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592Y1 - 현수막 걸이장치 - Google Patents

현수막 걸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592Y1
KR200333592Y1 KR20-2003-0025283U KR20030025283U KR200333592Y1 KR 200333592 Y1 KR200333592 Y1 KR 200333592Y1 KR 20030025283 U KR20030025283 U KR 20030025283U KR 200333592 Y1 KR200333592 Y1 KR 2003335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shaped link
placard
pos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
Original Assignee
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 filed Critical 박준
Priority to KR20-2003-0025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5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5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5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업적 광고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현수막 게시대의 현수막 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현수막을 설치하는 게시대의 구조를 개량하여 현수막의 규격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현수막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수막의 탈,부착을 신속 정확하게 하고, 현수막 걸이장치 내부에 인장스프링을 내장하여, 현수막이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현수막 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막 게시대에 현수막을 탈,부착하기 위해서 각목이나 철사 또는 로프를 이용하여 포스트에 묶어두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바람등에 현수막이 포스트에서 이탈하여 도시미관을 크게 헤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작업자가 각목과 철사를 항상 같이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다.
또한, 현수막 자동게시대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나, 상기 현수막 자동게시대는 여러가지 기능들이 있기 때문에, 제작 설치비용이 종래의 현수막 게시대보다 몇배이상 비싸며, 종래의 현수막 게시대의 포스트를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현수막 걸이장치는 상기한 문제점을 보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현수막 게시대에 본 발명의 현수막 걸이장치를 부착하여, 현수막의 탈,부착에 사용할 수 있으며, 새롭게 신설하는 현수막 게시대에 동시 적용할 수 있는 현수막 걸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종래의 현수막 게시대에서 사용하고 있는 각목과 철사 또는 로프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완충장치가 내장되어 있어 항상 현수막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현수막 걸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현수막 걸이장치{HANGING BANNER A SAFETY DEVICE}
본 발명은 현수막을 게시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현수막 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사나 각목을 사용하지 않고, 현수막 걸이봉에 현수막을 삽입 또는 이탈시키는 과정만으로 현수막을 견고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현수막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현수막을 게시하기 위해 소정의 높이와 거리를 가지고 있는 포스트를 양측에 설치하고, 현수막 게시대의 양측 포스트에 일정한 간격의 고리 모양의 돌출부에 철사나 각목을 이용하여 현수막을 단단히 묶어 두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라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바람등에 의하여 묶어두었던 철사나 로프가 풀려, 도시미관을 크게 헤칠뿐만 아니라, 상기 철사나 각목 등에 의해 지나가는 행인에게 상해를 입히는 사고가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현수막을 단시간에, 편리하고 안전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현수막 걸이장치를 제공하고, 현수막이 부착된 후에도 바람등에 의해 현수막이 포스트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현수막 걸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X자 링크의 추가 연결만으로 현수막 길이의 사용폭을 원활하게 해주는 현수막 걸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현수막 걸이봉과 연결된 와이어가 끊어져도 현수막 걸이장치에서 현수막 걸이봉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지나가는 행인에 상해를 입히지 않는 현수막 걸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걸이장치가 부착된 현수막 게시대의 전체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걸이장치가 부착된 상태의 전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걸이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걸이장치의 평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걸이장치가 작동하기 전의 내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걸이장치가 작동하기 후의 내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걸이장치의 와이어와 인장스프링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걸이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걸이장치가 포스트(10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있다. 