b은 도 1a에 도시된 차양의 길이를 연장한 상태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으로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모자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C-C선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으로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모자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제3 실시예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라 슬라이드방식으로 인출 및 수납되어지도록 보조차양을 구현한 제4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평면도의 D-D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차양모 11:메인차양
12:지지핀 14:홈부
20:보조차양 21:장공
22:돌기 23:걸림턱
30:원형 차양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1a에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차양이 구비된차양모를 예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도 1a에 도시된 모자에서 보조차양의 인출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와 도 3은 도 1에서 A-A선 및 B-B선 단면도로서, 도면에서 참조번호 10은 모자이고 20은 보조차양이다.
상기한 보조차양(20)은 메인차양(11)과 보조차양(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인차양(11)은 합성수지재로 옷감등으로 외피가 씌워지는 경우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만으로 제작한 것일 수 있다. 물론 메인차양(11)의 재질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보조차양(20)은 상기한 메인차양(11)의 상하면에 중첩되도록 하고, 그 선단부는 메인차양(11)을 둘러쌓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는 각각 장공(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보조차양(20)은 장공(21)속으로 지지핀(12)을 삽입하여 지지핀(12)의 단부에 형성된 이탈방지 턱에 의해 보조차양(20)의 장공(21)으로부터 지지핀(1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작용을 제공하다.
그리고, 상기한 보조차양(20)은 역시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되며, 적어도 메인차양(11)의 골률반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는데, 특히 메인차양(11)의 상면에 중첩되는 보조차양(20)은 메인차양(11)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자체적인 텐션력에 의해 보조차양(20)의 말단부가 메인차양(11)으로부터 들뜨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한다.
반대로, 메인차양의 저면에 설치된 보조차양(20) 역시 그 말단부분이 상기한메인차양(11)으로부터 들뜨지 않게 상측의 곡률반경과 반대로 메인차양(11)의 저면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한다. 물론 보조차양(20)은 상하가 그 선단부에서 절곡되어 일체로 제작하거나 상하로 분리되어지도록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메인차양(11)의 상하측 표면에 선택적으로 보조차양(20)을 부착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한편 상기한 보조차양(2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된 이중 메인차양(11)속에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메인차양(11)속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지핀(12)을 마련하고, 삽입된 보조차양(20)의 표면에 장공(21)을 형성하여 제작과정에 지지핀(12)이 장공(21)속에 위치되도록 하면 보조차양(20)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연장 및 삽입되어질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에는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10)의 다른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는데,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모자의 경우는 차양이 원형상으로 이루어진 차양이 부착된 차양모에 본 고안의 보조차양의 적용예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동일한 구성과 방법으로 보조차양(20)을 부착하거나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원형차양(30)에 보조차양(20)을 부착할 경우 적어도 2개 이상 보조차양(20)을 분할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조차양(20)은 모자의 차양의 형태에 제약없이 부착시킬 수 있으며, 모자의 차양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얼굴로 입사되는 자외선이나 직사광선을 더 넓게 차단시키는 작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4 실시예>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라 슬라이드방식으로 인출 및 수납되어지도록 보조차양이 설치된 모자의 평면도 및 D-D선 단면도가 예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이중으로 중첩된 메인차양(11) 사이에 보조차양(20)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보조차양(20)의 외측과 메인차양(10)의 내측에 각각의 걸림턱(15, 23)을 형성하여 보조차양(20)을 외부로 인출할 경우 각각의 걸림턱이 걸려 보조차양(20)이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모자는 외관상 통상의 모자와 구별되지 않으나 보조차양(20)을 외부로 잡아 뺀 경우 기능적으로는 차양의 길이를 약 2배이상 길게 연장시킬 수 있다. 미설명부호 22은 돌기로서, 메인차양(11)의 표면에 배치된 걸림턱(14)들사이에 위치되어 보조차양(20)이 메인차양(11)으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그 길이가 변형되지 않도록 돌기(22)가 홈부(14)에 위치되어 보조차양을 고정시키는 작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보조차양(20)이 구비된 차양모(10)의 작용에 대하여 도 1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평상시에는 메인차양(11)에 의해 자외선이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을 제공하고, 자외선이나 직사광선이 강한 경우, 메인차양(11)을 둘러쌓고 있는 보조차양(20) 혹은 메인차양(11)사이에 삽입된 보조차양(20)을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보조차양(20)은 장공(21)속에 위치된 지지핀(12)에 의해 가이드되어져 메인차양(11)으로부터 분리됨이 없이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중으로 중첩된 메인차양사이 혹은 차양외부 표면에 중첩 혹은 삽입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출 및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보조차양을 더 부착하여 사용자에 의해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보조차양을 최대한으로 잡아 빼더라도 지지핀 혹은 걸림턱에 의해 메인차양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조차양은 메인차양에 더 부설함에 있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서 차양의 길이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특징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본 고안자가 의도하는 기술적 사상의 요지에 해당되는 것이라 하겠고 이러한 기술내용은 전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명세서를 통하여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예를 변경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나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정의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포함되어진다는 것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조차양에 의해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자외선과 직사광선의 조사량에 따라 자율적으로 차양의 길이를 증감시킬 수 있을 뿐만 일반적인 통상의 모자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없어 그 사용의 폭은 다양하게 확대할 수 있고 남여노소 어떠한 모자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Claims (5)

