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359Y1 - Picture frame having a push-seperation type of transparent plate - Google Patents
Picture frame having a push-seperation type of transparent pla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9359Y1 KR200329359Y1 KR20-2003-0016782U KR20030016782U KR200329359Y1 KR 200329359 Y1 KR200329359 Y1 KR 200329359Y1 KR 20030016782 U KR20030016782 U KR 20030016782U KR 200329359 Y1 KR200329359 Y1 KR 20032935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ing
- transparent plate
- plate
- frame
- bottom p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66—Frontloading picture 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지지틀의 수납홈에 삽입고정되는 눌림밑판과 투명판의 대응부위에 부착편들을 장착하여 자력에 의해 그 사이에 사진을 개재하고 부착되게 하되 투명판을 누르면 그와 대응하고 있는 눌림밑판의 일측모서리부분이 눌려 하강하면서 그와 부착된 투명판의 다른 모서리들이 이격되어 분리됨으로써 사진을 덮고 있는 투명판을 손쉽게 분리시켜 사진의 장착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누름분리식 투명판을 갖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누름분리식 투명판을 갖는 액자는 수납홈이 형성된 지지틀; 상기 수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적어도 일측 모서리에는 내측을 향해 탄성수축되는 눌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눌림부를 제외한 적어도 2모서리에는 제1부착편이 장착된 눌림밑판; 및 상기 제1부착편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제1부착편에 자력부착되는 제2부착편을 구비하고, 상기 눌림밑판 상에 사진을 개재하고서 부착되는 투명판으로 이루어진다.The disclosed contents are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pressing base plate and the transparent plate fixed 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upport frame to be attached to the interposition between the photo by magnetic force, but pressing the transparent plate corresponding to that One side of the edge is pressed down and the other edges of the transparent plate attached to it separated by being separated by a transparent plate that can easily separate the transparent plate covering the photo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of the photo having a It's about picture frames. The frame having a push-release transparen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frame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A pressing bottom plat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nd fixed to the at least one corner, the pressing portion being elastically contracted toward the inside, and having at least two corners except for the pressing portion, the pressing bottom plate having a first attachment piece; And a second attachment piece that is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first attachment piece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ttachment piece, and comprises a transparent plate attached to the pressed bottom plate via a photograph.
Description
본 고안은 항시 사진을 볼 수 있도록 사진을 끼워서 보고자 하는 위치에 장식할 수 있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틀의 수납홈에 삽입고정되는 눌림밑판과 투명판의 대응부위에 부착편들을 장착하여 자력에 의해 그 사이에 사진을 개재하고 부착되게 하되 투명판을 누르면 그와 대응하고 있는 눌림밑판의 일측모서리부분이 눌려 하강하면서 그와 부착된 투명판의 다른 모서리들이 이격되어 분리됨으로써 사진을 덮고 있는 투명판을 손쉽게 분리시켜 사진의 장착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누름분리식 투명판을 갖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ture frame that can be decora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picture is inserted so that the picture can be viewed at all times, and more specifically, the attachment pieces on the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pressing base plate and the transparent plate inserted into the storage groove of the support frame Attach the photo to be interposed between them by magnetic force, but when pressing the transparent plate, one side edge of the pressed bottom plate corresponding to it is pressed down and the other edges of the transparent plate attached to it are separated and separa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ture frame having a push-removable transparent plat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ransparent plate to facilitate mounting and replacement of a photo.
