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083Y1 - A discharge lamp apparatus - Google Patents

A discharge lamp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083Y1
KR200327083Y1 KR20-2003-0020794U KR20030020794U KR200327083Y1 KR 200327083 Y1 KR200327083 Y1 KR 200327083Y1 KR 20030020794 U KR20030020794 U KR 20030020794U KR 200327083 Y1 KR200327083 Y1 KR 200327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lamp
coupling
main frame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79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정
Original Assignee
이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정 filed Critical 이기정
Priority to KR20-2003-0020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08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083Y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Abstract

본 고안은, 방전램프를 갖는 방전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벽면이나 천정에 접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며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방전램프를 벽면이나 천정 등에 고정하며,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플레이트 판면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결합슬롯이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방전램프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방전램프로부터의 빛을 투과시키며, 상호 대향되는 적어도 한 쌍의 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을 향해 절곡된 측면부를 갖는 투광커버와; 상기 메인프레임을 향해 절곡된 상기 투광커버의 각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판면에 평행하게 형성된 결합면을 가지고, 상기 결합면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결합슬롯에 수용되는 결합편이 장착된 결합부재와; 상기 투광커버의 측면에 이웃하는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투광커버와 함께 상기 방전램프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그 양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을 위해 판면으로부터 돌출한 돌출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커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방전램프를 통한 빛이 보다 넓은 영역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명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편과 결합슬롯을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물을 이용하여 투광커버를 메인프레임에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e lamp device having a discharge lamp, the plate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r the ceiling, is formed bent from the plate and has a flange to fix the discharge lamp to the wall surface or ceiling, etc., the plate plate surface on the flange A main frame in which coupling slots penetrating along the direction are formed; A floodlight cover disposed in front of the discharge lamp to transmit light from the discharge lamp, and having a side portion at least one pair of opposite ends bent toward the main frame; A coupling surface coupled to each end of the floodlight cover bent toward the main frame, the coupling surface being bent from the end to be parallel to the plate surface of the main frame, and the coupling surface accommodates the coupling slot of the main frame; A coupling member mounted with a piece; At least one cover frame coupled to an end portion adjacent to a side of the floodlight cover to form a receiving space of the discharge lamp together with the floodlight cover, and at both ends of which a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a plate for coupling the coupl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s a result, the light through the discharge lamp can be irradiated to a wider area, thereby improving the effect of illumin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mbine the floodlight cover to the mainframe using a simple structure using a coupling piece and a coupling slot. can do.

Description

방전램프 장치{A discharge lamp apparatus}Discharge lamp apparatus

본 고안은, 방전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전램프로부터의 빛이 조사되는 영역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명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메인프레임과 투광커버와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조립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전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e lamp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increase the area irradiated with light from the discharge lamp, to improve the lighting effect, and to combine the main frame and the floodlight cover Disclosed is a discharge lamp device that can simplify the assembly work by improving the structure.

일반적으로 형광램프로 통칭되는 방전램프는 방전효과에 의해 형광물질을 자극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일종으로서, 근래에는 단순한 조명의 차원을 넘어 일반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인테리어의 목적으로 설치되어 시각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A discharge lamp, commonly referred to as a fluorescent lamp, is a kind of lighting fixture that uses the principle of generating light by stimulating a fluorescent material by the discharge effect. In recent years, the lamp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interiors in general homes or businesses beyond simple lighting. It is to be able to express visual effect.

이러한 방전램프 장치는, 일반적으로 국내 실용신안출원 제 2002-3310호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천장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방전램프를 천장 등의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메인프레임과, 방전램프로부터의 빛을 투과시키는 판상의 투광커버와, 투광커버를 메인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커버프레임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커버프레임은 메인프레임과 투광커버를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키는 역할을 하여 방전램프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Such a discharge lamp device, as disclosed in the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02-3310, 'Easily Assembled and Dismantled', the main frame for fixing the discharge lamp to the wall, such as the ceiling, and from the discharge lamp It has a plate-shaped light transmission cover for transmitting the light of the, and a cover frame for fixing the light transmission cover to the main frame. Here, the cover frame serves to space the main frame and the floodlight cov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discharge lamp can be accommodated.

