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320Y1 - 소화액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소화액 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320Y1
KR200326320Y1 KR20-2003-0017761U KR20030017761U KR200326320Y1 KR 200326320 Y1 KR200326320 Y1 KR 200326320Y1 KR 20030017761 U KR20030017761 U KR 20030017761U KR 200326320 Y1 KR200326320 Y1 KR 200326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bulb
cap
fire
water suppl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택
Original Assignee
최해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택 filed Critical 최해택
Priority to KR20-2003-0017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3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3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에 체결되는 캡의 저부 중앙에 조절볼트와 대응되는 조정공을 형성하여 본체에 캡을 설치한 다음 이 조정공을 통해 파손되기 쉬운 유리벌브를 안전하게 삽입함과 동시에 조절볼트를 서서히 체결함으로써 유리벌브의 설치시 발생될 수 있는 파손율을 극소화하는 한편, 이미 설치된 유리벌브가 불량이거나 화재가 아닌 외부의 충격에 파손이 될 시에는 본체로부터 캡을 분리하지 않고 캡으로부터 조절볼트를 분리한 다음 상기 조정공을 통해 유리벌브를 교체함으로써 유리벌브의 교체를 매우 용이하게 한 소화액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소화액 분무장치에 있어서, 본체(100)에 체결되는 캡(130)의 저부 중앙에 조절볼트(135)와 대응되는 조정공(134)을 형성하여 상기 조정공(134)을 통해 유리벌브(150)를 안전하게 삽입한 다음 상기 조정공(134)을 조절볼트(135)로 체결하는 한편, 상기 급수통로(110)의 하단부와 로드 바(140)의 직경확대부(141) 사이에 고무재질로 코팅처리된 링형상의 탄성링체(14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액 분무장치{a sprayer of liquid for fire-fighting}
본 고안은 소화액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화액이 입력되는 급수 통로에 로드 바가 설치되고 그 로드 바의 하부에 일정한 온도에 이르면 열 팽창에의해 파괴되는 유리벌브가 설치되어 화재시 소화액 분무장치가 자동으로 동작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액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는 화재시 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진압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와 같은 소방설비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소방설비는 현재에 이르러 자동으로 화재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진압하도록 발전되었는데, 자동소화를 위해서는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감지된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소화액을 분무하는 소화액 분무장치가 필수적이다.
종래의 소방설비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소화액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연결되어 소화액을 분무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액 분무장치로 구성되고, 각각의 실내에 설치된 감지수단은 통제실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되면 감지수단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고 이 화재 신호를 입력받은 통제실에서는 급수관을 통하여 소화액을 공급하게 되고, 소화액이 공급되는 소화액 분무장치에 의해 화재가 자동적으로 진압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소화액 분무장치는 상단부가 급수관과 연결되고 하단부에 노즐이 설치되어지되, 그 노즐에는 스파이럴 홈이 형성되어 급수되는 소화액이 넓은 범위에 걸쳐 분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분무장치는 아무리 스파이럴 홈이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분무되는 지역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를 초기에 완전하게 진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단부에 소화액 급수관이 연결되고 이 급수 통로가 여러 개의 분기통로로 분기되고, 그 끝단에 각각 노즐이 설치된 소화액 분무장치가 개발되었는 바, 이러한 분무장치는 여러 개의 노즐이 설치되어 여러 방향으로 분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화재 진압의 효과가 확실하고 탁월하다. 그러나 이러한 소화액 분무장치의 경우에도 화재를 감지하는 수단이 따로 설치되어 있고, 감지수단은 모두 통제실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통제 시스템이 복잡하여 화재시 오동작의 우려가 있고 감지수단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어 신호를 통제실에 출력하여 화재 진압을 시작하게 되더라도 펌프가 구동하여 소화액을 탱크로부터 화재 발생지점까지 보내야 하기 때문에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 시작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근자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한 소화액 분무장치(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02-0000907호)가 고안되었던 바, 이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토대로 설명하면 상부에 급수관이 연결되고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노즐(20)이 설치되어 그 노즐(20)로 소화액이 분무될 수 있도록 급수통로(10b)가 형성된 본체(10)를 포함하는 소화액 분무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20)로 연통되는 급수통로(10b)에 통로를 개폐하는 로드 바(40)가 설치되고, 그 로드 바(40)의 하단에는 열을 받으면 부피가 팽창되어 화재시 파괴됨으로써 상기 로드 바(40)가 하강되어 상기 급수통로(10b)가 개방되도록 된 유리벌브(50)가 상기 로드 바(40)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10)에 캡(30)에 의해 설치된 것이다.