일반적으로, 사진은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추억을 남기고 자신을 알리기 위하여 각종 기념일, 여행, 행사등 생활 전반에서 수없이 찍게 된다. 이렇게 찍은 사진은 항상 보고 즐길 수 있도록 액자에 수납하여 집안에 걸어놓거나 공공장소에 전시하게 된다. 이러한 액자는 탁상용이나 벽걸이용 등 다양한 기능과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사진을 액자에 수납하는 구조는 통상 투명판이 끼워진 액자틀의 배면판을 분리한 후, 투명판의 배면으로 사진을 집어넣고서 배면판을 다시 덮고 스크류로 체결하는 방식이 보편적이었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서 배면판을 액자틀에 고정하는 걸림부재를 선회시켜 액자틀에서 배면판을 분리한 후, 투명판의 배면에 사진을 끼우고나서 배면판을 다시 덮은 다음, 걸림부재를 원위치시켜 걸림부재로 배면판을 고정시키는 것이 있었다. 이에 대한 일예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다.In general, photographs are closely related to daily life, so that photographs are taken many times throughout life such as anniversaries, trips, and events in order to leave memories and inform oneself. Photographs taken like this are framed so that you can always see and enjoy them and hang them in the house or display them in public places. Such picture frames are produced in various functions and forms, such as tabletops and wall-mounted. However, the structure for storing a picture in a picture frame is generally a method of removing the back plate of the frame frame in which the transparent plate is inserted, then inserting the picture into the back of the transparent plate, and then covering the back plate and fastening with a screw. In another method, the back plate is removed from the frame by turning the locking member to fix the back plate to the frame, and after the photo is placed on the back of the transparent plate, the back plate is covered again. There was something to fix the back plate. 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S. 1A and 1B.
도 1a는 종래의 액자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분해사시도이다.1A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frame, and FIG. 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A.
도시한 바와 같이, 보편적인 액자(1)는 합성수지 또는 목재로 제작되어 중앙에 투공부(12)가 형성된 액자틀(10)과, 이 액자틀(10)의 배면에서 투공부(12)에 끼워지는 유리 또는 아크릴로 된 투명판(20) 및, 투명판(20)의 배면에 장착되는 배면판(30)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액자틀(10)에는 턱이 져 있어 투명판(20)이 배면에서 투공부(12)에 끼워지면 앞쪽으로 빠지지 않고 걸리게 된다. 액자틀(10)의 배면에는 또한 걸림부재(14)들이 상하좌우로 선회가능케 고정되어 있어, 투명판(20)의 배면에 사진(2)을 끼우고 배면판(30)을 장착한 후 선회시켜 걸리게 함으로써 액자틀(10)에 사진(2)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투명판(20)과 배면판(30) 사이에는 사진(2)이 끼워지고, 관람자는 투명판(20)을 통해 사진(2)을 볼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universal picture frame 1 is made of synthetic resin or wood and has a frame part 10 formed with a perforation part 12 in the center, and the glass fitted into the perforation part 12 at the rear of the picture frame 10. Or it consists of a transparent plate 20 made of acrylic and a back plate 30 mounted on the back of the transparent plate 20. In particular, the frame 10 has a jaw so that when the transparent plate 20 is fitted to the through-hole 12 from the rear side is caught without falling forward. On the back of the frame 10, the locking members 14 are also fixed up, down, left and right so as to pivot, and then the photo plate 2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transparent plate 20 and the back plate 30 is rotated to be caught. As a result, the picture 2 is fixed to the frame 10. In this way, the photograph 2 is sandwiched between the transparent plate 20 and the back plate 30, and the viewer can see the photograph 2 through the transparent plate 20.
위와 같이 사진(2)을 끼운 액자(1)는 액자의 배면에 구비된 걸고리(16)를 벽에 고정된 못등에 걸어 벽에 고정시키게 된다.The picture frame (1) fitted with the picture (2) as described above is fixed to the wall by hanging the hook 16 provided on the back of the picture frame on the nail.
