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439Y1 - Multi-layer permeable panel - Google Patents

Multi-layer permeable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439Y1
KR200333439Y1 KR20-2003-0026050U KR20030026050U KR200333439Y1 KR 200333439 Y1 KR200333439 Y1 KR 200333439Y1 KR 20030026050 U KR20030026050 U KR 20030026050U KR 200333439 Y1 KR200333439 Y1 KR 200333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ermeable
light
emergenc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05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덕재
Original Assignee
이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재 filed Critical 이덕재
Priority to KR20-2003-0026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43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439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02B2027/0136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with a single image source for both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반 투과성 판넬에서 가장 큰 문제점 인 판넬 자체에 입사된 빛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한다. 이 문제점을 해결코자 일정한 높이와 규칙적인 배열의 요철 돌기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완전 투과성 판을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투과성 판을 접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다 적층 투과성 판넬로서 빛이 에너지의 손실없이 굴절과 반사를 일으키며 판넬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 면으로 방출됨으로서, 판넬 자체가 빛을 스스로 발생하고 균일하게 방사하는 것 같은 놀라운 현상을 실현시킨 특징을 지니며, 작은 량의 전원으로도 판넬을 밝게 할 수 있는 다 적층 투과성 판넬 제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enormous energy loss during the passage of light incident on the panel itself, which is the biggest problem in the conventional semi-transparent pane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lurality of permeable plates are bonded together so that a uniform space is formed in a completely permeable plate in which the uneven protrusions of a constant height and a regular arrangement are integrally formed. By refraction and reflection, it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panel and is emitted to the outside surface,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the amazing phenomenon that the panel itself emits light and emits light uniformly. A multi-layer permeable panel can be produced.

본 고안의 제작 구성은 한 측면에만 일정한 높이와 규칙적인 배열의 돌기(6),(7)를 일체로 형성한 외측 투과성 판(2),(3)사이에 간격(A) 유지가이드(12),(13) 중앙에 일정한 높이와 규칙적인 배열의 요철 돌기(4)를 일체로 형성한 투과성 판(1)을 일정한 공간(라)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판을 접합하여서 된 다 적층 투과성 판넬(가)로서 이는 서로 다른 질량의 두 물질의 수 많은 경계 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 다 적층 투과성 판넬의 제작에 관한 것이다.The fabric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ap A between the outer permeable plates 2 and 3 which integrally form the projections 6 and 7 of a constant height and a regular arrangement on only one side. (13) A multi-layer permeable panel is formed by joining a plurality of plates to form a uniform space (d) of a permeable plate (1) integrally formed with a constant height and a regular arrangement of uneven protrusions (4) in the center. This relates to the fabrication of multi-layered transmissive panels characterized by the formation of numerous interfaces of two materials of different masses.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이는 본 고안의 다 적층 투과성 판넬(가)은 에너지 손실이 거의 없기 때문에 반영구적인 수명과 작은 전력으로 작동되는 발광 다이오드(8),(9)를 광원으로 사용하면서도 종래의 램프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으로서, 건물이나 도로의 터널의 비상 유도 등으로 사용하면 막대한 시설비의 절감과 저렴한 유지 관리비 뿐만 아니라 비상시 전기 공급이 없이도 자체 축적된 전원으로 수 시간 동안을 점등 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나 기타 재난 시 사용하는 비상 유도 등이나 광고판에 사용하기 적합한 특징을 지닌 것이다.The multi-layered transmissive panel (A)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lmost no energy loss, and thus uses the light emitting diodes (8) and (9), which operate with semi-permanent life and small power, as a light source. It can have the same effect as using a lamp, and when used for emergency induction of a tunnel in a building or a road, it not only saves huge facility costs and low maintenance costs, but also lights up for hours using its own accumulated power without emergency electricity supply. Because it can be used, it is suitable for use in billboards or emergency induction in case of fire or other disasters.