이러한 종래의 방전램프 장치에서 방전램프로부터의 빛은 판상의 투광커버만을 투과하여 조사되며, 커버프레임에 의해 방전램프의 측부 영역으로는 빛의 투과가 제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방전램프가 설치되는 벽면이나 천정면은 빛이 조사되지 아니하여 전체적으로 실내의 분위기가 어두워지며, 방전램프로부터의 빛이 벽면이나 천정면에 의해 반사되어 형성되는 간접조명 효과도 얻을 수 없게 된다.In such a conventional discharge lamp device, the light from the discharge lamp is irradiated through only the plate-shaped floodlight cover, the light transmission is limited to the side region of the discharge lamp by the cover frame. As a result, the wall or ceiling surface where the discharge lamp is installed is not irradiated with light, and the atmosphere of the room becomes dark overall, and the indirect lighting effect that is formed by reflecting light from the discharge lamp by the wall or ceiling surface cannot be obtained. do.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투광커버의 중앙영역을 완만하게 돌출시킨 형태로 제작하거나, 투광커버의 각 단부를 커버프레임과 평행하게 절곡시켜 설치함으로써, 투광커버의 측부영역으로 빛이 투과하도록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책들은 상기의 실용신안과 마찬가지로 커버프레임이 방전램프의 네 측부를 모두 차단하고 있다는 점에서 커버프레임에 의한 빛의 투과 제한을 해소할 수 없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disadvantages, the center area of the floodlight cover is gently projected, or each end of the floodlight cover is bent and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cover frame, so that light is transmitted to the side area of the floodlight cover. I use it. However, these improvements could not solve the limitation of light transmission by the cover frame in that the cover frame blocks all four sides of the discharge lamp as in the above-described utility model.

따라서 방전램프로부터의 빛이 좀더 넓은 영역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allow the light from the discharge lamp to be irradiated to a wider area.

한편, 종래에는 메인프레임에 커버프레임과 투광커버를 고정하기 위해서, 커버프레임을 메인프레임에 나사결합시키고, 투광커버는 커버프레임에 나사결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그러나 이렇게 천정이나 벽면에 메인프레임을 나사로 체결한 다음, 다시 메인프레임에 커버프레임과 투광커버를 순차적으로 나사결합시키는 작업은, 나사결합시 양손을 다 사용하여야 하는 관계로 혼자서는 하기 힘든 작업이며, 작업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in order to fix the cover frame and the floodlight cover to the mainframe, it was common to use a method of screwing the coverframe to the mainframe, screwing the floodlight cover to the coverframe. However, screwing the mainframe to the ceiling or the wall with screws, and then screwing the cover frame and the floodlight cover onto the mainframe sequentially, is difficult to do alone because it requires the use of both hands when screwing together.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work is cumbersome.

일부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커버프레임의 양측 벽면에 레일을 형성하여 투광커버의 단부를 레일에 수용시킨 다음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투광커버를 커버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투광커버의 크기가 일정 이상이 되면 투광커버를 레일에 수용시키는 작업도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투광커버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중량이 증가하면 외부의 충격이나 투광커버의 변형에 의해 투광커버가 레일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있으므로, 대형의 방전램프 장치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Some have proposed a method of fixing the floodlight cover to the coverframe by forming rails on both side walls of the coverframe to accommodate the ends of the floodlight cover and then sliding the rails. However, this method is not only easy to accommodate the floodlight cover on the rail when the size of the floodlight cover is more than a certain size, but also increases the weight as the size of the floodlight cover increases, resulting in external impact or deformation of the floodlight cover. Since the floodlight cover may be separated from the rail,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used for a large discharge lamp device.