이와 같이, 기존의 액자는 액자틀에 고정된 배면판을 후방에서 분리하고, 사진을 끼워야 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특히 배면판을 액자틀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그들을 결합하고 있는 다수의 스크류를 드라이버로 풀어야 하거나 다수의 걸림부재를 선회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벽에 걸린 상태에서는 사진의 교환이 불가능하였다. 그 때문에, 사진교체시에는 액자를 벽에서 떼어낸 후, 액자의 배면에서 스크류나 걸림부재들을 해제시켜 배면판을 분리하고 사진을 제거한 후, 교체하고자 하는 사진을 다시 액자틀내로 집어넣고 나서 그 배면에 배면판을 대고 스크류나 걸림부재를 작동시켜 액자를 재결합시켜야 했다. 그리고 나서, 액자의 걸고리를 못에 걸어 벽에 고정시켜야 하므로 사진의 교체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벽에 걸기 위하여 액자의 배면에 걸고리를 장치하므로 액자의 단가가 올라갈 뿐만 아니라, 걸고리가 튀어나와 액자가 벽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는 단점도 있었다.In this way, the existing picture frame is not only inconvenient becaus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back plate fixed to the frame from the rear and insert a picture, and in particular, to remove the back plate from the frame, a screwdriver or a plurality of screws that combine them to separate the back plate from the picture frame There was a hassle to turn the locking member. Therefore, the exchange of photographs was impossible in the state of being hung on the wall. Therefore, when replacing the picture, remove the picture frame from the wall, remove the back plate by removing the screws or locking members from the back of the picture frame, remove the picture, and put the picture you want to replace back into the picture frame. The frame had to be reattached to the back plate by actuating a screw or locking member. Then, the hook of the frame should be fixed to the wall by hanging on the nail,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eplacement of the picture is very cumbersome. Since the hook is placed on the back of the picture frame to hang on the wall as described above, the unit price of the picture frame is not only increased, but the hook is protruded and the picture frame does not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all.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지지틀의 수납홈에 삽입고정되는 눌림밑판과 투명판의 대응부위에 부착편들을 장착하여 자력에 의해 그 사이에 사진을 개재하고 부착되게 하되 눌림밑판의 일측모서리부분이 외압의 작용에 따라 눌려 하강하면서 그와 접촉하고 있는 투명판의 일측모서리부분도 하강하여 그와 부착된 투명판의 다른 모서리들이 이격됨으로써 사진을 덮고 있는 투명판을 손쉽게 분리시켜 사진의 장착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누름분리식 투명판을 갖는 액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rawbacks, by mounting the attachment pieces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pressing base plate and the transparent plate fixed 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upport frame by a magnetic force between them Interposed and attached, but the one side edge of the pressed bottom plate is pressed and lowered under the action of external pressure, and one side edge of the transparent plate that is in contact with it is also lowered to cover the photo by separating the other edges of the transparent plate attached to it. It is to provide a picture frame having a push-release transparent plat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by the transparent plate to facilitate the mounting and replacement of the photo.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DETAILED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like numbers designate corresponding parts in the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액자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1a and 1b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icture fram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누름분리식 투명판을 갖는 액자의 결합사시도이고,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having a push-release transparen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이고,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액자를 배면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이고,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icture frame shown in FIG. 2 from the back,
도 6은 본 고안에서 눌림밑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sed base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서 눌림밑판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들이고,7a and 7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sed base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누름분리식 투명판을 갖는 액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rame having a push-release transparen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50 : 지지틀 52 : 수납홈50: support frame 52: storage groove
54,54a : 거치홈 56,56a : 걸이홈54,54a: Mounting groove 56,56a: Hanging groove
58 : 거치편 60 : 눌림밑판58: mounting plate 60: pressed bottom plate
