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453Y1 - leading device for escaping conflagration in public facility - Google Patents

leading device for escaping conflagration in public fac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453Y1
KR200329453Y1 KR20-2003-0021475U KR20030021475U KR200329453Y1 KR 200329453 Y1 KR200329453 Y1 KR 200329453Y1 KR 20030021475 U KR20030021475 U KR 20030021475U KR 200329453 Y1 KR200329453 Y1 KR 200329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induction
installation groove
facility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47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기만
Original Assignee
금호엔지니어링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엔지니어링 (주) filed Critical 금호엔지니어링 (주)
Priority to KR20-2003-0021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45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453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공공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는, 화재 및 정정으로 인하여 공공시설물의 공간 내에서 전방 시야 확보가 어려울 때 비상구로 이어지는 동선을 안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설물 공간 내에서 비상구로 이어지는 동선(a)의 주위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설치홈(3); 이 설치홈(3)에 배선되어 일상 시 통상 전원을 공급하고 비상 시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5); 이 전선(5)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설치홈(3)에 내장되는 다수의 유도 램프(7); 및 이 유도 램프(7)를 외부 환경으로 보호하도록 설치홈(3)의 전방에 구비되는 투명판(9)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public facility fire escape in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stably inducing a moving line leading to an emergency exit when it is difficult to secure a forward view in the space of a public facility due to fire and correction; Installation grooves (3) are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pper wire (a) leading to the emergency exit in the facility space; A wire (5) wired to the installation groove (3) to supply normal power in daily life and emergency power in emergency; A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7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wires 5 and embedded in the installation grooves 3; And a transparent plate 9 provided in front of the installation groove 3 to protect the induction lamp 7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Description

공공 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leading device for escaping conflagration in public facility}Firefighting induction device for public facilities {leading device for escaping conflagration in public facility}

본 고안은 공공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시설물의 공간 내에서 화재로 인한 연기 및 정전으로 인하여 전방 시야의확보가 어려울 때 비상구로 이어지는 동선을 안정적으로 유도하는 공공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scape induction device for public facilities, and more particularly, a public facility fire that stably induces a moving line leading to an emergency exit when it is difficult to secure a forward view due to smoke and power outage due to fire in the space of a public facility. An escape induction device.

일반적으로 지하철 역사와 지하상가 및 백화점과 같이 대중이 이용하는 공공시설물의 공간은 외부와 격리 차단되어 있다. 이 공공시설물은 인공 조명 및 인공 환기시설에 의존한 상태로 쾌적한 생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인공 조명 및 인공 환기시설을 구동시키는 전원이 차단되면, 공공시설물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게 된다.In general, the space of public facilities used by the public, such as subway stations and underground shopping malls and department stores,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The public facilities rely on artificial lighting and artificial ventilation to create a comfortable living space. Therefore, when the power for driving the artificial lighting and the artificial ventilation system is cut off, the public facilities become difficult to perform their normal functions.

이 공공시설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인공 조명 및 인공 환기시설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면, 환기가 되지 않는 암흑의 공공시설물 내에 갇혀 있는 많은 사람들은 비상구를 찾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다가 대형 참사를 맞이하게 된다.If a fire breaks out in these utilities and artificial lighting and ventilation fail to function properly, many people trapped in unventilated dark utilities will be unable to find emergency exits and will face a major disaster. .

따라서, 이 공공시설물은 공간 내에서 비상구로 이어지는 통로에 비상구 표시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비상구 표시등은 일상 시는 물론이고 정전 또는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 시 작동되어, 공공시설물의 사용자에게 비상구의 위치를 알려주고 있다.Therefore, the utility is equipped with emergency exit indicators in the passageway leading to the emergency exit in the space. These emergency exit lights operate during everyday situations as well as in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power outages or fires, to inform users of the utility's location.

그러나, 이 비상구 표시등은 바닥부의 동선에서 벗어난 통로의 구석 벽에 간헐적으로 구비되어 비상구 위치의 방향만을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긴박한 상황에서는 사람들의 눈에 잘 띠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since the emergency exit indicator light is intermittently provided in the corner wall of the passage away from the copper line at the bottom to indicate only the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position, it is difficult to be noticed by people in an urgent situation.

