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169Y1 - Washing Machine Using Ozon Microbubbl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Using Ozon Microbub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169Y1
KR200326169Y1 KR20-2003-0017556U KR20030017556U KR200326169Y1 KR 200326169 Y1 KR200326169 Y1 KR 200326169Y1 KR 20030017556 U KR20030017556 U KR 20030017556U KR 200326169 Y1 KR200326169 Y1 KR 200326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pressure
washing machine
washing
micro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5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혁상
호명호
Original Assignee
장혁상
호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혁상, 호명호 filed Critical 장혁상
Priority to KR20-2003-00175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16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169Y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2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ubb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12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solely by gases, e.g. air or steam, introduced into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1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ozo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존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고압의 회전펌프수단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오존을 포함한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여 오존을 이용한 살균, 소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using an ozone microbubble, and to facilitat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using ozone by generating a microbubble containing ozone even without using a high-pressure rotary pump means.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오존발생장치, 세탁조, 오존혼합부, 회전펌프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압력감지부, 개폐밸브 및 압력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기도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zone generator, a washing tank, an ozone mixing unit, a rotary pump means, and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ing unit, an open / close valve and a pressure control means.

오존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오존은 오존혼합부에서 물-오존혼합물을 형성하고, 회전펌프수단에서 마이크로버블로 분쇄되어 세탁조로 돌아간다. 회전펌프수단에서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기 위해 일정압력을 유지하여야 하며, 일정압력은 6∼6.5kgf/㎠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zone generated in the ozone generator forms a water-ozone mixture in the ozone mixing unit, is pulverized by microbubbles in the rotary pump means, and returned to the washing tank. In order to generate microbubbles in the rotary pump means, a constant pressure should be maintained, and the constant pressure is preferably 6 to 6.5 kgf / cm 2.

이를 통해 별도의 버블발생수단이나 고압의 회전펌프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오존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는 세탁시에 살균, 소독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is has the effect of generating ozone microbubbles without using a separate bubble generating means or high-pressure rotary pump means, which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disinfection and disinfection power during washing.

Description

오존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탁기 {Washing Machine Using Ozon Microbubble}Washing Machine Using Ozon Microbubble}

본 고안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엄밀히 말해서 오존을 이용한 마이크로버블을 세탁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strictly speaking, to a washing machine that can use a microbubble using ozone during washing.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에 세제, 즉 계면활성제를 용해시켜 세탁물과 마찰시킴으로써 상기 계면활성제의 활성에 의해 세탁물에 부착되어 있는 오물을 깨끗하게 세척하며 세탁을 한다.In general, a washing machine washes and cleans dirt attached to a laundry by the activity of the surfactant by dissolving a detergent, that is, a surfactant in water and rubbing the laundry.

즉, 계면활성제는 침투작용, 유화작용, 분산작용에 의해 물과 섬유와 때(더러움)에 각각의 표면장력을 변화시켜서 섬유에 묻은 때를 빠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In other words, the surfactant acts to remove the stain on the fiber by changing the surface tension of each of the water and the fiber and dirt (dirty) by the penetration, emulsification, dispersion.

그런데 상기 계면활성제에 의한 세탁기는 세탁이 끝난 후, 배수되는 세탁수에 함유되어 있는 계면활성제가 하천에 배출되어 하천의 부영양화 등에 의해 하천을 오염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계면활성제에는 의류 등에 번식하고 있는 세균에 대한 살균작용이 없어서 세탁 전, 후에 별도로 세탁물을 살균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However, the washing machine using the surfactant had a problem that after washing, the surfactant contained in the drained wash water was discharged to the stream to contaminate the stream by eutrophication of the stream, and the surfactant was used to breed clothes. There was also a problem such as having to sterilize the laundry separately before and after washing because there is no bactericidal action against bacteria.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존을 이용한 세탁기가 개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washing machine using ozone has been developed.

도 1은 종래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1-17371호의 오존세탁장치이다(도 1을설명하기 위한 부호는 도 1의 설명에만 적용한다). 도 1에 개시된 오존발생기를 갖춘 세탁기는, 기존의 세탁기의 세탁조(1) 하부면에 공기실(3)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실(3)에 전자밸브(5)를 통해서 오존발생장치(4)에 발생된 오존을 관로(6)를 통해서 세탁조(1)에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1 is an ozone washing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91-17371 (the code for explaining FIG. 1 applies only to the description of FIG. 1). The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the ozone generator disclosed in FIG. 1 forms an air chamber 3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shing tank 1 of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and the ozone generator 4 through the solenoid valve 5 in the air chamber 3. The ozone generated in the) is supplied to the washing tank 1 through the pipe line 6.

