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927Y1 - 지문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지문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927Y1
KR200324927Y1 KR20-2003-0016774U KR20030016774U KR200324927Y1 KR 200324927 Y1 KR200324927 Y1 KR 200324927Y1 KR 20030016774 U KR20030016774 U KR 20030016774U KR 200324927 Y1 KR200324927 Y1 KR 200324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fingerprint recognition
recognition device
read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강자
Original Assignee
(주) 대성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성하이텍 filed Critical (주) 대성하이텍
Priority to KR20-2003-0016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9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9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7Details of sensors, e.g. sensor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지문인식장치는, 지문감지부, 메모리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생체정보화해 인식하는 지문인식기; 인식 대상인 지문과 직접 접촉하거나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하방을 향하도록 구성된 지문인식표면; 빛, 충격, 및 우수와 같은 외부의 오류유발인자로부터 지문 인식기를 보호하는 보호부; 및 인식 대상인 지문이 포함된 손가락을 삽입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지문인식장치의 상기 지문인식표면은 지문인식장치의 안쪽을 향해 상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갖고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지문인식장치의 상기 지문인식기 및 지문인식표면은 물리, 화학적으로 방수처리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빛, 충격, 및 우수와 같은 외부의 오류유발인자로부터 지문인식기와 지문인식표면을 보호하고 지문인식표면에 균일한 접촉압력이 제공되게 하여 지문인식장치의 오작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지문인식장치{Fingerprint Recognition Apparatus}
본 고안은 지문인식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지문인식표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별도의 보호부를 제공함으로써, 빛, 충격, 및 우수와 같은 외부의 오류유발인자로부터 지문 인식기를 보호하고 지문인식기에 균일한 접촉압력이 제공되는 지문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안 산업의 핵심기술로서 생체인식기술(Bio-metrics)이 각광받고 있다. 생체인식은 사람의 신체중에서 타인의 것과는 명확하게 구별되는 지문, 장문, 홍채, 얼굴 또는 음성을 인식하는 것으로서, 이렇게 인식된 생체정보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생체정보와 전자적으로 비교되어서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활용된다.
지문은 땀샘이 융기되어 일정한 흐름을 형성한 것으로 태어날 때의 모양 그대로 평생 동안 변하지 않는다. 식별에 대한 신뢰도와 안정도에 있어서도 지문은 망막, 홍채, 정맥, 얼굴 등 다른 생체인식 방법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지문인식을 위한 입력 장치로서는 프리즘이나 홀로그램 등을 이용하는 광학방식과 손가락의 열, 압력, 전기장이나 초음파 등을 감지하는 비광학방식이 있으며, 지문인식기술은 0.5%이내의 에러율이라는 비교적 높은 인식률과 1초 이내에 이루어지는 빠른 검증 속도라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지문인식기술은 다른 생체인식기술에 비해 지문을 저장하고 식별하는 센서와 반도체 칩의 가격이 저렴한 데다 기술 발달이 상대적으로 빠르고 응용분야의 폭이 넓다는 장점을 갖는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문인식시스템은 소형화되어 휴대폰, 출입문 잠금장치, 노트북, 컴퓨터 마우스 등으로 개발되어 시판 중이며, 앞으로도 출입 통제, 금융, 컴퓨터 보안, 전자상거래 등의 분야에서 계속해서 업그레이드된 지문인식기술이 활용될 예정이다.