따라서, 이 비상구 표시등은 비상 상황 시 사람들에게 비상구로 이어지는 동선을 안정적으로 유도하기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Therefore, this emergency exit indicator has a limit in that it is difficult to stably guide the copper wire leading to the emergency exit to people in an emergency situation.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 및 정전으로 인하여 공공시설물의 공간 내에서 전방 시야 확보가 어려울 때 시설물 공간 내에서 비상구로 이어지는 동선을 안정적으로 유도하는 공공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drawback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blic facility that stably induces the copper wire leading to the emergency exit in the facility space when it is difficult to secure a forward view in the space of the public facilities due to fire and power outages To provide a fire escape induction device.

본 고안의 공공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는, 시설물 공간 내에서 비상구로 이어지는 동선의 주위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설치홈;Public facilities fire escape in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pper wire leading to the emergency exit in the facility space;

상기 설치홈에 배선되어 일상 시 통상 전원을 공급하고 비상 시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A wire which is wired to the installation groove to supply normal power in daily life and emergency power in emergency;

상기 전선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설치홈에 내장되는 다수의 유도 램프; 및A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wires and embedded in the installation grooves; And

상기 유도 램프를 외부 환경으로 보호하도록 설치홈의 전방에 구비되는 투명판을 포함하고 있다.It includes a transparent plate provided in front of the installation groove to protect the induction lamp to the external environment.

상기 설치홈은 시설물 공간 내에서 바닥의 동선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tallation groove is preferably formed along the copper wire of the floor in the facility space.

상기 설치홈은 시설물 공간 내에서 동선에 인접하는 벽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tallation groove is preferably formed along the wall adjacent to the copper wire in the facility space.

상기 전선은 클램프에 의하여 설치홈에 고정된 보호관의 내측에 안정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re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stable structure inside the protective tube fixed to the installation groove by the clamp.

상기 다수의 유도 램프는 교류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직렬 회로를 형성하고, 비상 시 배터리에 의하여 작동되는 비상 회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form a series circuit to operate by alternating current, and form an emergency circuit operated by a battery in an emergency.

상기 다수의 유도 램프는 상기와 같은 직렬 회로와 비상 회로를 형성하는 구간을 다수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preferably include a plurality of sections forming the series circuit and the emergency circuit as described above.

상기 투명판은 투명 타일 또는 유리블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리블록은 바닥의 설치홈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사람들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벽의 설치홈에 설치되는 경우보다 큰 하중성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성과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parent plate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tile or glass block. When the glass block is installed in the floor mounting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glass block is formed to have sufficient rigidity and thickness to withstand greater loadability than when installed in the wall mounting groove.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공공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는 동선을 따라 설치홈을 형성하고, 이 설치홈에 전선을 설치하며, 이 전선에 다수의 유도 램프를 설치하고, 이 유도 램프를 투명판으로 보호하여, 비상 시, 유도 램프가 발광되게 함으로써, 시설물 공간 내에서 비상구로 이어지는 동선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많은 인명을 구조할 수 있다.Thus, the fire escape induction apparatus of the public facil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installation groove along a copper wire, installs wires in the installation groove, installs a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on the wire, and protects the induction lamp with a transparent plat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e induction lamp emits light, thereby stably inducing the copper wire leading to the emergency exit in the facility space, thereby saving many liv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공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public facilities fire escape in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공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의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ublic facilities fire escape in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유도 램프의 전기 회로도.4 is an electrical circuit diagram of an induction lamp.

도 5는 유도 램프의 다른 전기 회로도.5 is another electrical circuit diagram of an induction lamp.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바닥 타일 3 : 설치홈1: Floor tile 3: Installation groove

5 : 전선 7 : 유도 램프5: wire 7: induction lamp

9 : 투명판 11 : 보호관9: transparent plate 11: protective tube

13 : 클램프 a : 동선13: clamp a: copper wire

본 고안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Advantag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공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의 평면도로서, 시설물 공간의 바닥 또는 벽면을 도시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공공시설물에서 시설물 공간의 바닥에는 바닥 타일이 부착되어 있고, 벽면에는 내장 타일이 부착되어 있다.1 is a plan view of a public facility fire escape in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floor or wall surface of the facility space. Typically, in public facilities, floor tiles are attached to the floor of the facility space, and interior tiles are attached to the walls.

