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327Y1 - 재생이 가능한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치 - Google Patents

재생이 가능한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327Y1
KR200326327Y1 KR20-2003-0018027U KR20030018027U KR200326327Y1 KR 200326327 Y1 KR200326327 Y1 KR 200326327Y1 KR 20030018027 U KR20030018027 U KR 20030018027U KR 200326327 Y1 KR200326327 Y1 KR 200326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blade
sawdust
present
saw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이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희 filed Critical 이영희
Priority to KR20-2003-0018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3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3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2018/188Stationary counter-knives; Mounting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나뭇가지나 원목자제 등의 목재를 분쇄하여 톱밥을 만드는 톱밥분쇄기에 있어 톱밥분쇄기의 분리형 톱날 치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단일구조형의 초경합금 톱날 치의 문제점과 사용상의 불편성을 해결하고자 사용상의 상태에 맞게 재질을 적용 이를 용접을 통해 일체화 시켜 구성한 재생이 가능한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생이 가능한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치{saw of a wooden crusher whose remaking is possible}
본 고안은 목재를 분쇄하여 톱밥을 만드는 분쇄기기 중 분리식식 톱날을 사용하는 분쇄기에 있어 톱날에 삽입시켜 분쇄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톱날 치에 관한 것으로서,
최근에는 목재를 가공하여 단순히 가구 등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공상에 발생하는 톱밥을 이용하여 우사, 돈사의 바닥재로서 사용하거나, 발효시켜 농업비료로 사용하는 등 톱밥을 이용한 다앙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어 가공 상 발생부산물로서의 톱밥이 아니라, 톱밥 분쇄용 기계를 사용하여 대량으로 톱밥을 생산하게 되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톱밥 분쇄용 기계에는 직경이 비교적 크고, 외주면에 톱날이 매우 많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톱날을 측면으로 수십개 씩 측면으로 서로 겹쳐서 중심부에 샤프트로 끼운 후에 수십개의 회전톱을 일시에 회전시켜 이 톱날에 원목으로 강제적으로 공급하므로써 수많은 톱날로 원목을 분쇄하여 대량의 톱밥을 생산하도록 하는 구성을 사용하였다. 종래의 톱밥 분쇄용 톱날은 회전형상의 원판의 외주면에 톱날치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경우에 수십개의 톱날 회전판을 사용하는 도중에 원목과 톱날의 마찰로 인해 톱날이 부러지는 경우에는 톱날이 부러진 톱날 원판 전체를 교환하기 위해 이 기계장치의조립 상태를 해제하여 톱날이 부러진 톱날원판을 모두 새로운 톱날원판으로 교환하여야 하고 조립한 후에 재차 사용하는 과정에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기계를 신속하게 사용하지 못하므로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톱날 원판 전체를 교환하므로써 부품의 손실이 커지게 되어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현재에는 실용신안 1996-060182와 같은 방식의 톱밥분쇄용 톱날에 구성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참고로 설명하면, 원형의 회전판에 네개로 분리된 분리형 톱날을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이 분리형톱날의 외측으로 다수개 형성된 날고정부의 하측으로 일정깊이 함몰된 고정홈에 한 개씩 분리되는 분리형 치를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분리형 치가 파손되는 경우에 새로운 분리형 치로 교환하므로써 모든 톱날을 폐기하는 단점을 해소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생산단가를 저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에 있어서도 분리형 치의 경우 공구에 주로 사용하는 강하고 절삭력이 높은 초경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초경의 경우 단가가 높아 손상된 분리형 치를 새로운 것으로 완전히 갈이 끼워야 하는 것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있고, 생산 단가의 상승의 주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분리형 치를 이용한 톱밥분쇄기에 있어 분리형 치의 단가를 낮추어, 작업능률과 생산단가를 낮춤으로서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경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분리형 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직접적으로 절삭에 작용하지 아니하는 부위인 분리형 치의 몸체부분은 통상의 강철 또는 초경을 이용하고 목재와 실질적으로 닿는 부위인 절삭부위는 초경으로 구성한 후 이것을 고주파 용접으로 결합하여 절삭부가 마모 또는 손상되더라도 절삭부의 재용접을 통한 재생이 가능한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치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로서 고안하였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체결구성도
도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결합구성도
도4는 기존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체결구성도
도5는 기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6은 기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 도면에 주요 사용된 부호의 설명
분리형 톱날치 : 30 몸체부 : 30A 절삭부 : 30C
용접부 : 30B 원형톱날 : 10 끼움홈 : 20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체결구성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결합구성도이며, 도4는 기존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체결구성도이며, 도5는 기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로서 재생이 가능한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4,5에 도시된바와 같이 기존의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치는 원형 톱날(10)에 있어, 분리형 톱날이 삽입고정되는 끼움홈(20)에 분리형 치(30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현재 사용되는 분리형 치는 일반적으로 절삭부에 모서리가 지도록 직선형으로 구성된 것과, 참고 도면의 분리형 치(300)와 같이 원형톱날(10)의 회전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면서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고안에서는곡선형 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톱밥분쇄기는 다수의 분리형 치(300)를 끼운 원형톱날(10)을 여러장 겹친 원통형의 드럼으로 구성하여 이를 회전시킴으로 목재를 분쇄하여 톱밥을 생산하는 것이다.
기존의 분리형 치(300)에 있어서 목재와 직접적으로 닿는 부위인 절삭부위는 쉽게 파손되기 쉽다. 즉, 분쇄기 내부로 이 물질(돌, 유리, 플라스틱,못 등)이 함유되어 있어, 목재분쇄작업을 하는 중에 이러한 물질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으로 분리형 치(300)가 크게 마모되거나, 분쇄에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깨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고가의 초강으로 이루어진 분리형 치(300)를 새로이 가공하여 손상된 분리형 치(300)와 교환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기존의 방법은 고가의 초강 분리형 치(300)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경제적 손실이 크고, 톱밥의 원가 상승을 높이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주 소비자인 농가에도 부담을 주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도 1,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치(30)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목재에 닿아 절삭의 주된 역할을 하는 절삭부(30C)를 초경으로 구성하여 두고, 원형톱날(10)에 끼워져 분리형 톱날 치(30)의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몸체부(30A)는 기존의 초경 또는 일반적 강철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상기 두 부위를 용접하여 제공함으로서 본 고안 재생이 가능한 분리형 톱날 치(30)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통상 주로 마모 또는 파손되어 교환하는 분리형 치의 경우 대부분은 목재와 직접적으로 닿는 절삭부위의 손실로 인하여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데,
본 고안의 경우 이러한 분리형 치의 손상에 있어 용접부위(30B)를 깨끗이 제거하여 분리하고, 새로운 절삭부(30C)를 구성하여 용접을 하여 분리형 톱날 치(30)를 재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분리형 톱날 치(30)의 몸체부(30A)와 절삭부(30C)의 결합을 위한 방법은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체결강도를 높이고 재생 시 체결부위를 깨끗이 하기 쉬운 일반적 용접 또는 고주파 용접방법을 사용하여 체결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통하여 절삭부(30C)를 다수 구비해 두고, 본 고안 분리형 치(30)가 결착 된 톱밥 분쇄기의 사용 중 절삭부(30C)의 손상이 발생하면, 몸체부(30A)에서 용접부(30B)를 완전히 분리제거하고 새로운 절삭부(30C)를 체결용접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재생이 가능한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치를 통하여 톱밥생산에 있어 생산단가를 현저하게 낮추어 소비자 및 생산자에게 경제적으로 도움을 줄 수가 있으며, 자원 낭비를 줄일 수도 있는 등 고안의 기술적 과제에 해결에 비하여 그 효과가 큰 고안이라 하겠다.