  1. 차양이 부착된 차양모에 있어서,
    모자에 부착된 메인차양(11)에 보조적으로 부착되어져 메인차양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인출 및 수납가능하도록 보조차양(20)을 더 부착하여 상기 모자의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차양(20)은 표면에 장공(21)을 마련하고, 상기 메인차양(11)에는 상기 장공(21)에 위치되도록 하여 지지핀(12)에 의해 상기 보조차양(20)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지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모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차양(20)이 이중으로 포개진 메인차양(11)속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하고, 상기 보조차양(20)을 최대한 인출할 경우 상기 보조차양(20)과 메인차양(11)에 형성된 걸림턱(15, 23)에 의해 걸려 상기 메인차양(10)으로 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모자.
  4. 제1항에 있어서, 원형차양(30)이 부착된 모자(10)에 상기 보조차양(20)을 슬라이드가능하게 부착하되, 상기 원형차양(30)의 표면에 복수개로 분할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차양(20)이 메인차양(11)으로부터 인출된 길이를 고정시키 위하여 상기 보조차양(20)의 표면에는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차양(20)의 표면에는 요홈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모자.
KR20-2003-0026530U 2003-08-18 2003-08-18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모자 KR200333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530U KR200333793Y1 (ko) 2003-08-18 2003-08-18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530U KR200333793Y1 (ko) 2003-08-18 2003-08-18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793Y1 true KR200333793Y1 (ko) 2003-11-19

Family

ID=49419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530U KR200333793Y1 (ko) 2003-08-18 2003-08-18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79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8112A1 (en) * 2005-01-21 2006-07-27 Chung-Kyu Moon Visor hat
KR101117234B1 (ko) 2009-11-16 2012-02-22 이용준 차양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모자
KR200466323Y1 (ko) 2011-01-26 2013-04-09 송기운 가변차양을 구비한 모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8112A1 (en) * 2005-01-21 2006-07-27 Chung-Kyu Moon Visor hat
KR101117234B1 (ko) 2009-11-16 2012-02-22 이용준 차양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모자
KR200466323Y1 (ko) 2011-01-26 2013-04-09 송기운 가변차양을 구비한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31030A1 (en) Sport cap
KR200333793Y1 (ko) 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모자
US20170360137A1 (en) Cap with tiltable visor
KR200251948Y1 (ko) 이중 차양 모자
KR200363387Y1 (ko)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 모자
KR100563643B1 (ko) 귀가림부를 구비한 썬캡
KR20060085214A (ko) 모자챙의 앞뒤 길이 조절이 가능한 차양 모자
KR20210001895U (ko) 차양부에 착탈되는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모자
KR200199231Y1 (ko) 모자
KR200387336Y1 (ko) 모자챙의 앞뒤 길이 조절이 가능한 차양 모자
KR200206302Y1 (ko) 가변 챙을 갖는 모자
KR200418500Y1 (ko) 작업용 모자
KR200451660Y1 (ko) 썬캡
JPH11350227A (ja) 日除けを取付可能な帽子
KR200239209Y1 (ko) 이중챙을 갖는 차양모
KR102075863B1 (ko) 뒷목가림 차양이 일체로 구비된 썬 캡
KR20160055289A (ko) 접이식 차양이 구비된 모자
KR200353082Y1 (ko) 태양가리개를 구비한 모자
KR102254625B1 (ko) 크기와 디자인의 선택이 가능한 맞춤형 썬캡
KR20080006453U (ko) 보조 챙을 갖는 모자
KR200466323Y1 (ko) 가변차양을 구비한 모자
KR200454807Y1 (ko) 차양 모자
KR20050115785A (ko)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 모자
KR200395300Y1 (ko) 자외선 및 황사 차단용 마스크
KR200199240Y1 (ko) 차양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