본 실시 예의 탈출 유도장치는 이와 같은 시설물 공간의 바닥이나 벽면에 또는 바닥과 벽면 양측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이 탈출 유도장치는 일부의바닥 타일 또는 내장 타일에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에서 내장 타일은 바닥 타일로 통칭되어 있다.The escape guide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on the floor or wall of the facility space or on both the floor and the wall. The escape guide also consists of a structure embedded in some floor tiles or interior tiles. In the following, the built-in tile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floor tile.

본 실시 예의 탈출 유도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바닥 타일(1)의 일부를 교체하고, 그 위치에 탈출 유도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출 유도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또는 벽면에 형성된 설치홈(3), 전선(5), 유도 램프(7) 및 투명판(9)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order to install the escape guide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replace a part of the floor tile 1, and to provide an escape guide device at the position. 2 and 3, the escape escape induction apparatus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stallation groove 3, an electric wire 5, an induction lamp 7 and a transparent plate 9 formed on the bottom or wall.

상기 설치홈(3)은 시설물 공간 내에서 비상구로 이어지는 동선(a)의 주위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설치홈(3)은 탈출 유도장치가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바닥의 동선(a)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설치홈(3)은 유도장치가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바닥에 형성되는 동선(a)에 가장 인접한 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치홈(3)에 동선(a)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구성은 비상 시 사용자의 유도를 보다 확실하게 한다.The installation groove 3 is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pper wire (a) leading to the emergency exit in the facility space. Therefore, the installation groove 3 is most preferably formed along the copper wire (a) of the floor when the escape induc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floor. And the installation groove 3 is preferably formed along the wall surface closest to the copper wire (a) formed on the bottom when the induc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In this way, the configuration formed adjacent to the copper wire (a) in the installation groove (3) makes the guidance of the user in the emergency more certain.

이 동선(a)을 따라 형성되는 설치홈(3)에 유도 램프(7)를 설치하고, 이 유도 램프(7)에 작동 전류를 공급하도록 설치홈(3)에는 전선(5)이 설치되어 있다.An induction lamp 7 is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3 formed along the copper wire a, and an electric wire 5 is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3 so as to supply an operating current to the induction lamp 7. .

이 전선(5)은 설치홈(3)에 바닥에 형성된 경우 설치홈(3)에 늘어뜨려 설치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보호관(11)에 내장 설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 보호관(11)은 클램프(13)에 의하여 설치홈(3)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화재 발생 시 상당한 고열로부터 일정 수준까지 전선(5)을 보호하게 된다. 따라서 전선(5)은 벽면 또는 바닥의 어느 일측의 설치홈(3)에 설치되더라도 보호관(11)의 내측에서안정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 보호관(11)에 설치되는 전선(5)은 일상 시에는 공공시설물에 공급되는 통상의 전원을 공급하고, 화재와 같은 비상 시에는 통상의 전원에 별도로 구비되는 비상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기회로를 형성하고 있다.When the wire 5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groove 3, the wire 5 may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3, but it is illustrated that the wire 5 is installed in the protection tube 11. The protective tube 11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groove 3 by the clamp 13, and protects the electric wire 5 to a certain level from considerable high heat in the event of a fire. Therefore, even if the wire 5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 3 of any one side of the wall or the bottom will form a stable structure inside the protective tube (11). The electric wire 5 installed in the protection tube 11 forms an electric circuit so as to supply ordinary power supplied to public facilities in daily life, and supply emergency power separately provided to the ordinary power supply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Doing.

유도 램프(7)는 상기 전선(5)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로 전기회로를 형성하여 전선(5)과 함께 설치홈(3)에 내장되어 있다. 즉 이 유도 램프(7)는 시설물 공간 내에서 비상구에 이르는 동선(a)의 전 범위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물론 전선(5)도 동선(a)의 전 범위에 걸쳐 배선되어 있다.Induction lamp (7) is form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3) together with the wire (5) to form a plurality of electrical circuit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wire (5). That is, this induction lamp 7 is arrange | positioned over the full range of the copper wire a to an emergency exit in a facility space. Of course, the electric wire 5 is also wired over the full range of copper wire a.