Claims (2)

  1.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치에 있어서,
    톱날 치(30)가 원형톱날에 끼워지는 몸체부(30A),
    목재와 닿아 직접 절삭작용을 하는 절삭부(30C),
    상기 두부위를 용접하여 결합된 용접부(30B)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재생이 가능한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치.
  2. 제 1항에 있어서,
    몸체부(30A)는 강철과 같은 일반 금속재질인 것을 포함하는 재생이 가능한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치.
KR20-2003-0018027U 2003-06-09 2003-06-09 재생이 가능한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치 KR200326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027U KR200326327Y1 (ko) 2003-06-09 2003-06-09 재생이 가능한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027U KR200326327Y1 (ko) 2003-06-09 2003-06-09 재생이 가능한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874A Division KR20030051561A (ko) 2003-06-09 2003-06-09 재생이 가능한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327Y1 true KR200326327Y1 (ko) 2003-09-13

Family

ID=4933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027U KR200326327Y1 (ko) 2003-06-09 2003-06-09 재생이 가능한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3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4706A (ko) 2018-03-02 2019-09-11 남궁민우 분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4706A (ko) 2018-03-02 2019-09-11 남궁민우 분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2951B1 (en) Hammer assembly for wood reducing hammer mills and other comminuting machin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it
US4785860A (en) Wood processing machine having annular rings
US9168599B2 (en) Saw disk with improved chip discharge
US7004413B2 (en) Grinder cutter tooth and anvil assembly
US5873397A (en) Wood pulverizer with improved hammers and anvils
CN109955410A (zh) 轮胎破碎专用刀辊结构及采用其的轮胎破碎机
CN103085143B (zh) 一种防止刀鼓磨损的方法
KR200326327Y1 (ko) 재생이 가능한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치
JP4213120B2 (ja) 廃棄物、木材等の材料を粉砕するための装置
KR100387079B1 (ko) 목재파쇄기용 파쇄드럼
CA2842972C (en) Saw disk with improved chip discharge
US6196284B1 (en) Wood pulverizer with improved grates and grate components
KR200471650Y1 (ko) 면취용 회전커터
JP4344172B2 (ja) 二軸剪断式破砕機の回転刃
CN204604608U (zh) 一种高锋利高耐磨耐冲击的金刚石节块
JPH0938515A (ja) 破砕機
KR20030051561A (ko) 재생이 가능한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치
US4039011A (en) Chipper saw
CN205199627U (zh) 一种废弃发票销毁专用碎纸机
CN201371271Y (zh) 锯片型铣刀
CN212070550U (zh) 一种增加断削槽的pcd面铣刀
CN206428771U (zh) 一种用于食物垃圾处理器的高效研磨机构
KR200248137Y1 (ko) 목재파쇄기용 파쇄드럼
JPH08323233A (ja) 二軸剪断式破砕機の回転刃
CN218580435U (zh) 一种混凝土路面浅层铣刨刀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