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599Y1 -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 - Google Patents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599Y1
KR200327599Y1 KR20-2003-0018327U KR20030018327U KR200327599Y1 KR 200327599 Y1 KR200327599 Y1 KR 200327599Y1 KR 20030018327 U KR20030018327 U KR 20030018327U KR 200327599 Y1 KR200327599 Y1 KR 2003275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passage
water purifier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3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원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원메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원메이트
Priority to KR20-2003-00183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5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5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5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16K17/22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 압력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급수를 자동 차단하여 과도한 급수 압력에 의한 정수기의 파손을 방지하는 급수 차단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밸브는, 외주면 일측에서 중심부까지 관통하는 입·출수 통로(H1)(H2)와 이 두 통로를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 통로(HC)가 구비된 원반형 하판(21A)과, 하판(21A)의 외주연부로부터 상향 직립하여 연장된 원통형 하부 측벽(21B)으로 이루어진 하부 몸체(21)와; 하부 몸체의 하판(21A) 상면에 안착되며, 저면 중앙부에 원기둥형 돌기(22A)가 돌출 형성된 원판형 멤브레임(22)과; 중앙부에 관통공(H)이 형성된 원판형 상판(23A)과, 상판(23A)의 외주연부로부터 하향 직립하여 형성된 원통형 상부 측벽(23B)으로 이루어진 상부 몸체(23)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22A)에 의해 상기 입·출수 통로(H1)(H2)가 연결 또는 차단됨에 본 고안의 구조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밸브는 전기의 공급이 필요치 않으며, 급수 압력만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과도한 급수 압력에 의한 정수기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The valve of shutting off water supply for preventing the damage of water cleanning device}
본 고안은 급수 압력의 과도한 상승에 의해 정수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급수 차단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수도꼭지와 같이 최종적으로 공급된 물을 나오게 하거나 막아 주는 역할을 하는 급수기가 잠기는 경우 급수기에 걸리게 되는 급수 압력이 상기 급수기 입수 통로측으로 연결되는 급수 배관 중에 연결된 정수기에도 걸리게 되는 바, 정수기를 통과한 후 급수기 입수 통로측에서 분기된 후 정수기 입수 통로측으로 연결되는 리턴 배관과, 정수기 입수 통로측 급수 배관의 합류점에 설치되어 리턴 배관을 통한 리턴 압력과 급수 압력의 압력 차에 의해 내부의 멤브래인(membrane)이 자동적으로 동작되며, 상기 리턴 압력이 정수기 입수 통로측에 걸리게 되는 급수 압력과 동일한 압력이 되면 상기 멤브래인이 정수기 입수 통로측으로 공급되는 급수를 차단하도록 하여 급수기가 잠긴 경우 정수기에 결리게 되는 급수 압력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정수기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주는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에 관한 것이다.
산업 고도화와 함께 필연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각종 공해문제 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문제는 상수원의 오염문제로서, 상수원의 오염은 공장, 축산 농가 등에서배출되는 각종 오폐수와 생활 하수에 의하여 발생되고 있으며, 상수원 자체의 품질 저하와 함께 상수원 및 수돗물 공급 관로의 노후화와 아파트 등의 집단 주거 시설 증가는 각 가정에 공급되는 수돗물의 질을 더욱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즉, 수돗물 공급관로의 노후화는 철, 아연 등 각종 금속 이온과 녹의 공급원이 되고 있으며, 집단 주거 시설의 수돗물 저장 탱크는 각종 미생물과 세균의 서식 장소가 됨에 따라 공급되는 수돗물을 그대로 마실 수가 없는 실정이 되었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공급되는 수돗물을 그대로 음용하는 일은 거의 없고, 천연 생수를 구입하여 음용수로 사용하거나 다양한 방식의 각종 정수기를 사용하여 수돗물을 정수 후 음용수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근래에는 값비싼 정수기를 각 가정이 직접 구입하여 사용하지 않고, 한 달씩 사용료를 주고 사용하는 렌탈 정수기 사업이 개시되면서 정수기를 사용하는 가정이 급격히 확대되고 있으나, 정수기를 사용함에 따라 다음과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정수기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정수기로 입수되는 급수 압력이 일정 압력으로 유지되어야만 하며, 압력이 일정치 않을 경우에는 정수 효율이 떨어지거나 정수기가 파손될 수가 있는 바, 특히 급수 압력이 정수기로의 규정 압력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 문제가 된다.
