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368Y1 - 난수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시스템 - Google Patents

난수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368Y1
KR200331368Y1 KR20-2003-0025826U KR20030025826U KR200331368Y1 KR 200331368 Y1 KR200331368 Y1 KR 200331368Y1 KR 20030025826 U KR20030025826 U KR 20030025826U KR 200331368 Y1 KR200331368 Y1 KR 2003313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assword
authentication
random numb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동국
Original Assignee
설동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동국 filed Critical 설동국
Priority to KR20-2003-0025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3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3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3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28One-time or temporary data, i.e. information which is sent for every authentication or authorization, e.g. one-time-password, one-time-token or one-time-ke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9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random numbers or s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수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사용자의 본인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중 타인이 보고 있는 상황에서도 실제로 인증되는 패스워드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금융,인터넷 서비스 및 출입통제시스템 등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입출력장치를 구비하며, 사용자 인증을 위한 난수표 및 패스워드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터페이스; 상기 인터페이스와 연동되어 가변적인 난수표 상의 특정 위치정보를 발생시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위치에 제시된 난수 값으로 구성되어 입력된 인증용 패스워드와 기 등록방식에 의해 구성된 비교용 패스워드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처리서버; 및 상기 인증처리서버와 연동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인증처리서버에 의해 데이터 처리되어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시스템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난수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시스템{The user authenticating system using table of random numbers}
본 고안은 난수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본인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중 타인이 보고 있는 상황에서도 실제로 인증되는 패스워드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금융,인터넷 서비스 및 출입통제시스템 등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과 더불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많은 업체들이 생겨나고 있으며, 기존의 오프라인에서의 서비스 제공업체들도 온라인 서비스를 병행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때, 서비스 제공자(은행,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등)들은 사용자가 본인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에서의 일반적인 사용자 인증 방법은 사용자가 기 등록한 고정된 패스워드와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본인 여부를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몇 자리의 숫자나 문자를 사용하게 되는 이러한 고정된 패스워드는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은행 현금카드, 신용카드를 비롯한 패스워드 입력 방식의 출입통제 장치 등에서 타인이 볼 수도 있는 상황에서는 패스워드가 타인에게 노출될 우려가 있다.
둘째, 사용자는 수많은 서비스 업체마다 패스워드를 모두 다르게 할 경우, 암기하기가 어려워 어딘가에 기록해 둠으로 인해서 패스워드가 노출되거나, 아니면 자신이 이용하는 많은 서비스 업체에 동일한 패스워드를 사용하게 되면 어느 한 곳만 노출되더라도 다른 곳도 동시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수 많은 업체에서 오랫동안 고정된 패스워드를 사용한 사용자 인증 방식을 채택하면서 패스워드 해독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트로이 목마 등의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이용한 해킹으로 인하여 패스워드가 노출될 수도 있으며, 또한 보안을 위해 패스워드를 수시로 변경하도록 권장되고 있지만 변경된 패스워드를 잊어버리거나 어딘가에 기록해 둠으로 인해서 패스워드가 노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으로 지문인식, 홍체인식, 음성인식, 혈관인식 등이 있으나, 서비스 제공자나 사용자는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보안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방대한 데이터의 저장과 처리가 필요하며, 처리하는 데이터 량을 줄일 경우 보안 수준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시스템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보안수준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해결책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1) 기존의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소프트웨어 변경만으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2) 타인이 보고 있는 상황에서도 실제의 패스워드를 노출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자 인증을 실행할 수 있으며; 3) 사용자가 본인일 경우 쉽게 사용할 수 있으나, 해킹, 훔쳐보기 등의 방법으로는 쉽게 패스워드를 알아낼 수 없도록 하는 보안수준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사용자 인증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써 본 고안은
입출력장치를 구비하며, 사용자 인증을 위한 난수표 및 패스워드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터페이스;
상기 인터페이스와 연동되어 가변적인 난수표 상의 특정 위치정보를 발생시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위치에 제시된 난수 값으로 구성되어 입력된 인증용 패스워드와 기 등록방식에 의해 구성된 비교용 패스워드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처리서버; 및
상기 인증처리서버와 연동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인증처리서버에 의해 데이터 처리되어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자 인증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자 인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라 난수표를 이용한 사용자의 패스워드 등록 및 사용상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입출력장치(10a)(10b)를 구비하며 사용자 인증을 위한 난수표 및 패스워드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10)과; 상기 사용자 단말(10)과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터페이스(20); 상기 인터페이스(20)와 연동되어 가변적인 난수표 상의 특정 위치정보를 발생시켜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특정 위치에 제시된 난수 값으로 구성되어 입력된 인증용 패스워드와 기 등록방식에 의해 구성된 비교용 패스워드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처리서버(30) 및; 상기 인증처리서버(30)와 연동되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인증처리서버(30)의 처리에 의해 부호화 및 복호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0)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본 고안에서의 인증용 패스워드는 사용자가 구성하여 전송하는 패스워드를 의미하며, 비교용 패스워드는 사용자의 기 등록방식에 의해 인증처리서버(30)에서 구성한 패스워드를 의미한다.
