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781Y1 - 디지털 도어록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781Y1
KR200325781Y1 KR20-2003-0018315U KR20030018315U KR200325781Y1 KR 200325781 Y1 KR200325781 Y1 KR 200325781Y1 KR 20030018315 U KR20030018315 U KR 20030018315U KR 200325781 Y1 KR200325781 Y1 KR 200325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ad bolt
pulley
door lock
driven pulley
digita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3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금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이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이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이퍼
Priority to KR20-2003-00183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7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7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7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rotary mot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드볼트 작동장치가 모터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을 정확히 데드볼트 측으로 전달함과 더불어 종래에 비해 향상된 공간점유 특성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출입인증수단이 구비된 외측몸체와, 상기 출입인증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모터부 및 기어수단을 포함하여 되고 도어개폐를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데드볼트의 잠금 및 해정동작을 수행하는 데드볼트 작동장치가 내설되는 내측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 작동장치(20)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모터부(21); 상기 모터부(21)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22); 벨트부재(24)를 매개로 하여 상기 구동풀리(22)에 연동하여 회동되는 종동풀리(23); 및 상기 종동풀리(23)의 회동에 의해 동작되어 데드볼트(10)를 스트라이커에 선택적으로 전/후진시키는 가동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록{A DIGITAL DOORLOCK}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데드볼트 작동장치가 모터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을 정확히 데드볼트 측으로 전달함과 더불어 종래에 비해 향상된 공간점유 특성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도어록은 각종 시설물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일반 도어록에 비해 엄격한 출입통제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나, 지문 인식기, 카드리더 등과 같은 출입인증수단이 구비되어 높은 보안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디지털 도어록은 잠금쇠인 외부로 출몰작동되는 데드볼트가 별도의 도어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주(主)키 스타일과, 기계식 등으로 이미 주키가 설치된 경우에 데드볼트가 도어체 외부인 도어록의 내측몸체 내에 설치되는 보조키 스타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은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 중에서 데드볼트가 도어체 외부인 도어록의 내측몸체에 설치되는 보조키 스타일의 디지털 도어록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치상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내측몸체의 구성도로서, 특히 데드볼트의 작동을 위한 구성이 중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은 출입인증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데드볼트(110)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모터부(121)및 기어수단(122,123)과 이에 연동되는 데드볼트(110), 도어 개폐시 문틀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미도시)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출몰되는 래치볼트(140)가 설치되는 내측몸체(A)와, 키패드(150) 등 각종 출입인증 수단이 구비된 외측몸체(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은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부(121)가 정회전 혹은 역회전되어 기어수단(122, 123)을 경유하여 데드볼트(110)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스트라이커에 대한 잠금동작이나 해정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기어수단(122, 123)은 모터부(121)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소정의 가동수단(130)을 경유하여 데드볼트(110)에 전달하는 장치로서, 종래에는 주로 수평 및 수직으로 상호 치합되는 베벨기어(122,123)가 사용되었으며, 그밖에 웜기어 어셈블리 등 여러 형태의 기어구조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어구조들은 인접하는 기어 간에 유격이 발생하여 치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동력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여 작동불능 상태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모터와 기어간의 결합구조가 점유공간을 크게 차지하설치위치가 자유롭지 못하고 이에 따라 내측몸체의 공간을 크게 형성해야 되는 등 의 취약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데드볼트 작동장치가 슬립(slip) 등 오동작의 발생없이 모터의 동력을 정확히 데드볼트 측으로 전달함과 더불어 공간점유가 적은 데드볼트 작동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구성을 보이는 설치상태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내부몸체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내부몸체의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출입문 A...내측몸체
B...외측몸체 1A...본 고안의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몸체
10...데드볼트 20...데드볼트 작동장치
21...모터부 22...구동풀리
23...종동풀리 24...벨트부재
30...가동수단 31...스핀들
32...조작레버 33...가동부재
34...가이드봉 40...래치볼트
60...제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은,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출입인증수단이 구비된 외측몸체와,
상기 출입인증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모터부 및 기어수단을 포함하여 되고 도어개폐를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데드볼트의 잠금 및 해정동작을 수행하는 데드볼트 작동장치가 내설되는 내측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 작동장치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 벨트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구동풀리에 연동하여 회동되는 종동풀리; 및 상기 종동풀리의 회동에 의해 동작되어 데드볼트를 스트라이커에 선택적으로 전/후진시키는 가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가 타이밍 풀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트부재는 이에 치합되는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가 체인 풀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트부재는 이에 치합되는 체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디지털 도어록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이는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몸체(1A)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은,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출입인증수단이 구비된 외측몸체와,
상기 출입인증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모터부 및 기어수단을 포함하여 되고 도어개폐를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데드볼트(10)의 잠금 및 해정동작을 수행하는 데드볼트 작동장치가 내설되는 내측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 작동장치(20)는,
제어부(60)로부터 전해지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모터부(21), 상기 모터부(21)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22), 벨트부재(24)를 매개로 하여 상기 구동풀리(22)에 연동하여 회동되는 종동풀리(23) 및 상기 종동풀리(23)의 회동에 의해 동작되어 데드볼트(10)를 스트라이커에 선택적으로 전/후진시키는 가동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벨트부재(24)는 타이밍 벨트가 채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풀리(22) 및 종동풀리(23)는 타이밍 풀리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부(21)의 회전축과 일체로 구동풀리가 회전하면 이에 정확히 치합된 타이밍 벨트가 회전하여 종동풀리에 동력이 전달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벨트부재는 체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기 구동풀리(22) 및 종동풀리(23)는 체인 풀리(스프로켓)으로 이루어진다.