62 : 눌림부 64~64b : 제1부착편62: pressed portion 64 to 64b: first attachment piece
66~66b : 삽입홈 68 : 스폰지66 ~ 66b: Insertion groove 68: Sponge
70 : 접착제 80 : 사진70: adhesive 80: photo
90 : 투명판 92~92c : 제2부착편90: transparent plate 92-92c: second attachment piece
94 : 테두리94: bord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누름분리식 투명판을 갖는 액자는 수납홈이 형성된 지지틀; 상기 수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적어도 일측 모서리에는 내측을 향해 탄성수축되는 눌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눌림부를 제외한 적어도 2모서리에는 제1부착편이 장착된 눌림밑판; 및 상기 제1부착편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제1부착편에 자력부착되는 제2부착편을 구비하고, 상기 눌림밑판 상에 사진을 개재하고서 부착되는 투명판을 포함한다.Picture frame having a push-release transparen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upport frame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A pressing bottom plat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nd fixed to the at least one corner, the pressing portion being elastically contracted toward the inside, and having at least two corners except for the pressing portion, the pressing bottom plate having a first attachment piece; And a transparent plate having a second attachment piece that is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first attachment piece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ttachment piece, and attached to the pressed bottom plate via a photograph.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누름분리식 투명판을 갖는 액자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having a push-release transparen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액자(5)는 지지틀(50)의 중심부에 전면으로 개구된 수납홈(52)을 마련하고 있다. 이 수납홈(52)에는 눌림밑판(60)이 접착제(70)에 의해 고정된다. 눌림밑판(60)은 사각판상체로 눌림밑판(60)의 네개의 모서리들중 일측모서리는 배면측이 일정부분이 소실되어 다른 부위보다 두께가 얇아진 박판의 눌림부(62)를 형성하고 있다. 눌림부(62)는 보는 바와 같이 삼각형상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따라서 이 부분에 외압이 가해지면 후방으로 휘어져 들어가게 된다. 물론, 이 눌림부(62)는 작용한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상태로 돌아올 수 있는 탄성복원력을 가진 소재로 제조된다. 따라서, 눌림밑판(60)은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소재의 탄성판으로 하여 눌림부(62)와 일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눌림밑판(60)에는 네모서리중 눌림부(62)를 제외한 세부분에 제1부착편들(64,64a,64b)이 장착되어 있다. 이 제1부착편들(64,64a,64b)은 눌림밑판(60)에 전면에서 삽입홈들(66,66a,66b)을 형성하고, 이곳에 전방에서 완전히 삽입하여 눌림밑판(60)의 전면과 그 전면이 평평한 평면을 이루게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icture frame 5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52 open to the front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frame 50. The pressing bottom plate 60 is fixed to the receiving groove 52 by the adhesive 70. The pressing bottom plate 60 is a rectangular plate-like body of the four corners of the pressing bottom plate 60 forms a pressing part 62 of the thin plate whose thickness is thinner than the other part at the back side of the bottom part. The pressing portion 62 is preferably in the shape of a triangle as shown, so when a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is portion, it is bent backwards. Of course, the pressing portion 6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that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applied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ed bottom plate 60 is made integrally with the pressed part 62 as an elastic plate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lastic. The pressing bottom plate 60 is equipped with the first attachment pieces 64, 64a, and 64b in detail except the pressing portion 62 of the four corners. The first attachment pieces 64, 64a, 64b form insertion grooves 66, 66a, 66b at the front side in the pressing bottom plate 60, and are completely inserted in front of the pressing bottom plate 60 at the front side. And its front face to form a flat plane.
눌림밑판(60)의 전방에는 사진(80)을 덮는 투명판(90)이 부착된다. 이를 위해 제1부착편들(64,64a,64b)과 대응되는 투명판(90)의 모서리들에는 제1부착편(64,64a,64b)에 부착되는 제2부착편(92~92c)이 장착되어 있다. 제1부착편(64~64b)은 네모서리중 세모서리에 각각 1개씩 세개의 구비되어 있으므로 제2부착편(92~92c) 또한 그와 대응되는 부위에 3개가 구비되면 족하다. 물론,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부착편(92~92c)은 투명판(90)의 4모서리에 모두 장착하면 투명판(90)을 상하로 바꿔 끼워도 부착이 가능하다. 특히, 제1부착편(64~64b)과 제2부착편(92~92c)은 둘다 자석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둘중에 일측은 자석을 그리고 타측은 자석에 붙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투명판(90)은 제2부착편들(92~92c)이 장착된 모서리를 포함하는 테두리(94)로 제2부착편들(92~92c)이 전면에서 보이지 않게 마무리된다. 이에 의해, 사진(80)의 보여지는 테두리(94)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테두리(94)는 투명판(90)에 미려한 색상으로 도장을 하거나 음각이나 불투명한 처리를 하거나 또는 다양한 무늬띠로 실시할 수 있다. 