Description

다 적층 투과성 판넬{omitted}Multi-layer permeable panel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단순한 반 투과성 판넬을 이용하고 판넬의 평면 뒤편에 광원으로서 형광등 다수 개를 장착하여 판넬을 비추게 하였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각 가지 모양의 반사 판을 형성하여 밝기를 균등하게 하고자 실시하고 있고, 일부 분야에서는 도료 형태의 반사 층을 형성하여서 사용하고 있으나 이 모든 방법에 있어서, 근본적인 문제점은 첫째로 반 투과성 판넬을 사용함으로서 일차적으로 막대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고 , 둘째로 광원으로 램프를 사용함으로서 큰 전원이 요구되는 문제, 셋째로 판넬의 표면의 밝기가 일정치가 않아서 얼룩지는 현상이 있으며, 넷째로 수명이 짧고, 다섯째 비상 유도 등이 가장 필요한 건물이나 터널의 비상 유도 등의 판넬로 사용할 때에 AC의 상용 전원에 직접 연결하여 비상등으로 이용함으로서 화제나 기타 재난 시에 비상등의 전원 선이 끊기었을 때에 등 자체를 켤 수 없기 때문에 비상 안내의 목적인 비상등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었다. 이러한 근본 적인 문제점은 과다한 에너지의 소모와 반사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 simple semi-transmissive panel is used, and a plurality of fluorescent lamps are mounted as a light source on the back of the panel to illuminate the panel. In some fields, the fundamental problem is that first, the use of semi-permeable panel causes huge energy loss, and secondly, The use of a lamp as a light source requires a large power source. Third, there is a phenomenon that the surface of the panel is not uniform in brightness, which causes staining. Fourth, the service life is short and the emergency induction of buildings or tunnels is most needed. When used as a panel such as a lamp, connect directly to the commercial power of AC It could not serve as an emergency light for the purpose of emergency guidance because the lamp itself could not be turned on when the power cord of the emergency light was cut off during a fire or other disaster. This fundamental problem is due to excessive energy consumption and reflection.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서 가장 어려운 과제인 전력의 소비를 최대한 줄인 광원으로서도 동일한 효과의 비상등이나 광고용의 판넬의 효과를 실현하고자 근본적인 문제인 반 투과성 판넬을 사용하는 것에서 탈피하고 완전 투과성 판넬을 사용하여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을 주 기술 과제로 상정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problem of using semi-permeable panel, which is a fundamental problem to realize the effect of emergency lighting or advertising panel, which is the same problem as the light source which minimizes the power consumption. It is assumed that the same technical effects can be achieved using the main technical problem.

이에 완전 투과성 판넬을 사용하면서도 반 투과성 판넬과 같은 밝기와 면 전체의 밝기가 균일하게 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적은 전력으로 작동되면서도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반 투과성 판넬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구성하였다. 종래의 완전 투과성 판넬의 성질은 빛을 굴절 없이 그대로 통과시키는 것에 불과한 것이나, 이 완전 투과성 판넬 내부의 구성을 - 일정한 높이와 규칙적인 배열의 요철 돌기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완전 투과성 판을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판을 접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다적층 투과성 판넬로 - 구성함으로서 반영구적인 수명과 작은 전력으로 작동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획기적인 다 적층 투과성 판넬을 제공하게 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same effect as the semi-permeable panel that consumes a lot of power while operating with less power by allowing the same brightness as the semi-permeable panel and the brightness of the entire surface to be uniform while using a fully transmissive panel. The property of the conventional fully permeable panel is only to pass the light as it is without refraction, but the space is formed by forming a completely permeable plate in which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mpletely permeable panel is integrally formed with a uniform height and a regular arrangement of uneven protrusion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breakthrough multi-layered transmissive panel using a light-emitting diode which operates with a semi-permanent lifespan and a small power as a light source.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도 2 는 본 고안의 빛의 굴절을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refraction of the 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는 본 고안의 판넬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의 다 적층 판넬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layer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고안의 일부 절제 사시도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고안의 반사판 부착 적용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도 7 은 본 고안의 현상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phenomen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고안의 판넬을 적용한 비상구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ergency exit to which th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9 는 본 고안을 적용한 전원 부 블록도9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uni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0 은 본 고안을 적용한 곡면형 터널 안내 등10 is a curved tunnel guide, etc.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 2, 3, 투과성 판. 4, 5, 6, 7. 돌기 8, 9. 발광다이오드1, 2, 3, permeable plate. 4, 5, 6, 7. Projection 8, 9. Light Emitting Diode

