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934Y1 -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934Y1
KR200332934Y1 KR20-2003-0020864U KR20030020864U KR200332934Y1 KR 200332934 Y1 KR200332934 Y1 KR 200332934Y1 KR 20030020864 U KR20030020864 U KR 20030020864U KR 200332934 Y1 KR200332934 Y1 KR 2003329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piece
long side
coupling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8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진현
Original Assignee
손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진현 filed Critical 손진현
Priority to KR20-2003-00208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9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9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9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 B65D5/001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 B65D5/0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having integral corner posts
    • B65D5/002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having integral corner posts the corner posts being formed as a prolongation of a doubled-over extension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 B65D5/001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 B65D5/00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having ledges formed by extensions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 B65D5/001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 B65D5/004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having both integral corner posts and l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직사각형의 얇은 판재로, 짧은 변 중심부에 단측고정공이 각각 천공되어 구성된 바닥면 양측 짧은 변이 각각 연장되어 양쪽 단측면과 한쪽 변이 만곡진 윗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양쪽 윗면의 양측 짧은 변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각각의 결합편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긴 변이 각각 연장되어 다수개의 결합공이 천공되어 있는 장측면이 각각 형성되고, 양쪽 장측면의 짧은 변이 각각 연장되어 고정편이 형성되는 지지편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용 상자 { The box for packing }
본 고안은 농산물의 포장에 이용될 수 있는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골판지와 같은 넓은 판재가 성형ㆍ절곡되어 윗면이 개방된 상자로 형성됨으로써, 배나 사과와 같은 농산물의 소규모 포장이나 운송등에 이용될 수 있는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의 포장에 이용되는 종래의 포장용 상자의 형상은 통상의 라면상자와 같이 접어서 테이프로 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포장용 상자는 중량물의 포장에 주로 이용되는데, 상자속에 든 내용물을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함이 따랐으며 포장시에 항상 별도의 포장용 테이프가 요구되었다.
사회구조가 다양화 되면서 소규모의 선물에 농산물이 이용되고 구매시 내용물을 확인하고자 하며, 핵가족화 되면서 농산물의 소규모 포장을 선호하게 되는 추세로 할인점이나 백화점과 같은 곳에서도 소포장을 선호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게 이중으로 접철되어 조립되는 상자나 EMS규격의 농산물용 소규모의 포장용 상자가 이용되고 있으나, 상기의 이중으로 접철되어 조립되는 상자의 경우 구조적인 구성때문에 조립시간과 재질이 많이 소요되고, 상기 EMS규격의 농산물용 소규모의 포장용 상자는 포장할 때에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하거나 공장에서 미리 조립되어 현장으로 운송될 경우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고 농산물의 포장 현장에서도 별도의 보관장소를 필요로하게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농산물의 소포장시 내용물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포장용 상자의 윗면을 개방형으로 형성시키고, 포장현장이나 포장용 상자의 운반 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착제의 도포없이 구조적인 형상만으로 조립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닥면에 옆면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바닥면의 긴 변을 연장시켜 형성된 옆면에 고정편을 형성시켜 상기 바닥면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시켜 고정될 수 있도록하며, 상기 바닥면의 짧은 변을 연장시켜 옆면과 윗면과 고정편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편을 상기 바닥면의 긴 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옆면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긴 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옆면의 구멍에 고정편이 삽입되어 고정될 때 고정편과 상기 옆면의 구멍, 윗면과 옆면이 구조적으로 서로 맞물리게 되어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배시키고 압축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포장용 상자의 재질적인 결함과 구조적인 기능을 보강하기위해 부분적으로 점착제를 도포하여 재질이 찢어져 내용물이 흘러 손상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배면 전개도.