이 다수의 유도 램프(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에 의하여 형성되는 직렬 회로와 배터리(15)에 의하여 형성되는 비상 회로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전체 회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화재 및 정전과 같은 비상 시에, 유도 램프(7)는 기본적으로 교류에 의하여 제어되지만 이 교류의 공급이 차단될 때 배터리(15)에 의하여 형성되는 비상 회로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비상 회로에는 교류 차단 시 온 상태로 제어되어 배터리(15)의 직류를 공급하는 스위치(17)가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7 preferably form an entire circuit so that they can be controlled by a series circuit formed by alternating current and an emergency circuit formed by a battery 15. That is,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and a power failure, the induction lamp 7 is basically controlled by alternating current, bu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controlled by an emergency circuit formed by the battery 15 when the supply of this alternating current is cut off. . Therefore, the emergency circuit is provided with a switch 17 which is controlled to be in an ON state when the AC is cut off and supplies a direct current of the battery 15.

도 4의 전기 회로에서와 같이, 유도 램프(7)를 직렬 회로로 연결하는 회로는 설치홈(3) 내에 설치되는 전선(5)의 배치를 단순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하나의 유도 램프(7) 고장 시 전 유도 램프(7)를 작동시키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As in the electrical circuit of Figure 4, the circuit for connecting the induction lamp 7 in series circuit has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arrangement of the wires 5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3, but one induction lamp ( 7) In case of failure, all induction lamps 7 cannot be operated.

도 5는 유도 램프(7)를 제어하는 다른 전기 회로도로써, 다수의 유도 램프(7)를 구간별로 제어하는 다수의 별도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구간별 유도램프(7)는 그 구간 내에서만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각 구간은 다른 구간과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FIG. 5 is another electrical circuit diagram for controlling the induction lamp 7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parate circuits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7 section by section. Induction lamps 7 for each section are connected in series only within the section, and each section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other section.

따라서, 이 구간별 별도 전기 회로는 비상 사태 발생으로 일부 구간의 유도 램프(7)가 고장나더라도 다음 구간의 유도 램프(7)가 원활히 작동될 수 있게 한다.Therefore, the separate electric circuit for each section allows the induction lamp 7 in the next section to operate smoothly even if the induction lamp 7 in some sections fails due to an emergency.

한편, 투명판(9)은 유도 램프(7)를 실내 외부 환경, 즉 시설물 공간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설치홈(3)의 전방에 구비되어, 바닥 타일(1)과 같은 구조로 바닥에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parent plate (9) is provided in front of the installation groove (3) to protect the induction lamp (7) from the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 that is, facility space, is installed on the floor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floor tile (1).

이 투명판(9)은 설치홈(3)에 내장된 유도 램프(7)의 발광 빛을 외부로 전달하면서 사람들의 통행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투명판(9)은 투명 타일 또는 유리블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리블록은 바닥의 설치홈(3)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사람들의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 및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유리 블록은 벽의 설치홈(3)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큰 하중을 받지 않기 때문에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보다 낮은 강도 및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The transparent plate 9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duction lamp 7 embedd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3 to the outside while keeping people's traffic safe. This transparent plate 9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tile or glass block. When the glass block is installed in the bottom mounting groove (3), it is preferable that the glass block is formed to have a strength and a thickness sufficient to withstand the load of people. Since the glass block is not subjected to a large load when it is installed in the wall mounting groove 3, the glass block may be formed to have a lower strength and a thinner thickness than when it is installed on the floor.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공공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는, 시설물 공간 내에서 비상구로 이어지는 동선의 일측 바닥 또는 벽면에 설치홈을 형성하고, 이 설치홈에 전선을 배선하여 유도 램프를 설치하며, 이 유도 램프의 전방에 투명판을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서, 화재 및 정전과 같은 비상 상황 시, 유도 램프를 점등시켜 유도 램프에서 투명판을 통하여 조사되는 빛으로 동선을 안정적으로 유도하여 안전한 탈출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하여 고귀한 인명을 구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ublic facility fire escape in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installation groove on one floor or wall surface of a copper wire leading to an emergency exit in a facility space, and installs an induction lamp by wiring an electric wire to the installation groove. By installing a transparent plate in front of the, by inducing emergency lamps, such as fire and power outages, the induction lamp is lit to guide the copper wire stably from the induction lamp through the transparent plate to enable safe escape. Because of this, noble lives are saved.