10. 실험용 종이 11. 반사 판10. Experimental paper 11. Reflective plate

A. 간격 B. 빛의 입사 방향 C. 비추이는 부위A. Spacing B. Direction of incidence of light C. Illuminated area

D, E. F 빛의 방사 방향D, E. F Radiation Direction of Light

가. 공간 나. 다. 빛의 발산 방향end. Space b. All. Direction of light divergence

본 고안의 구성 및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3 에 따른 설명은, 투과성 판(2)의 구성은 한 쪽 측면에 사각 추( 편이 상 사각 추로 만 기술하였으나 원추, 구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이 가능 함) 형상의 돌기(6)를 일정한 높이와 배열로 모든 돌기(6)를 일체로 형성하여 측면의 투과성 판(2)을 형성하였다. 중간 투과성 판(1)의 구성은 가장자리에 간격(A) 유지 가이드(12),(13)( 적층시에 판과 판사이에 일정한 간격(A)를 유지하여서 공간(라)이 생길 수 있도록 한 높이)를 형성하고 이와 일체로 돌기(4)를 양측( 톱니 형상의 단면을 갖임)으로 엇갈리게 같은 높이와 일정한 배열로 모든 돌기(4)를 동일한 몸체로 형성한 것이며, 이 투과성 판(1),(1-1),(1-2)을 일정 간격(A)으로 적층 되어서 공간(라)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또 투과성 판(3)의 구성은 투과성 판(2)와 대칭 되게 동일한 방법으로 돌기(7)를 형성하였다. 이 3가지의 투과성 판(1),(2),(3)을 도면 4 에 표시된 바와 같이 투과성 판(2),(3) 사이에 투과성 판(1),(1-1),(1-2)을 적층하여서 서로 다른 질량의 두 물질의 수많은 경계 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 구성인 것이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The description according to FIG. 3 shows that the permeable plate 2 has a square height (one-sided rectangular weight bu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cones and spheres) on one side. All the projections 6 were integrally formed in an arrangement with and to form the transmissive plate 2 on the side. The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permeable plate 1 is a height at which the space A can be formed by maintaining the gap A holding guides 12 and 13 at the edges (the gap A is maintained between the plate and the plate at the time of lamination). ), And the projections 4 are formed in the same body with the same height and a constant arrangement on both sides (having a sawtooth-shaped cross section) integrally therewith, and the permeable plate 1, ( 1-1) and (1-2) were stacked at regular intervals A to form a space d.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permeable plate 3 has formed the projection 7 in the same way to be symmetrical with the permeable plate 2. The three permeable plates 1, 2, and 3 are disposed between the permeable plates 2, 3, as shown in FIG. 2) by stacking to form a number of interfaces between two materials of different masses.

이 외의 도면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발광 다이오드(8),(9)는 발광체로서 다 적층 투과성 판넬(가)의 양측에 부착한 것이고, 또 도면 6 에서는 한 측면으로만 빛을 조사시키기 위하여 반사판(11)을 일 측면에 장착시킨 것이며, 도면 7 에서는 종래의 투과성 판과 대비하여 빛이 통과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조 기구로 종이(10)를 발광 다이오드(8)의 반대편에 위치 시켰으며, 빛이 쪼이는 부분(C)을 표시하고 있다. 도면 9 는 건물의 복도 등에 설치하는 양 방향에서 쉽게 식별 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비상구 유도 등 을 표시하며, 도면 9 는 전기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 정류 부와 비교 부, 전원 축전 부, 제어 부로 구성되어 있고, 도면 10은 실시 예를 반 원통형으로 구성시킨 예를 도시하고 있다. 미 설명 부호 (라)는 투과성 판(1),(2),(3) 사이에 간격(A)으로 접합시 형성된 공간의 표시, 부호 (나),(다)는 빛이 방출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부호 (마)는 종래의 투과성 판을 표시하며, 부호 (B)는 입사되는 빛을 나타내고, 부호 (D),(E),(F)는 원통형에서의 빛의 방출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The other drawings are configured to expla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ght emitting diodes 8 and 9 ar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multi-layered transmissive panel as light emitters. In order to irradiate light, the reflecting plate 11 is mounted on one side, and in FIG. 7, the paper 10 is used as an auxiliary mechanism to explain a state in which light passes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ransmissive plate. It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and it shows the part (C) where light shines. Figure 9 shows the emergency exit induction lamp to be easily installed in both directions of the corridor of the building, etc., Figure 9 is configured to explain the electrical action, consisting of a rectifier, a comparison unit, a power storage unit, a control unit 10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embodiment is configur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d) denotes a space formed when bonding the transparent plates 1, 2, and 3 at an interval A, and denotes a direction in which light is emitted. The symbol (e) denotes a conventional transmissive plate, the symbol (B) denotes incident light, and the symbols (D), (E) and (F) denote the direction of light emission in the cylinder.

