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723Y1 - 골프 용품 - Google Patents

골프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723Y1
KR200332723Y1 KR20-2003-0024422U KR20030024422U KR200332723Y1 KR 200332723 Y1 KR200332723 Y1 KR 200332723Y1 KR 20030024422 U KR20030024422 U KR 20030024422U KR 200332723 Y1 KR200332723 Y1 KR 2003327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golf
grooves
gloves
golf cl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수호
Original Assignee
백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수호 filed Critical 백수호
Priority to KR20-2003-0024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7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7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7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6Golf glo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 Gloves (AREA)

Abstract

골퍼가 골프클럽의 그립을 잡을 시 상기 그립과 골프장갑의 요철이 서로 결합되게 함과 동시에 골프장갑의 사이즈나 그립을 잡는 모양의 위치가 달라도 자동으로 그립과 골프장갑의 요철이 서로 결합되게 하고 또한 골퍼가 아무리 가볍게 그립을 잡아도 안전하게 그립을 골퍼의 손안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골프클럽의 그립 및 골프장갑의 골프용품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골프 용품{golf equipments}
본 고안은 골프 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상 일정한 악력으로 그립을 잡을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샷과 비거리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골프클럽의 그립 및 골프장갑의 골프 용품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골프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대중 스포츠의 하나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대부분의 스포츠가 그러하듯이 골프 역시 개개인의 타고난 능력과 꾸준한 노력 정도에 따라 정확성 및 숙련성의 차이를 나타내게 되지만, 쉽게는 어드레스에서 피니쉬 동작까지 지속적이고 안정된 그립 상태를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타구 방향의 정확도 및 비거리 향상 면에서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
한편, 골프 스윙에 있어서 정확한 샷과 비거리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체의 회전(꼬임 현상)과 임팩트시 콕킹을 어떻게 하느냐가 관건이다. 상체회전과 콕킹을 원활히 하려면 상체의 근육과 손목, 팔꿈치, 어깨 등의 관절에 힘을 빼고 부드럽게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상체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려면 먼저 골프클럽의 그립을 가볍게 잡아야 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아마추어들은, 즉 숙련자를 제외한 초보자, 노약자, 여성, 손가락이 짧은 사람, 악력이 약한 사람, 또는 힘 조절이 안되는 사람들은 그립을 잡는 자세가 안정되지 않아 그립을 가볍게 잡을 경우 손바닥 안에서 상기 그립이 움직이거나 피니쉬 동작시 골프클럽이 빠져나갈 것을 염려하여 자연히 그립을 꽉 잡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힘은 골퍼의 손목과 어깨까지 전달되고 그로 인해 근육이 경직되어 임팩트나 피니쉬 동작시에 뻗어져 있어야 할 팔이 움츠려지는 현상이 생겨 골프공의 윗부분을 치거나 아웃-인 스윙(out-in swing) 현상이 일어나 골프공의 방향이 틀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임팩트시 꼭 필요한 콕킹이나 어깨 회전이 부드럽지 못하여 필요한 거리만큼 골프공이 날아가지 못해 정확한 샷을 할 수가 없었다.
한편, 종래에도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모양의 요철식 그립이나 장갑이 있었으나, 이는 그립의 요철과 장갑의 요철이 맞지 않아 별다른 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골프클럽의 그립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골프장갑에는 돌기를 형성하여 항상 일정한 악력으로 그립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힘을 뺀 상태로 자연스럽게 그립을 잡을 수 있도록 하여 어드레스에서 피니쉬에 이르기까지 안정된 상태에서 부드러운 타격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클럽의 그립 및 골프장갑의 골프 용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임팩트 및 피니쉬 동작에서의 그립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클럽의 그립 및 골프장갑의 골프 용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골프장갑의 크기와 골프클럽의 그립 잡는 방법에 관계없이 골프장갑의 돌기가 상기 그립의 둘레면에 형성된 홈 부분에 자동적으로 결합이 용이하게 되도록 상기 홈의 간격을 일정하게 "0"에 가깝도록 형성한 골프 용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골프장갑의 크기와 그립 잡는 방법에 관계없이 골프장갑의 돌기가 골프클럽의 그립에 형성된 홈 부분에 결합이 되게 상기 그립에 형성된 홈의 배열을 기준으로 상기 돌기의 간격을 2~3개 또는 2개 이상의 간격으로 돌기들을 형성한 골프 용품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장갑의 형상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클럽의 그립 형상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장갑을 착용하고 그립을 잡았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골프장갑 102: 돌기
200: 골프클럽 202: 그립
204: 홈 206: 샤프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후술될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골프클럽의 그립과 골프장갑에 한정하여 적용하고 있는 기술적 수단을 제안할 것이나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 있는 바가 빠른 콕킹과 원활한 상체 회전이 필요한 모든 운동기구에, 예를 들어 하키나 테니스 또는 야구 등의 모든 스포츠 도구에 균등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고안에서는 골퍼가 골프클럽의 그립을 잡을 시 상기 그립과 골프장갑의 요철이 서로 결합되게 함과 동시에 골프장갑의 사이즈나 그립을 잡는 모양의 위치가 달라도 자동으로 그립과 골프장갑의 요철이 서로 결합되게 하고 또한 골퍼가 아무리 가볍게 그립을 잡아도 안전하게 그립을 골퍼의 손안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골프클럽의 그립 및 골프장갑의 구조를 제안한다. 이때 상기 요철의 모양은 기능에 따라 또는 전술한 스포츠 도구(하키나 테니스 또는 야구)에서 힘을 받는 방향 또는 제조 공정상 여러 모양으로 구현 가능하며, 이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장갑의 형상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골프장갑(100)에는 일정간격으로 돌기(102)들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골프클럽(200)의 그립(202)에 형성된 홈(204)보다 2~3개 정도 또는 2개 이상의 간격을 띄워 형성한다. 이는 골퍼가 그립(202)을 잡을 때 어느 방향에서 잡아도 골프장갑(100)의 돌기(102)들이 그립(202)의 홈(204)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골프클럽(2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202)이 마련된 샤프트(206)와, 상기 샤프트(206)의 하단부에 접합되고 전면쪽으로 평면상의 페이스(타구면)가 형성되어 있는 헤드(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그립(202)의 외주면에는 전술한 골프장갑(100)의 돌기(102)에 대응되는, 즉 상기 돌기(102)들이 삽입되는 홈(204)들이 매우 조밀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홈(204)들은 골프장갑(100)에 형성된 돌기(102)들이 어느 곳에 닿아도 그립(200)의 홈(20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홈(204)의 간격을 최대한 붙여 그립(202)의 둘레면에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홈(204)들의 간격을 거의 "0"에 가깝게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골퍼가 본 고안의 골프장갑(100)을 착용하고 골프클럽(200)의 그립(202)을 잡게 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102)들은 그립(202)의 홈(204)에 삽입되어진다. 이에 따라 골퍼는 아무리 가볍게 그립(202)을 잡아도 안전하게 그립(202)을 손안에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골퍼가 그립(202)을 잡는 모양의 위치가 달라도 자동으로 그립(202)을 잡을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의 이해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세가 완전하지 못한 아마추어가 골프클럽의 그립을 살짝만 잡아도 그립이 손안에서 놀지(또는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고, 또한 아무리 피니쉬를 강하게 하여도 그립이 골퍼의 손안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골퍼가 아무리 가볍게 그립을 잡아도 안전하게 그립을 손안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정확한 샷을 할 수 있고, 골퍼의 상체 회전과 임팩트시 빠른 콕킹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신체적인 제약이나 숙련도에 구애됨이 없이 항상 일정한 악력으로 골프클럽의 그립을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그립의 견실한 파지력 유지에 따른 심리적인 안정감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스러운 상태로 그리핑할 수 있고, 타구의 불안정 및 비거리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임팩트 및피니쉬 동작에서의 그립 상태를 그대로 지속시켜줄 수 있어 타구 방향성을 개선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골프장갑과;
    상기 다수의 돌기가 결합되는 다수의 홈이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골프클럽의 그립을 포함하며,
    골퍼가 상기 골프장갑을 착용하고 골프클럽의 그립을 잡을 때 상기 골프장갑의 돌기가 상기 그립의 홈 부분에 자동적으로 결합이 되도록 상기 홈의 간격을 조밀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간격을 "0"에 가깝게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상기 골프장갑의 돌기들은 상기 홈의 배열을 기준으로 2개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상기 홈의 배열을 기준으로 2~3개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골프장갑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품.
KR20-2003-0024422U 2003-07-29 2003-07-29 골프 용품 KR2003327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422U KR200332723Y1 (ko) 2003-07-29 2003-07-29 골프 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422U KR200332723Y1 (ko) 2003-07-29 2003-07-29 골프 용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723Y1 true KR200332723Y1 (ko) 2003-11-10