상기 인증처리서버(30)는 가입자들로부터 사용자 ID, 위치정보를 이용한 패스워드 등의 사용자 정보를 등록 받아 데이터베이스(40)에 부호화하여 저장하며,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필요한 경우에는 본인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을 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난수표와 패스워드를 처리하여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는 인증처리서버(30)와,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40)를 구비하며, 또한 인증처리서버(30)에서 사용자 단말(10)로 난수표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패스워드를 전송 받는 인증처리서버(30)가 사용자 단말(10)에게 난수가 발생된 난수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의 출력장치(10b)와 사용자 단말(10)의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은 입력장치(10a)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증시 입력하여 사용하는 패스워드는 고정된 값을 사용하지 않고, 가변적인 난수표 상의 특정 위치 정보를 이용하며, 상기 패스워드의 구성은 숫자 및 문자, 기호 등을 사용한다.
또한, 보안을 좀 더 강화하기 위한 패스워드 구성은 난수표상의 기 등록된 위치에 제시된 난수 값에 숫자의 경우 임의의 수로 사칙연산을 하거나, 문자의 경우 몇 번째 이전의 문자나 다음의 문자를 사용하여 임의의 변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난수표에 의한 사용자 인증은 패스워드 입력절차를 1회 이상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2회부터는 1회와 또 다른 방식으로 패스워드를 구성하여 사용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서는 상기 인증처리서버(30)는 사용자 ID와 난수표상의 특정 위치를 이용하여 구성한 패스워드를 등록받아 데이터 베이스(40)에 암호화하여 저장한다.
그 상태에서 서비스 제공 중에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경우, 상기 난수표의 각 위치에 난수를 발생시켜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10)에서는 인증처리서버(30)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의 난수표에서 기 등록 방식에 의해 특정 위치에 제시된 값을 이용하여 구성한 인증용 패스워드를 인증처리서버(30)로 전송한다.
상기 인증처리서버(30)에서는 데이터 베이스(40)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복호화하여 사용자가 기 등록한 방법대로 구성한 비교용 패스워드와 사용자로부터 전송 받은 인증용 패스워드를 서로 비교함으로서 최종적인 사용자 인증을 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자 인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증처리서버(30)에서 사용자 인증하는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인증처리서버(30)에서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 ID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한 패스워드를 전송 받으며(S101),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데이터를 부호화(암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DB)(40)에 저장한다(S102).
그 상태에서 사용자 인증이 요구되는 경우(S103), 인증처리서버(30)에서는 난수표의 각 위치에 해당하는 가변적인 난수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난수에 의해 구성된 난수표를 인터페이스(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한다(S104).
그 후, 인증처리서버(30)에서는 데이터 베이스(40)를 통해 해당 사용자 정보를 복호화하여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기 등록방식에 의해 난수표의 특정 위치에 있는 난수 값들을 이용하여 비교용 패스워드를 구성한다(S105).
그리고나서, 상기 사용자 단말(10)에서는 인증처리서버(30)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난수표의 특정 위치에 있는 난수 값들을 이용하여 기 등록 방식으로 구성된 인증용 패스워드를 인증처리서버(30)로 전송하며(S106), 상기 인증처리서버(30)에서는 상기 비교용 패스워드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전송된 인증용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게 된다(S107).
상기 인증처리 결과,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인증용 패스워드와 인증처리서버(30)에서 구성한 비교용 패스워드가 일치하면 사용자 인증과정을 종료하고(S108),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인증용 패스워드가 인증처리서버(30)에서 구성한 비교용 패스워드와 정해진 값 만큼의 차이가 있는 경우(S109) 그에 해당하는 조치를 취하게 된다(S110).
이 때, 상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인증용 패스워드가 인증처리서버(30)에서 구성한 비교용 패스워드와 정해진 값 이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증은 실패로 간주하여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다시 패스워드를 입력받게 된다(S111).
그 후, 상기 사용자 인증의 실패횟수가 정해진 회수 이상일 경우(S112) 일정시간 경과 후 다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게 된다(S113).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난수표에 난수가 발생된 일 예로서 이를 이용한 몇 가지 패스워드의 등록 및 사용의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10)에서 패스워드로 도 3A와 같이 1a, 2c, 3c, 3d를 등록하면, 사용자 인증 시 인증처리서버(30)로부터 전송받은 난수표가 도 3B 라면 입력하는 패스워드는 3, 5, 2, 1이 된다. 그리고, 패스워드로 고정된 값을 일부 포함하여 3, 7, 3c, 4c, 4d를 등록하게 되면, 입력하는 패스워드는 3, 7, 2, 4, 7이 된다.
