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039Y1 - Packing vessel with pull-out means for solid contents - Google Patents

Packing vessel with pull-out means for solid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039Y1
KR200333039Y1 KR20-2003-0026307U KR20030026307U KR200333039Y1 KR 200333039 Y1 KR200333039 Y1 KR 200333039Y1 KR 20030026307 U KR20030026307 U KR 20030026307U KR 200333039 Y1 KR200333039 Y1 KR 200333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contact
packaging container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30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기중
Original Assignee
송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중 filed Critical 송기중
Priority to KR20-2003-00263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03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039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형 내용물을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인출수단을 구비한 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조림용 깡통과 같은 포장용기에 내장된 햄과 같은 고형 내용물을 칼이나 젓가락, 포크 등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고형 내용물의 파손 없이 원형 그대로 용기에서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인출수단을 구비한 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withdrawal means for easily withdrawing the solid contents, in particular to a solid content, such as ham embedded in a packaging container such as canned cans, such as a knife, chopsticks, fork,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withdrawal means that can be easily taken out of a container without a tool and without breakage of solid contents.

본 고안에 따른 고형 내용물 인출수단을 구비한 식품 포장용기는 뚜껑을 구비한 용기본체; 및 하부로는 상기 용기본체 저면부와 접하고 상부로는 상기 용기본체에 내장된 고형 내용물과 접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와 이어진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이어져 있고 하부로는 상기 고형 내용물과 접하고 상부로는 상기 용기본체의 뚜껑과 접하는 파지부로 이루어진 인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ood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solid content extrac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body having a lid; And a flat plat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flat portion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olid contents embedded in the container body at a top portion thereof,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flat plate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and at the bottom thereof in contact with the solid contents portion thereof. Furnace comprises a withdrawal means consisting of a gripp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id of the container body.

Description

고형 내용물 인출수단을 구비한 식품 포장용기{PACKING VESSEL WITH PULL-OUT MEANS FOR SOLID CONTENTS}PACKING VESSEL WITH PULL-OUT MEANS FOR SOLID CONTENTS}

본 고안은 고형 내용물을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인출수단을 구비한 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조림용 깡통과 같은 포장용기에 내장된 햄과 같은 고형 내용물을 칼이나 젓가락, 포크 등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고형 내용물의 파손 없이 원형 그대로 용기에서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인출수단을 구비한 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withdrawal means for easily withdrawing the solid contents, in particular to a solid content, such as ham embedded in a packaging container such as canned cans, such as a knife, chopsticks, fork,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withdrawal means that can be easily taken out of a container without a tool and without breakage of solid contents.

종래 고기, 햄, 야채 등의 식품을 장기간 유통·보관할 수 있도록 조리, 염지(鹽漬), 멸균 등을 거쳐 깡통에 진공 포장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method of vacuum packaging a can through vacuum, cooking, dyeing, sterilization, and the like is widely used so that foods such as meat, ham, and vegetables can be distributed and stored for a long time.

그러나 깡통에 내장된 고형 내용물, 특히 햄 종류는 깡통에 꽉 채워져 있어 뚜껑을 개방하고 거꾸로 들고 강하게 흔들어도 내용물이 쉽게 빠지지 않는다. 더욱이 햄 종류에 경우에는 햄에 포함된 기름이 굳어서 깡통의 내벽과 햄이 점착시키는 기능을 하므로 햄을 빼내기 어려웠다.However, the solid contents contained in the cans, especially hams, are filled tightly in the cans so that the contents do not fall easily when the lid is opened, held upside down, and shaken vigorously. Moreover, in the case of ham, the oil contained in the ham hardened to remove the ham because it functions to stick the inner wall of the can and the ham.

종래에는 햄과 같은 고형 내용물을 깡통과 같은 포장용기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칼, 젓가락, 또는 포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과정에서 내용물이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고, 심지어 소비자가 다치는 경우까지 있어 왔다.In the past, it was common to use knives, chopsticks, or forks to separate solid contents such as ham from packaging containers such as cans. In the process, the contents were often damaged, and even consumers were injured.

