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886Y1 - 정수기용 종이컵 인출기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종이컵 인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886Y1
KR200326886Y1 KR20-2003-0015623U KR20030015623U KR200326886Y1 KR 200326886 Y1 KR200326886 Y1 KR 200326886Y1 KR 20030015623 U KR20030015623 U KR 20030015623U KR 200326886 Y1 KR200326886 Y1 KR 200326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shaft
paper cup
belt
cup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6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김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식 filed Critical 김성식
Priority to KR20-2003-0015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8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8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4Endless-belt separators
    • B65H3/042Endless-belt separators separating from the bottom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bottom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7Ratch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4Longitudinal profile
    • B65H2404/242Tim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이나 업소에서 사용하는 정수기의 옆에 부착하여 일회용 종이컵을 낱장으로 인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손잡이(19)로 돌릴 수 있는 한쪽 풀리축(12)과 다른쪽 풀리축(12')이 가동판(11)의 전후에 설치되고 그 중간에 벨트(13)가 설치되며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래칫장치(20,21,22)가 한쪽 풀리축(12)에 설치된 가동장치와, 투입부(24)의 하부에 가동장치의 한쪽 풀리축(12)을 중심으로 다른쪽 풀리축(12')이 상하로 탄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동장치의 상면에 올려지는 종이컵(23)이 벨트(13)를 따라 낱장씩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는 인출홈(26)이 형성된 컵통(18)으로 구성된다. 검지를 이용하여 종이컵을 한 장씩 뽑아내던 방식을 탈피하여 손잡이를 돌리면 종이컵이 낱장씩 인출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종이컵 인출기{Paper cup puller for water purifier}
본 고안은 가정이나 업소에서 사용하는 정수기의 옆에 부착하여 일회용 종이컵을 낱장으로 인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종이컵 인출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컵통(1)을양면테이프(2)를 이용하여 정수기(미도시)의 옆에 부착하도록 한 것이다. 컵통(1)은 전방 하부에 낱장의 종이컵(3)을 빼낼 수 있는 인출홈(4)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째어져 있으며, 그 중앙 부분의 저면은 검지(둘째 손가락)를 대고 종이컵(3)의 저면을 낱장씩 밀어 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홈(5)이 파여져 있다. 또 컵통(1)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서 그 위에서 한 뭉치의 종이컵(3)을 넣도록 한 것이다. 종이컵(3)은 종이상자(6) 안에 한 뭉치가 들어 있으므로 컵통(1)에 넣을 때에는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뜯어서 컵통(1)에 넣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종이컵 인출기는 검지를 이용하여 컵통의 저면에서 낱장씩 밀어당겨 빼내야 하기 때문에 손가락이 미끄러울 때에는 잘 잡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종이컵의 양이 많아서 그 자체 하중이 가해질 때에도 맨 아래에 있는 종이컵이 그 위의 종이컵들의 무게에 눌려서 잘 빠지지 않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검지를 이용하여 종이컵을 한 장씩 뽑아내던 방식을 탈피하여 손잡이를 돌리면 종이컵이 낱장씩 인출될 수 있는 반자동의 종이컵 인출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정수기용 종이컵 인출기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전체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가동장치 사시도.