또한, 상기 로드 바(40)에 실링을 위한 오 링(60)이 끼워지며, 상기 캡(30)이 본체(10)에 나사 결합에 의해 끼워진 것이다.
부연하자면,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유리벌브(50)가 열을 받아 팽창하기 시작하고, 그 온도가 일정온도에 이르게 되면 유리벌브(50)는 열 팽창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파괴되어 그 파편은 캡(30)의 3개의 부재(30a) 사이로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유리벌브(50)가 열 팽창에 의해 파괴되면, 로드 바(40)는 지지하던 지지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직경확대부(40b)의 하단부가 캡(30)의 상단부에 걸리는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고, 급수통로(10b)와 제2분기통로(10c)가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급수관의 소화액은 급수통로(10b), 제2분기통로(10c), 그리고 노즐(20)을 통하여 외부로 분무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소화액 분무장치는 상기 급수통로(10b)에 로드 바(40)를 설치한 다음, 상기 본체(10)의 하단에 유리벌브(50)가 삽입된 캡(30)을 체결하여 상기 로드 바(40)가 급수통로(10b)를 차단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캡(30)에 다소 큰 체결력이 발생하였을 시에는 유리벌브(50)가 파손될 뿐만 아니라, 상기 유리벌브(50) 상단의 뾰족부가 로드 바(40) 하단의 삽입홈(40a)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았을 시에는 캡(30)의 체결력에 의해 유리벌브(50)가 파손되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급수통로(10b)의 하단부와 로드 바(40)의 직경확대부(40b) 사이에 오 링(60)이 설치되어 급수통로(10b)로의 소화액의 누수를 방지하였기 때문에 오 링(60)의 방치상태가 길어질 시에는 이의 밀봉력이 크게 저하되어 소화액의 누수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급수통로(10b)와 직경확대부(40b) 사이에서 오 링(60)이 눌러 붙어 유리벌브(50)가 파손된 상태에서도 로드바(40)가 하강하지 않아 노즐(20)로 소화액이 분사되지 못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체에 체결되는 캡의 저부 중앙에 조절볼트와 대응되는 조정공을 형성하여 본체에 캡을 설치한 다음 이 조정공을 통해 파손되기 쉬운 유리벌브를 안전하게 삽입함과 동시에 조절볼트를 서서히 체결함으로써 유리벌브의 설치시 발생될 수 있는 파손율을 극소화하는 한편, 이미 설치된 유리벌브가 불량이거나 화재가 아닌 외부의 충격에 파손이 될 시에는 본체로부터 캡을 분리하지 않고 캡으로부터 조절볼트를 분리한 다음 상기 조정공을 통해 유리벌브를 교체함으로써 유리벌브의 교체를 매우 용이하게 한 소화액 분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급수통로의 하단부와 로드 바의 직경확대부 사이에 고무재질로 코팅처리된 링형상의 탄성링체를 설치하여 로드 바가 급수통로의 하단부에 단단히 체결되었을 시에는 탄성링체가 평평하게 펴져 있다가 유리벌브가 파손되면 상기 탄성링체의 가장자리가 하방으로 반발하면서 로드 바를 하방으로 내려 보냄으로써 로드 바의 미작동으로 인한 소화액 살수불량을 방지한 소화액 분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소화액 분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소화액 분무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화액 분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의 (a)와(b)는 본 고안에 따른 소화액 분무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 110:급수통로
130:캡 132:지지부
133:통공 134:조정공
135:조절볼트 140:로드 바
150:유리벌브 200:노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에 급수관이 연결되고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노즐이 설치되어 그 노즐로 소화액이 분무될 수 있도록 급수통로가 형성된 본체, 그리고 상기 노즐로 연통되는 급수통로에 통로를 개폐하는 로드 바가 설치되고, 그 로드 바의 하단에 화재시 파괴되어 상기 로드 바를 하강시키는 유리벌브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유리벌브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캡이 체결되는 소화액 분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캡의 저부 중앙에 