모터부(10)의 동력에 의해 상기 종동풀리(23)가 회동되면 그 회동력은 가동수단(30)을 경유하여 데드볼트(10)로 전달된다. 이 때 상기 가동수단(30)으로는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데드볼트(10)를 전/후진시키는 공지의 다양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동수단(30)은 상기 종동풀리(23)와 일체로 회전되는 스핀들(31)과 이 스핀들(31)로부터 돌출되는 조작레버(32)와 상기 데드볼트(10)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레버(32)의 회동에 연동하여 수평으로 전/후진되는 가동부재(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동부재(33)에는 가이드봉(34)에 대하여 상기 가동부재(33)가 수평운동하도록 장공(33a)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조작레버(32)의 회동범위에 상응하도록 지지홈(33b)이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32)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종동풀리(23)에 연동하여 스핀들(31)이 회동하면 조작레버(32)가 상기 가동부재(33)를 수평으로 가동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가동부재(33)에 연결된 데드볼트(10)가 문틀측의 스트라이커에 대하여 전진 혹은 후진운동을 하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가동수단(30)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기술을 채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데드볼트 작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최초 데드볼트(10)가 스트라이커측으로 전진하여 잠겨진 상태에서, 키패드(50)의 조작에 따라 모터부(21)가 구동되어 정회전하면, 바람직하게 타이밍 벨트나 체인구조로 이루어지는 벨트부재(24)를 매개로 하여 구동풀리(22)로부터 종동풀리(23)로 매우 정확한 회전력 전달동작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종동풀리(23)는 가동수단(30)을 경유하여 데드볼트(10)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종동풀리(23)의 회동은 곧 데드볼트(10)의 후진운동으로 이어져 실질적으로 스트라이커에 대한 데드볼트(10)의 해정동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키패드(10)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부(21)가 역회전하도록 구동되면, 상기와 반대의 동작이 수행되면서 데드볼트(10)에 대한 잠금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타이밍 벨트나 체인구조를 매개로 하여 모터 혹은 비상키의 조작에 따른 회전력이 데드볼트측으로 전달되므로 종래의 기어구조와는 달리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매우 정확한 동력의 전달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베벨기어나 웜기어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공간점유 정도가 적고 모터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결과적으로 도어록 전체의 구조를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출입인증수단이 구비된 외측몸체와,
    상기 출입인증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모터부 및 기어수단을 포함하여 되고 도어개폐를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데드볼트의 잠금 및 해정동작을 수행하는 데드볼트 작동장치가 내설되는 내측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 작동장치(20)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모터부(21);
    상기 모터부(21)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22);
    벨트부재(24)를 매개로 하여 상기 구동풀리(22)에 연동하여 회동되는 종동풀리(23); 및
    상기 종동풀리(23)의 회동에 의해 동작되어 데드볼트(10)를 스트라이커에 선택적으로 전/후진시키는 가동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풀리(22) 및 종동풀리(23)가 타이밍 풀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트부재(24)는 이에 치합되는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풀리(22) 및 종동풀리(23)가 체인 풀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트부재(24)는 이에 치합되는 체인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KR20-2003-0018315U 2003-06-11 2003-06-11 디지털 도어록 KR200325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315U KR200325781Y1 (ko) 2003-06-11 2003-06-11 디지털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315U KR200325781Y1 (ko) 2003-06-11 2003-06-11 디지털 도어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630A Division KR20040106789A (ko) 2003-06-11 2003-06-11 디지털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781Y1 true KR200325781Y1 (ko) 2003-09-06

Family

ID=4941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315U KR200325781Y1 (ko) 2003-06-11 2003-06-11 디지털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7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0886B2 (en) Electronic cam locking systems for vending machines and the like
AU2004251188A1 (en) Electromechanical lock cylinder
CN1436271A (zh) 自关闭锁以及装有该锁的封闭系统
US6250119B1 (en) Mortise lock
US9523215B2 (en) Electronic locking systems for vending machines and the like
US20230125306A1 (en) Electric latch mechanism
EP1495202B1 (en) Electrically controlled door lock
SE1951087A1 (en) Lock device and system
KR200402198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KR200325781Y1 (ko) 디지털 도어록
KR20040106789A (ko) 디지털 도어록
KR200325780Y1 (ko) 디지털 도어록을 위한 데드볼트 작동장치
KR100786338B1 (ko) 전자도어락의 백셋
GB2457680A (en) A latch arrangement for an automotive door
KR20040106787A (ko) 디지털 도어록을 위한 데드볼트 작동장치
KR200425532Y1 (ko) 이중잠금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CN114080483B (zh) 用于窗、门等的锁扣件
KR200311370Y1 (ko) 전자식 도어록에 적용되는 전동 모티스 록킹 장치
KR100922344B1 (ko) 모티스 록 장치
KR200409190Y1 (ko) 디지털 도어록 조립체
CN112942997A (zh) 一种新型自动锁栓装置
KR100763820B1 (ko) 디지털 도어록용 모티스록
KR20090123364A (ko) 키박스
KR101719956B1 (ko) 도어락용 모티스
KR102267632B1 (ko) 디지털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