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741Y1 - Flasher - Google Patents

Fla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741Y1
KR200324741Y1 KR20-2003-0015525U KR20030015525U KR200324741Y1 KR 200324741 Y1 KR200324741 Y1 KR 200324741Y1 KR 20030015525 U KR20030015525 U KR 20030015525U KR 200324741 Y1 KR200324741 Y1 KR 200324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load
driving
power
fl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52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미숙
Original Assignee
조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미숙 filed Critical 조미숙
Priority to KR20-2003-0015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74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741Y1/en

Links

Classifications

    • H05B37/02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보안등 등의 점등부하의 점멸에 사용되는 개선된 자동점멸기가 개시된다. 개선된 자동점멸기는 부하의 전원선(L1,L2) 각각에 삽입된 접점을 하나씩 가지고 있는 2개의 릴레이 소자(11,12)를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그중 한 릴레이 소자의 접점 양단에 접속된 전력소자(18)를 포함한다. 제어부(13)는 설정된 점등시간과 소등시간에 그 릴레이 소자들을 구동 또는 그 구동을 중지하여 부하를 점멸하면서 부하가 점등되어 있을 때 누전검지부(9)로부터 누전여부를 판단하여 누전시 릴레이 소자들의 구동을 일시에 정지하여 부하를 소등하고 이후 반복적으로 누전점검을 수행하여 누전이 해지되면 복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누전점검은 2개의 릴레이 소자를 하나씩 구동한 상태에서 누전여부를 체크함으로써 자동 복귀를 시도한다. 또한 부하점등시의 릴레이 접점이 융착되지 않도록, 일측 전원선의 릴레이 소자(11)를 먼저 구동하고, 타측 릴레이 소자(12)는 전력소자(18)를 트리거 한 상태에서 구동하고, 그 전력소자를 OFF한다. 이러한 자동점멸기는 일시적인 누전현상에 대해 자동복귀하는 기능으로 유지관리에 효과적이며 또한 릴레이 접점의 융착방지로 수명을 연장시키고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막는데 효과적이다.An improved flasher is disclosed which is used for flashing lighting loads of security lamps. The improved flasher has two relay elements 11 and 12 having one contact inserted into each of the power supply lines L1 and L2 of the load, preferably the power connected across the contacts of one of the relay elements. Element 18. The controller 13 drives the relay elements at the set lighting time and the extinguishing time, or stops the driving thereof, blinks the load and judges whether there is a short circuit from the ground fault detection unit 9 when the load is turned on, and drives the relay elements when the ground fault occurs. Stops the load temporarily, turns off the load, and then repeatedly performs a short circuit check to recover when the short circuit is terminated. The earth leakage check attempts an automatic return by checking whether there is an earth leakage while driving two relay elements one by one. In addition, the relay element 11 of one power line is driven first so that the relay contact at the time of load lighting is not fused, and the other relay element 12 is driven while the power element 18 is triggered, and the power element is turned off. do. This automatic flasher is effective for maintenance by automatically recovering from a short-circuit short-circuit phenomenon, and it is effective to prolong life and prevent unnecessary power waste by preventing fusion of relay contacts.

Description

자동점멸기{Flasher}Flasher {Flasher}

본 고안은 보안등 등의 점등부하를 점멸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릴레이 소자의 접점을 이용하여 부하를 점멸하는 회로에서 누전차단 및 복귀기능과 릴레이 접점의 융착방지기능을 수행하도록 개선된 자동점멸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flash a lighting load of a security lamp, and the like, especially in an automatic flasher which is improved to perform a circuit breaker and return function and a fusion prevention function of a relay contact in a circuit that flashes a load by using a contact of a relay element. It is about.

보안등, 가로등, 광고등 등의 점등부하(이하 '부하'라 한다)를 자동적으로점멸하는(즉, 저녁에 어두워지면 켜고 날이 밝으면 끄는) 것이 자동점멸기이다. 이것은 사람이 현장에 출동하여 일일이 점멸조작하는 번거러움과 인력낭비를 막고 부하가 제때에 점멸되지 않음으로써 제기능을 발휘 못하거나 불필요한 전력낭비가 초래되는 것을 막는데 유용한 것이다.Automatic flashers that automatically turn on lighting loa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oads') of security lights, street lights, advertising lights, etc. This is useful to prevent the hassle and manpower wasting of people flickering on the site, and the load does not blink on time, resulting in improper functioning or unnecessary waste of power.