이와 같은 구조의 오존발생기를 갖춘 세탁기에 있어서는 펄세이터에 의한 물의 와류 및 공기방울에 의해 세제의 분해도를 높여 세탁효과를 높이던 종래의 세탁기에 있어서 공기대신 오존기체를 세탁조(1)내로 불어 넣음으로세, 세제의 분해도를 높여 세탁효과를 높이고 수질오염도를 줄이며 의류 등에 번식하는 세균을 살균하도록 되어 있었다.In a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n ozone generator having such a structure, ozone gas is blown into the washing tank (1) instead of air in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which improves the washing effect by increasing the resolution of the detergent due to the vortex of water and air bubbles by the pulsator. Three, to increase the degree of decomposition of detergents to increase the washing effect, reduce water pollution and sterilize bacteria that breed in clothing.

그러나 상기 종래의 오존발생기를 갖춘 세탁기에서는 오존이 세탁수 내에 용존되는 효율이 높지 못하여 만족할 만한 세탁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n ozone generator has a problem that ozone is not dissolved in the wash water and the satisfactory washing effect is not obtained.

한편, 종래의 세탁기 중에는 세탁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공기방울을 발생시켜 세탁 중의 세탁수의 비누화 작용을 촉진하고, 공기방울로 인한 물리력을 세탁물에 가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방울은 그 크기가 커서 세탁물에 접촉되기 보다는 세탁수의 수면 위로 떠오르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로 인해 세탁력 향상에 한계가 있었고, 세탁물에 공기방울이 오랜 시간 접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there is a method of generating air bubbles to improve the washing power, promoting the saponification of the washing water during washing, and applying physical force due to the air bubbles to the laundry. However, the conventional air bubbles are large in size and often floated on the surface of the wash water rather than being in contact with the laundry. As a result, there was a limitation in improving the washing power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ir bubbles did not contact the laundry for a long time.

이를 개선하기 위해 마이크로버블을 사용하는 세탁기가 개발되었다.To improve this, washing machines using microbubbles have been developed.

도 2는 종래의 특허출원 제1996-0055685호의 마이크로버블 방식의 세탁기이다(도 2를 설명하기 위한 부호는 도 2의 설명에만 적용한다). 마이크로버블은 미세한 기포를 일컫는 명칭으로, 기포의 크기가 종래의 공기방울에 비해 월등히 작아 세탁물의 표면에 접착하는 성질이 강하며, 바로 세탁수의 수면 위로 떠올라 기포가 사라지는 현상이 드물다. 즉, 마이크로버블은 세탁수 내에 오래동안 떠 다니면서, 기포 상태를 유지하는 성질이 강하며, 세탁물에 접착되어 쉽게 떨어지지 않는 성질이 있다.Figure 2 is a microbubble type washing machine of the conventional patent application No. 1996-0055685 (symbols for explaining Figure 2 applies only to the description of Figure 2). Microbubble is a name that refers to the fine bubbles, the size of the bubble is much smaller than the conventional air bubbles, and has a strong property of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laundry, it is rare that the bubble disappears immediately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sh water. That is, the microbubble has a property of maintaining a bubble state while floating in the wash water for a long time, and is easily adhered to the laundry so that it does not easily fall off.

상기 마이크로버블 방식의 세탁기는 히터(17)를 지니는 탈수조(13) 내에서 펄세이터(16)를 지니는 세탁조(12)가 모터(15)에 의해 회전되며 세탁작용을 하며, 상기 세탁조(12) 및 탈수조(13)의 상부에서 패킹(25)을 개재하여 기밀되게 장착되는 도어(11), 상기 도어(11)의 고정부에 일단이 배관연결되는 공기관(21), 상기 공기관(21)의 타단에 연결되는 진공펌프(22), 상기 공기관(21) 상에 기밀되게 연결되는 공기차단밸브(23), 상기 도어(11)의 고정부에 장착되는 압력스위치(24), 상기 입력스위치(24)로부터 소정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 상기 공기차단밸브(23)를 개방하고 상기 진공펌프(22)를 가동하면서 상기 히터(17)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는 제어판넬(2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the microbubble type washing machine, a washing tank 12 having a pulsator 16 is rotated by a motor 15 in a dehydration tank 13 having a heater 17 to perform a washing operation, and the washing tank 12 And a door 11 that is hermetically mounted via a packing 25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hydration tank 13, an air pipe 21 having one end piped to a fixed part of the door 11, and an air pipe 21. A vacuum pump 22 connected to the other end, an air shutoff valve 23 hermetically connected on the air pipe 21, a pressure switch 24 mounted on a fixed part of the door 11, and the input switch 24. Including the control panel 26 further has a function of operating the heater 17 while opening the air shutoff valve 23 and operating the vacuum pump 22 until there is a predetermined input from Consists of.