이에 따라, 방전램프 장치의 조립공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Accordingly, a method for simplifying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discharge lamp device should be provided.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방전램프로부터의 빛이 조사되는 영역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명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전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charge lamp device that can improve the lighting effect by enabling to increase the area irradiated with light from the discharge lamp.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메인프레임과 투광커버와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조립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전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charge lamp device that can simplify the assembly work by improv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main frame and the floodlight cov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전램프 장치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e lam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투광커버 영역의 분해사시도,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loodlight cover region of FIG. 1;

도 3은 도 2의 결합부재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member of FIG.

도 4는 도 1의 메인프레임과 투광커버의 배면 결합사시도이다.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frame and the floodlight cover of Figure 1;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투광커버 15 : 측면10: Floodlight 15: Side

20 : 메인프레임 21 : 플레이트20: mainframe 21: plate

23 : 플랜지 25 : 결합슬롯23 flange 25 coupling slot

30 : 커버프레임 31 : 안착리브30: cover frame 31: seating rib

33 : 제1안착턱 35 : 결합레일33: first seating jaw 35: coupling rail

37 : 돌출부 40 : 결합부재37: protrusion 40: coupling member

41 : 결합면 43 : 지지면41: engagement surface 43: support surface

45 : 수용레일 47 : 제2안착턱45: receiving rail 47: second seating jaw

50 : 결합편 51 : 파지편부50: coupling piece 51: gripping piece

53 : 잠금편부53: locking piece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방전램프를 갖는 방전램프 장치에 있어서, 벽면이나 천정에 접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며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방전램프를 벽면이나 천정 등에 고정하며,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플레이트 판면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결합슬롯이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방전램프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방전램프로부터의 빛을 투과시키며, 상호 대향되는 적어도 한 쌍의 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을 향해 절곡된 측면부를 갖는 투광커버와;상기 메인프레임을 향해 절곡된 상기 투광커버의 각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판면에 평행하게 형성된 결합면을 가지고, 상기 결합면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결합슬롯에 수용되는 결합편이 장착된 결합부재와; 상기 투광커버의 측면에 이웃하는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투광커버와 함께 상기 방전램프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그 양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을 위해 판면으로부터 돌출한 돌출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커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scharge lamp device having a discharge lamp, the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wall or ceiling, and formed by bending from the plate and having a flange to fix the discharge lamp to the wall or ceiling, etc. A main frame having a coupling slot formed to extend in the plate plate direction; A floodlight cover disposed in front of the discharge lamp to transmit light from the discharge lamp, and having a side portion at least one pair of opposite ends bent toward the main frame;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each end of the cover, the coupling member being bent from the end and having a coupling surface formed parallel to the plate surface of the main frame, the coupling surface having a coupling member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slot of the main frame; At least one cover frame coupled to an end portion adjacent to a side of the floodlight cover to form a receiving space of the discharge lamp together with the floodlight cover, and at both ends of which a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a plate for coupling the coupling member; It is achieved by a discharge lamp device comprising a.

상기 커버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연부에는, 상호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돌출된 한 쌍의 리브에 의해 상기 투광커버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레일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t one side edg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frame, a coupling rail to which the ends of the floodlight cover are coupled by a pair of ribs protruding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상기 커버프레임의 상기 결합레일에 대항되는 타측 연부에는 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리브보다 소정 폭만큼 더 돌출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제1안착턱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 first seating jaw in which the flange of the main frame is seated is formed at the other edge of the cover frame, which protrudes more than the ri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of the cover frame.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면의 일측 단부에는 'ㄴ'자 형상의 제2안착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안착턱은 상기 제1안착턱과 동일한 판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플랜지가 안착될 수 있다.A second seating jaw having a 'b' shap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upling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and the second seating jaw is disposed on the same plate surface as the first seating jaw, and the flange of the main frame is seated. Can be.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subject innovation.

