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762Y1 - Dielectric resonator cavity filter for spurious mode suppression - Google Patents

Dielectric resonator cavity filter for spurious mode suppre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762Y1
KR200330762Y1 KR20-2003-0017014U KR20030017014U KR200330762Y1 KR 200330762 Y1 KR200330762 Y1 KR 200330762Y1 KR 20030017014 U KR20030017014 U KR 20030017014U KR 200330762 Y1 KR200330762 Y1 KR 200330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dielectric
dielectric resonator
cavity fil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01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태원
이석우
김진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3-0017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76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762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2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suppressing or attenuating harmonic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Abstract

본 고안은 불효파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에 관한 것으로,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에서 유전체 공진기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내부가 비어있고 아랫면은 막혀있고 윗면은 뚫려 있으며 아랫면의 중심에는 상기 서포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홀이 위치하는 개방형 구조이며, 상기 서포터의 외측면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외측면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서포터의 내측면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중심부로부터 최대한 멀리 떨어져서 위치하는 불효파 특성 개선을 위한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electric cavity filter for improving the non-wave characteristics, the supporter for supporting the dielectric resonator in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the supporter is empty inside, the bottom is blocked and the top is drill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An open structure in which a fixing hole for fixing the supporter is located, and an outer side of the supporter is located inside the outer sid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an inner side of the supporter is located as far away from the center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s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electric cavity filter for improving characteristics.

Description

불효파 특성 개선을 위한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DIELECTRIC RESONATOR CAVITY FILTER FOR SPURIOUS MODE SUPPRESSION}DIELECTRIC RESONATOR CAVITY FILTER FOR SPURIOUS MODE SUPPRESSION}

본 고안은 불효파 특성 개선을 위한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포터의 내측면이 유전체의 공진기의 중심부와 최대한 멀게 형성함으로써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의 불효파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electric cavity filter for improving the ineffective characteristics, and more particularly, a dielectric cavity filter capable of improving the ine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by forming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er as far as possible from the center of the dielectric resonator.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캐비티(cavity)란 초고주파를 공진하기 위해 필요한 일종의 회로통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코일과 콘덴서에 의한 공진 회로는 복사 손실이 커서 초고주파를 만들어 내는데 적합치 않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체로 둘러싸인 금속성 원통 또는 직육면체 형태의 캐비티 여파기(cavity filter)를 만들어주면 그 내부에는 고유 주파수의 전자기장만이 존재하게 되므로 초고주파수의 공진이 가능하게 된다.Generally, a cavity refers to a kind of circuit box required for resonating ultra high frequencies. In general, a resonant circuit formed by a coil and a capacitor has a large radiation loss, which is not suitable for producing ultra high frequencies.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f a cavity surrounded by a metallic cylindrical or cuboid shape surrounded by a conductor is formed, only an intrinsic electromagnetic field is present, thereby enabling ultra high frequency resonance.

이러한 캐비티 여파기는 삽입 손실이 작고 고출력에 유리하기 때문에 주로 이동 통신 기지국의 중계기, 방송용 중계기, 위성 통신 시스템 등 거의 모든 송수신 통신 장비에 사용되며, 듀플렉서(duplexer), 대역 통과 여파기(Bandpass Filter)에도 사용된다.Such cavity filter is mainly used for almost all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unication equipment such as repeater of base station, broadcasting repeater,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because of small insertion loss and high output, and it is also used for duplexer and bandpass filter. do.

한편,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는 고품질 유전체 공진기(Dielectric Resonator, DR)를 금속 캐비티 내에 실장(packaging or housing)하여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유전체 여파기는 도체 공진기를 사용한 여파기보다 우수한 손실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has a structure formed by mounting a high quality dielectric resonator (DR) in a metal cavity (packaging or housing), and thus the dielectric filter has an advantage of obtaining better loss characteristics than the filter using a conductor resonator. There is this.

그러나, 실제적으로 유전체 공진기를 금속 캐비티 중심 부분에 단독으로 고정시킬 수 없기 때문에 유전체 공진기를 지지하는 서포터(supporter)의 사용이 불가피하게 된다.However, in practice, the use of a supporter for supporting the dielectric resonator is inevitable because the dielectric resonator cannot be fixed alone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metal cavity.