이에 따라 마이크로버블 방식의 세탁기는 세탁물을 삶고 건조시키는 전자동 세탁기에서 소정의 진공압을 형성하는 감압 장치를 부가함으로써, 물을 끓이고 건조시키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은 물론 마이크로 버블에 의해 세탁력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microbubble type washing machine adds a decompression device to form a predetermined vacuum pressure in a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for boiling and drying laundry, thereby shortening the time for boiling and drying water and improving washing power by micro bubbles. have.

그러나 위와 같은 공기를 이용한 마이크로버블 자체에는 살균, 소독력이 없어 물리적인 세탁 효과만 있을 뿐, 화학적 세탁효과는 없으며,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기 위해 진공압 상태에서의 펄세이터(16)와의 연계동작을 이용하여야 하는 복잡함이 있다.However, the microbubbles themselves using air as described above have no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power, but only have a physical washing effect, there is no chemical washing effect, and use the interlocking operation with the pulsator 16 in a vacuum state to generate microbubbles. There is complexity to be don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종래의 공기방울 생성기 등의 별도 구성없이 오존을 이용한 마이크로버블을 간단히 생성하여 세탁에 이용하기 위한 세탁기 구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onfiguration for use in washing by simply generating a microbubble using ozone without a separate configuration, such as a conventional air bubble generator.

본 고안은 오존이 포함된 물-오존혼합물을 먼저 만들고, 펌프를 거치면서, 오존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되도록 하는 세탁기 구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onfiguration in which an ozone-containing water-ozone mixture is first made and an ozone microbubble is generated while passing through a pump.

본 고안은 가압전에 오존을 혼합하여 마이크로버블을 만들어,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더라도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되는 세탁기 구성을 제공하도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a microbubble by mixing ozone before pressurization, and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onfiguration in which the microbubbles are generated even without adding a separate configuration.

도 1은 종래의 오존을 이용한 세탁기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washing machine using a conventional ozone

도 2는 종래의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세탁기를 나타내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 washing machine using a conventional micro bubble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간단히 도시한 개념도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impl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오존혼합부와 개폐밸브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ozone mixing unit and the on-off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회전펌프수단과 압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 rotation pump means and a pressure sen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모터와 스프라켓을 나타내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a motor and a spr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세탁조 내에 회전솔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brush installed in the washing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도 1 및 도 2에는 적용하지 아니함)(Not applicable to FIGS. 1 and 2)

2, 4 : 물공급부 10 : 세탁조2, 4: water supply unit 10: washing tank

20 : 여과장치 30 : 오존발생장치20: filter device 30: ozone generator

32 : 개폐밸브 34 : 오존혼합부32: on-off valve 34: ozone mixing unit

40 : 회전펌프수단 42 : 압력유지탱크40: rotation pump means 42: pressure holding tank

50 : 압력감지부 52 : 압력감지관50: pressure sensing unit 52: pressure sensing tube

54 : 공기배출관 60 : 압력제어수단54 air discharge pipe 60 pressure control means

70 : 모터 72 : 체인70: motor 72: chain

74 : 스프라켓 80 : 회전솔74: sprocket 80: rotary brush

본 고안은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탁기에 있어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장치, 세탁물 및 세탁수를 담는 세탁조, 상기 오존발생장치로부터 유입된 오존과 세탁수를 혼합하여 물-오존혼합물을 생성하는 오존혼합부 및 내부의 로터 또는 임펠러로 상기 물-오존혼합물의 오존을 잘게 부숴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회전펌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ashing machine using a microbubble, ozone generator for generating ozone, a laundry tank containing laundry and wash water, ozone mixture for mixing the ozone and wash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ozone generator to generate a water-ozone mixture Rotor pump means for generating a microbubble to finely crush the ozone of the water-ozone mixture with a rotor and an impeller inside and inside.

본 고안은 상기 회전펌프수단을 지난 물-오존혼합물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와 연결된 압력감지부, 상기 오존발생장치와 상기 오존혼합부를 연결하는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압력을 입력받아 상기 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압력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ssure sensing unit connected to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pressure of the water-ozone mixture passing through the rotary pump means, an on / off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 pipe connecting the ozone generator and the ozone mixture, and the pressure from the pressure sens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essure control means for receiving the input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n-off valve.

본 고안은 상기 펌프수단과 상기 압력감지부 사이에 상기 물-오존혼합물을 잠시 저장하기 위한 압력유지탱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essure holding tank for temporarily storing the water-ozone mixture between the pump means and the pressure sensing unit.