투명판(90)은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아크릴 또는 유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틀(50)은 목재나 목재형태의 합성인조목이 좋으며, 외장에 무늬를 넣어 미려함을 배가할 수도 있다.The transparent plate 90 covering the photo 80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pressing bottom plate 60. To this end, the second attachment pieces 92 to 92c attached to the first attachment pieces 64, 64a and 64b are formed at corners of the transparent plate 90 corresponding to the first attachment pieces 64, 64a and 64b. It is installed. Since the first attaching pieces 64 to 64b are provided with three pieces each of three corners, three second attaching pieces 92 to 92c are provided at corresponding portions. Of course, as shown in FIG. 2, when the second attachment pieces 92 to 92c are mounted on all four corners of the transparent plate 90, the second attachment pieces 92 to 92c may be attached even if the transparent plate 90 is vertically replaced. In particular, both the first attaching pieces 64 to 64b and the second attaching pieces 92 to 92c may be made of magnets, one of which may be made of a metal attached to the magnet and the other of which is attached to the magnet. The transparent plate 90 has an edge 94 including a corner on which the second attachment pieces 92 to 92c are mounted, so that the second attachment pieces 92 to 92c are not visible from the front. Thereby, the edge 94 of the photograph 80 can be neatly arranged. The edge 94 may be painted in a beautiful color on the transparent plate 90, or may be engraved or opaque, or may be performed in various patterns. The transparent plate 90 may be made of transparent plastic, acrylic, glass, or the like. 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50 is a synthetic wood of the wood or wood form is good, it may double the beauty by putting a pattern on the exterior.
전술한 눌림밑판(60)은 지지틀(50)의 수납홈(5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그 고정수단으로는 접착제(70)가 바람직하지만 그 외에도 작은 못이나 볼트 또는 스크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투명판(90)은 수납홈(52)에 완전장착시 그 전면이 지지틀(50)의 전면과 높이가 일치하게 하는 것이 보기 좋다.The pressing bottom plate 60 is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receiving groove 52 of the support frame 50. As the fixing means, the adhesive 70 is preferable, but other small nails, bolts or screws may be used. . In addition, when the transparent plate 90 is completely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52,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50 to match the height.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액자를 배면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shown in FIG.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액자(5)는 배면에 거치홈들(54,54a)을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에 하나씩 형성하여 어느 방향으로나 액자(5)를 세울 수 있도록 하며,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에서 거치홈들(54,54a)과 마주보는 다른 한편에는 걸이홈들(56,56a)을 형성하여 벽등에 고리나 못을 박은 후 걸어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거치홈(54,54a)에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치편(58)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책상이나 기타 공간상면에 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거치홈들(54,54a)은 일자형으로 하고 그에 삽입되는 거치편(58) 또한 일자형홈에 끼워지는 폭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걸이홈들(56,56a)은 원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rame 5 is provided with mounting grooves 54 and 54a at the rear and on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so that the frame 5 can be erected in any direction, an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n the other side facing the mounting grooves 54 and 54a, hook grooves 56 and 56a are formed to be hooked or nailed to a wall, and then to be fixed. In particular, the mounting groove (54, 54a) can be mounted on the desk or other space upper surface simply by using the mounting piece 58 as shown in the figure. Here, the mounting grooves 54 and 54a may have a straight shape, and the mounting piece 58 inserted therein may also have a width fitted into the straight groove, and the hanging grooves 56 and 56a may have a circular shape. .
도 6은 본 고안에서 눌림밑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서 눌림밑판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들로, 도 7a는 눌림전 상태를 그리고 도 7b는 눌림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sed base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s 7a and 7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sing bottom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shows the state before the pressing and Figure 7b shows the state after the pressing.