이러한 서포터로 사용되는 재료의 요구 조건으로는 크게 3가지가 있다. 첫째로 유전체 공진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유전율을 가져야 하며, 둘째로 유전체 손실이 작하야 하고, 마지막으로 열전도 특성이 우수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의 3가지 요구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제적인 서포터를 제작하기는 매우 어려우며, 현재 서포터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재료은 알루미나 계열의 세라믹(Al2O3)이다. 이러한 세라믹 재질의 서포터는 다른 재료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손실이며, 열전도 특성도 비교적 우수하다.There are three major requirements for the material used as such a supporter. First, the dielectric constant should be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dielectric resonator. Second, the dielectric loss should be small. Finally, the thermal conductivity should be excellent.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manufacture an economical supporter that satisfies all three requirements, and the most commonly used material as a supporter is alumina-based ceramics (Al 2 O 3 ). The ceramic supporter is relatively low loss compared to other materials, and also has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그러나, 서포터를 사용하게 되면 많은 기생 공진 모드로 인한 불효파가 저지대역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서포터로 사용되는 세라믹은 높은 유전율로 인해서 통과 대역의 근접 부분에 불효파를 발생시키며, 이는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 성능을 저하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실제로 유전율이 세라믹보다 낮은 서포터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재료는 손실이 크고 온도에 따라 여파기의 특성 변화가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supporter is used, an ineffective wave due to many parasitic resonance modes has a problem of deteriorating stopband characteristics. That is, the ceramic used as the supporter generates an ineffective wave in the vicinity of the pass band due to the high dielectric constant, which is a fundamental cause of degrading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performan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practice, a supporter having a lower dielectric constant than a ceramic may be used, but such a material has a problem in that the loss is lar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change more severely with temperature.

도 1a 는 종래의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에서 유전체 공진기 구조에 대한 단면도로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내부가 뚫려있는 개방형 원통 구조를 이루며 "111", "112"는 각각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외경과 내경을 나타낸다.FIG. 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electric resonator structure in a conventional dielectric cavity filter, in which the dielectric resonator forms an open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an inside is drilled, and "111" and "112" respectively represent an outer diameter and an inner diameter of the dielectric resonator.

도 1b 는 종래의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 구조에 대한 정면도이다. 종래의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의 구조에서 서포터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와 같이 개방형 원통 구조이지만, 아랫면은 막혀있고 아랫면의 중심에는 상기 서포터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용 홀(124)이 존재하는 구조를 갖는다.1B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dielectric cavity filter structure. In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dielectric cavity filter, the supporter is an open cylindrical structure like the dielectric resonator, but the lower surface is blocked and the fixing hole 124 for supporting the supporter is present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한편, 종래의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는 전체적으로 상기 서포터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중심부분에 위치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서포터의 외측면(122)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외측면(121)에 비해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안쪽으로 위치하며, 유전체 공진기 및 서포터의 내측면(123)이 일치되어 있는 구조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dielectric cavity filter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er is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s a whole. That is, the outer surface 122 of the supporter is positioned inward of the dielectric resonator relative to the outer surface 121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the inner surface 123 of the supporter are coincident with each other.

도 1c 는 종래의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에서 서포터 구조에 대한 단면도로서, "131", "132", "133"은 각각 상기 서포터의 외경 및 내경, 그리고 상기 서포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홀의 회경을 나타낸다.FIG. 1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er structure in a conventional dielectric cavity filter, in which “131”, “132”, and “133” respectively represent an outer diameter and an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er, and a diameter of a fixing hole for fixing the support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유전체 공진기의 중심 부분의 전계가 집중되는 부분에 서포트가 위치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의불효파의 주 원인인 기생공진 모드(TM01δ)가 발생하여 예기치 못한 주파수 선택 특성이 나타나게 되며, 이에 따라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in the above structure, since the support is located at the portion where the electric field is concentrat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s shown in FIG. 2, the parasitic resonance mode TM 01δ , which is the main cause of the invalid waves of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is generated. As a result, an unexpected frequency selection characteristic appears,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degrading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performance.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유전체 공진기의 중심부와 서포터 내측면의 최대한 멀리 떨어지게 구성함으로써,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의 불효파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electric cavity filter which can improve the non-wave characteristics of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by configuring the dielectric resonator as far as possible from the inner sid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

도 1a 는 종래의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에서 유전체 공진기 구조에 대한 단면도.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electric resonator structure in a conventional dielectric cavity filter.