본 고안은 상기 압력감지부가 공기배출관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sen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pipe.

본 고안은 상기 압력제어수단이 상기 압력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이 일정압력에 이르면, 상기 개폐밸브를 열어 오존을 유입시키고, 상기 압력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이 일정압력에 이르지 못하면, 상기 개폐밸브를 닫아 오존을 유입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reaches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on / off valve is opened to introduce ozone, and 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does not reach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opening / closing val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ing does not introduce ozone.

본 고안은 상기 일정압력을 6∼6.5kgf/㎠의 범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ant pressure in the range of 6 ~ 6.5kgf / ㎠.

본 고안은 상기 오존발생장치는 발생된 오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소형 펌프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zone generating device is connected to a small pump to pressurize the generated ozone.

본 고안은 세탁수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여과수단을 상기 오존혼합부와 연결하여 상기 오존혼합부에 유입되는 세탁수를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ration mean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in the wash water, and the filtration means is connected to the ozone mixing part to filter 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ozone mixing part.

상기 세탁조 내에는 모터에 의해 회동될 수 있는 축결합부를 양 측면에 마주보도록 형성하고, 상기 축결합부에는 원통형상의 회전솔을 끼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shing tank is formed so as to face both sides of the shaft coupling portion which can be rotated by a mo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coupling portion is fitted with a cylindrical rotary brush.

오존을 이용한 세탁방법은 오존의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서, 산화력이 우수하고 유기물의 분해, 살균, 냄새 성분 제거 및 세제의 계면활성제 분해를 촉진하는 성질을 이용하기 위하여 세탁물의 세탁시 오존을 세탁수에 용해시켜서 사용하여 세탁물의 살균 및 소독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고자 함이다.Washing method using ozone uses ozone characteristics, and it dissolves ozone in washing water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its excellent oxidizing power and properties that promote decomposition of organic substances, sterilization, removal of odor components and decomposition of surfactants in detergents. It is intended to perform a function that can be used to sterilize and disinfect laundry.

이러한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공기 중의 산소를 오존화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오존발생장치라 한다. 오존발생장치는 공기를 받아 통상의 방법에 의해 공기중의 산소(O2) 한 분자를 두 개의 산소원자(O)로 분리시키고, 여기서 발생한 두개의 산소원자(0)가 각각 다른 산소(O2) 한 분자와 결합되게 하여 오존(O3)을 생성시킨다.In order to generate ozone, an apparatus for ozonizing oxygen in the air is required, which is called an ozone generator. The ozone generator is oxygen in the air by conventional means receiving the air (O 2) separating the molecule into two oxygen atoms (O) and, two oxygen atoms (0) is different oxygen generated here (O 2 ) Combines with one molecule to produce ozone (O 3 ).

이러한 오존은 그 특성상 세탁수의 유기물과 반응하는 시간이 극히 짧아 세탁수에 용해되지 못하는 오존의 발생 확률이 매우 높게 되며, 세탁수에 용해되지 못한 미반응 오존의 일부가 세탁수의 수면으로 부상한 후 대기 중으로 확산되면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Due to its characteristics, the ozone has a very short time to react with organic matter in the wash water, and thus the probability of generating ozone that is insoluble in the wash water is very high. If it is diffused into the atmosphere after the odor occurs.

따라서 오존이 세탁수 중에 오래동안 머무르기 위해서는 오존버블이 세탁수 내에서 세탁물에 점착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크기가 큰 방울을 이용하는 경우 세탁물에 점착되지 못하고 수면으로 쉽게 떠버리는 단점이 있다. 크기가 미세한 소위 마이크로버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버블이 쉽게 떠오르지 않고 세탁수 내에서 유동하게 되며, 세탁물이 있는 경우 세탁물에 용이하게 점착하게 된다.Therefore, in order for ozone to stay in the wash water for a long time, it is necessary for the ozone bubble to adhere to the laundry in the wash water. To this end, if a large size drops are used, they do not adhere to the laundry and are easily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In the case of using a so-called microbubble having a small size, the microbubble does not easily float in the washing water, and if there is laundry, it easily adheres to the laundr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자세히 설명하도록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의 연결을 개념화시킨 도면이다. 본 도면을 기초로 개략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3 is a view conceptualizing the connec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schematic operation based on the drawings as follows.

물공급부(2)로부터 직접 유입된 세탁수 또는 물공급부(4)와 연결된 세탁조(10)에 저장된 세탁수를 여과장치(20)를 통해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The foreign matters, etc. are removed from the washing water directly introduc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2 or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shing tank 10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4 through the filtration device 20.