즉, 정수기로 입수되는 급수 압력이 정수기의 규정 압력을 초과하게 되면 정수기가 파손될 수 있게 되며, 정수기의 파손 부위를 통하여 물이 누수됨에 따라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정수기가 설치된 가정의 실내가 물에 잠기게 되어 각종 가정용품들이 손상되거나 전기 합선 등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게 될 수도 있게 된다.
특히, 아파트와 같이 고증 건물의 경우 그 위치에 따라 급수기에 걸리게 되는 수압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수압이 큰 층에 위치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은 상기와 같은 문제가 더욱 크게 된다.
따라서, 급수 압력에 의해 정수기가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주로 압력 센서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였는 바,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정수기가 설치되는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외부로부터 실내로 들어오는 급수 배관(P)은 솔레노이드 밸브(11), 정수기(12), 정수기를 통한 물(W)이 최종적으로 나오게 되는 급수기(14)에 연결되며, 상기 정수기(12)와 급수기(14) 사이의 급수 배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압력 센서(13)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기(14)가 잠겨져 있는 경우 급수 압력이 상승하여 기준 압력 보다 높게 되면 압력 센서가 이를 감지한 후 솔레노이드 밸브에 신호를 보내 밸브를 닫음으로써 정수기에 걸리게 되는 급수 압력의 과도한 상승을 막음으로써 정수기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기적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정전시에는 작동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연결 구조는 정전시 급수 압력이 기준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는 경우 정수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실제로 과도한 급수 압력에 의한 정수기의 파손과 그에 따른 정수기 사용 가정의 손해 및 그에 따른 정수기 업체의 배상 사례가 다수 있는 실정이다.
물론, 솔레노이드 밸브 전에 수동 밸브를 설치하여 사람이 집을 비울 경우 차단 밸브를 잠그거나, 사림이 있는 경우 정수기 파손시 급수를 수동으로 차단하여 그 피해를 중일 수도 있으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번거러울 뿐 아니라, 사용 중 과압에 의한 정수기 파손 후의 누수 피해를 최소화할 수는 있으나, 과압에 의한 정수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정수기 사용상의 연결 구조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급수기와 정수기 사이로부터 분기된 후 정수기 입수 통로측 급수 배관으로 연결되는 리턴 배관과 정수기 입수 통로측 급수 배관의 합류점에 설치되어 정수기 입수 통로측에 걸리는 압력과 리턴 배관의 리턴 압력에 의해 정수기 입수 통로측으로 가는 내부 급수 통로를 개폐시킴으로써, 급수기가 열리거나 닫힌 상태에서 정수기에 걸리는 급수 압력이 일정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내부 급수 통로를 막아 급수를 중지시킴으로써, 정수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정수기의 설치 연결도.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 밸브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 밸브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일실시예 밸브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일실시예 밸브의 분리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일실시예 밸브의 설치 연결도.
도 7은 본 고안 일실시예 벨브의 동작 상태를 보인 것으로,
(가)는 멤브래인이 열린 상태를 보인 단면이고,
(나)는 멤브래인이 닫힌 상태를 보인 단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본 고안 밸브 11. 솔레노이드 밸브
12. 정수기 13. 압력 센서
14. 급수기 21. 하부 몸체
22. 멤브래인 23. 상부 몸체
61. 체크 밸브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고탄성 멤브래인과 3방향 연결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는, 몸체와 그 내부에 결합되는 고탄성 재질의 멤브래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 내부에는 외부로 통하는 3방향의 통로가 구비되고, 3방향 통로가 하나로 만나게 되는 몸체 내부 공간에 실리콘과 같이 탄성을 가지며 내수성이 우수한 동시에 유연한 재질의 멤브래인이 결합된 구조이다.
본 고안의 밸브 몸체는 상·하부 몸체로 구성되며, 몸체에 구비된 상기 3방향 통로 중 2방향 통로는 하부 몸체에 구비되어 각각의 중심축이 상·하로 지면에 평행한 상태로서, 일측의 입수 통로가 하부에, 타측의 출수 통로가 상부에 위치하는 바, 상기 입·출수 통로의 하부 몸체 외주면측 외측 단부에 구비된 배관 연결용 니쁠(nipple)에 의해 급수 배관에 각각 연결되며, 급수 배관에 연결되어 하부 몸체 외주면에서 중심부측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진행한 상기 입수 통로의 내측 단부로부터 하부 몸체의 상면을 통하여 수직하게 상향 개방되도록 연결 통로가 연장 형성되고, 연결 통로 내주면 상부에 상기 출수 통로의 내측 단부가 연결된 후 외측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뻗은 구조이다.
