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865Y1 - 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 - Google Patents

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865Y1
KR200323865Y1 KR20-2003-0015792U KR20030015792U KR200323865Y1 KR 200323865 Y1 KR200323865 Y1 KR 200323865Y1 KR 20030015792 U KR20030015792 U KR 20030015792U KR 200323865 Y1 KR200323865 Y1 KR 200323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portion
wireless headset
handset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7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승운
Original Assignee
(주)세영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영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세영정보통신
Priority to KR20-2003-0015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86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865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은, 중심부에서 양측 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중심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차 감소되는, 전체적으로 대략 바나나 형태의 외관을 이루는 주몸체부; 주몸체부의 일측 단부에 주몸체부와 일체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무선 전화통화를 위한 송화부로서의 마이크; 주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주몸체부와 일체로 연장되어 마련되되, 좌우 180°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무선 전화통화를 위한 수화부로서의 이어 스피커; 주몸체부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통화 온/오프, 자체 전원 온/오프 및 휴대폰과의 ID를 일치시키기 위한 버튼 기능을 갖는 훅 스위치; 주몸체부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통화시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 스위치; 주몸체부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외부의 전원 공급원과의 접속에 의해 자체의 필요한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전원 충전용 접속부; 및 주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화통화와 관련된 기능의 수행, 상기 스위치들의 조작에 따른 제어기능 등 제반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Handset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portion that gradually decreases as compared to the central portion from the center toward both ends, the main body portion forming an overall banana shape; A microphone, which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portion at one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a transmitter for a wireless telephone call; An ear speaker which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portion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rotatable 180 degrees, the ear speaker serving as a receiver for a wireless telephone call; A hook switch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button function for matching a call on / off, self power on / off, and an ID with a mobile phone; A volume control switch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adjust a volume during a call; A power charging connection part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part to charge its own required power by connection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source; And a control circuit uni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unit to perform various control functions such as performing a function related to a telephone call and controlling a function of the switches.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귓바퀴에 거치되는 부위가 탄성을 가지는 연질 고무로 되어 있어 귓등의 크기에 구애됨 없이 귓바퀴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고, 이어 스피커 부분이 좌우 180°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좌우 어느 쪽 귀에도 자유롭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 to be mounted on the wheel is made of soft rubber having elasticity, so that it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wheel without worrying about the size of the wheel, and the speaker par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180 ° left and right. It can be worn freely on both left and right ears.

Description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Wireless headset for handset {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

본 고안은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귓바퀴에 거치되는 부위가 탄성을 가지는 연질 고무로 되어 있어 귓등의 크기에 구애됨 없이 귓바퀴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고, 이어 스피커 부분이 좌우 180°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좌우 어느 쪽 귀에도 자유롭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in particular, the part mounted on the wheel is made of elastic rubber having elasticity, so that it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wheel without regard to the size of the lamp, and the speaker part rotates 180 ° left and righ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 which is configured to be freely worn on both left and right ears.

일반적으로, 휴대폰 등의 통신기기는 다양한 액세서리(accessory)들과 함께 사용되며, 이들 중 핸즈프리(hands free) 기능을 제공하는 헤드셋(headset)은 사용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호응을 얻고 있다.In general,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is used with various accessories, and a headset that provides hands free function is a good response because the user can talk with both hands freely. Is getting.

전화통화용 헤드셋은 통상 이어폰과 마이크를 가지고 있고, 대부분의 종래 기술은 머리 또는 목에 걸쳐 착용하는 구성으로 된 것으로서, 이는 이어폰이 내장된 부분이 양쪽 귀를 완전히 덮는 형태로 이루어진다.A telephone call headset usually has earphones and a microphone, and most of the prior arts are configured to be worn over the head or neck, in which a portion in which earphones are completely covered covers both ears.

그러나, 양쪽 귀를 완전히 덮는 형태의 헤드셋은 전화통화에 관계없이 항상 착용하거나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착용하는 것으로, 전자의 경우에는 헤드셋을 항상 착용하고 있으므로, 주변 사람들과의 대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전화통화를 할 때마다 헤드폰을 착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the headset that covers both ears is worn all the time regardless of a telephone call or only when a telephone call is made. In the former case, the headset is always worn. In the latter case, there is a hassle of having to wear headphones every time a telephone call is made.