여과장치(20)를 지난 세탁수는 오존혼합부(34)에 이르게 된다. 오존혼합부(34)는 오존발생장치(30)와 연결되어 있고, 관을 통해 오존이 유입된다. 오존발생장치(30)와 오존혼합부(34) 사이에는 개폐밸브(32)가 있으며, 개폐밸브(32)는 압력제어수단(60)에 의해 밸브를 열거나 닫는다.The wash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device 20 reaches the ozone mixing unit 34. The ozone mixing unit 34 is connected to the ozone generator 30 and ozone is introduced through the pipe. There is an on-off valve 32 between the ozone generator 30 and the ozone mixing unit 34, and the open / close valve 32 opens or closes the valve by the pressure control means 60.

오존혼합부(34)에서 오존과 혼합된 세탁수(물-오존혼합물)는 회전펌프수단(40)을 지나 압력감지부(50)에 이르게 된다. 회전펌프수단(40)과 압력감지부(50)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여유 공간을 갖는 탱크를 형성하여, 일정압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압력유지탱크(4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ashing water (water-ozone mixture) mixed with ozone in the ozone mixing unit 34 passes through the rotary pump means 40 to reach the pressure sensing unit 50. Between the rotary pump means 40 and the pressure sensing unit 5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tank having a certain amount of free space, to provide a pressure holding tank 42 to help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압력감지부(50)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으며, 압력센서(미도시)는 압력제어수단(60)에 압력감지부(50)에서의 세탁수 압력을 전달한다. 압력감지부(50)를 지난 세탁수는 세탁조(10)로 돌아가게 된다.The pressure sensing unit 50 is connected to a pressure sensor (not shown) capable of measuring pressure, and the pressure sensor (not shown) sends the washing water pressure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50 to the pressure control means 60. To pass. Washing water past the pressure sensing unit 50 is returned to the washing tank (10).

오존발생장치(30)에서는 산소를 오존으로 바꿔, 소형펌프(미도시)를 통해 오존을 공급한다. 오존발생장치(30)로부터의 오존이 오존혼합부(34)로 끊임없이 유입되는 경우, 관을 흐르는 세탁수의 압력이 낮아져 회전펌프수단(40)을 더욱 고압으로 돌려줘야 하므로 고압용 펌프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ozone generator 30 converts oxygen into ozone and supplies ozone through a small pump (not shown). When ozone from the ozone generator 30 constantly flows into the ozone mixing unit 34,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pipe is lowered, so that the rotary pump means 40 must be returned to a higher pressure, thereby requiring a high pressure pump. There is this.

따라서 오존을 지속적으로 유입하지 아니하고, 일정압력을 유지하면서 단속적으로 오존을 공급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저압용 펌프를 사용하여도 마이크로버블을 만들 수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y ozone intermittently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pressure without continuously introducing ozone. In this case, a microbubble can be made even by using a low pressure pump.

압력제어수단(60)은 압력감지부(50)의 압력이 일정압력에 이르면 개폐밸브(32)를 열도록 제어한다. 개폐밸브(32)가 열리면, 오존이 세탁수 내에 포함되고, 압력은 떨어지게 된다.The pressure control means 60 controls the opening / closing valve 32 to open when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sensing unit 50 reaches a predetermined pressure. When the on-off valve 32 is opened, ozone is contained in the wash water, and the pressure drops.

압력감지부(50)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로 내려가면 압력제어수단(60)은 개폐밸브(32)를 닫도록 제어한다. 개폐밸브(32)가 닫히면, 세탁수의 압력은 원래 회전펌프수단(40)에서 가압하는 만큼의 압력으로 올라가게 된다.When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sensing unit 50 falls below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pressure control means 60 controls the closing valve 32 to close. When the on-off valve 32 is closed,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s raised to the pressure as originally pressurized by the rotary pump means (40).

실험 결과 개폐밸브(32)는 1초에도 여러 차례 열고 닫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일정압력을 유지하게 된다.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on-off valve 32 maintains a constant pressure while repe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several times even in one second.

한편, 마이크로버블은 액체 내의 기체방울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생성하게 된다.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생성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나 본 고안에서는 회전펌프수단(40)의 로터 또는 임펠러를 이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microbubbles are produced by finely pulverizing the gas bubbles in the liquid. In order to generate microbubbles, a separate generating device should be provid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 rotor or an impeller of the rotary pump means 40 is used.

오존 마이크로버블은 일정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로터 또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내부의 오존 버블이 분쇄되어 생성된다. 통상적으로 마이크로버블을 만들기 위해서 고압의 회전펌프를 사용한다.The ozone microbubbles are generated by crushing the ozone bubbles inside by the rotation of the rotor or the impeller to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Typically, high pressure rotary pumps are used to make microbubbles.

