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590Y1 - 유아용 침대 - Google Patents
유아용 침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32590Y1 KR200332590Y1 KR20-2003-0025790U KR20030025790U KR200332590Y1 KR 200332590 Y1 KR200332590 Y1 KR 200332590Y1 KR 20030025790 U KR20030025790 U KR 20030025790U KR 200332590 Y1 KR200332590 Y1 KR 20033259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d
- infant
- partition
- hinge
- partition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가 수면을 취하거나 안전하게 쉴 수 있게 한 상단의 침대부와 내측에 각종 유아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단의 받침부로 구분되어 상하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필요에 따라 상기 받침부와 침대부를 분리하여 별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호자가 침대생활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침대부만을 사용함으로써 침대부에 수용된 유아의 상태 파악이 용이하도록 하고, 침대부의 각 칸막이의 하단이 프레임의 상단과 경첩에 의해 절첩가능토록 결합되어 사용시 각각의 칸막이를 선택적으로 접어 사용할 수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각 칸막이를 모두 접음에 의해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어 그 사용과 보관 및 운반이 한층 편리하도록 한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아를 수용하는 침대부와 내측에 소품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도어가 구비되며 상주연부에 계합턱이 형성된 받침부를 상하 적층하되, 상기 침대부와 받침부는 저면 모서리부에 캐스터를 각각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분리하여 별도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침대부는 유아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종측 및 횡측 칸막이의 각 하단이 프레임의 상주연부와 경첩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각 칸막이에는 통풍공이 형성되며, 인접되는 각 종측칸막이와 횡측칸막이의 인접부에는 상호 고정을 위한 고정구와 고정홈이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가 수면을 취하거나 안전하게 쉴 수 있게 한 상단의 침대부와 내측에 각종 유아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단의 받침부로 구분되어 상하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필요에 따라 상기 받침부와 침대부를 분리하여 별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호자가 침대생활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침대부만을 사용함으로써 침대부에 수용된 유아의 상태 파악이 용이하도록 하고, 침대부의 각 칸막이의 하단이 프레임의 상단과 경첩에 의해 절첩가능토록 결합되어 사용시 각각의 칸막이를 선택적으로 접어 사용할 수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각 칸막이를 모두 접음에 의해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어 그 사용과 보관 및 운반이 한층 편리하도록 한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침대는 0세부터 4세 이내의 유아를 재우거나 쉬게 하는 한정된 공간으로서, 유아가 돌아다니지 못하게 하거나 통상의 성인용 침대에 유아를 수용시 침대에서 추락하는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통상 유아용 침대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유아가 잠들거나 누워 있을 수 있도록 바닥판과 매트리스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주연부 상부로 유아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칸막이가 사방에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유아를 매트리스에 눕히거나 침대 내부로부터 꺼내고자 할때 편리하도록 일측 칸막이가 경첩에 의해 외측 하부로 회동가능토록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아용 침대는 통상 그 높이가 침대생활을 하는 보호자에 맞추어져 침대 하부의 프레임의 높이가 높게 되므로 침대생활을 하지 않는 보호자의 경우에는 방바닥에 앉거나 누웠을 때의 보호자의 눈의 위치보다 유아가 누워 있는 위치가 더 높아 유아의 상태 파악이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라 유아의 보호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통상적인 유아용 침대는 유아가 자라서 더 이상 사용을 않게 되어 이를 보관해야 하거나 다른 사람에게의 기증 등을 위해 운반하여야 하는 경우 에 그 부피가 커서 보관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집안 내 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며 그 운반도 용이하지 않은 등 여러가지 불편한 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호자의 침대 사용 여부에 따라 유아용 침대를 그 높이가 높은 상태로나 또는 낮은 상태로 변경하여 사용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유아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유아의 보호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 유아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미사용시나 운반시에 그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한층 용이하도록 한 유아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의 종단면도