본 방전램프 장치는, 투광커버의 단부를 절곡시켜 측면부를 형성하고, 측면부에는 커버프레임을 장착하지 아니함으로써, 투광커버의 측면부를 통해 방전램프로부터의 빛이 투과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방전램프의 빛이 조사되는 범위가 증가하여 조명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투광커버에는 메인프레임에 접근가능한 결합편을 형성하고, 메인프레임에는 결합편이 수용되는 결합슬롯을 형성함으로써, 결합편을 결합슬롯에 수용시키는 작업만으로 간편하게 투광커버를 메인프레임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discharge lamp device is bent the end of the floodlight cover to form a side portion, and by not mounting a cover frame on the side portion, the light from the discharge lamp is transmitted through the side portion of the floodlight cover. Accordingly, the light irradiation range of the discharge lamp is increased to further improve the lighting effect. In addition, by forming a coupling piece accessible to the main frame on the floodlight cover, and forming a coupling slot to accommodate the coupling piece on the main frame, so that the projection cover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main frame only by accepting the coupling piece in the coupling slot. do.

이하에서는 사각의 메인프레임과 투광커버를 갖는 방전램프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본 방전램프 장치의 형상은 후술할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discharge lamp having a rectangular main frame and a floodlight cov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the shape of the discharge lamp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방전램프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20)과, 방전램프로부터의 빛이 투과되는 투광커버(10)와, 투광커버(10)의 지지를 위한 한 쌍의 커버프레임(30)과, 투광커버(10)의 일측에 장착되며 투광커버(10)와 메인프레임(20)을 결합시키는 한 쌍의 결합부재(40)를 포함한다.1 and 2, the discharge lamp device includes a main frame 20 fixed to a ceiling or a wall, a floodlight cover 10 through which light from the discharge lamp is transmitted, and a floodlight cover 10. A pair of cover frame 30 for the support of, and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floodlight cover 10 and includes a pair of coupling members 40 for coupling the floodlight cover 10 and the main frame 20.

메인프레임(20)은, 일측으로 긴 사각판상으로 형성되며, 천정이나 벽면에 접하는 플레이트(21)와, 플레이트(21)의 각 연부로부터 절곡되어 소정 폭만큼 연장된 플랜지(23)를 형성한다. 플레이트(21)의 일측 단부 영역에는 방전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램프소켓(24)이 장착되어 있고, 플레이트(21)의 타측 단부 영역에는 방전램프를 파지하여 지지하기 위한 램프홀더(26)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21)에는 전선의 인출을 위한 전선인출공(27)과, 메인프레임(20)을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의 장착을 위한 볼트공(28) 등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21)로부터 절곡된 플랜지(23)에는 플레이트(21)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플랜지(23)를 관통하는 결합슬롯(25)이 플레이트(21)의 판면방향을 따라 길게절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슬롯(25)에는 후술할 결합편이 수용되어 투광커버(10)를 메인프레임(20)에 결합시키게 된다.The main frame 20 is formed in a long rectangular plate shape to one side, and forms a plate 21 in contact with a ceiling or a wall, and a flange 23 bent from each edge of the plate 21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width. A lamp socket 24 for supplying power to the discharge lamp is mounted in one end region of the plate 21, and a lamp holder 26 for holding and supporting the discharge lamp is provided in the other end region of the plate 21. It is installed. The plate 21 is provided with a wire drawing hole 27 for drawing wires and a bolt hole 28 for mounting bolts for fixing the main frame 20 to a ceiling or a wall. In the flange 23 bent from the plate 21, coupling slots 25 penetrating through the flange 23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21 are formed by cutting along the plate surface direction of the plate 21. In the coupling slot 25, a coupling piece to be described later is accommodated to couple the floodlight cover 10 to the main frame 20.

투광커버(10)는, 일측으로 긴 판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양 단부가 완만하게 절곡되어 한 쌍의 측면부(15)를 형성하고 있다. 투광커버(10)는 방전램프로부터의 빛이 투과할 수 있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된다.The floodlight cover 10 is formed in a long plate shape on one side, and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gently bent to form a pair of side portions 15. The floodlight cover 10 is formed of a translucent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from the discharge lamp can pass.