눌림밑판(60a)은 도 2 내지 도 4에 개시된 눌림부가 눌림밑판과 일체로 된 구조의 눌림부(62a) 배부의 소실부위에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축성이 좋은 스폰지(68)를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부착된 스폰지(68)의 배면은 눌림밑판(60a)의 배면과 합체되어 전면과 동일한 면적의 평면을 이루게 되며, 이렇게 동일평면을 이룬 스폰지(68)와 눌림밑판(60a)의 배면들에 접착제 등을 도포하여 지지틀의 수납홈 내면에 부착하면 된다. 물론, 이때 눌림밑판(60a) 및 눌림밑판(60a)에 일체로 된 눌림부(62a)는 견고한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판이고, 눌림부(62a)의 배부에 부착된 스폰지(68)만이 압축성소재가 된다. 따라서, 투명판을 눌러 눌림부(62a)에 외압이 작용하면 스폰지(68)가 압축되면서 눌림부(62a)가 하강하여 기설명한 바와 같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투명판이 지지틀의 수납홈에서 손쉽게 분리되어 나오게 된다. 나아가, 도 6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배면에 압축성 스폰지(68)가 부착된 눌림부(62a)를 눌림밑판(60a)에서 절단하여 분리하여 구성해도 동작상에는 하등에 지장이 없다. 눌림부(62a)는 그 가로 및 세로가 각각 눌림밑판(60a)의 가로 및 세로의 1/3~1/5정도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1/4정도의 크기로 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눌림밑판(60a)이 가로 및 세로가 각각 10cm일 경우, 눌림부(62a)의 가로 및 세로는 2.5cm정도가 적당하다.The pressing bottom plate 60a is constructed by attaching a highly compressible sponge 68 as shown in FIG. 6 to the missing portion of the back portion of the pressing part 62a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pressing part disclosed in FIGS. 2 to 4 is integral with the pressing bottom plate. You may. The back surface of the attached sponge 68 is combined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pressing bottom plate 60a to form a plane having the same area as the front surface, and thus adhesives are formed on the back surfaces of the sponge 68 and the pressing bottom plate 60a having the same plane. It may be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upport frame by applying a back. Of course, at this time, the pressing bottom plate 60a and the pressing part 62a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essing bottom plate 60a are synthetic resin plates such as rigid plastics, and only the sponge 68 attached to the back of the pressing part 62a is compressed. do. Therefore, when a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pressing portion 62a by pressing the transparent plate, the sponge 68 is compressed and the pressing portion 62a is lowered. As described above, the transparent plate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upport frame by the principle of the lever. Will come out. Furthermore, in the embodiment disclosed in Fig. 6, even if the pressing portion 62a having the compressible sponge 68 attached to the back is cut off and separated from the pressing base plate 60a, there is no problem in operation. The pressing portion 62a is preferably about 1/3 to 1/5 of the width and length of the pressing bottom plate 60a, and the width and length thereof are preferably about 1/4. For example, when the pressing bottom plate 60a is 10 cm in width and length, respectively, about 2.5 cm is suitable for the width and length of the pressing portion 62a.
또한, 눌림밑판(60b)은 위와 같은 구조외에도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고한 재질의 눌림밑판(60b)의 일측모서리를 일정부분 절단하여 제거하고, 이 절손부위에 압축성이 좋은 스폰지(68a)를 장착하여 눌림부를 형성함에 의해 외압이 작용시 기설명한 구조와 동일한 눌림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눌림부는 눌림밑판(60b)과의 대면측면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부착할 수도 있고, 눌림부와 눌림밑판(60b)을 결합하지 않고도 지지틀의 수납홈내에 밀착된 형태를 갖추게 각각 그 저면들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하여도 작동상에는 하등의 지장이 없다. 이때, 스폰지(68a)의 크기는 눌림밑판(60b)의 절손된 부위를 메울 수 있는 정도로 하고, 높이는 눌림밑판(60b)의 전면과 배면에 그 전면과 배면이 일치하여 하나의 동일평면판이 연장된 것과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만약 지지틀의 수납홈내에 눌림밑판(60b)과 스폰지(68a) 눌림부를 부착하였을 경우 동일평면을 이루지 않으면 그 상면에 위치되는 사진이 꺽이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도 7b에는 눌림부의 모서리에 외압이 작용한 경우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압이 작용하면 스폰지(68a)가 압축되면서 하강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전술한 눌림밑판의 다른 실시예들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sing bottom plate (60b) in addition to the above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7a by cutting a portion of one side edge of the pressing bottom plate (60b) of a solid material to remove and remove the good compressible sponge (68a) in this cut portion By attaching and forming the pressing portion, the same pressing effect as the previously described structure 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can be obtained. The pressing portion may be attached to the side face of the pressing bottom plate 60b via an adhesive, and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bottom surfaces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upport frame without combining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pressing bottom plate 60b. Even if the adhesive is applied by applying it, there is no problem in operation.