이상에서 설명되어진 다 적층 투과성 판넬(가)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면 1 의 발광 다이오드(8),(9)에서 다 적층 투과성 판넬(가)로 입사된 많은 빛 중에서 특별히 선택한 임의의 빛(B)이 굴절되는 진행 과정을 설명하면, 확대 도면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차로 빛(B)이 만나게 되는 서로 다른 질량을 갖인 두 물질 (즉 투과성 판(1)과 공기로 구성된 공간(라) ) 의 경계 면에서 빛의 굴절이나 반사의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첫번째의 굴절은 질량이 밀한 투과성 판(1)에서 질량이 소한 공간(라)으로 통과할 때에는 통과 점에서 기울기와 수직되게 수선을 세우면 임계 각 이하에서는 입사각보다 굴절 각도가 큰 쪽으로 굴절하여 진행하며 두 번째의 굴절은 공간(라)와 투과성 판(2)의 경계 면에서 다시 굴절을 일으키게 되며 이때에는 첫 번째와는 반대로 밀도가 소한 공간(라)에서 밀도가 밀한 투과성 판(2)의 돌기(6)의 경계 면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빛(B)의 입사 각 보다 굴절각이 작은 쪽으로 굴절이 되어서 통과하게 된다. 이때에 있어서 빛(B)이 통과하는 점이 임계 각 이상일 때에는 수직선에서 입사각과 반사각이 동일하게 반사되며 이러한 과정을 연속적으로 빛이 진행하게 된다. 이 빛은 다 적층 투과성 판넬(가)의 외 측면의 투과성 판(2),(3)을 통과하여 완전히 벗어날 때까지 이루어지며 입사되는 모든 빛은 이와 같은 물리적 법칙으로 다 적층 투과성 판넬(가)의 내부를 통과한 빛은 (나)와 (다)의 방향으로 발산되고, 다 적층 투과성 판넬(가) 자체가 발광하는 것 같이 보이게 작동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multi-layered transmissive panel (a)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in detail, any light specially selected from the many lights incident on the multi-layered transmissive panel (a) in the light emitting diodes (8) and (9) of FIG. Referring to the process of refraction of (B), as shown in the enlarged drawing 2, a space composed of two materials having different masses (ie, a transparent plate 1 and air) having different masses where light B first meets. At the interface of)), light refraction or reflection occurs, and the first refraction occurs when the transmissive plate (1) is dense and perpendicular to the slope at the passing point when passing through the space (L). Below the critical angle, the deflection angle is larger than the incidence angle. The second refraction causes refraction again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pace (d) and the transparent plate (2). Degrees there is to pass through the boundary surface of the projection 6 of the transparent plate (2) has a density at least the space (D) dense this case will be passed through the refraction toward the small refractive angle than the incident angle of the light (B). In this case, when the point where the light B pass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ritical angle, the incident angle and the reflected angle are reflected in the vertical line in the same manner, and the light proceeds continuously. This light passes through the transmissive plates 2 and 3 on the outer side of the multi-layered transmissive panel until it is completely out of the way.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is emitted in the direction of (b) and (c), and the multi-layered transmissive panel acts as if it emits light.

이상에서 기술한 본원 고안을 적용하여 작동되는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면 도면 6 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 적층 투과성 판넬(가)은 한쪽 측면의 표시만이 필요한 경우로서, 다른 한 쪽 면에 반사 판(11)을 밀착시킴으로서 이편으로 발산되어 나오는 빛을 반대편 면으로 다시 반사됨으로 더 밝게 빛난다, 또 도면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적용 예는 다 적층 투과성 판넬(가)을 곡면을 이루게 하여서 도로의 터널이나 지하철의 벽면에 부착하여 거리와 방향을 표시한 유도 등으로 사용하면 비상 유도 등이 빛을 180도 이상의 넓은 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므로 어느 방향에서나 장소에서 식별하기에 용이하여 매우 유익하게 사용할수 있다.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d 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multi-layered transmissive panel (a) as shown in Figure 6 is a case where only one side display is required, the other side reflection By bringing the plate 11 into close contact, the light emitted from this side is reflected back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light shines brighter. Also, as shown in FIG. 10, an application as shown in FIG. When used as an induction lamp that displays the distance and direction by attaching it to the wall of a subway,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emits light in a wide direction of more than 180 degrees, so it is easy to identify in a place in any direction and can be used very advantageously. .