이러한 투광커버(10)의 각 측면부(15)에 이웃하는 양 측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커버프레임(30)은, 투광커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판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 단부는 투광커버(10)의 측면부(15)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원호상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프레임(30)의 일측면에는 그 연부로부터 절곡된 안착리브(31)가 커버프레임(30)의 둘레를 따라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연부에는 안착리브(31)와 평행하게 돌출한 안내리브(36)가 형성되어 있고, 안착리브(31)와 안내리브(36) 사이에는 투광커버(10)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레일(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리브(36)가 형성되지 아니한 타측 연부에는 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리브(31)와 소정 간격 이격되고, 안착리브(31)보다 소정 폭만큼 더 돌출한 제1안착턱(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안착턱(33)에는 메인프레임(20)과 투광커버(10)의 결합시 메인프레임(20)의 플랜지(23)가 안착된다.A pair of cover frames 30 coupled to both side portions adjacent to each side portion 15 of the floodlight cover 10 is formed in a long plat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odlight cover 10, both ends thereof It is formed of an arcuate curved surface so as to be coupled to the side portion 15 of the floodlight cover 10. A seating rib 31 bent from the edge thereof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frame 30 over the entire area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frame 30, and a seating rib 31 is formed at one edge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uide rib 36 protruding in parallel is formed, and a coupling rail 35 to which an end of the floodlight cover 10 is coupled is formed between the seating rib 31 and the guide rib 36. In addition, a first seating jaw 33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rib 31 by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of the other side edge where the guide rib 36 is not formed, and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width more than the seating rib 31. Formed. The flange 23 of the main frame 20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jaw 33 when the main frame 20 and the floodlight cover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이러한 커버프레임(30)에 고정되는 결합부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커버(10)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통상으로 형성되며, 투광커버(10)의 측면부(15)와의 연장선상에서 완만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투광커버(10)의 측면부(15)에 대응되는 곡면을 형성하는 결합면(41)과, 결합면(4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결합면(41)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면(43)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member 40 is fixed to the cover frame 30, as shown in Figure 3, is formed in a conventional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width of the floodlight cover 10, the side portion of the floodlight cover 10 A mating surface 41 formed in a shape that is gently bent on an extension line with the 15 to form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ide portion 15 of the floodlight cover 10, and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ting surface 41; And a supporting surface 43 which forms a space between the engaging surface 41.

여기서, 결합면(41)의 단부에는 금속재질의 결합편(50)과, 결합편(50)이 결합면(41)의 판면을 따라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면(41)에 장착시키는 베이스판(55)이 결합되어 있다. 결합편(50)은 베이스판(55)과 평행한 잠금편부(53)와, 잠금편부(53)로부터 절곡기립되어 결합편(50)의 회동시키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하는 파지편부(51)로 형성되며, 베이스판(55)과 잠금편부(53)의 일측 단부는 부시에 의해 상호 관통결합되어 결합편(50)이 베이스판(55)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한다.Here, at the end of the coupling surface 41, the coupling piece 50 made of metal and the base plate 55 mounted on the coupling surface 41 so that the coupling piece 50 can rotate along the plate surface of the coupling surface 41. ) Is combined. Coupling piece 50 is formed of a locking piece portion 53 parallel to the base plate 55, and a gripping piece portion 51 that is bent from the locking piece portion 53 to serve as a handle for rotating the coupling piece (50) One end of the base plate 55 and the locking piece 53 is coupled to each other by a bush so that the coupling piece 5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55.

이러한 결합편(50)이 장착된 결합면(41)의 일측 단부에는 'ㄴ'자 형상의 제2안착턱(4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안착턱(47)은 결합부재(40)를 커버프레임(30)에 결합시 커버프레임(30)의 제1안착턱(33)과 동일한 판면 상에 위치하게 되며, 제1안착턱(33)과 마찬가지로 메인프레임(20)의 플랜지(23)가 안착된다. 그리고 지지면(43)의 투광커버(10)를 향한 일단부에는 투광커버(10)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레일(45)이 형성되어 있다.At one end of the coupling surface 41 on which the coupling piece 50 is mounted, a second seating jaw 47 having a 'b' shape is formed. The second seating jaw 47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te surface as the first seating jaw 33 of the cover frame 30 when the coupling member 40 is coupled to the cover frame 30, and the first seating jaw ( 33, the flange 23 of the main frame 20 is seated. At one end of the support surface 43 facing the floodlight cover 10, a receiving rail 45 for receiving the end of the floodlight cover 10 is formed.