자동점멸기는 일??적으로 부하의 전원선을 직접 개폐하는 접점을 가진 릴레이 소자와 이의 구동회로로 구성된다. 구동회로에는 통상 타이머나 광전센서 등이 포함되는데, 타이머는 설정된 시각에 맞춰 부하를 점멸할 수 있도록 그 시각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광전센서는 주변 조도에 따라 부하의 점소등시기를 알려주는 신호를 위한 것이다.The auto flasher consists of a relay element and its driving circuit which have a contact which directly opens and closes the power line of the load. The driving circuit usually includes a timer or a photoelectric sensor. The timer is provided to provide time information so that the load can blink according to a set time, and the photoelectric sensor is a signal indicating when the load is turned off according to the ambient light. It is for.

도 1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릴레이와 타이머를 이용한 종래의 자동점멸기의 회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점멸기는 한 개의 릴레이 소자(1)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인 제어부(2)와 통신부(3) 및 리얼타임클록(4), 그리고 누전차단기(5)로 구성되어 있다. 보안등 등의 부하(6)는 통상 안정기(7)와 램프(8)로 구성된다.1 is a circuit of a conventional auto flasher using a relay and a timer which are most used. As shown, the conventional auto flasher is composed of one relay element 1, a control unit 2 which is a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same, a communication unit 3, a real time clock 4, and an earth leakage breaker 5; . The load 6 such as a security lamp is usually composed of a ballast 7 and a lamp 8.

릴레이 소자(1)는 부하(6)의 전원선(L1,L2)에 삽입된 두 개의 접점(SW1,SW2)을 가지고 있으며, 제어부(2)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그 두 접점(SW1,SW2)을 일시에 닫아서(ON) 부하(6)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하고 구동신호가 없으면 두 접점(SW1,SW2)을 일시에 열어서(OFF) 전원을 차단한다.The relay element 1 has two contacts SW1 and SW2 inserted into the power supply lines L1 and L2 of the load 6, and the two contacts SW1 and SW2 are driven by a drive signal of the controller 2.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6 by closing (ON) temporarily. If there is no driving signal, the power is cut off by opening both contacts (SW1, SW2) temporarily.

제어부(2)는 마이크로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를 이용한 것으로, 통신부(3)를 통해 외부의 유선 또는 무선기기로 점등시간과 소등시간을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고, 리얼타임클록(4)으로부터 제공되는 시각정보에 따라 설정된 시각에 맞춰 예를 들면 설정된 점등시간에는 릴레이 소자(1)의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부하를 점등하고 설정된 소등시간에는 그 구동신호 출력을 중지하여 부하를 소등하도록 프로그램되어진 것이다.The control unit 2 uses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microcomputer, and can set or change the lighting time and the extinguishing time to an external wired or wireless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 and the time provided from the real time clock 4. In accordance with the set tim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for example, it is programmed to output the drive signal of the relay element 1 at the set lighting time to turn on the load, and to stop the output of the driving signal at the set lighting time to turn off the load.

누전차단기(5)는 부하가 누전될 때 이를 감지하여 부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누전시 전류신호를 검출하는 영상변류기와 이 영상변류기에서 검출된 전류신호로 여자되는 트립코일 그리고 트립코일에 의해 트립되고 수동으로 복귀시키도록 된 접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일단 트립되면 작업자가 수동으로 복귀시키지 않으면 그 트립 상태로 있는 것이다.The ground fault circuit breaker 5 is used to sense a load when a short circuit occurs to cut off the load power.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ground fault circuit breaker 5 is a current transformer that detects a current signal when a short circuit occurs and a current signal detected by the video current transformer. It consists of a trip coil that is excited and a contact that is tripped by the trip coil and manually returned. That is, once tripped, the operator is in the trip state unless the worker manually returns.