종래 생체인식기술 중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응용예로서 지문인식장치를 들 수 있다. 통상의 지문인식장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지문인식표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지문을 지문인식표면에 대고 스캐닝하면, 내장된 지문인식기에 의하여 입력된 지문과 미리 저장된 지문을 비교하여, 비교결과가 일치하면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것과 같이 구동하게 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지문인식장치(400)는, 인식의 대상이 되는 지문을 감지하는 센서를 탑재한 지문감지부, 지문의 생체인식정보를 전자화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지문감지부 및 메모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401)와 인식의 대상이 되는 지문이 직접 접촉하거나 근접되어 생체인식정보로서의 지문인식정보가 입력되는 지문인식기표면(402)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지문인식장치(400)는 개구부(502)를 통해 지문인식표면이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빛, 충격, 및 우수와 같은 외부의 오류유발인자(501)로 인하여 지문인식표면의 흠집 및 고장 등의 발생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지문인식시 정확한 지문데이터의 인식이 불가능하므로 오동작 또는 오인증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지문인식표면(402)에 지문을 접촉시키는 경우, 손가락으로 지문인식표면(402)을 누르는 힘(601)과 중력에 의한 힘(602)이 합해져 지문인식표면(402)을 누르는 힘으로 작용함으로써, 균일한 접촉압력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지문인식표면(402)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고의로 지문인식표면을 파손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문인식표면 뿐만 아니라, 내부의 스캐닝 및 인증을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내장회로가 파손됨으로 인해 많은 비용을 들여 수리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문인식장치의 지문인식표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별도의 보호부를 제공함으로써, 빛, 충격, 및 우수와 같은 외부의 오류유발인자로부터 지문인식기와 지문인식표면을 보호하고 지문인식표면에 균일한 접촉압력이 제공되게 하여 지문인식장치의 오작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지문인식장치의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지문인식장치의 측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지문인식장치의 개구부를 통해 손가락이 삽입된 형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4는 종래의 지문인식장치의 정면도.
도5는 종래의 지문인식장치의 측단면도.
도6은 종래의 지문인식장치의 개구부를 통해 손가락이 삽입된 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지문인식장치는, 지문감지부, 메모리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생체정보화해 인식하는 지문인식기; 인식 대상인 지문과 직접 접촉하거나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하방을 향하도록 구성된 지문인식표면; 빛, 충격, 및 우수와 같은 외부의 오류유발인자로부터 지문 인식기를 보호하는 보호부; 및 인식 대상인 지문이 포함된 손가락을 삽입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지문인식장치의 상기 지문인식표면은 지문인식장치의 안쪽을 향해 상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갖고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지문인식장치의 상기 지문인식기 및 지문인식표면은 물리, 화학적으로 방수처리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지문인식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지문인식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지문인식장치(100)는 인식의 대상이 되는 지문을 감지하는 센서를 탑재한 지문감지부, 지문의 생체인식정보를 전자화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지문감지부와 메모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401)와 인식의 대상이 되는 지문과 직접 접촉하거나 근접되어 생체인식정보가 입력되는 지문인식기표면(102)을 포함하고 있다. 지문인식표면(102)이 하방을 향하도록 구성하고, 손가락이 삽입되는 개구부(203)측 상부에 지문인식기(101)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203)를 배치하여, 빛, 충격, 및 우수와 같은 외부의 오류유발인자로부터 지문 인식기를 보호하고 지문인식기에 균일한 접촉압력이 제공되게 하여 지문인식장치의 오작동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도2는 본 고안의 지문인식장치(100)의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지문인식장치(100)는, 지문인식기(101), 지문인식표면(102), 보호부(202), 및 개구부(203)을 포함하고 있으며, 빛, 충격, 및 우수와 같은 외부의 오류유발인자(201)로부터 지문인식표면(102) 및 지문인식기(101)를 보호하기 위해, 지문인식표면(102)을 개구부(203)의 상부 내측에 배치하고 개구부측 상부에 돌출된 보호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문인식표면(102)이 개구부(203) 반대측을 향해 상방으로의 경사를 형성하도록 배치하여, 외부의 오류유발인자(201)로부터 지문인식표면(102)을 더욱 확실히 보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지문인식장치(100)의 개구부(203)를 통해 삽입된 손가락이, 인식대상인 지문을 인식하기 위해, 지문인식표면(102)에 근접, 혹은 접촉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누르는 힘(301)이 작용하는 방향은 상방을 향하고 있는 반면에, 중력에 의한 힘(302)은 이와 반대인 하방측을 향하고 있어, 실제로 지문인식표면(102)에 작용하는 힘이 종래의 지문인식장치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 지문인식장치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에 별도의 물건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에 이러한 물건의 무게도 지문인식표면을 압박하는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나, 본 고안의 경우에는 이러한 무게 역시 중력에 의한 힘(302)과 같이 하방측을 향할 것이므로, 지문인식장치(100)를 압박하는 압력으로는 작용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빛, 충격, 및 우수와 같은 외부의 오류유발인자로부터 지문 인식기를 보호하고 지문인식표면에 균일한 접촉압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높은 생체인식정보가 입력되어 오작동이 방지되며, 내구성이 우수한 지문인식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지문감지부, 메모리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생체정보화해 인식하는 지문인식기,