그리고, 다른 한 방향 통로는 상부 몸체에 구비되어 급수기측에서 리턴된 물을 받아들이게 되는 리턴 입수 통로로서, 상기 두 방향 통로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며, 상·하부 몸체 사이에 결합되는 상기 멤브래인의 저면에는 원기둥형 돌기가 돌출되어 연결 통로 내부로 삽입되고, 돌기의 외주면이 출수 통로의 내측 단부를 막고 있는 구조로서, 밸브에 부여되는 급수 압력과 리턴 압력 사이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멤브레인의 중앙부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그 돌기에 의해 입·출수 통로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함에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지면에 수직한 연결 통로에 의해 각 내측 단부가 연결됨으로써 상·하 평행한 상기 입·출수 통로가 밸브 내의 급수 통로가 되며, 입·출수 통로의 방향에 직각인 리턴 입수 통로는 정수기를 통과한 후 급수기를 통하여 사용되지 못한 물을 정수기 전의 급수 배관 측으로 되돌리는 리턴 배관에 연결되는 리턴 입수 통로인 바, 상기 멤브래인은 기본적으로 상기 입·출수 통로를 그 저면 하부에, 리턴 입수 통로를 그 상면 상부에 위치하도록 완전 격리시키는 동시에, 멤브래인 저면의 돌기가 상기 입·출수 통로의 연결을 탄성적으로 막고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 고안 밸브 내부의 상기 멤브래인은 급수 압력과 리턴 압력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 바, 탄성적으로 입수 통로와 출수 통로를 차단하고 있던 멤브래인이 급수 압력에 의해 들리면서 입수 통로와 출수 통로가 연결됨으로써 정수기를 통과하여 급수기측으로 물이 흐르게 되고, 급수기가 잠기게 되면 급수기로 공급된 물이 리턴 배관을 통하여 본 고안의 밸브 내부로 되돌려지게 된다.
따라서, 급수기가 잠긴 상태에서 점차 급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리턴 입수 통로를 통한 리턴 압력과 입수 통로를 통한 급수 압력이 멤브래인의 양 면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며, 상기 리턴 압력에는 멤브래인의 탄성력이 합해지기 때문에 급수 압력 보다 큰 값을 갖게 되는 바, 그 결과 멤브래인이 리턴 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움직여 입수 통로와 출수 통로의 연결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정수기에 걸리게 되는 급수 압력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밸브는, 급수기를 사용시 급수 압력에 의해 멤브래인이 들림으로써 입수 통로와 축수 통로의 차단이 해제되며, 급수기가 잠져 배관 내의 급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이 압력이 리턴 압력으로 작용하여 멤브래인을 누름으로써 입수 통로와 축수 통로를 차단하여 정수기에 걸리게 되는 급수 압력의 과도한 상승을 막아 정수기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에 본 고안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의 사시도를, 도 3에 분리 사시도를, 도 4에 단면도를, 도 5에 분리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밸브는, 외주면 하부 일측에서 중심부까지 관통하는 입수 통로(H1)와 이 입수 통로(H1)의 내측 단부에서 상향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을 관통하는 연결 통로(HC)와 이 연결 통로(HC)의 내주면 상부에 내측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입수 통로(H1)와 평행한 중심축을 갖도록 외주면 상부 타측을 관통하는 출수 통로(H2)가 구비되고 상기 입수 통로(H1)와 출수 통로(H2)의 외주면측 각 외측 단부에 연장되어 외주면에 직립하는 한 쌍의 급수 배관 연결용 하부 니쁠(N1)(N2)이 구비된 원반형 하판(21A)과, 하판(21A)의 외주연부로부터 상향 직립하여 연장형성되며 하판(21A)과 이루는 전체 외주면에 상·하 방향의 중공(h)이 형성된 다수의 파이프형 하부 브라케트(B1)가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하부 측벽(21B)으로 이루어진 하부 몸체(21)와;
상기 하부 몸체의 원반형 하판(21A) 상면 전체에 걸쳐 안착되며, 저면 중앙부에 상기 연결 통로(HC) 내부로 삽입되는 원기둥형 돌기(22A)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연부와 돌기(22A) 사이에 외주연부와 동심원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w)이 형성된 원판형 멤브레임(22)과;
상면 중앙부를 관통하는 관통공(H)과, 관통공을 둘러싸며 상면에 직립 돌출하여 내부에 리턴 입수 통로(H3)를 형성하는 배관 연결용 상부 니쁠(N3)이 구비된 원판형 상판(23A)과, 상판(23A)의 외주연부로부터 하향 직립하여 형성되며 각 하단면이 상기 하부 브라케트(B1)의 각 상단면과 밀착되어 볼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하 방향의 중공(h')이 형성된 다수의 파이프형 상부 브라케트(B2)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측벽(21B)과 형합되는 원통형 상부 측벽(23B)으로 이루어진 상부 몸체(23)로 구성된다.