포장용기 중에는 용기의 측벽에 나선형 절개선을 형성시키고, 보조도구를 회전시켜서 용기의 측벽을 따내는 종류의 포장용기가 있었다. 이러한 포장용기는 고형 내용물을 꺼낼 때에는 편리할 수도 있으나, 용기를 개방하는 것이 불편하여 최근에는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Among the packaging containers, there was a type of packaging container in which a spiral cut line wa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and the auxiliary tool was rotated to extract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Such a packaging container may be convenient when taking out the solid contents, but it is inconvenient to open the container and has not been used recently.

또 종래 고형 내용물 인출 용이성을 위한 포장용기 중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1989-0020982호(1989.11.01.) 『고형상의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깡통』이 있다. 상기 공개실용신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저면부에는 알루미늄 호일(foil) 개봉편에 의하여 폐쇄된 공기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내용물 인출시에는 용기의 뚜껑과 상기 호일을 제거하고 용기를 거꾸로 들고 흔들면, 상기 공기유입공으로 공기가 들어가서 내용물이 자체 하중에 의하여 쉽게 인출되도록 구성되었다.In additio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89-0020982 (Nov. 1, 1989) among conventional packaging containers for easy withdrawal of solid contents includes `` Food cans with which solid contents can be easily taken out. '' The air inlet hole closed by the aluminum foil opening piece is formed in the bottom part of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said utility model. When the contents were taken out, the lid and the foil of the container were removed, and when the container was held upside down and shaken, air was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so that the contents were easily taken out by its own load.

그러나 내용물이 햄일 경우 상기 공개실용신안에 따른 용기의 경우에도 햄과 용기 측벽 사이에 굳은 기름으로 인하여 내용물을 인출하는 것이 쉽지 않다.However, if the contents are ham, even in the case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utility model, it is not easy to withdraw the contents due to the solid oil between the ham and the container side wall.

그리고 상기 공개실용신안의 용기는 개방한 후, 내용물이 남을 경우 다시 포장용기에 보관하기 곤란하다. 이 경우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보관하거나 랩(wrap)으로 포장용기 전체를 감싸서 보관하여야 하므로 불편하다.After opening the container of the utility model, it is difficult to store the contents again in the packaging container. In this case, it is inconvenient to store the contents in another container or wrap the entire packaging container with a wrap.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식품 포장용기에서 고형 내용물을 인출하기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ull out the solid contents in the conventional food packaging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본 고안은 고형 내용물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포장용기에 내용물과 함께 내장되는 간단한 인출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withdrawal means that are embedded with the contents in a packaging container in order to facilitate the withdrawal of the solid contents.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투시도 및 분해사시도,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도 1의 식품 포장용기의 결합 단면도,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of Figure 1,

도 3b는 인출수단을 이용하여 고형 내용물을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olid contents are drawn out using the drawing means;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다른 형태의 인출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4A, 4B and 4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form of drawing mean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용기본체 11: 저면부10: container body 11: bottom

13: 뚜껑 15: 보조뚜껑13: lid 15: auxiliary lid

20,120,220,320: 인출수단 21,121,221,321: 평판부20,120,220,320: drawing means 21,121,221,321: flat plate part

21a,121a,221a,321a: 장공 121b,321b: 보강편21a, 121a, 221a, 321a: long hole 121b, 321b: reinforcing piece

23,123,223a,223b,323: 연결부 25,125,225a,225b,325: 파지부23,123,223a, 223b, 323: Connecting part 25,125,225a, 225b, 325: Holding part