도 5는 그 벨트를 제외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가동장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가동판, 12,12',120,120':풀리축, 13:벨트, 130:타이밍 벨트, 17:롤부, 18:컵통, 19:손잡이, 20, 래칫휠, 21:래칫, 23:종이컵, 24:투입구, 25:절개부, 26:인출홈, 27:유동홈, 28:압축스프링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손잡이로 돌릴 수 있는 한쪽 풀리축과 다른쪽 풀리축이 가동판의 전후에 설치되고 그 중간에 벨트가 설치되며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래칫장치가 한쪽 풀리축에 설치된 가동장치와, 투입부의 하부에 상기 가동장치의 한쪽 풀리축을 중심으로 다른쪽 풀리축이 상하로 탄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동장치의 상면에 올려지는 종이컵이 벨트를 따라 낱장씩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는 인출홈이 형성된 컵통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손잡이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한쪽 풀리축과 다른쪽 풀리축이 벨트와 함께 회전한다. 이에 따라 컵통 내의 벨트 위에 적재된 종이컵의 맨 아래에 있는 종이컵이 벨트에 의하여 컵통의 인출홈으로 인출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가동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가 ㄱ자형 단면으로 꺾인 가동판(11)의 전후에 풀리축(12,12')이 스냅 결합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가동판(11)의 전후방향 중앙부분은 벨트(13)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반원형으로 파여져 있으며, 양측의 전후방향 단부에는 축받이홈(14,14',15,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축받이홈(14,14',15,15')은 풀리축(12,12')이 억지로 끼워지며 끼워진 후에는 원활하게 회전된다. 풀리축(12,12')의 양측에는 상기 축받이홈(14,14',15,15')에 끼우기 위한 플랜지부(16,16')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간에는 벨트(13)와 면접촉하며 회전시키기 위한 롤부(1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방의 풀리축(12) 한쪽에는 컵통(18)에 조립된 후에 손잡이(19)가 끼워지며, 다른쪽에는 래칫휠(20)이 축설치된다. 래칫휠(20)의 일축에는 래칫(21)이 스프링(22)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설치되는데 이 래칫(21)은 가동판(11)에 설치된다. 래칫(21)은 래칫휠(20)을 일방향으로 구속하여 풀리축(12,12')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한다. 물론 풀리축(12)은 손잡이(19)로 돌리는데 그 돌리는 방향이 일방향으로만 주어지는 것이다.
풀리축(12)과 풀리축(12')의 롤부(17) 간에는 표면이 점탄성을 띄는 실리콘 재질의 벨트(13)가 감겨 있다. 그래서 종이컵(23)을 벨트(13) 위에 적재한 후 벨트(13)를 돌리면 벨트(13)와 면접촉하는 종이컵(23)은 벨트(13)의 점탄성 때문에 벨트(13)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컵통(18)은 상부의 투입구(24)가 직사각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그 전방의 중간이 하향으로 갈라져 있다. 이 절개부(25)는 투입구(24) 내에 종이컵(23) 뭉치를 넣었을 때 그 사용에 따른 높이의 감소를 눈으로 식별하고 다 사용되면 다시 재충진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시킨 것이다. 이 절개부(25)의 양쪽 벽면 하부에는 낱장의 종이컵(23)을 인출시킬 수 있는 인출홈(26)이 종이컵(23)의 길이 범위 내에서 째져 있다. 인출홈(26)의 하부에서 전방으로는 가동장치의 일부를 내장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측면상 둥글게 돌출되어 있다. 컵통(18)의 측면 후방에서 하부쪽에는 뒷쪽의 풀리축(12')이 끼워져 상하로 유동할 수 있는 유동홈(27)이 뚫려 있다.
컵통(18)의 내부에는 가동장치가 설치된다.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19)를 뺀 부분이 컵통(18) 내에 설치된다. 전방의 풀리축(12)은 컵통(18)의 양측면에서 전방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축설치되며, 뒷쪽의 풀리축(12')은 컵통(18)의 양측 유동홈(27)에 상하유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때 가동판(11)의 하부에는 압축스프링(28)이 설치된다. 압축스프링(28)의 힘은 종이컵(23)을 한 뭉치투입구(24) 내에 넣었을 때 그 하중에 의하여 가동판(11)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이다. 가동판(11)은 그 위에 적재된 종이컵(23)의 양에 따라 그 각도가 달라지는데 종이컵(23)의 적재량이 적을수록 압축스프링(28)에 의하여 위로 올라간다. 이때 가동판(11)은 전방의 풀리축(12)을 중심으로 후방이 상향으로 선회한다.