이때, 쌍을 이루어 상·하단면이 밀착되는 상·하부 브라케트(B2)(B1)는 각각의 중공(h')(h)을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으나, 둘(h')(h) 중 어느 한 중공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시킴으로써,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중공을 관통한 볼트의 일측단부가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에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하부 브라케트(B2)(B1)를 구비하지 않고 상·하부 몸체를 나사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결합할 수도 있으며, 상기 하부 니쁠(N1)(N2)과 상부니쁠(N3) 역시 입·출수 통로의 외측단부 및 관통공(H)에 나사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멤브래인(22)은 그 저면이 하부 몸체(21)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그 상면 테두리부를 따라 놓여진 오링(O-ring)(R)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부 측벽(23B)의 하단면에 의해 눌려져 상기 테두리부 저면이 상기 하부 몸체(21)의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상·하부 몸체 내부가 서로 완전히 격리되어 두 공간 사이의 누수가 방지되는 구조이나, 상기 상부 측벽(23B)의 길이를 늘림으로써 상기 오링(R)이 없는 상태에서도 멤브래인의 테두리부 저면을 하부 몸체의 상면에 밀착시킬 수도 있으며, 그 외의 방법들도 관계는 없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밸브(2)는, 급수기가 잠겼을 경우 정수기를 통과한 물이 정수기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체크 밸브와 함께 사용되는 바, 도 6에 의거하여 그 연결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밸브(2)는 정수기(12), 체크 밸브(61) 및 급수기(14)를 연결하는 급수배관(P)에서 정수기 앞에 설치되며, 상기 체크 밸브(13)와 급수기(14) 사이에서 분기되는 라턴 배관(PR)이 본 고안 밸브의 상부 니쁠(N3)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물을 사용할 때, 즉 급수기(14)가 열린 경우에는 일측 하부 니쁠(N1)을 통한 급수 압력에 의해 도 8의 (가)와 같이 멤브래인(22)의 중앙부가 들려 그 저면의 돌기(22A)가 출수 통로(H2) 상부측으로 상향 이동하면서 연결 통로(HC)에 의해 입·출수 통로(H1)(H2)가 연결됨으로써, 타측 하부 니쁠(N2)을 통하여 정수기와 급수기측으로 물이 공급되며, 급수기가 닫히는 경우에는 체크 밸브를 통한 공급수가 리턴 배관(PR)과 상부 니쁠(N3)을 통하여 본 고안 밸브의 내부로 흐르게 된다.
이때, 하부 몸체의 상면과 투영 면적이 같은 멤브래인이 들리는 것은 멤브래인이 탄성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며,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 상기 멤브래인의 주름(w)인 바, 급수 압력에 의해 멤브래인이 들리는 경우 상기 주름이 탄성적으로 펴짐으로써 멤브래인이 더욱 효과적으로 들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급수기가 닫혔을 경우 멤브래인의 저면에 작용하는 급수 압력과 멤브래인의 상면에 작용하는 리턴 압력과 같게 되나, 들어 올려진 멤브래인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려고 하는 멤브래인의 탄성력이 리턴 압력에 더해짐으로써, 멤브래인을 들어 올리는 압력 보다 멤브래인을 누르는 압력이 더 크게 되고, 그 결과 멤브래인의 저면에 돌출된 돌기가 하강하여 입·출수 통로의 연결을 차단하게 된다.