H: 내용물 C: 커터H: Contents C: Cutt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고형 내용물 인출수단을 구비한 식품 포장용기는 뚜껑을 구비한 용기본체; 및 하부로는 상기 용기본체 저면부와 접하고 상부로는 상기 용기본체에 내장된 고형 내용물과 접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와 이어진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이어져 있고 하부로는 상기 고형 내용물과 접하고 상부로는 상기 용기본체의 뚜껑과 접하는 파지부로 이루어진 인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ood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solid contents extrac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having a lid; And a flat plat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flat portion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olid contents embedded in the container body at a top portion thereof,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flat plate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and at the bottom thereof in contact with the solid contents portion thereof. Furnace comprises a withdrawal means consisting of a gripp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id of the container bod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be described in detail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먼저 도 1 및 도 2에서, 포장용기는 가장 일반적인 육면체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인출수단이 사용되는 포장용기의 형태는 다양해 질 수 있다. 내용물 또한 햄(H)을 도시하고 있으나, 참치, 치즈 등 다양한 고형 내용물일 수 있다. 도 2에 비하여 도 1에서는 뚜껑(13)과 보조뚜껑(15)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First, in Figures 1 and 2, the packaging container is shown the most common hexahedral form. However, the shape of the packaging container using the withdrawa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 The contents also show ham (H), but may be various solid contents such as tuna and cheese. Compared to FIG. 2, the lid 13 and the auxiliary lid 15 are removed.

용기 본체(10)에 구비된 뚜껑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손잡이(13a)가 구비된 원터치 개방형 뚜껑(13)이 도시되어 있으나, 뚜껑의 형태에 의하여 본 고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Lid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10 is shown a one-touch open lid 13 is provided with the most widely used handle 13a, but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shape of the lid.

또 용기본체(10)에는 용기 개방 후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지 않을 경우 용기를 덮을 수 있는 보조 뚜껑(15)이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 body 1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lid 15 to cover the container when the contents are not used after opening the container.

도 1 및 도 2에서, 본 고안의 핵심을 이루는 인출수단(20)은 평판부(21), 연결부(23), 파지부(25)가 일체형으로 된 것이다.1 and 2, the withdrawal means 20 that forms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lat plate portion 21, the connection portion 23, the gripping portion 25 is integrated.

평판부(21)는 대체로 용기본체(10)의 저면부(11) 형상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평판부(21)의 형태와 크기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평판부 형태 및 크기의 선택은 재료절감, 디자인, 내용물의 인출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lat plate portion 21 generally match the shape of the bottom portion 11 of the container body 10, but the shape and size of the flat plate portion 21 may be variously selected. The selection of the shape and size of the flat plate is made in consideration of material saving, design, and convenience of taking out the contents.

평판부(21)는 하부로는 상기 용기본체(10) 저면부(11)와 접하고 상부로는 상기 용기본체(10)에 내장된 고형 내용물(H)과 접하게 된다. 도시된 평판부(21)의 폭은 대체로 용기본체(10)의 저면부(11) 폭과 일치하고, 길이는 저면부(11) 길이의 절반 정도이다.The flat plate portion 21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container body 10 at the bottom and in contact with the solid contents (H) embedded in the container body 10 at the top. The width of the flat plate portion 21 shown generally coincides with the width of the bottom portion 11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length is about half the length of the bottom portion 11.

그리고 평판부(21)에는 장공(21a)이 형성되어 있는데, 장공(21a)은 재료 절감 기능을 한다. 또 장공(21a)은 장공에 햄과 같이 용기를 가득 채우는 고형 내용물(H)이 어느 정도 끼게 되므로 평판부(21)와 내용물(H)이 보다 강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내용물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도 한다. 아울러 평판부에 형성된 장공은 고형 내용물이 옥수수와 같이 액체를 어느 정도 포함하는 내용물이라면 인출수단으로 내용물을 인출할 경우 액체가 장공으로 빠지게 되므로 액체와 고형 내용물을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And the long hole 21a is formed in the flat plate 21, the long hole 21a serves to reduce the material. In addition, the long hole (21a) is filled with a solid content (H) filling the container, such as ham in the long hole, so that the flat plate 21 and the content (H) is more strongly coupled to facilitate the withdrawal of the contents. . In addition, the long hole formed in the flat plate has a function of separating the liquid and the solid content if the solid content is a content containing a certain amount of liquid, such as corn, when the content is taken out by the withdrawal means, the liquid falls into the long hole.