Family

ID=49340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422U KR200332723Y1 (ko) 2003-07-29 2003-07-29 골프 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7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8772B2 (en) Ergonomic grip sleeve for sport sticks
US5984795A (en) Training grip for a golf club
US7530898B2 (en) Mating golf glove with club grip
US4819944A (en) Golf club swing training device
US20160271467A1 (en) Texturized golf grip surfaces
EP3352864B1 (en) A golf club
US74351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nnis swing training
KR100885536B1 (ko) 미끄럼 방지 보조그립
CN112996575B (zh) 进行台球运动的设备
US20040166956A1 (en) Golf club shaft and grip and method for gripping golf club
US3263998A (en) Method of using a golf club
US6725465B2 (en) Interlocking grip glove
US11911679B2 (en) Wrist and elbow stabilizer for sports training
KR200332723Y1 (ko) 골프 용품
US20130023352A1 (en) Hand device to aid in stable grip of a golf club
KR20150102779A (ko) 손에 착용되는 라켓
KR200434359Y1 (ko) 걸이밴드가 부착된 골프장갑
US20090170621A1 (en) Golf grip training aid
US10371481B2 (en) Tactile biofeedback reference attachment
KR200407263Y1 (ko) 배드민턴 라켓의 연습용 그립
KR20210099375A (ko) 골프클럽용 그립
JP2008104819A (ja) グリップの矯正カバー
US6654959B1 (en) Glove with enhanced retention capabilities
KR102586975B1 (ko) 골프 그립 가이드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 장갑
US20060058110A1 (en) Golf equip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