즉, 들려졌던 멤브래인이 원래의 위치로 회복되면서 밸브 내의 상기 입·출수 통로가 차단되어 급수가 중단됨으로써, 정수기에 걸리게 되는 급수 압력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하부 몸체(21)의 연결 통로(HC)에서 압력차에 따른 멤브래인 돌기(22A)의 자유로운 상·하 왕복 이동을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돌기(22A)의 직경은 연결 통로(HC)의 내경 보다 다소 작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돌기(22A)의 외주면과 연결 통로(HC)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입수 통로(H1)와 출수 통로(H2)가 연결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 통로(HC)의 내경을 줄이면서 그 상단면이 돌기(22A)의 저면에 밀착되는 환상의 단턱부(도면 부호 미부착)를 연결 통로(HC)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는 전기의 힘으로 동작되지 않고 급수 압력만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폐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비가 필요 없으며, 전기의 공급 여부와 같은 외부 여건에 관계 없이 최적의 상태로 정수기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내부에 멤브래인이 구비된 밸브에 있어서, 외주면 일측에서 중심부까지 관통하는 입수 통로(H1)와 입수 통로(H1)의 내측 단부에서 수직 연장된 상향 개방형 연결 통로(HC) 및 연결 통로(HC)의 상부에서 외주면 타측으로 관통하는 출수 통로(H2)가 형성된 원반형 하판(21A)과, 하판(21A)의 외주연부로부터 상향 직립하여 공통 외주면을 형성하는 원통형 하부 측벽(21B)으로 이루어진 하부 몸체(21)와;
    상기 하부 몸체(21)의 하판(21A) 상면에 안착되며, 저면 중앙부에 상기 연결 통로(HC) 내부로 삽입되는 원기둥형 돌기(22A)가 돌출 형성된 원판형 멤브레임(22)과;
    중앙부에 관통공(H)이 형성된 원판형 상판(23A)과, 상판(23A)의 외주연부로부터 하향 직립하여 형성되며 상기 하부 측벽(21B)과 형합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상부 측벽(23B)으로 이루어진 상부 몸체(2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수 통로(H1)의 외측 단부와 상판의 관통공(H)에는 각각 배관 연결용 하부 니쁠(N1)(N2)과 상부 니쁠(N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수 통로(H1)(H2)의 각 중심축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임(22)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임(22)의 외주연부와 돌기(22A) 사이에는 외주연부와 동심원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w)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21)의 연결 통로(HC) 내주면에는 그 상단면이 멤브래인 돌기(22A)의 저면에 밀착되는 환상의 단턱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21)와 상부 몸체(23)의 각 외주면에는, 각각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밀착되며 동일 중심축을 갖는 각각의 중공(h)(h')이 구비된 파이프형 다수 하부 브라케트(B1)와 다수 상부 브라케트(B2)가 돌출되어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브라케트(B2)(B1)의 각 중공(h')(h) 중의 어느 한 중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임(22)의 테두리 상면과 상부 측벽(23B)의 하단면 사이에는 오링(R)이 부가적으로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
KR20-2003-0018327U 2003-06-11 2003-06-11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 KR2003275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327U KR200327599Y1 (ko) 2003-06-11 2003-06-11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327U KR200327599Y1 (ko) 2003-06-11 2003-06-11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599Y1 true KR200327599Y1 (ko) 2003-09-26

Family

ID=4941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327U KR200327599Y1 (ko) 2003-06-11 2003-06-11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5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57825A1 (en) * 2022-04-06 2023-10-11 Goodrich Corporation Diaphragm
KR102622066B1 (ko) 2023-05-22 2024-01-09 (주)클로우 정수기용 안전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57825A1 (en) * 2022-04-06 2023-10-11 Goodrich Corporation Diaphragm
KR102622066B1 (ko) 2023-05-22 2024-01-09 (주)클로우 정수기용 안전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3474B2 (en) Pressure equalizing check valve
US4305423A (en) Combination stop and pressure reducing valve
US5701926A (en) Backflow prevention device and vacuum breaker for kitchen plumbing
US3155107A (en) Vacuum breaker
WO2007146083A2 (en) Backflow preventer valve
US9403125B2 (en) Valve with air-gap provision to prevent backflow
US5975133A (en) Emergency water tank reservoir system
US2013003711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mergency water storage
US6969460B2 (en) Graywater diverter vessel assembly
USRE26235E (en) Woodford vacuum breaker
CN104595531A (zh) 一种自来水、净化水的双用水龙头及非承压式净水装置
KR200327599Y1 (ko) 정수기 파손 방지용 급수 차단 밸브
US4284102A (en) Combination stop and pressure reducing valve
JPH04213634A (ja) 給水栓装置
KR20070060948A (ko) 3-way 수질 제어 밸브
EP1567812B1 (en) Electric and solar water-heater supply and relief system
US3086543A (en) Vacuum breaker
KR20110091255A (ko) 체크밸브 내장형 배관 분기용 연결구
WO2013005086A2 (en) Device for dosing chemical reagents in heating systems
US3565112A (en) Means for water conditioning
US2892464A (en) Back flow preventer
KR100370603B1 (ko) 냉난방 배관의 가스 제거장치
CN216075376U (zh) 一种防臭水槽下水塞
CN213176919U (zh) 多保空气阻断器
US11859832B2 (en) Gray water heat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