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sponge (68a) is enough to fill the damaged part of the pressing bottom plate (60b), the height is the same as the front and back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pressing bottom plate (60b) is one coplanar plate is extended It is preferable to do as follows. This is because if the pressing bottom plate 60b and the sponge 68a pressing portion are attach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upport frame, the photograph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may be broken or broken. 7B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where the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edg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as shown in this figure, 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he sponge 68a is compressed and lowered, and as a result, with th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sing base plate described above. The same effect will be achieved.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누름분리식 투명판을 갖는 액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보는 바와 같이, 두개의 지지틀(50a,50b)을 경첩(100)으로 연결하여 접을 수 있도록 결합되는 액자(5a)에도 두개의 지지틀들(50a,50b)의 대응내측에 수납홈들(52a,52b)을 형성하고, 이 수납홈(52a,52b)에 접착제(70a)를 개재하여 눌림밑판(60c)을 수납부착하고, 그 다음으로 사진(80a)을 장착한 후 투명판(90a)을 덮어 눌림밑판(60c)과 투명판(90a)의 제1,제2부착편들(64,92)이 상호부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사진(80a)이 보관된 상태에서 눌림부(62c)와 대응되는 투명판(90a)의 일측 모서리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눌림부(62c)가 수납홈(52a)내측으로 하강하면서 이와 함께 투명판(90a)의 대응 모서리도 하강하여 눌림부(62c)와 견고한 눌림밑판(60c)의 경계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제1,제2부착편들(64,92)로 부착되어 있는 투명판(90a)의 나머지 세모서리가 눌림밑판(60c)에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투명판(90a)을 제거하고 사진(80a)을 끼우거나 교체한 후 다시 수납홈(52a)내로 투명판을 삽입하여 덮으면 된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rame having a push-release transparen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receiving grooves 52a in the corresponding inner side of the two support frames 50a and 50b also in the frame 5a coupled to the two support frames 50a and 50b so as to be foldable by the hinge 100. And 52b, the press bottom plate 60c is attached to the receiving grooves 52a and 52b via the adhesive 70a, and then the photographic plate 80a is mounted. The pressed bottom plate 60c and the first and second attachment pieces 64 and 92 of the transparent plate 90a are attached to each other and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In this state, when the photograph 80a is stored, pressing one side edge of the transparent plate 90a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portion 62c with a finger lowers the pressed portion 62c into the storage groove 52a and together with the transparent plate ( 90a) the corresponding edges are also lowered, and the transparent plate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attachment pieces 64 and 92 by the principle of the lever with the support of the boundary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62c and the rigid pressing bottom plate 60c as a supporting point. The remaining three corners of 90a fall off the pressed base plate 60c. In this manner, the transparent plate 90a may be removed, the photo plate 80a may be inserted or replaced, and the transparent plate 90a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52a and then covered.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의 누름착탈원리는 도 2 내지 도 8에 개시한 평판형의 액자 이외에도 액자구조가 적용된 보석함이라든지 기타 생필품에 적용할 수도 있다.The push-and-detachment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jewelry boxes or other necessities to which a picture frame structure is applied, in addition to the flat picture frames shown in FIGS. 2 to 8.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받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only presented by selecting the most preferred examples to help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various possible example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or limited only by this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well as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누름분리식 투명판을 갖는 액자는 투명판의 일측모서리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그와 대응되는 눌림밑판의 일측모서리부분이 눌려하강하면서 그와 부착된 투명판의 대응부착편들이 이격되어 분리됨으로써 사진을 덮고 있는 투명판을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진의 장착이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액자는 미려한 목재나 합성목재등의 지지틀에 전방으로 개구된 수납홈을 형성하고 투명판과 수납홈내부에 마련된 눌림밑판의 대응부위에 작은 자석들을 장착하여 부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전방에서 사진을 손쉽게 수납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고 깔끔한 느낌을 준다. 