상기 인출수단(20)의 연결부(23)는 평판부(21)와 이어져 있다. 도시된 연결부(23)의 형태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측벽과 접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23 of the lead means 20 is connected to the flat plate portion 21. The illustrated connecting portion 23 is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body 10.

그러나 연결부는 평판부의 내측, 특히 무게중심에 위치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연결부가 용기 측벽과 접하는 것이 아니라 내용물 속에 위치할 것이므로, 참치와 같이 흩어지기 쉬운 성질을 갖는 내용물인 경우에는 적합할 수 있다. 하지만 햄, 치즈, 푸딩과 같이 전체가 일체형인 내용물인 경우에는 용기에서 내용물을 분리한 후, 다시 내용물과 인출수단을 분리하여야 하므로 불편할 수 있다.However,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shaped to be located inside the flat plate, particularly in the center of gravity. In this case,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will be located in the contents rather than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it may be suitable in the case of the contents having the property of being easily scattered such as tuna. However, in the case of the whole contents, such as ham, cheese, pudding, after separat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it may be inconvenient to separate the contents and the withdrawal means again.

상기 인출수단(20)의 파지부(25)는 상기 연결부(23)와 이어져 있고 하부로는 상기 고형 내용물(H)과 접하고 상부로는 상기 용기본체(10)의 뚜껑(13)과 접한다.The gripping portion 25 of the lead-out means 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3, the low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olid contents (H) and the upp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id 13 of the container body (10).

도시된 파지부(25)는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 형태로 되어 있으며, 연결부(23)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곡될 수 있는 형태이므로 용기의 밀봉 포장시 도움이 된다.The illustrated grip portion 25 is in the form of a ring that can be pinched fingers, and can be bent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23 is helpful when sealing the packaging of the container.

그러나 파지부의 형태 또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이 용기를 완전히 채우는 것이 아닐 경우에는 연결부의 일단이 손잡이 역할을 하는 형태도 얼마든지 가능하다.However, the grip portion may also be modifi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if the contents do not completely fill the container,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may serve as a handle.

도 4a에 도시된 다른 형태의 인출수단(120)은 도 2의 것에 비하여 평판부(121)에 보강편(121b)이 돌설되어 있다. 보강편(121b)은 연결부(123)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3)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부호 121a는 장공이고, 125는 파지부이다.4A has a reinforcing piece 121b protruding from the flat plate portion 121 as compared to that of FIG. 2. The reinforcing piece 121b is for reinforcing the connection part 123,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piece 121b is symmetrical about the connection part 123. Reference numeral 121a is a long hole and 125 is a gripping portion.

도 4b에 도시된 형태의 인출수단(220)은 연결부(223a,223b) 및 파지부(225a,225b)가 평판부(221)에 대칭되는 위치에 2개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내용물 인출이 보다 편리할 수 있다. 평판부(221)는 인출수단(220)이 내장될 용기 저면부에 비하여 폭이 좁은 부분이 배열되어 있는데, 이는 재료절감을 위한 것이다. 참조부호 221a는 장공을 지칭한다.4B has two drawing portions 220 formed at positions where the connecting portions 223a and 223b and the gripping portions 225a and 225b are symmetrical to the flat plate portion 221. It can be convenient. The flat plate portion 221 is arranged in a narrower width portion than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tainer in which the drawing means 220 is to be built, which is to reduce the material. Reference numeral 221a refers to the long hole.