전술한 보안등 등의 부하는 그 자동점멸기와 함께 옥외에 설치되는 것인 만큼 종종 누전되지만, 주로 우천시 높아진 습도의 영향에 의한 일시적인 것으로 날씨가 좋아지면 자연히 해지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자동점멸기에 사용된 누전차단기는 한 번 트립되면 그 누전 요소가 해지되더라도 트립된 접점이 자동복귀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현장으로 출동하여야 하는 한편, 그동안 부하는 점등되지 못하고 방치되어 제 기능을 할 수 없게 되는 등, 관리의 어려움이 많았다.Loads such as the security light described above are often short-circuited as they are installed outdoors with the flasher, but are mostly temporary due to the influence of humidity increased during rainy weather and are usually terminated naturally when the weather improves. Nevertheless, the earth leakage breaker used in the conventional auto flasher has to be dispatched to the site while the tripped contact does not return automatically even if the earth leakage element is canceled once.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of management such as not being able to do it.

한편, 자동점멸기의 릴레이 접점은 전원 전압을 직접 개폐하는 것이어서 그 개폐 순간에 발생되는 스파크로 인해 융착될 수 있는 결점을 가지고 있는데, 릴레이 접점이 융착되면 자동점멸 기능이 이행되지 못하고 부하는 상시 점등된 상태로 놓이므로 전력낭비는 물론, 부하의 수명단축이 초래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lay contact of the automatic flasher has a drawback that can be fused due to the spark that occurs at the moment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power supply voltage directly.When the relay contact is fused, the automatic flashing function cannot be implemented and the load is always lit. In this state, not only power consumption but also load life shortening is caused.

본 고안의 목적은 보안등 등의 점등부하를 점멸하면서 누전시 전원을 차단하되 누전이 해지되면 정상적인 점멸동작으로 복귀하게 하고 또 점멸시 릴레이 소자 접점의 융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자동점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urn off the power supply when the power is on while flashing the lighting load of the security lamp, etc. It is.

도 1은 종래의 자동점멸기 회로도,1 is a conventional flasher circuit diagram,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점멸기 회로도,2 is a flasher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점멸기의 전체 제어흐름도,3 is an overall control flow diagram of the fl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점멸기의 램프점등 제어흐름도,4 is a lamp control flow chart of the fl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점멸기의 누전점검 제어흐름도이다.5 is a leakage control check flow chart of the fl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12 : 릴레이 소자 13 : 제어부11,12: relay element 13: control unit

16 : 누전검지부 17 : 영상변류기16: leakage detection unit 17: video current transformer

18 : 전력소자18: power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자동점멸기는, 부하의 전원선 각각에 삽입되는 접점을 하나씩 가지고 있고 그 접점을 개폐하도록 개별적으로 구동가능할 수 있는 2개의 릴레이 소자와, 이 2개의 릴레이 소자를 구동하여 부하를 점멸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The improved fl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chieves the above object, has two relay elements each having a contact point inserted into each of the power supply lines of the load and which can be individually driven to open and close the contact point, and the two relay elements. It is provided with a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flashing load.

상기 구동수단에는 상기 부하측 전원선을 통해 흐르는 부하전류의 변화로부터 전류신호를 유도하는 영상변류기, 이 영상변류기에서 유도된 전류신호를 변환하여 누전여부를 알리는 정보로 제공하는 누전검지부, 미리 정한 시각이나 외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 소자들을 구동하거나 그 구동을 중단하여 부하를 점소등하면서 부하가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누전검지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누전여부를 판단하고 누전시 그 릴레이 소자들의 구동을 일시에 중단하여 부하를 소등한 다음 반복적으로 누전점검하여 누전이 해지되면 상기 점소등하는 동작으로 복귀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되어진 마이크로컴퓨터의 처리기구를 이용한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driving means includes an image current transformer for inducing a current signal from a change in loa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oad-side power supply line, an earth leakage detector for converting the current signal induced by the image current transformer to provid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a short circuit occurs, and a predetermined time or According to an external signal, the relay elements are driven or stopped, and the load is turned off while the load is turned on, and the leakage current is judged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round fault detection unit. Th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using a processing mechanism of a microcomputer programmed to be controlled to interrupt and temporarily turn off the load, and then repeatedly check the earth leakage to terminate the earth leakage.