    인식 대상인 지문과 직접 접촉하거나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하방을 향하도록 제공된 지문인식표면,
    빛, 충격, 및 우수와 같은 외부의 오류유발인자로부터 지문 인식기를 보호하는 보호부, 및
    인식 대상인 지문이 포함된 손가락을 삽입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표면은 지문인식장치의 안쪽을 향해 상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기 및 지문인식표면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방수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KR20-2003-0016774U 2003-05-29 2003-05-29 지문인식장치 KR200324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774U KR200324927Y1 (ko) 2003-05-29 2003-05-29 지문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774U KR200324927Y1 (ko) 2003-05-29 2003-05-29 지문인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927Y1 true KR200324927Y1 (ko) 2003-09-02

Family

ID=4941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774U KR200324927Y1 (ko) 2003-05-29 2003-05-29 지문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92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077B1 (ko) 2007-07-27 2009-07-3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
US8423097B2 (en) 2005-02-18 2013-04-16 Fujitsu Limited Sliding portable telephone
KR20180104232A (ko) 2017-03-10 2018-09-20 크루셜텍 (주) 다중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비접촉식 다중 생체 인식 방법 및 다중 생체 인식 장치
KR20180104231A (ko) 2017-03-10 2018-09-20 크루셜텍 (주) 다중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비접촉식 다중 생체 인식 방법 및 다중 생체 인식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3097B2 (en) 2005-02-18 2013-04-16 Fujitsu Limited Sliding portable telephone
US8554291B2 (en) 2005-02-18 2013-10-08 Fujitsu Limited Sliding portable telephone
KR100910077B1 (ko) 2007-07-27 2009-07-3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
KR20180104232A (ko) 2017-03-10 2018-09-20 크루셜텍 (주) 다중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비접촉식 다중 생체 인식 방법 및 다중 생체 인식 장치
KR20180104231A (ko) 2017-03-10 2018-09-20 크루셜텍 (주) 다중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비접촉식 다중 생체 인식 방법 및 다중 생체 인식 장치
CN110431555A (zh) * 2017-03-10 2019-11-08 韩国科泰高科株式会社 利用多重生物数据的非接触式多重生物识别方法及多重生物识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2031B1 (en) Authentication system for PC cards
NL1026946C2 (nl) Een met biometrische parameters beschermde draagbare gegevensopslaginrichting met USB-interface en met een USB-interface-toegankelijke biometrieprocessor.
KR100921546B1 (ko) 생체인식 보안가능한 휴대용 메모리 저장 장치
US10438106B2 (en) Smartcard
EP1197911B1 (en) Fingerprint recogniz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having such apparatus
US20060038006A1 (en) Verification system and program check method for verification system
US7404081B2 (en) Electronic storage apparatus,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authentication method
KR20180014810A (ko) 지문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카드
KR0160685B1 (ko) 칩인 카드에 의한 사용방지 기능을 가진 퍼스널 컴퓨터의 카드 리드/라이트 콘트롤러
DK200200630A (da) Bærbar enhed omfattende biometrisk baserede verificeringsegenskaber
US20180101718A1 (en) Fingerprint authorisable device
KR20010034435A (ko) 바이오메트릭 센서를 위한 스마트 카드 모듈
US20170228631A1 (en) Smartcard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card
US20170293792A1 (en) Fingerprint authorisable device
US20140270417A1 (en) Portable fingerprint device with enhanced security
JP4050695B2 (ja) 指紋検査方法
US6345761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biometric data
KR20080060277A (ko) 보호식 생체인식 센서 잠금 조립체를 구비한 도어 록
KR200324927Y1 (ko) 지문인식장치
EP1850205B1 (en) System and methods for coupling a biometric device to a computer
JP200031512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060104268A (ko) 유에스비를 이용한 개인 인증 및 저장 장치
WO2001057781A1 (en) Fingerprint-based identification system
JP2000182025A (ja) 指紋照合装置
CN209248618U (zh) 多功能门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