한편, 이러한 결합부재(40)의 장착을 위해, 커버프레임(30)의 양 단부 영역에는 결합부재(40)의 결합면(41)과 지지면(43)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부재(40)를 고정하는 돌출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7)는, 결합면(41)과 지지면(43)의 내벽면에 접하도록 맞춤형성되며, 결합부재(40)의 결합면(41)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결합면(41)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공(38)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결합부재(40)의 결합면(41)에도 돌출부(37)의 나사공(38)에 대응하는나사체결공(48)이 관통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ount the coupling member 40, both end regions of the cover frame 30 is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coupling surface 41 and the support surface 43 of the coupling member 40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 A protrusion 37 for fixing 40 is formed. The protruding portion 37 is customized to contact the inner wall surfaces of the engaging surface 41 and the supporting surface 43, and has an engaging surface 41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surface 41 of the engaging member 40. A screw hole 38 for screwing is formed. Correspondingly, the screw fastening hole 48 corresponding to the screw hole 38 of the protrusion 37 is also formed through the engaging surface 41 of the engaging member 40.

이러한 구성에 의한 방전램프 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discharge lamp devic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먼저, 투광커버(10)의 일측 단부에 하나의 커버프레임(30)을 결합시키며, 이 때, 투광커버(10)의 단부가 커버프레임(30)의 결합레일(35)에 수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커버프레임(30)의 양단부에 형성된 각 돌출부(37)에 각각 결합부재(40)를 결합시키며, 이 때, 결합부재(40)의 수용레일(45)에 투광커버(10)의 측면부(15)의 단부가 수용되도록 한다.First, one cover frame 3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loodlight cover 10, and at this time, the end of the floodlight cover 10 is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rail 35 of the cover frame 30. Then, the coupling members 40 are coupled to each of the protrusions 37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ver frame 30, and at this time, the side portions 15 of the floodlight cover 10 to the accommodation rails 45 of the coupling member 40. End).

그런 다음, 투광커버(10)의 타측 단부에 나머지 커버프레임(30)을 결합시키며, 상기와 마찬가지로, 투광커버(10)의 단부가 커버프레임(30)의 결합레일(35)에 수용되고, 각 돌출부(37)가 결합부재(40)에 결합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각 결합부재(40)와 돌출부(37)에 형성된 나사공(38)과 나사체결공(48)을 연통하여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결합부재(40)를 커버프레임(30)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된다.Then, the remaining cover frame 3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loodlight cover 10, and as described above, the end of the floodlight cover 10 is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rail 35 of the cover frame 30, each The protrusion 37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40. Finally, the screw hole 38 and the screw fastening hole 48 formed in each coupling member 40 and the protrusion 37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asten the screw, thereby firmly coupling the coupling member 40 to the cover frame 30. Let's go.