또한, 상기 개선된 자동점멸기는 상기 2개의 릴레이 소자중 어느 한 전원선측 릴레이 소자의 접점에 병렬로 접속되어 외부의 트리거 신호에 의해 도통 상태로 되는 전력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으로서 그 2개의 릴레이 소자중 전력소자가 접속되지 않은 일측 릴레이 소자를 먼저 구동하고, 다음으로 타측 릴레이 소자측의 전력소자를 구동하고, 다음으로 그 타측 릴레이 소자를 구동하고, 최종적으로 그 전력소자의 구동을 중단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부하의 점멸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되어진 마이크로컴퓨터의 처리기구를 이용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다.Further, the improved flasher includes a power device connected in parallel to a contact of one of the two relay elements of the power supply line side relay element and brought into a conductive state by an external trigger signal, the two as the drive means. A process of first driving one of the relay devices to which the power device is not connected, then driving the power device of the other relay device, then driving the other relay device, and finally stopping the driving of the power device. It includes a control unit using a processing mechanism of the microcomputer programmed to control the flashing of the load, including.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자동점멸기는 2개의 릴레이 소자를 사용한 것으로,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such, the improved fl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wo relay element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구조의 자동점멸기에는 도 2와 같이, 2개의 릴레이 소자(11,12)가 구비되고, 와 이중 한 릴레이 소자(11)측에 가 구비되고, 이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서 제어부(13), 통신부(14), 리얼타임클록(15), 누전검지부(16) 및 영상변류기(17)가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전력소자(18)가 포함된다.The flasher of the improv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is provided with two relay elements (11, 12), and one of the relay element 11 is provided, and to drive A control unit 13, a communication unit 14, a real time clock 15, a ground fault detecting unit 16, and a video current transformer 17 are provided as driving means, and preferably, the power element 18 is included.

2개의 릴레이 소자(11,12)는 부하(6)의 전원선(L1,L2)에 삽입된 두 접점(SW1,SW2)을 각각 하나씩 가지고 있으며, 제어부(2)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구동된다.The two relay elements 11 and 12 each have two contacts SW1 and SW2 inserted into the power lines L1 and L2 of the load 6, respectively, and are individually driven by driving signals of the controller 2. do.

제어부(13)는 마이크로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를 이용한 것으로, 통상과 같이 통신부(14)를 통해 부하(6)의 점등시간과 소등시간을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고, 리얼타임클록(4)으로부터 제공되는 시각정보에 따라 설정된 시각에 맞춰 부하(6)를점멸하되, 누전보호 및 복귀 그리고 릴레이 접점의 융착방지를 위해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작으로 릴레이 소자(11,12)와 전력소자를 구동하도록 프로그램되어진 것이다.The control unit 13 uses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a microcomputer, and can set or change the lighting time and the lighting time of the load 6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 as usual, and is provided from the real time clock 4. While the load 6 flashes at a set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the relay elements 11 and 12 and the power element are operated in an operation as shown in FIGS. 3 to 5 in order to prevent leakage and return and prevent fusion of the relay contacts. It is programmed to run.

이 제어부(13)와 누전검지부(16)를 통해 연결된 영상변류기(17)는 누전에 의해 두가닥의 부하측 전원선(L1,L2)에 흐르는 부하전류가 변동될 때 전류신호를 유도해 내며, 누전검지부(16)는 그 유도된 영상변류기(17)의 전류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3)로 입력시킨다. 따라서 제어부(13)는 그 누전검지부(16)로부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누전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The image current transformer 17 connected through the control unit 13 and the ground fault detecting unit 16 induces a current signal when the loa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wo strands of the load-side power lines L1 and L2 is changed by the ground fault. Numeral 16 converts the induced current transformer 17 into a digital signal and inputs it to the controller 13. Therefore, the control unit 13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electric leakage is based on the signal input from the electric leakage detecting unit 16.