도 4c에 도시된 또 다른 형태의 인출수단(320)은 기본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인출수단(120)과 유사하다. 다른 점은 연결부(323)에서 평판부(321)의 장공(321a)까지 이어진, 공기유입부, 특히 요입홈(323a)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참조부호 325는 파지부이다.Another form of drawing means 320 shown in Figure 4c is basically similar to the drawing means 120 shown in Figure 4a. The difference is that the air inlet, in particular the recessed groove 323a, which extends from the connecting portion 323 to the long hole 321a of the flat plate portion 321 is formed. Reference numeral 325 is a gripping portion.

이러한 공기유입부는 햄과 같이 용기를 가득 채우는 고형 내용물을 위한 것이다. 공기유입부는 도 1 및 도 2에서 뚜껑(13)을 개방하면 공기가 유입부를 통하여 용기본체(10)의 저면부(11)까지 유입되도록 한다.This air inlet is for solid content filling the container, such as ham. When the air inlet part opens the lid 13 in FIGS. 1 and 2, air is introduced into the bottom part 11 of the container body 10 through the inlet part.

도 4c에 도시된 요입홈(323a) 형태의 공기유입부는 가장 간단한 형태이며, 다른 형태로는 관 형태일 수도 있다. 관 형태의 공기유입부는 특히 인출수단의 연결부가 평판부의 무게중심에 위치하는 경우에 적합한 것이다.The air inlet in the form of the recessed groove 323a shown in FIG. 4C is the simplest form, and may be a tubular form in another form. The tubular air inlet is particularly suitable when the connection of the outlet means is located 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lat plate.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인출수단(20)을 이용하여 내용물(H)을 인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withdrawing the contents H using the withdrawal means 20 shown in FIG. 2.

소비자는 제품구입 후 도 3a의 상태에서 보조뚜껑(15)을 분리하고, 뚜껑(13)의 손잡이(13a)를 수직으로 올린 후 뚜껑(13)을 당겨서 뚜껑(13)을 제거할 수 있다.After purchasing the product, the consumer may remove the lid 13 from the auxiliary lid 15 in the state of FIG. 3A, raise the handle 13a of the lid 13 vertically, and pull the lid 13.

다음으로 도 3b에서, 인출수단(20)의 파지부(25)를 세워 당기면, 내용물(H)이 인출된다. 이어서 내용물(H)은 필요한 양(H1) 만큼 커터(C)로 절단하면 된다.Next, in FIG. 3B, when the gripping portion 25 of the lead-out means 20 is pulled up, the contents H are taken out. Subsequently, the contents H may be cut by the cutter C by the required amount H1.

이렇게 내용물(H)을 완전히 인출하지 않고 일부분을 절단할 경우, 도 4b의 인출수단(220)에서는 대칭되게 2개 형성된 연결부(223a,223b)에 커터가 걸리므로 절단작업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When cutting a portion without completely extracting the contents (H), the cutter is caught in the connecting portion (223a, 223b) formed two symmetrically in the withdrawal means 220 of Figure 4b it is not smooth cutting operation.

그러므로 내용물 인출의 안정성을 고려할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형태의 인출수단(220)이 보다 바람직하겠으나, 재료절감과 내용물 절단작업의 편리성을 고려할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인출수단(20)이 보다 바람직한 형태이다.Therefore, when considering the stability of the withdrawal of the contents it is preferable that the withdrawal means 220 of the form shown in Figure 4b, but when considering the material saving and convenience of cutting the contents, the withdrawal means 20 shown in Figure 3b It is a more preferable form.