도 1b 는 종래의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 구조에 대한 정면도.1B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dielectric cavity filter structure.

도 1c 는 종래의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에서 서포터 구조에 대한 단면도.1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er structure in a conventional dielectric cavity filter.

도 2 는 종래의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용 서포터 구조에 대한 TM01δ공진 모드에 대한 전계 및 자계를 나타내는 도면.FIG. 2 is a diagram showing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for the TM 01 δ resonance mode for the supporter structure for a conventional dielectric cavity filter . FIG.

도 3a 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에서 유전체 공진기 구조에 대한 단면도.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electric resonator structure in a dielectric cavity filt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b 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 구조에 대한 정면도.Figure 3b is a front view of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c 는 본 고안에 따른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의 서포터 구조에 대한 단면도.Figure 3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er structure of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되는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에서 유전체 공진기 구조에 대한 단면도.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electric resonator structure in a dielectric cavity filter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b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되는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 구조에 대한 정면도.4B is a front view of a dielectric cavity filter structure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c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의 서포터 구조에 대한 단면도.Figure 4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er structure of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의 서포터 구조에 대한 해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5 is a graph show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upporter structure of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1, 311, 411 : 유전체 공진기의 외경111, 311, 411: Outer Diameter of Dielectric Resonator

112, 312, 412 : 유전체 공진기의 내경112, 312, 412: inner diameter of dielectric resonator

121, 321, 421 : 유전체 공진기의 외측면121, 321, and 421: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122, 322, 422 : 서포터의 외측면122, 322, 422: outer surface of the supporter

123 : 유전체 공진기 및 서포터의 내측면123: inner surfac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supporter

323, 423 : 유전체 공진기의 내측면323, 423: inner side of dielectric resonator

324, 424 : 서포터의 내측면324, 424: inner side of the supporter

124, 325, 425: 서포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의 외측면124, 325, 425: outer side of the fixing part for fixing the supporter

131, 331 : 서포터의 외경131, 331: outer diameter of supporter

132, 332, 433 : 서포터의 내경132, 332, 433: inner diameter of supporter

133, 333, 434 : 서포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홀의 외경133, 333, 434: outer diameter of the fixing hole for fixing the supporter

431 : 서포터의 제 1 내경431: first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er

432 : 서포터의 제 2 외경432: second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조는 불요파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내부가 비어있고 아랫면은 막혀있고 윗면은 뚫려 있으며 아랫면의 중심에는 상기 서포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홀이 위치하는 개방형 구조이며, 상기 서포터의 외측면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외측면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서포터의 내측면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중심부와 최대한 멀리 떨어져서 위치하는 구조를 이룬다.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ielectric cavity filter for improving the undesired characteristics, the supporter is empty inside, the bottom is blocked, the top is drill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fixing for fixing the supporter The dragon hole is an open type structure,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er is located inwar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er forms a structure located as far away from the center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s possible.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a 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에서 유전체 공진기 구조에 대한 단면도로서, 유전체 공진기는 내부가 뚫려있는 개방형 원통 구조를 이루며 "311", "312"는 각각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외경과 내경을 나타낸다.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electric resonator structure in a dielectric cavity filt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the dielectric resonator forms an open cylindrical structure with an inner hole, and "311" and "312" respectively represent an outer diameter and an inner diameter of the dielectric resonator. .