한편, 부하(6)의 한 전원선(L2)측 릴레이 소자(12)의 접점(S2) 양단에 병렬접속된 전력소자(18)는 예를 들면 트라이악과 같은 반도체 스위치로서, 제어부(13)의 트리거 신호에 의해 도통되도록 작동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element 18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ends of the contact S2 of the relay element 12 on one power line L2 side of the load 6 is a semiconductor switch such as a triac, for example. It is activated to be conducted by a trigger signal.

도 3은 전술한 제어부(13)의 주제어흐름도이다. 제어부(13)는 전술한 리얼타임클록(15)으로부터 제공되는 시각정보에 따라 설정된 점등시간이 되는지 판단(S1)하면서, 점등시간이 되면 전술한 릴레이 소자들을 모두 구동하여 부하를 점등(S2)시킨다. 부하가 점들되면 전술한 누전검지부(17)의 입력으로부터 누전여부를 판단(S3)하고 또한 소등시간이 되는지 판단(S4)하여 누전으로 판단되거나 소등시간이 되면 전술한 릴레이 소자의 구동을 일시에 중단하여 부하를 소등(S5,S6)시킨다.3 is a main flow chart of the control unit 13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3 determines whether the lighting time is set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real time clock 15 described above (S1), and when the lighting time is reached, all of the above-mentioned relay elements are driven to light the load (S2). . When the load is point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short circuit occurs from the input of the ground fault detecting unit 17 described above (S3) and whether it is the off time (S4). To turn off the load (S5, S6).

정상적인 소등시간에 따른 부하소등(S5) 이후에는 첫 번재 단계로 복귀하고, 누전에 의한 부하소등 단계(S6) 이후에는 누전점검(S8)하여 누전이 해지되는지 판단(S9)하여 누전이 해지되면 첫 번째 단계로 복귀한다. 여기서 누전후 최초의 누전점검은 비교적 짧은 시간, 바람직하게는 60초가 경과(S7)한 경우에 수행하고, 그 이후의 누전점검은 비교적 긴 시간, 바람직하게는 60분 간격(S10)으로 반복하는 것이다.After the load is off (S5) according to the normal off time, it returns to the first step, and after the load is off (S6) due to the short circuit, it is checked by the ground fault (S8) to determine whether the leakage is terminated (S9). Return to step 1. Here, the first ground fault check after the ground fault is performed when a relatively short time, preferably 60 seconds have elapsed (S7), and the ground fault check thereafter is repeated at a relatively long time, preferably 60 minutes interval (S10). .

도 4는 상기한 부하점등 단계(S2)의 구체적인 흐름도로서, 릴레이 접점의 융착방지를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릴레이 소자(11,12)와 그중 일측에 접속된 전력소자(18)가 사용된 것이다. 제어부(13)는 릴레이 접점의 융창방지를 위해, 부하점등시 그 2개의 릴레이 소자(11,12)중 전력소자(18)가 접속되지 않은 일측 릴레이 소자(11)를 구동(S21)하고, 이어 전력소자(18)를 구동(S22)한다. 이와같이 일측 릴레이 소자(11)와 전력소자(18)가 구동되면 부하(6)는 이미 점등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타측 릴레이 소자(12)를 구동(S23)한 후 그 전력소자(18)의 구동을 중지(S24)한다. 즉, 최초에 일측 전원선(L1)의 릴레이 소자(11)만 구동될 때는 그 접점(S1)이 온(ON) 되더라도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스파크가 발생되지 않게 되며, 또한 타측 전원선(L2)측의 릴레이 소자(12)가 구동될 때는 이미 전력소자(18)에 의해 도통되어진 상태이므로 그 접점(S2)이 온(ON)되는 순간에 미약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역시 스파크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파크에 의한 릴레이 접점의 융착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것이다.4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load lighting step (S2) described above, for preventing fusion of the relay contac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uses two relay elements 11 and 12 and a power element 18 connected to one side thereof,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3 drives one side relay element 11 to which the power element 18 is not connected among the two relay elements 11 and 12 when the load is turned on to prevent fusion of the relay contact (S21). The power device 18 is driven (S22). As such, when the one relay element 11 and the power device 18 are driven, the load 6 is already turned on. In this state, the other relay device 12 is driven (S23) and then the power device 18 is driven. Stop (S24). That is, when only the relay element 11 of one power line L1 is initially driven, even if the contact S1 is turned on, no current flows and sparks do not occur, and the other power line L2 is used. When the relay element 12 on the side is driven, it is already in the state of being conducted by the power element 18, so that a weak current flows at the moment when the contact S2 is ON, and sparks do not occur. Therefore, the problem of fusion of the relay contact by the spark can be solved.