특히, 투명판의 네모서리에는 후방에서 작은 자석들이 장착되고, 전방에는 아름다운 테두리를 형성하여 자석들이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한층더 산뜻한 느낌을 주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액자의 후면에는 벽에 걸 수 있는 걸이홈이 가로나 세로방향으로 걸 수 있도록 가로측에 하나 그리고 세로측에 하나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로나 세로방향으로 바닥에 세울 수 있도록 거치용 막대가 삽입되는 거치홈들도 가로측과 세로측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어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어느방향으로나 벽에 걸 수 있고 바닥에도 세울 수 있는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rame having a push-release transparen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by one finger of one side edge of the transparent plate with one side edge portion of the pressing bottom plate corresponding to it, while the corresponding side of the transparent plate attached thereto As the attachment pieces are separated and separated, the transparent plate covering the photo can be easily separated.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mount or replace the photograph. In addition, the picture frame is formed by attaching small magnets to the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pressing plate provided in the transparent plate and the inside of the storage groove by forming an accommodating groove which is opened forward in a support frame such as beautiful wood or synthetic wood. Not only can you store your photos easily, but it also looks beautiful and neat. In particular, the four corners of the transparent plate is equipped with small magnets in the rear, and in front of the form a beautiful border to make the magnets invisible to give a more fresh feeling. In addition, the rear of the frame has a hanger that can be hung on the wall, one on the horizontal side and one on the vertical side to hang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Mounting grooves are also inserted into each of the horizontal side and the vertical side is provided with a simple structure, but also can be hung on the wall in any direction and can stand on the floor.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6782U KR200329359Y1 (en) | 2003-05-29 | 2003-05-29 | Picture frame having a push-seperation type of transparent pla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6782U KR200329359Y1 (en) | 2003-05-29 | 2003-05-29 | Picture frame having a push-seperation type of transparent plat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9359Y1 true KR200329359Y1 (en) | 2003-10-10 |
Family
ID=4933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6782U KR200329359Y1 (en) | 2003-05-29 | 2003-05-29 | Picture frame having a push-seperation type of transparent pla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9359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0892B1 (en) | 2007-11-14 | 2009-04-02 | 임정일 | A frame for powder picture |
-
2003
- 2003-05-29 KR KR20-2003-0016782U patent/KR200329359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0892B1 (en) | 2007-11-14 | 2009-04-02 | 임정일 | A frame for powder pi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1499911U (en) | Decorating frame component | |
US20070181771A1 (en) | Digital display insert for photo frames | |
USD496179S1 (en) | Shelf tray | |
USD452081S1 (en) | Picture frame | |
US3599361A (en) | Display frame for photos or the like | |
US5167085A (en) | Picture frame assembly | |
US4967499A (en) | Picture frame assembly | |
US5960573A (en) | Wall hanging picture frame | |
USD456620S1 (en) | Picture frame | |
KR200270217Y1 (en) | A magnatic type picture frame for changing picture conveniently | |
US20040016164A1 (en) | Interlocking frame assembly | |
KR200329359Y1 (en) | Picture frame having a push-seperation type of transparent plate | |
USD485349S1 (en) | Ceiling fan light kit | |
USD427440S (en) | Picture frame | |
USD496050S1 (en) | Front panel for electronic cabinet | |
CA2105504A1 (en) | Connectable picture frames | |
USD496689S1 (en) | Magnetic display board with transparent and label educational overlays | |
USD477300S1 (en) | Picture frame having a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 |
USD491733S1 (en) | Picture frame | |
USD431374S (en) | Autographed picture frame | |
KR200485877Y1 (en) | Multi functional picture frame | |
USD485702S1 (en) | Audio/video storage unit frame with wide, flat face and rounded corners | |
KR200188498Y1 (en) | Photo flame for display | |
USD521042S1 (en) | Digital camera | |
CN212268251U (en) | Multifunctional box for exhibition and shading stor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