도 3b 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 구조에 대한 정면도로서, "321", "323"은 각각 원통 모양을 갖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나타내며, 상기 유전체 공진기를 지지하는 서포터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와 동일한 개방형 원통 구조를 가지나 아랫면은 막혀있고 상기 아랫면의 중심부분에는 상기 서포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홀이 위치하고 있다. 도 3b 에서 "322", "324"는 각각 서포터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나타내며, 상기 서포터의 외측면은 상기 서포터가 상기 유전체 공진기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외측면보다 더 안쪽으로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1b 에 도시된 종래의 서포터(supporter) 구조와는 달리 서포터의 내측면(324)이 유전체 공진기의 내측면(312)과 일치하지 아니하며, 유전체 공진기의 중심부와 최대한 멀리 떨어지게 위치시킴으로써, 서포터가 유전체 공진기의 중심부분에 발생되는 전계가 강한 부분에 유전체인 서포터가 위치하지 않고 최대한 거리가 떨어지도록 그 구조가 이루어진다.3B is a front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herein "321" and "323" represent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dielectric resonator having a cylindrical shape, respectively, and a supporter for supporting the dielectric resonator is It has the same open cylindrical structure as the dielectric resonator, but the bottom surface is blocked and a fixing hole for fixing the supporter is locat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In FIG. 3B, "322" and "324" respectively represent an outer side and an inner side of the supporter, and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er is located inward of the outer sid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so that the supporter supports the dielectric resonator. . 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supporter structure shown in FIG. 1B, the inner surface 324 of the supporter does not coincide with the inner surface 312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is positioned as far away from the center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s possible. The structure is such that the supporter, which is a dielectric, is located in the strongest electric field generat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the distance is as far as possible.

도 3c 는 본 고안에 따른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의 서포터 구조에 대한 단면도로서, "331", "332", "333"은 각각 상기 서포터의 외경, 내경 및 서포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홀의 외경을 나타낸다.Figure 3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er structure of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31", "332", "333" represents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er, the inner diameter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fixing hole for fixing the supporter, respectively.

도 4a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되는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에서 유전체 공진기 구조에 대한 단면도로서, 상기 도 3b 의 구조와 동일하다.FIG. 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electric resonator structure in a dielectric cavity filter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FIG. 3B.

도 4b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되는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 구조에 대한 정면도로서, 도 3b 의 구조와는 달리 서포터의 외측면의 일부분이 상기 유전체 공진기와의 접촉면과 평행하게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외측면까지 연장되어 있는 "??"자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서포터와 유전체 공진기와의 접촉면이 더 넓어져서 도 3b 의 구조에서보다 상기 서포터가 상기 유전체 공진기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FIG. 4B is a front view of a structure of a dielectric cavity filter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unlike the structure of FIG. 3B,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er extends to an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in parallel with a contact surfac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It has an extended "??" structure. In such a structure,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upporter and the dielectric resonator is wider so that the supporter can more firmly support the dielectric resonator than in the structure of FIG. 3B.

도 4c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의 서포터 구조에 대한 단면도로서, 상기 서포터가 연장된 길이만큼 상기 서포터의 제 1 외경(431)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FIG. 4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er structure of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outer diameter 431 of the supporter appears as long as the supporter extends.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는 경우에는, 유전체 공진기의 중심부분과 서포터가 맞닿지 않고 상기 서포터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길게 구성함으로써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의 불효파 특성의 주 원인인 기생공진모드(TM01δ)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전계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주파수 선택영역에 따른 특성이 향상되고, 불효파에 의한 여파기 특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의 내부면 사이의 거리를 최대로 멀리 구성함으로써 서포트 내부 공간이 커짐으로 종래의 구조에 비해 열 특성도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parasitic resonance mode (TM 01δ) , which is the main cause of the non-wave characteristics of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is configured by mak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rtion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the supporter long without touching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er. ) Can be minimized, and the influence of the electric field can be minimized, so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frequency selection region can be improved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filter characteristics due to the ineffective wave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to the maximum distance, the internal space of the support is increased, the thermal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용 서포터 구조에 대한 해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 에서, 점선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의 경우를 나타내고, 굵은실선은 본 고안에 따른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의 경우를 나타내며, 실선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의 경우를 나타낸다.5 is a graph showing an analysis result of the supporter structure for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the dotted line represents the case of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thick solid line represents the case of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olid line represents the case of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서포터 구조의 기생 모드에 비해 본 고안에 따른 서포터 구조의 기생 모드는 주 공진 모드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불효파 특성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compared to the parasitic mode of the conventional supporter structure, the parasitic mode of the support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rmed that the non-wave characteristic is improved far from the main resonance mode.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유전체 공진기의 중심부로 부터 서포터의 내측면을 최대한 멀게 구성함으로써,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의 불효파 특성 개선할 수 있고,주파수 선택영역의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er as far as possible from the center of the dielectric resonato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non-wave characteristics of the dielectric cavity filter and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selection region.