다음, 도 5는 상기 누전점검 단계(S8)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누전점검은 전술한 2개의 릴레이 소자(11,12) 모두 정지(OFF) 상태에서 수행되는데, 제어부(13)는 일단, 일측 릴레이 소자(11)를 구동(S81)한 상태에서 전술한 누전검지부(16)의 입력을 체크(S82)한 다음, 그 일측 릴레이 소자(11)의 구동을중지(S83)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3)는 타측 릴레이 소자(12)를 구동(S84)한 상태에서 전술한 누전검지부(16)의 입력을 체크(S85)한 다음 그 타측 릴레이 소자(12)의 구동을 중지(S86)한다. 이와 같이 릴레이 소자(11,12)를 하나씩 구동하는 것은 누전이 해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 전압이 그대로 인가됨으로써 부하(6)가 손상될 수 있는 위험을 배제하기 위해서다. 즉, 전원이 두 전원선(L1,L2)중 일측에만 연결된 상태에서는 누전이 되는 경우라도 전류가 그 두 전원선중 어느 하나에만 미약하게 흐르게 되어 부하(6)가 손상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Next, FIG. 5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ground fault checking step S8. The earth leakage check is performed in both the above-described two relay elements 11 and 12 in the OFF state. The input of 16 is checked (S82), and then the driving of the one-side relay element 11 is stopped (S83). Next, the control unit 13 checks (S85) the input of the above-mentioned ground fault detecting unit 16 while driving the other relay element 12 (S84), and then stops driving the other relay element 12 (S86). )do. The driving of the relay elements 11 and 12 one by one in order to exclude the risk that the load 6 may be damaged by applying the power supply voltage as it is without a short circuit is terminated.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only one side of the two power lines L1 and L2, even if a short circuit occurs, the current flows weakly to only one of the two power lines so that the load 6 is not damaged.

본 고안은 이상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한 예로서 누전보호 및 복귀기능과 릴레이 접점의 융착방지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그중 어느 한 기능만 수행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으며, 예컨대 전술한 전력소자는 릴레이 접점의 융착방지 기능을 위해 구비된 것일 뿐, 누전점검 후 복귀 기능에는 꼭 필요치 않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a case that includes both the earth leakage protection and recovery function and the fusion prevention function of the relay contact as a preferred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implementation of any one of them,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power device is provided only for the fusion prevention function of the relay contact, it is not necessary for the return function after the earth leakage check.

또한 본 고안은, 리얼타임클록에서 제공하는 시각정보에 따라 미리 정한 시각에 맞춰 점소등하는 경우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예컨대 주변조도를 감지하는 일몰과 일출 또는 급변하는 일기 변화에 따라 점소등 제어가 가능하도록 광전소자나 원격제어를 위한 유무선 모듈 등으로 대체하거나 병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he case of turning on and off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real-time clock,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urning on and off depending on the sunset and sunrise or the rapidly changing weather changes to detect the ambient light It can be replaced or combined with a photoelectric device or a wired or wireless module for remote control.