본원 고안의 더욱 중요한 작동의 기술적인 특징을 종래의 투과성 판넬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도면 7 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종래의 투과성 판넬(마)의 일 측에 발광 다이오드(8)을 위치시켜 B방향으로 빛이 들어오게 하면 그 빛은 직진만 이루어 져서 (나)와 (다) 방향으로는 전혀 나가지 않고 오직 종이(10)상의 C의 부위만 다이오드(8)의 빛이 강하게 비추게 됩니다. 종래의 투과성 판넬(마)의 위치에 본 고안의 다 적층 판넬(가)를 위치시키면 다이오드(8)에서 입사된 빛은 판넬(가)의 내부에서 반복적으로 굴절과 반사가 이루어지게 작동되므로 종이(10)상에는 빛이 비취지 않고 (나)와 (다)의 방향으로 만 조사되게 나타난다. 특히 종래의 반 투과성 판넬을 완전 투과성 판넬(마)와 치환하면 종이(10)에는 다이오드(8)의 빛이 거이 제로에 가까울 정도로 도달하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나)와 (다)의 어느 방향으로도 빛은 거의 볼 수 없는 상태인 것을 알게 된다. 이로 미루어 반 투과성 판넬의 에너지 손실이 막대함을 확실히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비교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의 다 적층 투과성 판넬(가)에서는 빛의 에너지 소비가 거의 없이 양 측면 방향으로 발산되기 때문에 저 전력의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을 갖이고도 종래의반 투과성 판넬의 사용시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비상구 유도 등에 본 고안의 다 적층 투과성 판넬(가)를 사용 할 때에는 발광체로서 형광등 보다 전기 소모가 수백 분의 일로 적은 발광 다이오드(8)를 사용 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건물 내의 비상구 유도 등이나 터널 내의 비상 유도 등의 가장 중요한 목적인 화재나 붕괴 등의 비상시에 종래의 비상등은 비상등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전원이 꺼지게되는 상황이 발생하여 많은 인명 피해를 유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비상등에서 소모되는 전기가 과다하기 때문에 비상 유도 등의 전원으로서 충전용 전원을 사용하기에는 막대한 시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일반 전원을 사용한 것이 비상시에 전원이 끊기게 된 후에는 비상등의 역할을 할 수 없었다. 따라서 전기 소모가 아주 적은 본 고안의 다 적층 투과성 판넬(가)를 비상 유도 등으로 사용 할 경우에는 도면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체로서 발광 다이오드(8)를 사용하고 그 전원 부로서 도면 9에 블록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 부와 전원선 이상 유무를 비교하여 유도 등에 축적된 전원 공급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부 및 전원 축전 부, 제어 부로서 전원 부 회로를 구성하여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하였다. 이 전기 공급 부는 소형으로서 개별의 비상 유도 등의 프래임 내에 각 각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의 작동을 설명하면 본원 고안의 다 적층 투과성 판넬(가)을 적용한 비상 유도 등의 평상시 작동의 전원은 상용 전원의 AC 전원을 정류하여 발광 다이오드(8),(9)에 공급하고 이와 동시에 비교 부를 통하여 전원 축전 부에 축전 시키게 되며, 만약 화재나 붕괴 등 불의의 재난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서 전기선이 끊어 졌을 경우에는 모든 비상 유도 등은 각 각에 장착되어 있는 축전기에서개별적으로 전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비상 유도 등은 계속 빛을 발산하게 된다. 이 경우 화재나 기타 원인으로 어느 하나의 비상 유도 파손되어도 그 이외의 비상 유도 등은 계속 작동하게 됨으로서 전부가 파손되지 않는 한 끝까지 비상 유도 등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특별히 전기 소모량이 수 밀리 암페어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축적된 소량의 축전지의 전기로 수 시간 동안 비상 유도 등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비상시에 충분히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지는 매우 유익한 작동 상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more important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plaine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transmissive panel, and as shown in FIG. 7, the light emitting diode 8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conventional transmissive panel (e) in the B direction. When the light comes in, the light is made straight so that it does not go out in the direction of (I) and (C) at all, and only the part of C on the paper (10) shines strongly on the diode (8). When the multi-layer panel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at the position of the conventional transparent panel (e), the light incident from the diode 8 is repeatedly operated to be refracted and reflected inside the panel (a), so that the paper ( 10) The light does not shine but appears to be irradiated only in the direction of (B) and (C). In particular, when the conventional semi-transparent panel is replaced with the fully transmissive panel (e), the light of the diode 8 does not reach the paper 10 to almost zero. In addition, we find that the light is almost invisible in either (I) or (C). This clearly shows that the energy loss of the semi-permeable panel is enormous. As compared with the above, in the multi-layered transmissiv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is emitted in both side directions with little energy consumption, the conventional semi-transparent panel is used even though it has a light source such as a low power light emitting diode. It can have the same effect as When using the multi-layered transmissive panel (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mergency exit induction, etc., it is possible to use the light emitting diode 8 which consumes less than a few hundredths of the electricity as a fluorescent lamp. Until now,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fire or collaps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inducing emergency exit in a building or emergency induction in a tunnel, a conventional emergency light does not function properly as an emergency light and power is turned off, causing a lot of casualties. This problem is due to the excessiv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in the emergency light, which requires a huge amount of facility cost to use the power supply for charging as an emergency induction light. Therefore, the use of the general power supply can serve as an emergency light after the power is cut off in an emergency. There was no. Therefore, when the multi-layered transparent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nsumes very little electricity, is used for emergency induction or the like, the light emitting diode 8 is used as the light emitting body as shown in FIG. 8 and the block in FIG.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ower supply circuit was configured as a comparator, a power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power supply accumulated in the induction and the like was compared by comparing the rectifier and the power line abnormality to supply electricity. This electrical supply unit is compact and can be mounted in a frame such as individual emergency guide. When explaining the operation thereof, the power for normal operation such as emergency induction using the multi-layered transparent panel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tify the AC power of the commercial power supply and supply it to the light emitting diodes (8) and (9). The power is stored in the power storage unit. If an electric line breaks due to an unexpected disaster such as a fire or collapse, all emergency induction lamps are supplied with electricity from the capacitors attached to each other. The lamp continues to emit light. In this case, even if one of the emergency induced damage is caused by fire or other causes, other emergency induction lights continue to operate so that they can serve as emergency induction lights until the end is not damaged. Because it is only a few milliamperes, it can be powered for a few hours by the electricity of a small amount of accumulators, so it has a very beneficial operational feature that gives it enough time to evacuate in an emergency.