상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 걸이장치(110)를 부착할 수 있는 곳이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걸이장치(110)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현수막 걸이장치(110)가 포스트(100)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현수막 걸이장치(110)의 외관케이스(120) 밖으로 X자 링크(400)와 현수막 걸이봉(300)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현수막 걸이봉(300)에 현수막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현수막(90)의 탈,부착시에 상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걸이봉 잠금장치(320)만 열고 닫아줌으로서 현수막(90)을 쉽고 안전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현수막 걸이봉(300)의 하단부와 X자 링크(400_b)는 걸이봉 연결브라켓트(330)로 고정 연결되어 있어 현수막 걸이봉(3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현수막(90)이 짧은 것을 부착할 경우에는, X자 링크(400)가 외관케이스(120) 밖으로 빠져 나오게 되어 현수막(90)의 길이에 관계없이현수막(90)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X자 링크(400)에 와이어(22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220)의 반대쪽에는 인장스프링(230)이 부착되어 있어 X자 링크(400)가 빠져나갈 때 완충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은 도5, 도6, 도7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외관케이스(120)는 인장스프링(230)이 구성되어 있는 스프링 삽입집(121)과 이동로라(250)의 가이드 역할을 해주는 레일(122)이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X자 링크(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이동로라(250)와 인장스프링(230)이 구성되어 있는 상태의 외관케이스(12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케이스(120) 양쪽 끝단에는 와이어 가이드로라(210)가 부착되어 있어 마찰에 의한 와이어(220)의 망실을 방지해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외관케이스(120)의 양쪽 끝단부에 스프링 고정축(231)이 있어 인장스프링(2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현수막 걸이장치(110)가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X자 링크(400)가 접어져 있는 모습의 상태도이다.
상기 현수막 걸이장치(110)의 내부 구성을 도 5에 입각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현수막 걸이장치(110)의 내부에는 각각 2개의 X자 링크(400_a,400_b)가 구성되어 있으며, 완충작용을 하는 인장스프링(230_a,203_b) 역시 각각 2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장스프링(230_a)은 하단부의 X자 링크(400_b)를 완충작용해 주며, 또다른 인장스프링(230_b)은 상단부의 X자 링크(400_a)의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인장스프링(230)의 끝단부는 외관케이스(120)에 스프링 고정축(231)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인장스프링(230)의 반대쪽은 와이어(22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220)는 와이어 가이드로라(210)를 경유하여, X자 링크(400)의 와이이 고정축(20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X자 링크(400)가 A 방향으로 빠져나가면 와이어(220)도 동시가 빠져나가게 되며, 와이어(220)와 연결되어 있는 인장스프링(230)이 늘어나게 되어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현수막(90)이 항상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며, 특히 현수막(90)의 길이가 짧아도 X자 링크(400)의 구조가 이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220)와 인장스프링(230)의 작동상태를 도 7에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현수막 걸이봉(300)에 현수막(90)을 부착하였을 때 현수막(90)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단부에는 현수막 고정스프링(310)을 구성하여 현수막(90)을 끼워 넣기만 하여도 흘러내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상기에서 설명하고 적용하였던 인장스프링(230)을 사용하지 않고, 압축스프링(710)을 사용하여 X자링크(4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실시예이다.
그 구성을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의 레일(122) 대신, 레일파이프(800)가 구성되어 있고, 레일파이프(800)의 양쪽 끝단에 X자링크(400)의 고정부싱(700_a,700_b)을 고정되어 있고, 상기 레일파이프(800)의 내측에 각각 이동파이프(720_a,720_b)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싱(700_a,700_b)과 이동파이프(720_a,720_b) 내측에 각각 압축스프링(710_a,710_b)을 삽입되어 있어, X자 링크(400)가 밖으로 빠져나갈 때 완충역활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와이어(220)와 와이어 가이드로라(210)등을 설치하지 않고서 똑같은 기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걸이장치는 X자 링크를 사용하여 현수막 걸이봉을 더욱 견고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현수막 걸이봉이 와이어의 절단 등으로 인하여 현수막 걸이장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걸이장치는 스프링을 내장하고 있어, 완충작용으로 현수막이 항상 팽팽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각목이나 철사 또는 로프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된 강철 걸이봉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현수막의 탈,부착이 간단하여 설치작업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각목이나 철사 또는 로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현수막 탈,부착에 의한 쓰레기의 발생되지 않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걸이장치는 종래의 현수막 게시대에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현수막 게시대의 재설치에 대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스프링과 X자 링크를 고정시킬 수 있고, X자 링크의 한쪽에 부착되어 있는 이동로라가 슬라이딩될 수 있는 레일을 포함하고 있는 외관케이스와; 스프링의 한쪽에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와이어 가이드로라를 경유하여 X자 링크에 부착되어 있는 와이어 고정축에 연결되어 X자 링크의 작동에 따라 완충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장치와; 상기 X자 링크를 추가하여 연결하면 완충 작용할수 있는 거리를 무한하게 늘릴 수 있는 X자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X자 링크의 끝단부에 현수막 걸이봉이 구성되어, 걸이봉 잠금장치의 열고 닫는 동작만으로 현수막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현수막 걸이장치.