조절볼트와 대응되는 조정공을 형성하여 상기 조정공을 통해 유리벌브를 안전하게 삽입한 다음 상기 조정공을 조절볼트로 체결하는 한편, 상기 급수통로의 하단부와 로드 바의 직경확대부 사이에 고무재질로 코팅처리된 링형상의 탄성링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화액 분무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의 (a)와(b)는 본 고안에 따른 소화액 분무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그 상부에 급수관이 연결되고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노즐(200)이 설치되어 그 노즐(200)로 소화액이 분무될 수 있도록 급수통로(110)가 형성된 본체(100), 그리고 상기 노즐(200)로 연통되는 급수통로(110)에 그 통로를 개폐하는 로드 바(140)가 설치되고, 그 로드 바(140)의 하단에 화재시 파괴되어 상기 로드 바(140)를 하강시키는 유리벌브(150)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에 유리벌브(150)를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캡(130)이 체결되는 소화액 분무장치에 있어서,
먼저, 상기 본체(100)에 체결되는 캡(130)은 그 상단부에 본체(100)의 나사부와 대응되는 나사산(131)이 형성되고, 상기 캡(130)의 중간부부에는 소정 폭의 지지부(132)가 소정길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32)의 양측으로는 유리벌브(150)의 파편들이 배출되는 통공(133)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캡(130)의 저부 중앙에 유리벌브(150)가 관통할 수 있는 조정공(134)이 형성되며, 상기 조정공(134)에는 유리벌브(150)의 상승을 유도하는 조절볼트(135)가 체결된다. 즉, 상기 조정공(134)을 통해 유리벌브(150)를 삽입한 다음 상기 조정공(134)에 조절볼트(135)를 체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조절볼트(135)의 조정에 따라 유리벌브(150)가 로드 바(140)를 상부로 밀어 급수통로(110)를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 바(140)는 그 상단부에 급수통로(110)를 개폐할 수 있는 직경확대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직경확대부(141)의 하방에는 소정길이의 지지바(14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142)의 하단부에는 유리벌브(150) 상단의 뾰족부가 안착되는 삽입홈(14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로드 바(140) 상단의 직경확대부(141)에 고무재질로 코팅처리된 링형상의 탄성링체(144)가 설치되어 급수통로(110)의 저부와 대응하게 되는데, 상기 탄성링체(14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가장자리가 하향되어 있다가 로드 바(144)가 상승하게 되면 도 4의 확대도면과 같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로드 바(140)를 지지하고 있던 유리벌브(150)가 파손되면 탄성링체(144)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로드 바(140)를 하방으로 강하게 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화액 분무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0)에 유리벌브(150)를 설치하고자 하면, 도 3과 같이 본체(100)의 저부를 통해 로드 바(140)를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로드 바(140) 상단의 직경확대부(141)에 고무재질로 코팅처리된 링형상의 탄성링체(144)를 설치하여 상기 탄성링체(144)가 급수통로(110)의 저부와 대응되게 한다.
그런 다음, 상기 본체(100)에 캡(130)을 나사결합하여 로드 바(140)가 하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 다음, 상기 캡(130) 저부의 조정공(134)을 통해 그 내부로 유리벌브(150)를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조정공(134)을 조절볼트(135)로서 체결한다.
이때, 상기 조절볼트(135)를 돌려 유리벌브(150)를 상승시키게 되면, 상기 유리벌브(150)는 로드 바(140)를 상승시켜 로드 바(140) 상단의 직경확대부(141)에 설치되어진 탄성링체(144)가 급수통로(110)의 저부와 밀착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링체(144)의 가장자리가 하향되어 있다가 로드 바(144)의 상승으로 인하여 도 4 (a)의 확대도면과 같이 평평한 상태로 압착되며, 이와 동시에 조절볼트(135)의 회전을 중지한다.
