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209Y1 -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착,탈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209Y1
KR200330209Y1 KR20-2003-0022430U KR20030022430U KR200330209Y1 KR 200330209 Y1 KR200330209 Y1 KR 200330209Y1 KR 20030022430 U KR20030022430 U KR 20030022430U KR 200330209 Y1 KR200330209 Y1 KR 2003302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locker
insertion groove
portable termina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2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2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2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2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1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single handed use or left/right hand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착,탈장치는 배터리 록커의 일측에 탈거막대를 연동되게 설치하고, 그 탈거막대의 장공에 일단부가 삽입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케이스이 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막대지지판으로 구성되는 배터리 탈거수단을 구비하여,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해 배터리 록커를 상측으로 밀면 배터리의 잠김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탈거막대에 의해 일정높이로 배터리가 들어올려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배터리의 해체시 들어올려진 배터리를 편리하게 파지하고 해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착,탈장치{BATTERY DISJOINT APPARATUS OF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의 해체시에 배터리의 상단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배터리를 용이하게 파지하고 해체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년동안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여, 대부분의 사람이 보유할 정도로 보편화된 전자제품 중의 하나가 되었다.
또한, 단말기의 기능도 최근 몇 년 동안 급격히 발전을 거듭하여 인터넷, 이메일 송수신, 화상송수신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형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1)의 하단부에는 버튼 형성부를 보호하기 위한 폴더(2)가 힌지결합에 의하여 복개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그 본체(1)의 상단부에는 글자나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가 설치되어 있고, 그 디스플레이부(3)의 일측에는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4)가 신장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본체(1)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키 패드(5)들이 설치되어 있는 패드부(6)가 설치되어 있고, 그 패드부(6)의 하측 내부에는 마이크(7)가 설치되어 있으며 폴더(2)에는 스피커(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의 후면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방전용 배터리(9)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 2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 배터리가 해체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9)의 상단부에는 삽입홈(9a)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양측에는 걸림돌기(9b)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9)가 결합되는 본체(1)의 후면에는 배터리(9)에 형성된 걸림돌기(9b)가 결합되는 걸림홈부(1a)가 하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하여 탄지되며 배터리(9)에 형성된 삽입홈(9a)에 탄력적으로 삽탈되는 배터리 록커(1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거나, 포켓에 넣은 상태로 이동을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목걸이 줄을 이용하여 목에 걸은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전화를 걸때는 폴더(2)를 열고 패드부(6)에 설치된 키 패드(5)들을 눌러서 전화를 걸고, 그 밖에 인터넷 및 게임을 하는 경우에도 키 패드(5)들을 눌러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의 사용중에 배터리(9)가 소진되면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충전기에 휴대용 단말기(10)를 장착하고, 일정시간 경과되도록 하여 전기에 의한 단말기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또한, 별도의 충전된 배터리(9)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한손으로 단말기 본체(1)를 잡고 소진된 배터리(9)를 해체한 다음 충전된 배터리(9)를 장착하게 되는데, 이때는 배터리(9)의 걸림돌기(9b)를 본체(1)의 걸림홈부(1a)에 삽입한 상태에서 배터리(9)를 본체(1)의 후면에 밀착시키면 배터리(9)의 삽입홈(9a)에 배터리 록커(1b)가 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삽입되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는 배터리(9)를 해체할때에 배터리 록커(1b)를 밀어 올린 상태에서 배터리(9)를 해체하여야 하는데, 배터리(9)의 상면과 본체(1)의 후면이 동일면상에 위치하므로 배터리(9)의 파지가 어렵고, 그에따라 해체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배터리의 해체시 배터리가 본체의 후면 보다 돌출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파지하고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착,탈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서 배터리가 해체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터리착,탈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탈거수단의 구조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탈거수단의 동작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본체 105 : 배터리
106 : 걸림홈부 108 : 걸림돌기
109 : 삽입홈 110 : 배터리 록커
111 : 배터리 탈거수단 121 : 탈거막대
121a : 장공 122 : 케이스 측벽
123 : 막대지지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의 후면 하단부 양측에 일정깊이로 음형지게 형성된 걸림홈부와,
배터리의 내측면 하단부 양측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걸림홈부에 삽,탈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배터리의 상단부 소정위치에 일정깊이로 음형지게 형성되는 삽입홈과,
그 삽입홈에 대응되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단부에 삽입홈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 록커와,
그 배터리 록커에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배터리 록커가 삽입홈에서 해체될 때 배터리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배터리를 안착부에서 상측으로 탈거시키기 위한 배터리 탈거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착,탈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착,탈장치를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배터리착,탈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탈거수단의 구조를 보인 부분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는 내측에 제어판이 설치된 단말기 본체(101)와, 그 본체(101)의 상단부에 복개가능하게 설치되며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설치된 폴더(103)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1)에는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04) 및 전원공급을 위해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배터리(10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후면 하단부 양측에는 음형지게 걸림홈부(106)가 형성되어 있고, 그 본체(101)의 후면에 