최근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한쪽 귀에 걸쳐 착용하는 형태의 헤드셋인 이어폰-마이크가 사용되고 있다.Recently, earphone-microphones, which are headsets of a type worn over one ear, have been u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도 1은 이상과 같은 종래 이어폰-마이크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arphone-microphone as described abov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이어폰-마이크(국제특허공개 번호 제00/19685호 참조)는 작은 스피커가 내장되어 수화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의 귓바퀴에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스피커 모듈 (speaker module)(10)과, 그 스피커 모듈 (10)에 볼(ball)과 소켓(socket)을 매개로 결합되고 귀의 바깥쪽 부분에 걸쳐지는 귀걸이대(earpiece)(20) 및, 그 귀걸이대 (20)에 결합되고 마이크로폰이 내장되어 송화 기능을 가지며 신축적인 재질로 이루어진 마이크로폰 붐(microphone boom) (30)으로 크게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conventional earphone-microphone (see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00/19685) is a speaker module (speaker module) having a shape that can be comfortably seated on the user's forearms with a built-in small speaker 10, an earpiece 20 coupled to the speaker module 10 via a ball and a socket and over the outer portion of the ear, and the earpiece 20 It is largely composed of a microphone boom (30) made of a flexible material coupled to the built-in microphone having a calling function.

상기 귀걸이대(20)는 귓등에 걸쳐지는 부분인 경한 재질의 백본(backbone) (22)과 이 백본(22)에 결합된 연한 재질의 와이어(wire)(24)로 구성되며, 귀의 크기가 표준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에도 상기 연한 재질의 와이어(24)를 펴거나 굽힘으로써 이어폰-마이크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The earring stand 20 is composed of a backbone 22 made of a hard material, which is a portion extending over the back, and a wire 24 made of a soft material bonded to the backbone 22, and the size of the ear is standard. Even when larger or smaller, the soft wire 24 is bent or bent to facilitate wearing of the earphone-microphone.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 이어폰-마이크는 귀걸이대(20)의 백본(22)이 전술한 바와 같이 경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귓등의 크기가 표준보다 큰 경우, 백본 (22) 부위가 귓등에 잘 걸쳐지지 않거나, 걸쳐진다 해도 귓등에 압력을 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귓등의 크기가 표준보다 작은 경우에는, 백본(22) 부위가 귓등을 따라 흔들려 착용상의 불안정을 초래하는 한편 심한 경우 귓등에 상처를 일으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arphone-microphone as described above is made of a hard material as described above, and the backbone 22 of the earring stand 20 is larger than the standard.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essure is applied to the ear, even if it is not supported or stretched. 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back light is smaller than the standard, the backbone 22 portion is shaken along the back light, causing instability in wear, and in severe cases,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the back light.

또한, 종래 이어폰-마이크는 구조적으로 어느 일측 귀(본 예시는 왼쪽 귀)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의 왼쪽 귀에 이상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왼쪽 귀의 청력이 약하거나 왼쪽 귀의 귓바퀴에 외상을 입어 무엇을 거치하기 어려운 상태일 경우에는 사용상의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arphone-mic is structurally designed to be used only on one side of the ear (in this example, the left ear), so that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user's left ear, for example, the hearing of the left ear is weak or the trauma of the left ear's auricle. If you are in a difficult state to wear something,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use.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귓등의 크기에 구애됨없이 귓바퀴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고, 좌우 어느 쪽 귀에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mounted stably on the wheel without regard to the size of the lamp, and provides a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that can be used freely in both ears. Has its purpose.

도 1은 종래 이어폰-마이크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arphone-microphon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Figure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handset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의 볼륨 조절 스위치 및 전원 충전용 접속부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도면.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volume control switch and the power charging connection of the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handset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의 사용 상태도.Figure 5 is a state of use of the handset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본고안)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 110...주몸체부100 ... (this article)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110 ...