그러나 고압의 회전펌프를 사용하는 경우 펌프의 크기가 커지고,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각 기구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저압의 회전펌프를 사용하면서도 마이크로버블을 만들 수 있는 임계 압력값을 찾는 것이 중요하며, 이 임계압력값을 아는 경우 저압의 회전펌프만으로도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high pressure rotary pump is used, the size of the pump increases, and excessive pressure may cause problems in each apparatu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a critical pressure value capable of making a microbubble while using a low pressure rotary pump, and if the critical pressure value is know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microbubble using only a low pressure rotary pump.

저압의 회전펌프수단(40)이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기 위해 유지해야 하는 가장 낮은 압력은 실험적으로 6∼6.5kgf/㎠임이 드러났다. 회전펌프수단(40)의 압력이 6∼6.5kgf/㎠이하인 경우에는, 마이크로버블의 생성량이 극히 적으나, 압력이 6∼6.5kgf/㎠을 넘어서면서, 마이크로버블의 생성량이 급격히 증가한다.The lowest pressure that the low pressure rotary pump means 40 must maintain to produce microbubbles has been experimentally found to be 6-6.5 kgf / cm 2. In the case where the pressure of the rotary pump means 40 is 6 to 6.5 kgf / cm 2 or less, the amount of microbubbles is generated very little, while the pressure exceeds 6 to 6.5 kgf / cm 2, and the amount of microbubbles is rapidly increased.

따라서 고압의 회전펌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저압의 회전펌프수단(40)을 사용해 최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a high pressure rotary pump is not used, the maximum effect can be achieved by using the low pressure rotary pump means 40.

회전펌프수단(40) 내에서 일정압력 이상을 유지하기 위한 로터 또는 임펠러로 인해 생성된 마이크로버블과 세탁수는 압력유지탱크(42)를 거치게 된다. 압력유지탱크(42)는 회전펌프수단(40)으로부터의 물-오존혼합물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면서 균일하게 압력감지부(50)로 배출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microbubbles and wash water generated by the rotor or impeller for maintaining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in the rotary pump means 40 are subjected to the pressure holding tank 42. The pressure holding tank 42 has an effect of uniformly storing the water-ozone mixture from the rotary pump means 40 to the pressure sensing unit 50 while being temporarily stored.

압력감지부(50)에서는 물-오존혼합물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압력제어수단(60)에 압력을 전달하는 센서(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다.The pressure sensing unit 50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water-ozone mixture and is connected to a sensor (not shown) that transmits pressure to the pressure control means 60.

압력감지부(50)를 지난 물-오존혼합물은 세탁조로 유입되며, 세탁조 내에서 오존 마이크로버블은 세탁물에 점착되어 오존 특유의 살균, 소독효과를 수행한다.The water-ozone mixture passing through the pressure sensing unit 50 is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ank, and the ozone microbubbles are adhered to the laundry in the washing tank to perform the ozone-specific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effect.

도 4는 본 고안의 오존혼합부(34) 및 개폐밸브(3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zone mixing unit 34 and the on-off valve 32 of the present invention.

개폐밸브(32)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며, 한 쪽의 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존을 압력제어수단(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열고 닫는다. 개폐밸브(32)가 열리면 오존은오존혼합부(34)로 유입되고, 물은 오존과 혼합하여 물-오존혼합물이 형성된다.The on-off valve 32 is electrically operated, and opens and closes ozone flowing from one pipe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pressure control means 60. When the open / close valve 32 is opened, ozone flows into the ozone mixing unit 34, and water is mixed with ozone to form a water-ozone mixture.

도 5는 본 고안의 회전펌프수단(40)과 압력감지부(5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ry pump means 40 and the pressure sensing unit 50 of the present invention.

회전펌프수단(40)으로 유입된 물-오존혼합물은 회전펌프수단(40) 상부의 압력유지탱크(42)를 지나 압력감지부(50)로 유입된다.The water-ozone mixture introduced into the rotary pump means 40 is introduced into the pressure sensing unit 50 through the pressure holding tank 42 above the rotary pump means 40.

압력감지부(50)는 센서(미도시)와 연결된 압력감지관(52)과 공기배출관(54)을 포함하고 있다.The pressure sensing unit 50 includes a pressure sensing pipe 52 and an air discharge pipe 54 connected to a sensor (not shown).

공기배출관(54)은 구동 초기의 관 내부의 공기를 빼내기 위한 장치로서, 구동 초기에만 열어놓아 공기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초기의 공기가 모두 배출되어, 물-오존혼합물이 유입되는 경우 공기배출관(54)은 별도의 밸브(미도시)로 닫히게 된다.The air discharge pipe 54 is a device for extracting the air inside the tube at the beginning of driving, and is configured to open air only at the beginning of driving to discharge air. When all the initial air is discharged and the water-ozone mixture is introduced, the air discharge pipe 54 is closed by a separate valve (not shown).