이상의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안등, 가로등, 광고등 등의 점등부하의 자동점멸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부하의 전원선을 각각 개폐할 수 있는 2개의 릴레이 소자를 구비하여 기본적인 부하의 점멸동작과 함께 누전보호 및 복귀를 위한누전점검 기능, 그리고 릴레이 접점의 융착방지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flasher of the lighting load, such as security lights, street lights, advertising lights, etc., provided with two relay elements that can open and close the power line of the load, respectively, the basic flashing operation In addition to this, it enables the earth leakage check function for protection and return of the earth leakage and the fusion prevention function of the relay contact.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일시적인 누전현상에 의해 작업자가 현장으로 일일이 출동하지 않아도 되며, 또 적기에 출동하지 않음으로써 부하가 제기능을 못하는 상태로 방치되거나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하며, 릴레이 접점의 융착방지를 통해 자동점멸기와 부하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본 고안은 또한 별도의 누전차단기에 의하지 않고 릴레이 접점을 이용하여 차단하므로 부품을 간소화하여 원가절감하는 효과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dispatch to the site by the temporary short circuit phenomenon as described above, and also does not dispatch in a timely manner, so that the load is left in a state in which it cannot function or prevents unnecessary power waste, and relays It is effective for prolonging the life of auto flasher and load through preventing fusion of contact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st saving effect by simplifying components since the circuit is blocked using a relay contact, not by a separate earth leakage breaker.

Claims (9)

부하의 전원선 각각에 삽입되는 접점을 하나씩 가지고 있고 그 접점을 개폐하도록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2개의 릴레이 소자와, 이 2개의 릴레이 소자를 구동하여 부하를 점멸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자동점멸기.An auto flasher having two relay elements each having a contact point inserted into each power line of the load and individually driven to open and close the contact point, and a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two relay elements to flash the loa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으로서 상기 부하측 전원선을 통해 흐르는 부하전류의 변화로부터 전류신호를 유도하는 영상변류기, 이 영상변류기에서 유도된 전류신호를 변환하여 누전여부를 알리는 정보로 제공하는 누전검지부, 미리 정한 시각이나 외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 소자들을 구동하거나 그 구동을 중단하여 부하를 점소등하면서 부하가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누전검지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누전여부를 판단하고 누전시 그 릴레이 소자들의 구동을 일시에 중단하여 부하를 소등한 다음 반복적으로 누전점검하여 누전이 해지되면 상기 점소등하는 동작으로 복귀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되어진 마이크로컴퓨터의 처리기구를 이용한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점멸기.The electric current detecting unit of claim 1, wherein the video current transformer for inducing a current signal from a change in loa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oad-side power supply line as the driving means, and a current leak detecting unit for converting a current signal induced in the video current transformer to provid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a short circuit exist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or an external signal, the relay elements are driven or stopped, and the load is turned off while the load is turned on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hort circuit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round fault detection unit. A control unit using a processing mechanism of a microcomputer programmed to be controlled includes stopping the driving of the relay elements temporarily to turn off the load, and then repeatedly checking the leakage to return to the turning off operation when the leakage is terminated. Fl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릴레이 소자중 어느 한 전원선측 릴레이 소자의 접점에 병렬로 접속되어 외부의 트리거 신호에 의해 도통 상태로 되는 전력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으로서 그 2개의 릴레이 소자중 전력소자가 접속되지 않은 일측 릴레이 소자를 먼저 구동하고, 다음으로 타측 릴레이 소자측의 전력소자를 구동하고, 다음으로 그 타측 릴레이 소자를 구동하고, 최종적으로 그 전력소자의 구동을 중단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부하의 점멸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되어진 마이크로컴퓨터의 처리기구를 이용한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점멸기.The power supply devic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wer device connected in parallel to a contact point of one of the two relay devices in parallel, and brought into a conductive state by an external trigger signal, wherein the driving means includes: Driving one of the relay devices to which the power device is not connected first, then driving the power device of the other relay device, then driving the other relay device, and finally stopping the driving of the power device. And a control unit using a processing mechanism of the microcomputer programmed to control the flashing of the loa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릴레이 소자중 어느 한 전원선측 릴레이 소자의 접점에 병렬로 접속되어 외부의 트리거 신호에 의해 도통 상태로 되는 전력소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어부가 그 2개의 릴레이 소자중 전력소자가 접속되지 않은 일측 릴레이 소자를 먼저 구동하고, 다음으로 타측 릴레이 소자측의 전력소자를 구동하고, 다음으로 그 타측 릴레이 소자를 구동하고, 최종적으로 그 전력소자의 구동을 중단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부하의 점멸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점멸기.The power supply device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power device connected in parallel to a contact of one of the two relay devices in parallel with a contact of a power supply line-side relay device, and brought into a conductive state by an external trigger signal,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one of two relay devices. Driving one of the relay devices to which the power device is not connected first, then driving the power device of the other relay device, then driving the other relay device, and finally stopping the driving of the power device. Fl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grammed to control the flashing of the loa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누전점검을 위해 상기 2개의 릴레이 소자중 일측 릴레이 소자를 구동하여 누전여부를 체크한 후 그 일측 릴레이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다음으로 타측 릴레이 소자를 구동하여 누전여부를 체크한 후 그 타측 릴레이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과정으로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점멸기.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ler drives one of the two relay elements to check whether there is a short circuit, and stops driving of the one relay, and then drives the other relay to check the leakage. After checking the automatic fl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grammed to perform the process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other relay. 청구항 2 내지 5중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부하의 점소등시점 판단을 위한 실시간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리얼타임클록이 포함되어 있는 자동점멸기.The flash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wherein a real time clock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to provide real time tim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 time when a load is turned off. 청구항 2 내지 5중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외부의 기기와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통신부가 포함되어 있는 자동점멸기.The flasher according to one of claims 2 to 5,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vely connecting the control unit with an external device. 청구항 2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누전에 의한 전원 차단 이후에 일정시간이 경과된 다음에 상기 누전점검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점멸기.The flasher of claim 2 or 5, wherein the controller is programmed to perform the ground fault check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passed after the power failure by the ground faul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누전에 의한 전원 차단 이후에 수행되는 최초의 누전점검에서 누전이 해지되지 않았으면, 그 이후에는 상기 일정시간 보다 긴 시간 간격으로 그 누전점검을 반복하도록 프로그램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자동점멸기.10.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is programmed to repeat the earth leakage check at a time interval longer than the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earth leakage is not terminated at the first earth leakage check performed after the power failure by the earth leakage. Featuring flasher.
KR20-2003-0015525U 2003-05-20 2003-05-20 Flasher KR20032474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525U KR200324741Y1 (en) 2003-05-20 2003-05-20 Fl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525U KR200324741Y1 (en) 2003-05-20 2003-05-20 Flash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821A Division KR100504631B1 (en) 2003-05-20 2003-05-20 Flasher and its controll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741Y1 true KR200324741Y1 (en) 2003-08-27