필요한 양(H1) 만큼 내용물(H)을 떼어낸 후, 나머지 내용물을 보관하려고 할 경우에는 내용물(H)을 용기본체(10)에 다시 넣고 보조뚜껑(15)을 덮어 보관하면 된다.After removing the contents (H) by the required amount (H1), if you want to keep the rest of the contents, the contents (H) is put back into the container body (10) to cover the auxiliary lid (1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는 인출수단을 통하여 칼이나 젓가락, 포크 등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고형 내용물의 파손 없이 원형 그대로 용기에서 쉽게 빼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taken out of the container as it is without breaking the solid contents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such as a knife, chopsticks, or fork through the withdrawal means.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형태와 크기에 상관없이 평판부, 연결부 및 파지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인출수단과 관련이 있을 경우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Various features of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cations and combin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and combinations, regardless of the shape and size of the flat plate, connecting portion and If the gripping portion is associated with an integral withdrawal mean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뚜껑을 구비한 용기본체; 및A container body having a lid; And 하부로는 상기 용기본체 저면부와 접하고 상부로는 상기 용기본체에 내장된 고형 내용물과 접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와 이어진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이어져 있고 하부로는 상기 고형 내용물과 접하고 상부로는 상기 용기본체의 뚜껑과 접하는 파지부로 이루어진 인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식품 포장용기.The lower part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upper part is in contact with the solid contents embedded in the container body,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lat portion, th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olid contents Foo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a withdrawal means consisting of a gripp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id of the container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출수단의 연결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측벽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Connection portion of the withdrawal means food packag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body.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인출수단의 연결부 및 파지부는 상기 평판부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2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Food packag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two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lat plate portion and the extraction uni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인출수단의 평판부에는 연결부와 이어진 보강편이 돌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A food packag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piec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lat plate of the take-out mean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인출수단의 평판부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Food packag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 hole is formed in the flat portion of the take-out mean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인출수단의 연결부에는 평판부까지 이어진 공기유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The food packag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let portion extending to the plate portion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ake-out means.
KR20-2003-0026307U 2003-08-14 2003-08-14 Packing vessel with pull-out means for solid contents KR20033303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307U KR200333039Y1 (en) 2003-08-14 2003-08-14 Packing vessel with pull-out means for solid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307U KR200333039Y1 (en) 2003-08-14 2003-08-14 Packing vessel with pull-out means for solid cont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039Y1 true KR200333039Y1 (en) 2003-11-12

Family

ID=49419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307U KR200333039Y1 (en) 2003-08-14 2003-08-14 Packing vessel with pull-out means for solid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039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493B1 (en) 2015-07-13 2016-11-22 윤대원 Container having content sawing steel wire
KR20180117941A (en) 2017-04-20 2018-10-30 윤대원 Can container with moving type cutter
KR20190065518A (en) 2017-12-02 2019-06-12 이금일 packing vessel with pull-out means for non-oil solid conten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493B1 (en) 2015-07-13 2016-11-22 윤대원 Container having content sawing steel wire
KR20180117941A (en) 2017-04-20 2018-10-30 윤대원 Can container with moving type cutter
KR20190065518A (en) 2017-12-02 2019-06-12 이금일 packing vessel with pull-out means for non-oil solid cont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49250A (en) Olive dispensing device
US20140251997A1 (en) Product container strainer
EP2455296A1 (en) Ergonomic container and package system
KR200333039Y1 (en) Packing vessel with pull-out means for solid contents
KR102015447B1 (en) a hamburger container
WO2013143706A1 (en) Container for food products immersed in liquid
KR101103117B1 (en) Double paper container with a eating gear inside
KR200319555Y1 (en) Eag packing container
US6333060B1 (en) Tuna twister
CN215476841U (en) Steamed sausage packaging bag convenient to unseal
CN213324541U (en) Portable instant beverage packing bag
KR200405539Y1 (en) Self stand type vinyl bag
KR200462983Y1 (en) Food container
CN220765259U (en) Food packing box
EP2638831A2 (en) Device for easily removing products from vessels
KR890003666B1 (en) Dual level grid assembly for a container
KR200182419Y1 (en) Ice container
KR200341647Y1 (en) can
KR200398299Y1 (en) Packaging box of a hamburger
KR200285773Y1 (en) Food pack reservoir with removal-rib
KR20090010897U (en) Can for storing food
KR20230146415A (en) food removal container
KR870001844Y1 (en) Bottle packing case
JP2008265784A (en) Small container
KR200322758Y1 (en) A pack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