도 6은 본 고안의 모터(70)와 스프라켓(74)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tor 70 and the sprocket 74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과 같이 오존 마이크로버블의 살균, 소독력을 이용한 세탁기는 일반 의류 뿐만 아니라 신발, 헬멧, 야구글러브, 롤러스케이트 등의 다양한 물품에 사용되는 경우 더욱 효과가 크다. 상기한 물품은 자주 세탁되지 않기 때문에 살균, 소독이 더욱 중요시되며, 최근 상기 물품을 전문적으로 세탁하기 위한 구성들이 도입되고 있다.Washing machine using the sterilization, disinfection power of the ozone microbubbl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effective when used in various items such as shoes, helmets, baseball gloves, roller skates as well as general clothing. Since the articles are not frequently washed,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are more important, and constructions for professionally washing the articles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이에 본 고안은 세탁조(10) 내에서 회전하는 솔을 부착할 수 있는 구성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dding a configuration that can be attached to the brush rotating in the washing tank (10).

모터(70)는 체인(72)을 이용해 스프라켓(74)을 회전시키며, 스프라켓(74)은세탁조(10) 내부 측면의 축결합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스프라켓(74)이 회전되면 축결합부(미도시)도 회전하게 된다.The motor 70 rotates the sprocket 74 by using the chain 72, the sprocket 74 is connected to the shaft coupling portion (not shown) of the inner side of the washing tank (10). When the sprocket 74 is rotated, the shaft coupling portion (not shown) also rotates.

모터(70), 체인(72), 스프라켓(74)은 세탁조(10)의 측면 외부에 설치되며, 세탁조(10) 내부에는 양 측면에 축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The motor 70, the chain 72, and the sprocket 74 are installed outside the side surface of the washing tank 10, and the inside of the washing tank 10 includes shaft coupling portions (not shown).

도 7에는 본 고안의 세탁조(10)내에 설치된 회전솔(80)이 도시되어 있다.7 shows a rotary brush 80 installed in the washing tan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회전솔(80)은 중심축이 축결합부(미도시)에 끼워져 회전하게 되며, 중심축에는 원주 바깥방향으로 균일한 길이의 솔이 결합되어 있다.The rotary brush 80 is rotated by the central axis is fitted to the shaft coupling portion (not shown), the sole of the uniform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outward direction is coupled to the central axis.

회전솔(80)의 회전을 이용해 신발 등의 물품을 효과적으로 씻어낼 수 있다.The rotation of the rotary brush 80 can be used to effectively wash articles such as shoes.

한편, 본 고안의 압력감지부(50)와 세탁조(10) 사이에는 압력설정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압력설정수단(미도시)은 내부관의 단면 넓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관 내부의 물-오존혼합물의 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pressure sensing unit 50 and the washing tan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essure setting means (not shown), the pressure setting means (not shown) to adjus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tube, The pressure of the water-ozone mixture inside the tube can be set.

본 고안은 오존을 이용한 버블을 세탁에 이용하여, 살균, 소독력을 강화한 세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using the ozone bubble to wash, washing can be enhanced sterilization, disinfection.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버블발생수단 없이도 오존버블을 생성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generating the ozone bubble without a separate bubble generating means.

또한 본 고안은 고압의 회전펌프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오존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generating ozone microbubbles without using a high-pressure rotary pump means.

또한 본 고안은 마이크로버블이 발생되는 임계압력을 유지하도록 하여, 저압의 회전펌프수단을 사용하면서도 용이하게 오존 마이크로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critical pressure at which the microbubbles are generated, so that the ozone microbubbles are easily generated while using the low pressure rotary pump means.

또한 본 고안은 세탁조 내에 회전솔을 구비하여 신발 등의 세탁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rotary brush in the washing tank to facilitate the washing of shoes and the like.