Claims (7)

시설물 공간 내에서 비상구로 이어지는 동선의 주위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설치홈;An installation groov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pper wire leading to the emergency exit in the facility space; 상기 설치홈에 배선되어 일상 시 통상 전원을 공급하고 비상 시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A wire which is wired to the installation groove to supply normal power in daily life and emergency power in emergency; 상기 전선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설치홈에 내장되는 다수의 유도 램프; 및A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wires and embedded in the installation grooves; And 상기 유도 램프를 외부 환경으로 보호하도록 설치홈의 전방에 구비되는 투명판을 포함하는 공공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Public facilities fire escape induction apparatus comprising a transparent plate provided in front of the installation groove to protect the induction lamp to the external environm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은 시설물 공간 내에서 바닥의 동선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stallation groove is a public facility fire escape ind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long the copper wire of the floor in the facility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은 시설물 공간 내에서 동선에 인접하는 벽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along a wall adjacent to the copper line in the facility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클램프에 의하여 설치홈에 고정된 보호관의 내측에 안정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ic wire fire escape ind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a stable structure inside the protective tube fixed to the installation groove by the clam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유도 램프는 교류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직렬 회로를 형성하고, 비상 시 배터리에 의하여 작동되는 비상 회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The induction fir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form a series circuit to operate by an alternating current, and an emergency circuit operated by a battery in an emergenc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유도 램프는 상기와 같은 직렬 회로와 비상 회로를 형성하는 구간을 다수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have a plurality of sections forming the series circuit and the emergency circu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은 유리블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parent plate is a public facility fire escape ind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glass block.
KR20-2003-0021475U 2003-07-04 2003-07-04 leading device for escaping conflagration in public facility KR20032945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475U KR200329453Y1 (en) 2003-07-04 2003-07-04 leading device for escaping conflagration in public fac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475U KR200329453Y1 (en) 2003-07-04 2003-07-04 leading device for escaping conflagration in public facilit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122A Division KR20050005146A (en) 2003-07-04 2003-07-04 leading device for escaping conflagration in public fac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453Y1 true KR200329453Y1 (en) 2003-10-10

Family

ID=4941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475U KR200329453Y1 (en) 2003-07-04 2003-07-04 leading device for escaping conflagration in public fac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45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293B1 (en) Fluorescent led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on/off mode switching method therefor
KR100734475B1 (en) Guiding light Lamp for Emergency with Guiding speak
US20100013658A1 (en) Dynamic emergency escape indicator
KR100549232B1 (en) Apparatus for escaping emergency
JP2009272135A (en) Lighting fixture
WO2005093678A1 (en) Emergency guidance system
US20100039793A1 (en) Multi-directional standby lighting device
KR200329453Y1 (en) leading device for escaping conflagration in public facility
KR101222430B1 (en) An guide emergency lamp control device using light emitting diode
KR20050005146A (en) leading device for escaping conflagration in public facility
KR200359722Y1 (en) a Emergency Lamp to Install the Floor.
KR100690402B1 (en) Power supply checking device using RF system
KR101053645B1 (en) Emergency Induction Device
KR101886816B1 (en) Multi-Functioanl GuidanceLight Systm
CN112413497A (en) Sensor-based LED lamp device for fire fighting emergency
KR101886700B1 (en) LED Emergency Induction Lights with Emergency Response Function
KR200324352Y1 (en) Handrail for escaping conflagration in underground facility
JP2004302974A (en) Evacuation guide light system
KR100406842B1 (en) A light indicating direction of an emergency exit, possible to assemble with tile type
KR101184369B1 (en) Emergency system for led tunnel lighting fixture of smart micro processer
KR200406602Y1 (en) Emergency guide lamp
JP5925367B2 (en) Lighting device
KR100690403B1 (en) Power supply checking device using RF system
KR20120124888A (en) Direction signage with Emergency back-up lighting
KR200406603Y1 (en) Emergency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