이렇게 투광커버(10)에 한 쌍의 커버프레임(30)과 한 쌍의 결합부재(40)를 조립하는 과정이 완료되면, 천정에 장착되어 있는 메인프레임(20)에 투광커버(10)를 결합시킨다. 먼저, 커버프레임(30)과 결합부재(40)가 결합된 투광커버(10)를 메인프레임(20)에 접근시켜 커버프레임(30)과 결합부재(40)에 형성된 제1 및 제2안착턱(33,47)에 메인프레임(20)의 플랜지(23)가 접하도록 한다. 그러면, 메인프레임(20)의 결합슬롯(25)과 결합부재(40)의 결합편(50)이 평행한 위치에 배치되며, 결합부재(40)에 장착된 결합편(50)의 파지편부(51)를 잡고 결합편(50)을 회동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편(50)의 잠금편부(53)가 결합슬롯(25)내로 수용된다. 이에 따라, 투광커버(10)가 메인프레임(20)에 간편하게 결합된다.Whe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pair of cover frame 30 and the pair of coupling members 40 to the floodlight cover 10 is completed, the floodlight cover 10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20 mounted on the ceiling. Let's do it. First,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jaws formed on the cover frame 30 and the coupling member 40 by approaching the main frame 20 to the floodlight cover 10 coupled to the cover frame 30 and the coupling member 40 The flange 23 of the main frame 20 is in contact with (33, 47). Then, the coupling slot 25 of the main frame 20 and the coupling piece 50 of the coupling member 40 are disposed in a parallel position, the gripping piece portion of the coupling piece 50 mounted on the coupling member 40 ( When the engaging piece 50 is rotated by holding 51, the locking piece 53 of the engaging piece 50 is received into the engaging slot 25,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floodlight cover 10 is simply coupled to the main frame 20.

이와 같이, 본 방전램프 장치에서는, 투광커버(10)의 단부를 완만하게 절곡시켜 측면부(15)를 형성함으로써, 측면부(15)를 통해 방전램프로부터의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방전램프의 측면부(15)로도 빛이 조사되어 보다 넓은 영역에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측면부(15)를 통해 방전램프 장치가 장착되는 벽면이나 천정에 빛이 조사되어 보다 밝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면이나 천정에 조사된 빛이 반사되어 간접조명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ischarge lamp apparatus, the end portion of the floodlight cover 10 is gently bent to form the side portion 15 so that light from the discharge lamp can pass through the side portion 15. Accordingly,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side portion 15 of the discharge lamp to irradiate light to a wider area, and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wall or the ceiling on which the discharge lamp device is mounted through the side portion 15 to provide a brighter atmosphere. Not only can it be produced, but the light reflected on the wall or ceiling can be reflected to obtain the effect of indirect lighting.

또한, 투광커버(10)에는 결합편(50)을 마련하고 메인프레임(20)에는 결합슬롯(25)을 형성함에 따라, 결합편(50)을 회동시켜 결합슬롯(25)에 수용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투광커버(10)를 메인프레임(2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투광커버(10)를 메인프레임(20)에 결합시키기 위해 많은 작업이 번거롭고, 나사 등 별도의 부품이 소모되던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게다가, 결합편(50)과 결합슬롯(25)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투광커버(10)를 메인프레임(20)에 결합시킨 후, 투광커버(10)와 메인프레임(20)의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투광커버(10)가 메인프레임(20)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the coupling piece 50 is provided on the floodlight cover 10 and the coupling slot 25 is formed on the main frame 20, the simple operation of rotating the coupling piece 50 to be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slot 25. Only the floodlight cover 10 can be coupled to the main frame 20. Therefore, in order to couple the floodlight cover 10 to the main frame 20, a lot of work is cumbersome, and by eliminating the problem that a separate part such as a screw is consumed, not only can reduce the cost but also reduce the working time. Can be. In addition, since the coupling piece 50 and the coupling slot 25 are fix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coupling cover 50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20, and then the transmission cover 10 and the main frame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position of is fixed. Therefore, the floodlight cover 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paced apart from the main frame 20 or distor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방전램프를 통한 빛이 보다 넓은영역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명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through the discharge lamp can be irradiated to a wider area,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ect of the illumination.

또한, 결합편과 결합슬롯을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물을 이용하여 투광커버를 메인프레임에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mbine the floodlight cover to the mainframe using a simple structure using a coupling piece and a coupling slot.