이상에서 상술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의 다 적층 투과성 판넬(가)는 돌기(4),(5),(6),(7)를 일체로 형성한 완전 투과성 판(1),(2),(3)을 일정한 간격(A)로 적층 시켜서 밀도가 서로 다른 수많은 경계 면이 형성되게 한 특징을 지닌 것으로서, 빛(B)가 다 적층 판넬(가)을 통과할 때에 에너지의 손실이 거의 없기 때문에 램프 전원에 비하여 수 백 분의 일밖에 소비되지 않고 반영구적인 발광 다이오드(8)를 사용하면서도 매우 밝은 비상 유도 등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소량의 충전 장치가 각 비상 유도 등의 프래임에 장착되어 있음으로 건물이나 도로상의 터널 화재나 불의의 재난이 발생한 비상시에 전원이 단절되었을 때에도 자동적으로 축전지의 전원으로 비상 유도 등을 작동케 함으로서 위험시에 대처케 할 뿐만 아니라 각 각이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가 소실되었을 때에도 나머지 비상 유도 등은 계속 작동하게 되며 축적된 전기가 완전히 방전 될 때까지 수 시간 동안 유도 등의 불을 밝힐 수 있는 매우 유익한 특징과 효과를 지닌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d shown above, the multi-layered transmissive panel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lly permeable plate (1), (2) having integrally formed protrusions (4), (5), (6), and (7). It is characterized by stacking (3) at regular intervals (A) to form a large number of interfaces with different densities. There is little energy loss when all the light B passes through the laminated panel. Therefore, it consumes only a few hundredths of the lamp power and can play a role of very bright emergency induction while using a semi-permanent light emitting diode (8). A small amount of charg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frame of each emergency induction lamp. Therefore, even when the power is cut off in the event of tunnel fire or unforeseen disaster on the building or road, it can automatically operate the emergency induction by the power of the battery, so that each can operate individually. Therefore, when one of them is lost, the remaining emergency induction lamps continue to operate and have very beneficial features and effects that can illuminate the induction lamp for several hours until the accumulated electricity is completely discharged.