이 때, 보안을 좀 더 강화하기 위해서는 결과 값이 9보다 크면 끝자리의 수(예컨대, 10 -> ‘0 ’, 13 -> ‘3 ’)를 적용하고, 결과값이 0보다 작으면 절대값을 적용한다.
또한, 패스워드로 가감승제와 논리함수를 적용하여
첫째자리 : 4d/2의 나머지,
둘째자리 : 1a ≥4a이면 '1b'을 1a<4a이면 '1d - 1',
셋째자리 : 1a ≥5 이면 '1b + 3'을 1a<5이면 '1b',
넷째자리 : 1d + 4d를 등록하면,
입력하는 패스워드는 1, 7, 7, 5 가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사용자 인증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 인증시 난수표를 사용함으로서 미리 지정된 일부의 위치에 있는 값을 이용하여 패스워드로 사용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입력한 값들은 난수표의 여러 위치에 있으므로 타인이 보고 있더라도 어느 위치의 값인지 알 수 없으며,사용자 인증 때마다 인증처리서버는 난수표의 각 위치에 새로운 난수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전송하므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패스워드는 매번 달라지게 된다.
둘째, 기존의 서비스 시스템에서 본 고안의 시스템으로 변경하였을 때 일부 사용자가 기존의 고정된 패스워드를 사용하더라도 타인이 볼 때는 난수표의 이용 여부를 알 수 없으므로 기존의 고정된 패스워드 사용자까지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의 실시예와 같이 난수표의 값들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난수표상의 값을 사칙연산 하거나 논리 함수를 이용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패스워드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난이도를 조정하여 등록 사용할 수 있어 부정 사용자의 위치 추측 입력이나 해킹 등에 대해서도 보안성이 한층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들은 제한적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로 하여 예시적인 실시 예를 다양하게 부가 또는 한정하거나 다르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따라서, 아래에 기술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이러한 변경과 실시 예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실제 사용에서 난수표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입력장치가 허용하는 범위에서는 문자, 기호 등도 복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입출력장치를 구비하며, 사용자 인증을 위한 난수표 및 패스워드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터페이스;
    상기 인터페이스와 연동되어 가변적인 난수표 상의 특정 위치정보를 발생시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위치에 제시된 난수 값으로 구성되어 입력된 인증용 패스워드와 기 등록방식에 의해 구성된 비교용 패스워드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처리서버; 및
    상기 인증처리서버와 연동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인증처리서버에 의해 데이터 처리되어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인증처리서버에 의해 부호화 및 복호화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스워드의 구성은 숫자 및 문자, 기호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패스워드 구성은 난수표상의 기등록된 위치에 제시된 난수값에 숫자가 적용되는 경우 임의의 수로 사칙연산을 하거나, 문자가 적용되는 경우 몇 번째 이전의 문자나 다음의 문자를 사용하여 임의의 변형을 통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난수표에 의한 사용자 인증은 패스워드 입력절차를 1회 이상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2회부터는 1회와 또 다른 방식으로 패스워드를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시스템.
KR20-2003-0025826U 2003-08-11 2003-08-11 난수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시스템 KR2003313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826U KR200331368Y1 (ko) 2003-08-11 2003-08-11 난수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826U KR200331368Y1 (ko) 2003-08-11 2003-08-11 난수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312 Division 2003-08-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368Y1 true KR200331368Y1 (ko) 2003-10-30

Family

ID=4941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826U KR200331368Y1 (ko) 2003-08-11 2003-08-11 난수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3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869B1 (ko) 2012-12-03 2015-01-1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인증패턴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869B1 (ko) 2012-12-03 2015-01-1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인증패턴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9019B2 (en) Establishing a secure channel with a human user
US20210271745A1 (en) Authentication Methods and Systems
KR100317459B1 (ko) 통신네트워크시스템을전자적으로이용하여사용자서비스를제공하는방법및사용자서비스요청장치
EP1946514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secure transactions
RU2445689C2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ограничения доступа к программному обеспечению
JP5135509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の安全な動作方法
KR102341018B1 (ko) 범용 온라인 서비스의 보안 인증, 승인, 및 로그인을 위한 오티피 디바이스
TW201544983A (zh) 資料通訊方法和系統及客戶端和伺服器
KR20050053967A (ko) 시간 동기 기반 일회용 비밀번호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인증방법
EA010659B1 (ru) Способ и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для защиты информации сети
KR101537564B1 (ko) 생체인식 중계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021102A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henticating persons
KR200331368Y1 (ko) 난수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시스템
KR100326140B1 (ko) 개인키/공개키 기반의 전자 서명 장치
KR20050070381A (ko) 원타임 패스워드 기반 인증 시스템
KR101891733B1 (ko)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EP41878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authentication
JP3243831U (ja) 電信認証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70008331A (ko) 보안 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20050001293A (ko) 비밀번호와 보안카드를 이용한 변동비밀번호 1회 입력사용자 인증 방법
KR20060024062A (ko) 도청된 정보의 재사용을 막는 사용자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4

Year of fee payment: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