도 3은 침대부의 종단면도
도 4는 침대부의 칸막이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종측칸막이와 횡측칸막이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양방향경첩을 사용한 경우의 칸막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침대부 11, 21 : 캐스터 12, 12' : 종측칸막이
13, 13' : 횡측칸막이 14 : 프레임 15 : 경첩
16 : 통풍공 17 : 고정구 18 : 고정홈
19 : 양방향 경첩
20 : 받침부 22 : 수납공간 23 : 도어
24 : 계합턱
30 : 매트리스 31 : 바닥판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침대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침대부의 칸막이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종측칸막이와 횡측칸막이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양방향경첩을 사용한 경우의 칸막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아용 침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아를 수용하는 침대부(10)와 내측에 소품 수납공간(22)이 형성되고 도어(23)가 구비되며 상주연부에 계합턱(24)이 형성된 받침부(20)를 상하 적층하되, 상기 침대부(10)와 받침부(20)는 저면 모서리부에 캐스터(11,21)를 각각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분리하여 별도 사용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대부(10)는 유아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종측 및 횡측 칸막이(12,12',13,13')의 각 하단이 프레임(14)의 상주연부와 경첩(15)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각 칸막이(12,12',13,13')에는 통풍공(16)이 형성되며, 인접되는 각 종측칸막이(12,12')와 횡측칸막이(13,13')의 인접부에는 상호 고정을 위한 고정구(17)와 고정홈(18)이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9는 결합된 물체가 양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물체를결합시키는 데 사용되는 양방향 경첩이고, 30은 매트리스, 31은 바닥판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보호자가 침대 생활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받침부(20)의 상주연부에 형성된 계합턱(24)의 내측으로 상기 침대부(10) 하면 각 모서리부에 설치된 캐스터(11)를 삽입하여 침대부(10)와 받침부(20)를 상하로 적층하여 사용함으로써, 보호자가 사용하는 성인용 침대와 유아가 수용된 유아용 침대의 높이를 맞출 수 있어, 보호자가 성인용 침대위에서나 또는 서 있는 상태에서 유아를 돌보기가 용이하게 된다.
반면, 보호자가 침대 생활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단의 침대부(10)와 하단의 받침부(20)를 분리하여 별도로 사용함으로써, 보호자가 방바닥에 앉아 있거나 누워 있는 경우에도 침대부(10)에 수용된 유아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유아의 보호가 보다 원활해지게 된다. 특히, 보호자가 누워 있는 경우에는 고개를 들지 않아도 상기 각 칸막이(12,12',13,13')에 형성된 통풍공(16)을 통해 유아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유아의 원활한 보호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분리된 상기 받침부(20)는 각종 유아용품을 수납하는 수납장으로 별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그 상부에 텔레비젼과 같은 다른 가구나 비품을 올려두는 받침대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유아용 침대를 제작하여 판매시에 상기 침대부(10)만의 별도 구매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수요자의 기호에 따라 애초에 침대부(10)만을 구입하여 사용토록 함으로써 수요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상기 침대부(10)에서 프레임(14)의 상주연부에 결합되는 각칸막이(12,12',13,13')는 경첩(15)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예컨대, 유아를 침대부(10) 내에 수용시키거나 침대부(10) 내부로부터 꺼내고자 하는 경우 전방의 칸막이(13)만을 접는 것과 같이 사용시 각 칸막이(12,12',13,13')를 선택적으로 접어 사용할 수 있으며, 미사용으로 장시간 보관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 많은 손님들의 방문으로 넓은 접대공간이 필요한 경우, 또는 자동차 등을 이용하여 침대부(10)를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는 전체 칸막이(12,12',13,13')를 접어 침대부(10)의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그 보관이나 운반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접되는 각 종측칸막이(12,12')와 횡측칸막이(13,13')의 인접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고정을 위한 고정구(17)와 고정홈(18)가 각각 구비되므로, 칸막이(12,12',13,13')를 세워 사용할 경우에 칸막이(12,12',13,13')가 쉽게 넘어지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칸막이(12,12',13,13')는 침대부(10) 내측으로 접히도록 경첩(15)에 