도 3a, 도 3b는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이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투시부가 형성되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6는 본 고안에 투시부가 형성되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바닥면 2: 단측면
3: 윗면 4: 결합편
5: 걸림턱 6: 안내편
7: 장측면 8: 지지편
9: 고정편 10: 단측고정공
11: 결합공 12: 장측고정공
13: 개구공 14: 점착제
상기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적 특징을 살펴 보면,
직사각형의 얇은 판재의 짧은 변 중심부에 단측고정공이 각각 천공되어 구성된 바닥면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양측 짧은 변이 각각 연장되어 양측에 단측면과 한쪽 변이 만곡진 윗면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양쪽 윗면의 양측 짧은 변의 상부가 각각 연장되어 결합편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긴 변이 각각 연장되어 다수개의 결합공이 천공되어 있는 장측면이 각각 형성되고, 양쪽 장측면의 짧은 변이 각각 연장되어 고정편이 형성되는 지지편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양쪽 장측면의 외측 긴 변이 원호형으로 움푹 파이거나 또는 사다리꼴형으로 각지게 움푹 파인 형상의 투시부가 형성되는 것과, 상부가 만곡진 양쪽 윗면과 단측면이 만나는 각각의 접변부위에 ()형상으로 천공되어 양쪽에 안내편이 각각 형성되는 것과, 바닥면의 양측 긴 변에 다수개의 장측고정공이 천공되되, 상기 장측고정공은 바닥면의 중심부에서 단측면에 가까운 방향으로 천공되어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장측면의 각각의 결합공 양쪽 짧은 변이 상기 장측면 외측으로 연장되어 절개된 안내선이 형성되고, 상기 개별 결합공의 일측 긴 변이 양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측면 외측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절개되어, 상부로 연장돼 절개된 상기 안내선과 함께 절개편을 이루며, 또한, 상기 양측 각각의 결합편은 결합편의 길이방향에 대해 각이 지며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걸림턱이 구비되고, 결합편끝단의 폭이 걸림턱이 형성된 부위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끝단의 일측 꼭지점부위가 둥글게 모따기되어 형성되는 것과, 상기 각각의 결합편의 중간 부위에 'ㄷ'형상의 개구공이 천공되어 걸림편이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양쪽 장측면 안쪽의 각각의 결합공 아래와 상기 결합편 외측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구성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구성된 포장용 상자는 지지편의 고정편이 단측고정공에 삽입ㆍ고정되고, 결합편은 양쪽의 장측면에 천공된 각각의 결합공에 걸림턱이 걸리도록 삽입ㆍ통과되어 끝단이 장측고정공에 삽입ㆍ고정되어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을 실시예를 통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전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배면 전개도이고, 도3aㆍ도3b는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이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투시부가 형성되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이 다수개 적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얇은 판재가 형성되고 상기 얇은 판재의 짧은 변 중간부위에 단측고정공(10)이 천공되어 바닥면(1)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1) 양측의 짧은 변이 각각 연장되어 양쪽으로 단측면(2)이 형성되고, 상기 양쪽 단측면(2)이 각각 연장되어 일측 변에 만곡이 형성된 윗면(3)이 양쪽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측면(2)과 윗면(3)이 만나 절곡되어질 부위의 중간부분 윗면(3)에 ()형상으로 개구공(13)이 천공되어 양쪽으로 안내편(6)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개구공(13)은 안내편(6)의 끝단이 윗면(3)쪽으로 향하도록 천공되어진다.