한편, 상기 급수통로(110)와 직경확대부(141) 사이에 설치되어진 탄성링체(144)의 표면에는 방수용 고무코팅이 되어있기 때문에 급수통로(110)의 소화액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0)에 유리벌브(150)가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유리벌브(150) 내의 액체가 급속히 팽창하다가 그 팽창력에 의해 폭발하게 되는데, 이때 유리벌브(150)의 파편이 캡(130)의 지지부(132) 양측으로 구비된 통공(133)을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로드 바(140)를 지지하고 있던 지지력이 상실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로드 바(140)는 도 4의 (b)와 같이 그 상부의 탄압된 탄성링체(144)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로드 바(140)를 하방으로 강하게 밀게 되며, 이때 급수통로(110)가 개방되면서 각 노즐(200)와 연통되어 상기 노즐(200)로 소화액을 살수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본체(100)에 체결되는 캡(130)의 저부 중앙에 조절볼트(135)와 대응되는 조정공(134)을 형성하여 본체(100)에 캡(130)을 설치한 다음 이 조정공(134)을 통해 파손되기 쉬운 유리벌브(150)를 안전하게 삽입함과 동시에 조절볼트(135)를 서서히 체결함으로써 유리벌브(150)의 설치시 발생될 수 있는 파손율을 극소화하는 한편, 이미 설치된 유리벌브(150)가 불량이거나 화재가 아닌 외부의 충격에 파손이 될 시에는 본체(100)로부터 캡(130)을 분리하지 않고 캡(130)으로부터 조절볼트(135)를 분리한 다음 상기 조정공(134)을 통해 유리벌브(150)를 교체함으로써 유리벌브(150)의 교체를 매우 용이하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급수통로(110)의 하단부와 로드 바(140)의 직경확대부(141) 사이에 고무재질로 코팅처리된 링형상의 탄성링체(144)를 설치하여 로드 바(140)가 급수통로(110)의 하단부에 단단히 체결되었을 시에는 탄성링체(144)가 평평하게 펴져 있다가 유리벌브(150)가 파손되면 상기 탄성링체(144)의 가장자리가 하방으로 반발하면서 로드 바(140)를 하방으로 내려 보냄으로써 로드 바(140)의 미작동으로 인한 소화액 살수불량을 방지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부에 급수관이 연결되고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노즐이 설치되어 그 노즐로 소화액이 분무될 수 있도록 급수통로가 형성된 본체, 그리고 상기 노즐로 연통되는 급수통로에 통로를 개폐하는 로드 바가 설치되고, 그 로드 바의 하단에 화재시 파괴되어 상기 로드 바를 하강시키는 유리벌브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유리벌브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캡이 체결되는 소화액 분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 체결되는 캡(130)의 저부 중앙에 조절볼트(135)와 대응되는 조정공(134)을 형성하여 상기 조정공(134)을 통해 유리벌브(150)를 안전하게 삽입한 다음 상기 조정공(134)을 조절볼트(135)로 체결하는 한편, 상기 급수통로(110)의 하단부와 로드 바(140)의 직경확대부(141) 사이에 고무재질로 코팅처리된 링형상의 탄성링체(14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소화액 분무장치.
KR20-2003-0017761U 2003-06-05 2003-06-05 소화액 분무장치 KR200326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761U KR200326320Y1 (ko) 2003-06-05 2003-06-05 소화액 분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761U KR200326320Y1 (ko) 2003-06-05 2003-06-05 소화액 분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320Y1 true KR200326320Y1 (ko) 2003-09-13

Family

ID=4933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761U KR200326320Y1 (ko) 2003-06-05 2003-06-05 소화액 분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3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361B1 (ko) 2008-03-04 2009-01-28 (주) 엔케이텍 호환식 와류형 미분무 소화노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361B1 (ko) 2008-03-04 2009-01-28 (주) 엔케이텍 호환식 와류형 미분무 소화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984B1 (ko) 습식 스프링클러 장치
KR101936056B1 (ko) 소방용 스프링클러
KR200326320Y1 (ko) 소화액 분무장치
JPH07100223A (ja) ノズルホルダ
KR20040096713A (ko) 공통배관을 이용한 가스계 겸용 물분무 소화설비시스템
KR200207841Y1 (ko) 주방용 자동 소화장치
NO333988B1 (no) Brannslukningsenhet for omdanning av en væske til en væsketåke
KR100679672B1 (ko) 전기 배전반 및 패널용 자동소화장치
KR20210114195A (ko)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누수감지 장치 및 그 누수감지 장치의 작동방법
US20080066933A1 (en) Rotary fire sprinkler
KR100455897B1 (ko) 소방용 분사장치
KR20220105688A (ko) 순차적으로 화재 제압이 가능한 제어시스템
US6843433B1 (en) Swirl nozzle and swirl nozzle assembly having filter
KR200273165Y1 (ko) 소화액 분무장치
KR200296539Y1 (ko) 소화전
KR200256744Y1 (ko)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의 동파방지용 밸브구조
KR100322762B1 (ko) 물안개분사 소화용 노즐
KR102651264B1 (ko) 화재시 소화약제 분사가 원활하도록 하는 자동소화장치
US20230191177A1 (en) Fire-Fighting Nozzle, Fire-F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Fire-Fighting System
KR102039899B1 (ko)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KR200226897Y1 (ko) 간이형 스프링쿨러 장치
JP2001259068A (ja) 配管部材接続継手
KR200298175Y1 (ko) 스프링클러
KR102357412B1 (ko) 스프링클러
KR102581218B1 (ko) 저압 습식밸브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