Claims (9)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탁기에 있어서,In the washing machine using a microbubble,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장치;Ozone generator for generating ozone; 세탁물 및 세탁수를 담는 세탁조;A laundry tank containing laundry and washing water; 상기 오존발생장치로부터 유입된 오존과 세탁수를 혼합하여 물-오존혼합물을 생성하는 오존혼합부; 및An ozone mixing unit for generating a water-ozone mixture by mixing ozone introduced from the ozone generator and washing water; And 내부의 로터 또는 임펠러로 상기 물-오존혼합물의 오존을 잘게 부숴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회전펌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탁기.Washing machine using the ozone microbubble comprising a rotary pump means for generating a microbubble to finely break the ozone of the water-ozone mixture by a rotor or impeller insi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전펌프수단을 지난 물-오존혼합물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와 연결된 압력감지부;A pressure sensing unit connected to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a pressure of the water-ozone mixture past the rotary pump means; 상기 오존발생장치와 상기 오존혼합부를 연결하는 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On-off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ipe connecting the ozone generator and the ozone mixing unit; And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압력을 입력받아 상기 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압력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탁기.Washing machine using ozone microbubbl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control means for receiving the pressure from the pressure sensor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n-off valv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회전펌프수단과 상기 압력감지부 사이에 상기 물-오존혼합물을 잠시 저장하기 위한 압력유지탱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탁기.Washing machine using ozone micro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holding tank for temporarily storing the water-ozone mixture between the rotary pump means and the pressure sensing uni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압력감지부는 공기배출관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탁기.The pressure sensing unit washing machine using ozone micro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pip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압력제어수단은The pressure control means 상기 압력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이 일정압력에 이르면, 상기 개폐밸브를 열어 오존을 유입시키고,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reaches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is opened to introduce ozone, 상기 압력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이 일정압력에 이르지 못하면, 상기 개폐밸브를 닫아 오존을 유입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탁기.Washing machine using ozone microbubb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does not reach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closing valve does not introduce ozon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일정압력은 6∼6.5kgf/㎠의 범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탁기.The constant pressure is a washing machine using ozone micro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range of 6 ~ 6.5kgf /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오존발생장치는 발생된 오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소형 펌프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탁기.The ozone generator is a washing machine using ozone micro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a small pump to pressurize the generated ozo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세탁수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수단을 구비하고,Filtration mean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in the wash water, 상기 여과수단을 상기 오존혼합부와 연결하여 상기 오존혼합부에 유입되는 세탁수를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탁기.Washing machine using ozone microbubble, characterized in that for filtering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ozone mixing unit by connecting the filtration means with the ozone mix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세탁조 내에는 모터에 의해 회동될 수 있는 축결합부를 양 측면에 마주보도록 형성하고,The washing tank is formed so as to face both sides of the shaft coupling portion that can be rotated by a motor, 상기 축결합부에는 원통형상의 회전솔을 끼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탁기.Washing machine using the ozone microbub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xial coupling portion to insert a cylindrical rotary brush.
KR20-2003-0017556U 2003-06-04 2003-06-04 Washing Machine Using Ozon Microbubble KR20032616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556U KR200326169Y1 (en) 2003-06-04 2003-06-04 Washing Machine Using Ozon Microbub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556U KR200326169Y1 (en) 2003-06-04 2003-06-04 Washing Machine Using Ozon Microbub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169Y1 true KR200326169Y1 (en) 2003-09-06

Family

ID=4941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556U KR200326169Y1 (en) 2003-06-04 2003-06-04 Washing Machine Using Ozon Microbub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16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630A (en) * 2014-02-28 2015-09-07 주식회사 엘럽스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630A (en) * 2014-02-28 2015-09-07 주식회사 엘럽스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Device
KR101595405B1 (en) * 2014-02-28 2016-02-18 주식회사 엘럽스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6120A (en) Ozonated laundry system
EP1726709B1 (en) A method for fluid recovery in a semi-aqueous wash process
US20070251549A1 (en) Dishwasher Using Ozone
EA022523B1 (en) Method for treating laundry using ozone in a washing machine at low temperature and washing machine suitable for said method
JP2007195865A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thereof
KR200326169Y1 (en) Washing Machine Using Ozon Microbubble
KR100423142B1 (en) Integrated Radial Generator for Washing Machine
US7415847B1 (en) Washing machine
JPH11137882A (en) Home washer
JPH04244198A (en)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using ozonic water
JP2003220292A (en) Ozone washing system
JPH09108490A (en) Washing machine
KR100364736B1 (en) washer
KR100244178B1 (en) device for dechlorinating from water in washing machine
KR0140664B1 (en) A washing water purification device of a washing machine
KR101794636B1 (en) Wash water washing apparatus having a vortex circulation and mixing starch and the air blowing function
JP2003236287A (en) Washing machine
JP2004000536A (en) Washing method
JP2001353393A (en) Washing machine
KR100215804B1 (en) The chlorine separating apparatus in water of a washing machine
KR100209666B1 (en) The chlorine removal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KR100325506B1 (en) method for resolving ozone using heating air in air bubble-ozone washing machine
KR100209667B1 (en) The washing machine with a decolorlation preventing apparatus
KR100252942B1 (en) device for detecting density of chlorine in washing machine with dechlorinating device
KR100326658B1 (en) Ozone washing method in air bubble ozone wash-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