손잡이(19)는 가동장치가 컵통(18) 내에 설치된 후에 컵통(18)의 밖에서 측면으로 돌출한 전방쪽 풀리축(12)에 끼워진다. 그래서 손잡이(19)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벨트(13)가 전방으로 회전한다. 손잡이(19)를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래칫(21)이 래칫휠(20)을 구속하고 있어서 풀리축(12)이 회전하지 못하므로 결국 손잡이(19)를 돌릴 수 없다. 손잡이(19)를 일방향으로 돌렸을 때 풀리축(12)의 구동력이 벨트(13)의 무한궤도운동을 일으킨다. 벨트(13)가 2개의 풀리축(12,12')에 의하여 회전되면 컵통(18) 내에 적재시킨 종이컵(23) 중에서 맨 하부의 종이컵(23) 한장이 벨트(13)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동하는 종이컵(23)은 인출홈(26)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어느 정도 나왔을 때 손으로 잡아 빼면 쉽게 인출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한 일 실시예의 가동장치에서 2개의 풀리축(12,12')과 벨트(13)를 다르게 구성한 것이다. 즉, 벨트(13)를 타이밍 벨트(130)로 구성하고, 풀리축(12,12')은 타이밍 벨트(130)와 맞물려 회전시킬 수 있는 풀리축(120,120')으로 변경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일 실시예와 같이 풀리축(12,12')과 벨트(13)를 단순히 면마찰하도록 끼우면 헛돌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타이밍 벨트식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의 타이밍 벨트(130)도 그 표면은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점탄성 물질인 실리콘 재질로 구성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나머지 사항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손잡이를 돌리면 종이컵이 한장씩 인출되어 나오므로 종래와 같이 손가락을 이용하여 일일이 뽑아내는 방식에 비하여 그 조작이 용이하고 종이컵을 손쉽게 인출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주며, 나아가 정수기의 물을 위생적으로 취음할 수 있어서 위생 유지에 효과적이다.

Claims (2)

  1. 손잡이로 돌릴 수 있는 한쪽 풀리축과 다른쪽 풀리축이 가동판의 전후에 설치되고 그 중간에 벨트가 설치되며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래칫장치가 한쪽 풀리축에 설치된 가동장치와, 투입부의 하부에 상기 가동장치의 한쪽 풀리축을 중심으로 다른쪽 풀리축이 상하로 탄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동장치의 상면에 올려지는 종이컵이 벨트를 따라 낱장씩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는 인출홈이 형성된 컵통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종이컵 인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타이밍 벨트로 하고, 상기 풀리축은 상기 타이밍 벨트와 맞물려 회전시킬 수 있는 풀리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종이컵 인출기.
KR20-2003-0015623U 2003-05-21 2003-05-21 정수기용 종이컵 인출기 KR200326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623U KR200326886Y1 (ko) 2003-05-21 2003-05-21 정수기용 종이컵 인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623U KR200326886Y1 (ko) 2003-05-21 2003-05-21 정수기용 종이컵 인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886Y1 true KR200326886Y1 (ko) 2003-09-19

Family

ID=49415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623U KR200326886Y1 (ko) 2003-05-21 2003-05-21 정수기용 종이컵 인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8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949A (ko) 2017-12-19 2019-06-27 배한준 종이컵 배출장치
CN110053884A (zh) * 2019-05-20 2019-07-26 中荣印刷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自动输出面膜的包装盒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949A (ko) 2017-12-19 2019-06-27 배한준 종이컵 배출장치
CN110053884A (zh) * 2019-05-20 2019-07-26 中荣印刷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自动输出面膜的包装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9508B2 (en) Dispenser for roll of absorbent paper tissue or nonwoven material
US4832271A (en) Dispenser for roll of material
US9345368B2 (en) Paper product dispenser and related methods
AU706600B2 (en) A container for products such as pastilles and the like
WO2006116370A3 (en) Tablet dispenser
RU257217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согнутых листовых изделий, снабж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ереполнения
US20070034637A1 (en) Auto glide power top system
EP0955247A1 (en) Container
KR200326886Y1 (ko) 정수기용 종이컵 인출기
US9717378B2 (en) Sheet dispenser roll holder with lockout feature(s)
CN106913266B (zh) 抽纸盒
WO2014058323A1 (en) Dispensing system
US20090200331A1 (en) Inner container of sheets to be dispensed
US7014065B2 (en) Dispenser for series-connected tickets
WO2007111772A1 (en) Tape dispenser
US1969625A (en) Folding box
JP5041594B2 (ja) タバコ伸縮制御可能なタバコオート収納ケース
US20110108565A1 (en) Business Card Holder and Dispenser
AU2006248124A1 (en) Dispensing canister with indexing means
US6783033B1 (en) Dispenser for magnetic objects
US20030146339A1 (en) Shaft device use for tape dispenser stands
JP2009118990A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KR200395178Y1 (ko) 다단 휴지걸이구
JP6812026B1 (ja) ロール紙ホルダ
JP6842587B1 (ja) ロール体飛び出し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