의해 결합해도 되나 상기 경첩(15)의 설치 방향을 달리하여 외측으로 접히도록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방향 경첩(19)을 이용하여 내외측 어느 쪽으로도 접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하단의 받침부와 상단의 침대부를 적층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침대 생활을 하지 않는 보호자의 경우에도 침대부에 수용된 유아의 상태 파악이 용이하도록 하여 유아의 보호에 효과적이고, 각 칸막이가 경첩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각 칸막이를 선택적으로 접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유아용 침대의 미사용시에는 전체 칸막이를 접어 침대부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과 보관 및 운반이 한층 편리한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 유아용 침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아를 수용하는 침대부(10)와 내측에 소품 수납공간(22)이 형성되고 도어(23)가 구비되며 상주연부에 계합턱(24)이 형성된 받침부(20)를 상하 적층하되, 상기 침대부(10)와 받침부(20)는 저면 모서리부에 캐스터(11,21)를 각각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분리하여 별도 사용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부(10)는 유아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종측 및 횡측 칸막이(12,12',13,13')의 각 하단이 프레임(14)의 상주연부와 경첩(15)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각 칸막이(12,12',13,13')에는 통풍공(16)이 형성되며, 인접되는 각 종측칸막이(12,12')와 횡측칸막이(13,13')의 인접부에는 상호 고정을 위한 고정구(17)와 고정홈(18)이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15)은 양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된 양방향 경첩(19)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5790U KR200332590Y1 (ko) | 2003-08-11 | 2003-08-11 | 유아용 침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5790U KR200332590Y1 (ko) | 2003-08-11 | 2003-08-11 | 유아용 침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32590Y1 true KR200332590Y1 (ko) | 2003-11-07 |
Family
ID=49340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5790U KR200332590Y1 (ko) | 2003-08-11 | 2003-08-11 | 유아용 침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32590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1909B1 (ko) * | 2009-04-24 | 2012-03-19 | 이종민 | 아기용 안전침대 |
KR101814292B1 (ko) | 2015-11-06 | 2018-01-30 | 아톰 메디칼 코포레이션 | 보육기 |
-
2003
- 2003-08-11 KR KR20-2003-0025790U patent/KR20033259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1909B1 (ko) * | 2009-04-24 | 2012-03-19 | 이종민 | 아기용 안전침대 |
KR101814292B1 (ko) | 2015-11-06 | 2018-01-30 | 아톰 메디칼 코포레이션 | 보육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88033B1 (en) | Foldable bassinet with suspended floor hinge | |
US7574758B2 (en) | Folding cabinet bed with telescoping slide-out support platform | |
US5577277A (en) | Collapsable bed side rail | |
US8566978B2 (en) | Crib set with stationary and moveable crib | |
US5067183A (en) | Convertible infant bed assembly | |
US7013506B2 (en) | Convertible bed and cabinet with reduced profile | |
US20220265056A1 (en) | Toddler Bunk Beds | |
US20140311843A1 (en) | Multifunctional case | |
US6692092B1 (en) | Transportable play center | |
EP1552774B1 (en) | Bassinet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 |
KR200332590Y1 (ko) | 유아용 침대 | |
US8844071B1 (en) | Crib transformer bed | |
KR20170004222U (ko) | 유아용 매트 | |
CN210748279U (zh) | 一种折叠式陪护床 | |
KR20150010682A (ko) | 접이식 매트리스 수납장 | |
JP2018110763A (ja) | 簡易ベッド | |
AU2018100870A4 (en) | Convertible furniture kit | |
CN217792249U (zh) | 多用途床 | |
KR200419009Y1 (ko) | 적층식 채반 | |
CA2301789C (en) | Portable, foldable pet bed | |
KR20070099082A (ko) | 침대 프레임 | |
JPH0355318Y2 (ko) | ||
EP1219209B1 (en) | Leg for stackable bed | |
CA2577377C (en) | Folding cabinet bed with telescoping slide-out support platform | |
JP2004344579A (ja) | 家庭用パーテイション家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