형성된 배터리 안착부(107)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배터리(105)의 내측면 하단부 양측에는 상기 걸림홈부(106)에 삽,탈가능하도록 걸림돌기(10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105)의 상단부 소정위치에 일정깊이로 삽입홈(109)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삽입홈(109)에 대응되는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상단부에는 삽입홈(109)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 록커(1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록커(110)의 하단부에는 삽입홈(109)에 용이하게 삽탈될수 있도록 끝이 뾰족한 돌출부(110a)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누름부(11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록커(110)의 일측에는 배터리 로커(110)에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배터리 록커(110)의 돌출부(110a)가 삽입홈(109)에서 해체될 때 배터리(105)를 상측으로 탈거시키기 위한 배터리 탈거수단(11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탈거수단(111)은 일단부는 상기 배터리 록커(110)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배터리(105)의 하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배터리 록커(110)의 전,후진 동작에 연동되는 탈거막대(121)와, 그 탈거막대(121)에 길게 형성된 장공(121a)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본체(101)의 케이스 측벽(122)에 고정되어 후진하는 탈거막대(121)의 단부가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지지하는 막대지지핀(1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배터리(105)를 교체할때는, 한손으로 단말기 본체(101)를 잡고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배터리 록커(110)의 상면에 형성된 누름부(110b)를 누른 다음, 힘을 가하여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면 배터리 록커(110)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지는데, 이때 배터리 록커(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출부(110a)가 배터리(105)에 형성된 삽입홈(109)에서 빠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배터리 록커(110)가 상측으로 슬라이딩될때에 배터리 록커(110)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탈거막대(121)가 동시에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그와 같이 슬라이딩되는 탈거막대(121)는 장공(121a)에 삽입되어 있는 막대지지핀(123)에 의해 지지되어 배터리(105)의 하면을 지지하는 타단부가 들어올려지면서 배터리(105)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므로, 그와 같은 상태에서 나머지 손을 이용하여 들어 올려진 배터리(105)를 간편하게 파지하고 해체하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록커(110)가 상측으로 슬라이딩되면 탈거막대(121)가 연동되어 배터리(105)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므로, 배터리(105)를용이하게 파지하고 해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착,탈장치는 배터리 록커의 일측에 탈거막대를 연동되게 설치하여,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해 배터리 록커를 상측으로 밀면 배터리의 잠김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탈거막대에 의해 일정높이로 배터리가 들어올려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배터리의 해체시 들어올려진 배터리를 편리하게 파지하고 해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단말기 본체의 후면 하단부 양측에 일정깊이로 음형지게 형성된 걸림홈부와,
    그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는 배터리의 내측면 하단부 양측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걸림홈부에 삽,탈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배터리의 상단부 소정위치에 일정깊이로 음형지게 형성되는 삽입홈과,
    그 삽입홈에 대응되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단부에 삽입홈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 록커와,
    그 배터리 록커에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배터리 록커가 삽입홈에서 해체될 때 배터리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배터리를 안착부에서 상측으로 탈거시키기 위한 배터리 탈거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착,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탈거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배터리 록커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배터리의 하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배터리 록커의 전,후진 동작에 연동되는 탈거막대와,
    그 탈거막대에 길게 형성된 장공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본체의 케이스 측벽에 고정되어 후진하는 탈거막대의 단부가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지지하는 막대지지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착,탈장치.
KR20-2003-0022430U 2003-07-11 2003-07-11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착,탈장치 KR2003302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430U KR200330209Y1 (ko) 2003-07-11 2003-07-11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430U KR200330209Y1 (ko) 2003-07-11 2003-07-11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착,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209Y1 true KR200330209Y1 (ko) 2003-10-17

Family

ID=4933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430U KR200330209Y1 (ko) 2003-07-11 2003-07-11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2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67802B1 (en) Radio telephone
US6530570B2 (en) Handheld case gripper
KR10042509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 구조
JP3186271U (ja) 携帯電話スタンド
KR200330209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착,탈장치
KR100691967B1 (ko) 배터리 팩 록킹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US7414586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CN215741762U (zh) 一种带手机支架的游戏手柄
KR10044236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밧데리 결합장치
KR20050019544A (ko)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 및 이를위한 배터리팩
KR200292165Y1 (ko) 휴대폰용 밧데리의 이탈구조
KR100691983B1 (ko) 배터리 팩 록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06159A (ko) 휴대폰의 밧데리팩 착탈구조
KR100575782B1 (ko)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커버체결장치
KR200333769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KR100474284B1 (ko) 휴대폰의 배터리 결합구조 및 그 방법
CN217984007U (zh) 自带线移动电源
KR200351676Y1 (ko)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
CN215870844U (zh) 一种无线充电装置
CN218199022U (zh) 贴膜盒、保护膜和贴膜盒组合
CN215377282U (zh) 一种带键盘按键拆卸工具的机械键盘
KR20040026164A (ko) 휴대용 이동통신기기의 배터리 탈착장치
KR20060096677A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 잠금장치
KR200319738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 장치
KR20050001925A (ko) 토글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