  2.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현수막 걸이봉의 상단부에 현수막의 흘러내림을 방지해주는 현수막 고정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걸이장치
  3.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현수막 외관케이스와 현수막 걸이봉 사이에 X자 링크가 연결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X자 링크와 인장스프링이 각기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고, 그 와이어가 상호 와이어 가이드 로라를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걸이장치.
  4. 현수막 걸이장치에 있어서, 레일파이프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파이프상단과 하단부에 X자 링크가 고정부싱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레일파이프 내측에 이동파이프가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어져 있고; 상기 고정부싱과 이동파이프 내측에 압축스프링이 구성되어 있어 X자 링크가 밖으로 빠져 나갈때 완충역활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현수막 걸이장치.
KR20-2003-0025283U 2003-08-06 2003-08-06 현수막 걸이장치 KR2003335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283U KR200333592Y1 (ko) 2003-08-06 2003-08-06 현수막 걸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283U KR200333592Y1 (ko) 2003-08-06 2003-08-06 현수막 걸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225A Division KR20050015424A (ko) 2003-08-05 2003-08-05 현수막 걸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592Y1 true KR200333592Y1 (ko) 2003-11-14

Family

ID=49340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283U KR200333592Y1 (ko) 2003-08-06 2003-08-06 현수막 걸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5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179B1 (ko) * 2016-07-15 2016-12-07 주식회사 대상디자인 현수막 게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179B1 (ko) * 2016-07-15 2016-12-07 주식회사 대상디자인 현수막 게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179B1 (ko) 현수막 게시장치
CA2347510A1 (en) Horizontally unfurled spring assisted furling screen for walkways
TW200514910A (en) Sliding screen door
US7117620B2 (en) Banner mount
KR100927443B1 (ko)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KR200333592Y1 (ko) 현수막 걸이장치
KR101017635B1 (ko) 현수막 걸이대
KR20050015424A (ko) 현수막 걸이장치
KR100720888B1 (ko) 자중 낙하식 현수막 게시대
CN201281921Y (zh) 宣传横幅装置
US200903207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ocating and supporting an object
KR200313848Y1 (ko) 현수막 게시대
KR200362649Y1 (ko) 육교 현수막 게시장치
KR100824276B1 (ko) 현수막 설치 장치
CN2419319Y (zh) 一种旗杆
KR100862212B1 (ko) 상부 고정 방식의 현수막 게시장치
KR20220134916A (ko) 장력조절 보상 기능을 갖는 로프타입 펜스
CN209436845U (zh) 一种快速拼接的不锈钢窗帘轨道
KR200293271Y1 (ko) 현수막의 양단부 체결구조
CN201370403Y (zh) 活动式u型拉紧器
CN2665336Y (zh) 一种恒张力、任意位开启、防强风型卷帘纱门窗
KR200321475Y1 (ko) 현수막 고정장치
KR970004961Y1 (ko) 현수막 걸이용 광고탑
KR20200047964A (ko) 현수막 고정 장치
KR200202243Y1 (ko) 현수막 게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