또한 서포터의 내부면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서포터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이 커짐으로 종래의 구조에 비해 열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supporter is configured to be the maximum, thereby increasing the space formed inside the supporter, thereby improving thermal characteristics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ructure.

Claims (2)

유전체 공진기와 서포터로 구성되는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에 있어서,In a dielectric cavity filter composed of a dielectric resonator and a supporter, 상기 서포터는 내부가 비어있고, 윗면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와 접촉해 있으며, 아랫면은 막혀있고, 상기 아랫면의 중심에는 상기 서포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홀로 구성되어 있으며,The supporter is empty inside, the upp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dielectric resonator, the lower surface is blocked,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is composed of a fixing hole for fixing the supporter, 상기 서포터의 내측면 사이의 직경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외측면의 직경과 일치하도록 최대한 크게 하여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중심부와 최대로 멀게 구성하는 것The diameter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er is to be as large as possible to match the diame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so as to be configured as far away from the center of the dielectric resonator 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Dielectric cavity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포터는,The supporter, 그 외측면의 일부의 직경이 상기 유전체 공진기 외측면의 직경과 동일한 것The diameter of a portion of the outer side being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outer sid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캐비티 여파기.Dielectric cavity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KR20-2003-0017014U 2003-05-30 2003-05-30 Dielectric resonator cavity filter for spurious mode suppression KR20033076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014U KR200330762Y1 (en) 2003-05-30 2003-05-30 Dielectric resonator cavity filter for spurious mode suppre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014U KR200330762Y1 (en) 2003-05-30 2003-05-30 Dielectric resonator cavity filter for spurious mode suppres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762Y1 true KR200330762Y1 (en) 2003-10-22

Family

ID=4933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014U KR200330762Y1 (en) 2003-05-30 2003-05-30 Dielectric resonator cavity filter for spurious mode suppre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762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61338B1 (en) Bandpass filter with dielectric resonators
EP0877434B1 (en) Dielectric resonator
US6686815B1 (en) Microwave filter
US7663454B2 (en) Discrete dielectric material cavity resonator and filter having isolated metal contacts
US9979070B2 (en) Resonator, filter, duplexer, multiplexer, and communications device
JP5320207B2 (en) Semi-coaxial resonator and filter device
EP0764996B1 (en) Dielectric resonator capable of varying resonant frequency
US6529094B1 (en) Dielectric resonance device, dielectric filter, composite dielectric filter device,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10073661A (en) Dielectric filter having notch pattern
KR200330762Y1 (en) Dielectric resonator cavity filter for spurious mode suppression
KR20050036522A (en) Resonator notch filter
CN107112616B (en) Dielectric filter
JP2004520693A (en) Magnetron
KR101897625B1 (en) (BPF(BandPass Filter) using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and NRN(Non-resonating node) Stub
US6225879B1 (en) Unperturbed ring resonator with an odd overtone vibration mode
KR101010917B1 (en) Mono block dielectric filter with improved attenuation and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using it
JP2001060810A (en) Dielectric filter
JP2004349981A (en) Resonator device, filter, compound filter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4301958B2 (en) Magnetron
CN115483522A (en) Metal resonator
KR20230136282A (en) Baand rejection filt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 quality improvement
JPH05110310A (en) Microwave circuit
JP2002043805A (en) Band-pass filter
JP2003273605A (en) Waveguide type filter
JP5409323B2 (en) Dielectric resonator and high frequency filter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