이어서, 상기 양쪽 윗면(3)의 양측 짧은 변 상부가 각각 연장되어 중간부위에는 결합편(4)의 길이방향에 대해 각이 지며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걸림턱(5)이 형성되고 끝단의 폭이 걸림턱(5)이 형성된 부위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결합편(4)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결합편(4)의 배면 하단부에 점착제(14)가 도포되고 끝단 일측 꼭지점부위가 둥글게 모따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결합편(4)의 중간 부위에 'ㄷ'형상의 개구공(15)이 천공되어 걸림편(16)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공(15)이 천공되었을 때 걸림편(16)의 끝단이 윗면(3)쪽으로 향하도록 상기 걸림편(16)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1)의 양측 긴 변이 각각 연장되어 양쪽 장측면(7)이 형성되고, 상기 양쪽 장측면(7)의 양측 짧은 변이 연장되어 끝단 일측부위가 돌출되어 고정편(9)이 형성된 지지편(8)이 형성되며, 상기 양쪽 장측면(7) 외측쪽에 양쪽 지지편(8) 가까운 방향으로 결합공(11)이 각각 천공되고 상기 각각의 결합공(11) 아래 부분에 점착제(14)가 도포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장측면(7)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결합공(11) 양쪽의 짧은 변이 상기 장측면(7) 외측으로 소정 연장되어 절개된 안내선(18)이 형성되고, 상기 장측면(7) 내측 방향의 각각의 결합공(11) 긴 변이 양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측면(7) 외측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절개되어 안내선(18)과 함께 절개편(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포장용 상자(20)의 바닥면(1)과 장측면(7)이 만나 절곡되어지는 양쪽 부위에 다수개의 장측고정공(12)이 각각 천공되되, 상기 장측고정공(12)은 바닥면(1)의 중심에서 양쪽 단측면(2) 가까운 방향으로 각각 천공되어 포장용 상자(20)가 전개ㆍ형성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전개되어 형성되어진 포장용 상자(20)의 조립과정을 첨부된 도면과 같이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3a 내지 도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 양쪽의 장측면(7)이 절곡되어 상기 바닥면(1)과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양쪽 장측면(7)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편(8)이 절곡되어 장측면(7)과 90°를 이루고, 상기 지지편(8)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편(9)이 바닥면(1)의 단측고정공(10)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고, 바닥면(1)의 양측 짧은 변의 단측면(2)이 절곡되어 바닥면(1)과 수직으로 세워져 단측면(2)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진 양쪽의 윗면(3)이 절곡되어지면서 바닥면(1)과 수평을 이루되, 상기 양쪽 윗면(3)의 결합편(4)이 결합공(11)에 각각 끼워지고 바닥면(1)의 장측고정공(12)에 상기 결합공(11)의 끝단이 삽입ㆍ고정되어 포장용 상자(20)가 조립되어진다.
상기된 조립과정에서 본 고안의 특징적 효과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기 결합편(4)이 장측면(7)의 결합공(11)에 삽입될 때 상기 결합공(11) 주위에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편(17)이 결합편(4)에 의해 안쪽으로 밀리면서 상기 결합편(4)이 결합공(11)에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안내해주며,
또한, 상기와 같이 결합편(4)이 결합공(11)에 삽입될 때 바닥면(1)과 단측면(2)이 만나는 절곡부위를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며 삽입되는데, 이 때 결합편(4) 끝단의 일측 꼭지점 부위가 둥글게 모따기되어 있어 결합편(4)의 결합공(11)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해주며, 결합편(4) 끝단의 폭이 결합편(4)의 걸림턱(5) 형성부위보다 좁게 성형되어 있어 바닥면(1)의 장측고정공(12)에 쉽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어 포장용 상자(20)의 뒤틀림을 막아 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편(4)의 끝단이 장측고정공(12)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상기 결합편(4)의 끝단과 바닥면(1)의 배면이 동일 수평선상에 있게 될 뿐 아니라 결합편(4)과 연결된 윗면이 장측면(7) 상단에 닿게 되므로 본 고안이 다층으로 적층될 때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편(4)의 걸림턱(5)은 결합공(11)에 삽입되었을 때 안쪽에서 결합공(11)과 안내선(18)에 의해 형성된 절개편(17)에 걸리게 되어 있고, 결합편(4)의 중간 부위에 형성된 걸림편(16)은 