Family

ID=4941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525U KR200324741Y1 (en) 2003-05-20 2003-05-20 Flas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74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09471B (en) Light-emitting diode (LED) traffic light failu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MXPA03001561A (en) Luminaire diagnostic and configuration identification system.
KR100694639B1 (en) Auto reset earth leakage breaker system
US7429832B2 (en) Light control fluorescent lamp and circuit thereof
KR100796800B1 (en) AI Lantern Detector
KR100504631B1 (en) Flasher and its controlling method
KR200324741Y1 (en) Flasher
KR100491889B1 (en) Street lamp disconnection-checking and operating system by safety voltage
KR100647743B1 (en) Remote Control System of Tunnel Light
JP7397764B2 (en) Automatic flasher switch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KR200310503Y1 (en) automatic cutoff and automatic return type electric leakage perception chapter
KR100968982B1 (en) An Electric power supplier for outdoor lighting apparatus
US9872361B1 (en) Networked light control system and method
CA2089896C (e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strobe light or the like
KR100328220B1 (en) An electric shock protector using road lamp
KR200329073Y1 (en) Switch circuite on a lamp for display a trouble part and cut off a short-circuit
TWM478314U (en) Lamp control system
KR200391211Y1 (en) AI Lantern Detector
KR200344725Y1 (en) short circuit alarm device for a road establishment
KR101262168B1 (en) Non-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repairing sreet lamp
KR200213074Y1 (en) Stabilizer for protecting electric shock and saving power used for road lamp
KR940003303B1 (en) Self diagnosis and control system for street lamp
JPS6286696A (en) Lighting apparatus for approach to house
KR0173417B1 (en) Control device for street lamp
KR200193543Y1 (en) An electric shock protector using road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