Claims (2)

본 고안의 다 적층 투과성 판넬(가)의 구성은 한 측면에만 일정한 높이와 규칙적인 배열의 돌기(6),(7)를 일체로 형성한 외측 투과성 판(2),(3)사이에 간격(A) 유지 가이드(12),(13) 중앙에 일정한 높이와 규칙적인 배열의 요철(톱니 형상) 돌기(4)를 일체로 형성한 투과성 판(1)을 일정한 공간(라)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투과성 판을 접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다 적층 투과성 판넬.The structure of the multi-layer permeable panel (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ap between the outer permeable plates (2) and (3) integrally formed with protrusions (6) and (7) of constant height and regular arrangement on only one side thereof. A) In the center of the holding guides 12 and 13, a plurality of permeable plates 1 are formed so that a constant space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the uneven (tooth-shaped) protrusions 4 of constant height and regular arrangement. Multi-layered transmissive panel, characterized by bonding the permeable plates. 제1항에 있어서, 투과성 판(1),(2),(3)을 일정한 비율의 곡면으로 되어진 판상에 요철 돌기(4),(6),(7)가 형성되어서 적층 되어진 다 적층 투과성 판넬.The multi-layered permeable pane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uneven protrusions (4), (6), and (7) are formed by laminating permeable plates (1), (2), and (3) on a plate having a constant ratio curved surface. .
KR20-2003-0026050U 2003-08-12 2003-08-12 Multi-layer permeable panel KR20033343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050U KR200333439Y1 (en) 2003-08-12 2003-08-12 Multi-layer permeable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050U KR200333439Y1 (en) 2003-08-12 2003-08-12 Multi-layer permeable pa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439Y1 true KR200333439Y1 (en) 2003-11-15

Family

ID=4934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050U KR200333439Y1 (en) 2003-08-12 2003-08-12 Multi-layer permeable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43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296B1 (en) 2019-06-10 2020-08-10 정용일 LED Projector for Industrial Safe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296B1 (en) 2019-06-10 2020-08-10 정용일 LED Projector for Industrial Safe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4452B2 (en) Lamps, luminaires and lighting systems
US20100013658A1 (en) Dynamic emergency escape indicator
US10679528B2 (en) Hybrid illuminated indicator sign
CA2319056C (en) Lighting fixture
US5469347A (en) Retro-fit illuminated sign module and method
KR20060034676A (en) The luminous device using light emitting diodes
US7080921B2 (en) Linear light using LEDs
WO2000061873A1 (en) Luminescent tile
KR200333439Y1 (en) Multi-layer permeable panel
JP5326010B2 (en) LED fluorescent lamp device with emergency light function
KR100673863B1 (en) Information indicator with a luminous source
TWM456392U (en) Solar energy luminous brick wall
DE50114476D1 (en) CONSTRUCTION ELEMENT FOR A COMPETITIVE AND / OR ACCESSIBLE AREA
KR200354568Y1 (en) Permeable Panel
CN2771961Y (en) Light storage safety device
JP2006107861A (en) Solar battery module with illumination means
JP4721758B2 (en) Power-saving internally illuminated sign
CN201318604Y (en) Light emitting diode emergency lighting device
JP2009104413A (en) Display light for evacuation guide
KR101673545B1 (en) Light emitting type guideboard
KR200217002Y1 (en) an emergency exit mark using of luminous paper
KR200243406Y1 (en) The structure of signboard of Exitlamp
RU114214U1 (en) INFORMATION DEVICE
JP2002251903A (en) Led luminaire
KR200168252Y1 (en) Self-luminuus exit 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