결합편(4)에 의해 안쪽으로 밀려 들어온 결합공(11)의 윗 변에 걸리게 되어 결합편(4)이 빠지지 않아 종래의 접착제로 조립되어진 상자들과 같이 바닥면(1)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 효과적으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결합공(11) 아래부분과 결합편(4)에 도포된 점착제(14)로 인해 조립시 결합편(4)이 장측면(7)에 점착되어 견고하게 조립될 뿐만 아니라 중량물도 받칠 수 있으며 하중으로 인하여 결합편(4)이 결합공(11)에서 미끄러져 빠지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되어진 포장용 상자(20)는 양쪽의 윗면(3)이 서로 맞닿지 않고, 양쪽 장측면(7)에서 연장되어 덮개나 뚜껑역할을 할 수 있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윗쪽면이 개방형으로 형성되어 내용물의 확인을 용이하게 해준다.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바닥면(1)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양쪽의 장측면(7)이 파여져 투시부(19)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투시부(19)의 형상은 원호형으로 움푹 파이거나 또는 사다리꼴형으로 각지게 움푹 파이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도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담겨져 적치될 때 안내편(6)이 바로 위에 적치된 상자의 바깥쪽으로 나오게 되어 다층으로 적층되더라도 흔들리지 않고 바르게 적층될 수 있게 해주어 포장용 상자의 찌그러짐으로 인한 내용물의 손상을 막아 주며, 장측면(7)에 형성된 투시부(19)로 인해 다층으로 적층되더라도 내용물을 쉽게 확인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적 특징과 작용으로 인한 본 고안의 효과를 살펴보면,
본 고안은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운송될 수 있어 공장이나 농산물의 포장현장에서 별도의 접착제없이 조립되어 이용되므로 조립되어 운송되는 종래의 포장용 상자보다 운송비와 접착비용 등에 들어가는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시 공간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된 후에도 윗면이 개방되어 있어 내용물의 확인이 용이하며, 장측면에 형성된 투시부로 인해 다층으로 적층될 때에도 내용물의 확인이 용이하고, 내부와 결합편에 점착제가 도포되어있어 혹시 있을지 모를 결합편의 빠짐이나 찢어짐을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량물도 담을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결합공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선, 절개편과 결합편에 형성된 걸림턱의 구조적인 맞물림 그리고, 결합편의 걸림편과 결합공의 맞물림으로 인해 견고하게 조립되며, 결합편의 끝단이 장측고정공에 삽입되어 바닥면의 배면과 동일 수평선상에서 고정되므로 윗면과 장측면이 서로 맞닿게 되어 하중이 바닥면 전체로 효과적으로 분배되고 뒤틀림등을 방지할 수 있어, 본 고안이 다층으로 적층될 때 위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버틸 수 있는 압축강도가 증가되는 것이다.
그리고, 윗면에 형성된 안내편은 본 고안이 고르게 적층될 수 있게하여 포장용 상자의 찌그러짐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손상을 막아 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3)

  1. 직사각형 형상의 얇은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판재의 짧은 변 중간부위에 단측고정공(10)이 천공되어 구성된 바닥면(1)과; 상기 바닥면(1) 양측의 짧은 변이 각각 연장되어 양쪽으로 형성된 단측면(2)과; 상기 양쪽 단측면(2)이 각각 연장되어 일측 변에 만곡이 형성되어 구성된 양쪽의 윗면(3)과; 상기 양쪽 윗면(3)의 양측 짧은 변의 상부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각각의 결합편(4)과; 상기 바닥면(1) 양측의 긴 변이 각각 연장되어 양쪽에 형성되고, 각각의 양측에는 복수개의 결합공(11)이 천공되는 장측면(7)과; 상기 양쪽 장측면(7)의 양측 짧은 변이 각각 연장되어 끝단 일측부위가 돌출된 고정편(9)이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편(8)이 구비되되;
    상기 지지편(8)의 고정편(9)이 단측고정공(10)에 삽입ㆍ고정되고, 상기 결합편(4)은 양쪽의 장측면에 천공된 각각의 결합공(11)에 삽입ㆍ통과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단측면(2)과 양쪽 윗면(3)이 각각 만나 접혀지는 부위에 상기 윗면(3)쪽으로 ()형상의 개구공(13)이 각각 천공되어 양쪽으로 안내편(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4)이 결합공(11)에 삽입되어 끝단이 고정될 수 있게 바닥면(1)과 양쪽 장측면(7)이 만나 접하는 부위에 상기 바닥면(1)의 중심에서 양쪽 단측면(2)방향으로 다수개의 장측고정공(12)이 천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장측면(7) 내측 각각의 결합공(11) 밑에 점착제(14)가 도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결합편(4) 외주면 하부에 점착제(14)가 도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양측 결합편(4)에는 결합편(4)의 길이방향에 대해 각이 지며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걸림턱(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양측 결합편(4) 끝단의 폭은 걸림턱(5)이 형성된 부위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양측 결합편(4) 끝단의 일측 꼭지점부위는 둥글게 모따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9.