Claims (4)

방전램프를 갖는 방전램프 장치에 있어서,In the discharge lamp device having a discharge lamp, 벽면이나 천정에 접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며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방전램프를 벽면이나 천정 등에 고정하며,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플레이트 판면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결합슬롯이 형성된 메인프레임과,A main frame having a plate contacting a wall or a ceiling, and bent from the plate, and having a flange to fix the discharge lamp to a wall or a ceiling, the main frame having a coupling slot penetrating along the plate plate direction; 상기 방전램프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방전램프로부터의 빛을 투과시키며, 상호 대향되는 적어도 한 쌍의 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을 향해 절곡된 측면부를 갖는 투광커버와;A floodlight cover disposed in front of the discharge lamp to transmit light from the discharge lamp, and having a side portion at least one pair of opposite ends bent toward the main frame; 상기 메인프레임을 향해 절곡된 상기 투광커버의 각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판면에 평행하게 형성된 결합면을 가지고, 상기 결합면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결합슬롯에 수용되는 결합편이 장착된 결합부재와;A coupling surface coupled to each end of the floodlight cover bent toward the main frame, the coupling surface being bent from the end to be parallel to the plate surface of the main frame, and the coupling surface accommodates the coupling slot of the main frame; A coupling member mounted with a piece; 상기 투광커버의 측면에 이웃하는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투광커버와 함께 상기 방전램프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그 양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을 위해 판면으로부터 돌출한 돌출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커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장치.At least one cover frame coupled to an end portion adjacent to a side of the floodlight cover to form a receiving space of the discharge lamp together with the floodlight cover, and at both ends of which a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a plate for coupling the coupling member; Discharge lamp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커버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연부에는, 상호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돌출된 한 쌍의 리브에 의해 상기 투광커버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장치.Discharge lam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edge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frame, the coupling rail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floodlight cover by a pair of ribs protruding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spacing interval.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커버프레임의 상기 결합레일에 대항되는 타측 연부에는 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리브보다 소정 폭만큼 더 돌출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제1안착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장치.Discharge lam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edges opposed to the coupling rail of the cover frame protrudes a predetermined width more than the ri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is formed with a first seating jaw to seat the flange of the main fram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면의 일측 단부에는 'ㄴ'자 형상의 제2안착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안착턱은 상기 제1안착턱과 동일한 판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장치.A second seating jaw having a 'b' shap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upling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and the second seating jaw is disposed on the same plate surface as the first seating jaw, and the flange of the main frame is seated. Discharge lam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KR20-2003-0020794U 2003-06-30 2003-06-30 A discharge lamp apparatus KR20032708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794U KR200327083Y1 (en) 2003-06-30 2003-06-30 A discharge lamp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794U KR200327083Y1 (en) 2003-06-30 2003-06-30 A discharge lamp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083Y1 true KR200327083Y1 (en) 2003-09-19

Family

ID=49415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794U KR200327083Y1 (en) 2003-06-30 2003-06-30 A discharge lamp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08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6629A (en) Fluorescent light fixture
KR101794564B1 (en) Fixing device of ceiling type lighting fixture and fixing method of lighting fixture using the same
KR101676623B1 (en) Angle-adjustable led lamp apparatus
KR200327083Y1 (en) A discharge lamp apparatus
US5911498A (en) Luminaire
JPH0587732U (en) lighting equipment
JPH11306843A (en) Luminaire
KR200450557Y1 (en) Lighting frame increases light efficiency and reduces glare
JPS6222963Y2 (en)
KR20200001520U (en) brackets for mounting lamp units
JP5139929B2 (en) lighting equipment
JP3516239B2 (en) Direct-mount fluorescent light fixture
JP3092391B2 (en) Ceiling-mounted lighting equipment
CN219063296U (en) Lamp frame and line lamp
JP2625201B2 (en) Downlight
KR100402173B1 (en) Structure for mounting a side marker lamp to a bumper in vehicle
JP2003346989A (en) Power source plug attachment structure of spotlight
JPH0935524A (en) Spotlight
JPH0120740Y2 (en)
JPH09180525A (en) Luminaire
JP2004342469A (en) Luminaire
JPS597685Y2 (en) lighting equipment
JPS5921447Y2 (en) lighting equipment
JPH04123778A (en) Single base lamp socket and lighting apparatus
JPH10162620A (en) Ligh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