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결합편(4)의 중앙부에 'ㄷ'형상의 개구공(15)이 천공되어 걸림편(16)이 형성되되, 상기 개구공(15)이 천공되었을 때 걸림편(16)의 끝단이 윗면(3)쪽으로 향하도록 상기 걸림편(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측면(7)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결합공(11) 양쪽의 수직 변이 상기 장측면(7) 상부로 연장되어 절개된 안내선(1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11.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측면(7)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결합공(11) 아래 변이 양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측면(7) 상부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절개되어, 상부로 연장돼 절개된 안내선과 함께 절개편(17)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측면(7) 상단의 중간부위가 파여져 투시부(1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19)는 원호형으로 움푹 파이거나 또는 사다리꼴형으로 각지게 움푹 파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KR20-2003-0020864U 2003-06-30 2003-06-30 포장용 상자 KR2003329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864U KR200332934Y1 (ko) 2003-06-30 2003-06-30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864U KR200332934Y1 (ko) 2003-06-30 2003-06-30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934Y1 true KR200332934Y1 (ko) 2003-11-12

Family

ID=4934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864U KR200332934Y1 (ko) 2003-06-30 2003-06-30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9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892A (ko) * 2018-03-27 2019-10-08 최덕환 포장용 상자 덮개 및 포장용 상자 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892A (ko) * 2018-03-27 2019-10-08 최덕환 포장용 상자 덮개 및 포장용 상자 세트
KR102124777B1 (ko) 2018-03-27 2020-06-19 최덕환 포장용 상자 덮개 및 포장용 상자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5494B2 (en) Secondary package
US20060219765A1 (en) Stackable containers having deployable surfaces
RU114308U1 (ru) Товарная упаковка
KR200332934Y1 (ko) 포장용 상자
KR20160026151A (ko) 휴대겸용 포장상자
US8870009B2 (en) Containers particularly for agricultural products
JP2021522119A (ja) 出荷箱
KR20090087657A (ko) 식품 포장용기를 형성하는 포장지
US2985332A (en) Collapsible container
US10689150B2 (en) Container and method for storage and transport of supported contents
JP5763969B2 (ja) 2ピース包装箱
FR2787420A1 (fr) Emballage d'expedition avec securite supplementaire
KR200381438Y1 (ko) 식품포장용 종이상자
JP2017077321A (ja) 弁当箱
KR20200100993A (ko) 식품 포장용기 포장지
JP2005289490A (ja) 段ボール製梱包箱装置
KR101124669B1 (ko) 손잡이를 갖는 포장용 상자
KR102084740B1 (ko) 포장박스
JP3169194U (ja) 青果物包装箱の中仕切り構造
JPH0441064Y2 (ko)
KR20110121268A (ko) 덮개판이 원터치로 동시에 접혀지는 포장용 박스
JPS6330659Y2 (ko)
KR101815419B1 (ko) 귀 접이식 오픈 박스
JPS60134870A (ja) 積載可能で柔らかい頂部を有する容器
KR20110011728U (ko) 바닥면 열림 방지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