120...마이크 130...이어 스피커120 ... Microphone 130 ... Ear Speakers

130c...이어 스피커 연결부위 140...훅 스위치130c ... Ear speaker connections 140 ... Hook switch

150...볼륨 조절 스위치 160...전원 충전용 접속부150 ... Volume control switch 160 ... Power supply connection

170...제어회로부 180...표시부170 control circuit 180 display uni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은, 좌,우측 어느 일측 귀에 거치하고 무선으로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무선 헤드셋으로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andset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headset mounted on eith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ear and performing a telephone call wirelessly,

중심부에서 양측 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중심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차 감소되는, 전체적으로 대략 바나나 형태의 외관을 이루는 주몸체부;A main body part forming an overall banana-shaped appearance, the diameter of whic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portion to both ends thereof in comparison with the center portion;

상기 주몸체부의 일측 단부에 주몸체부와 일체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무선 전화통화를 위한 송화부로서의 마이크(mike);A microphone (mike) which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portion at one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a transmitter for a wireless telephone call;

상기 주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주몸체부와 일체로 연장되어 마련되되, 좌우 180°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무선 전화통화를 위한 수화부로서의 이어 스피커 (ear speaker);An ear speaker which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portion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rotatably rotated by 180 °, and is an ear speaker as a receiver for a wireless telephone call;

상기 주몸체부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통화 온/오프, 자체 전원 온/오프 및 휴대폰과의 ID를 일치시키기 위한 버튼 기능을 갖는 훅 스위치;A hook switch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button function for matching a call on / off, self power on / off, and an ID with a mobile phone;

상기 주몸체부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통화시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 스위치;A volume control switch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adjust a volume during a call;

상기 주몸체부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외부의 전원 공급원과의 접속에 의해 자체의 필요한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전원 충전용 접속부; 및A power charging connection part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part to charge its own required power by connection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source; And

상기 주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화통화와 관련된 기능의 수행, 상기 스위치들의 조작에 따른 제어기능 등 제반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control circuit unit for performing various control functions such as performing a function related to a telephone call, a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볼륨 조절 스위치 및 전원 충전용 접속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구성도이다.2 to 4 show a wireless headset for the han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volume control switch and a power charging connection, Figure 4 is a circuit configuration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schematically.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100)은 좌,우 어느 일측 귀에 거치하고 무선으로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무선 헤드셋으로서, 주몸체부(110), 마이크(120), 이어 스피커(130), 훅 스위치(140), 볼륨 조절 스위치(150), 전원 충전용 접속부(160), 제어회로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o 4, the wireless headset 100 for han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headset that is mounted on eith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ears and performs a telephone call wirelessly, the main body 110, the microphone 120 ), The ear speaker 130, the hook switch 140, the volume control switch 150, the power supply charging connection 160, the control circuit unit 170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주몸체부(110)는 중심부에서 양측 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중심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차 감소되는, 전체적으로 대략 바나나 형태의 외관을 이룬다. 이와 같은 주몸체부(110)는 바람직하게는 그 대부분의 부위가 사출용 러버(rubber) 재질로 제작된다.The main body portion 110 has an approximately banana-like appearance as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gradually decreases as compared to the center portion at both ends. Such main body portion 110 is preferably made of a rubber (rubber) material for most of the portion.

상기 마이크(120)는 주몸체부(110)의 일측 단부에 주몸체부(110)와 일체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무선 전화통화를 위한 송화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이 마이크 (120)는 음성의 입력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앞면 주변부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고, 그 주변의 나머지 후면 부위는 사출용 러버 재질로 구성된다.The microphone 120 is provided integrally extended with the main body portion 110 at one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and has a function as a transmitter for a wireless telephone call. The microphone 120 has a front periphery formed with a hole for voice input, and the remaining rear portion of the microphone 12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for injection.

상기 이어 스피커(130)는 주몸체부(110)의 타측 단부, 즉 상기 마이크(120)가 설치되어 있는 쪽의 반대편 쪽의 주몸체부(110)의 단부에 주몸체부(110)와 일체로 연장되어 마련되되, 좌우 180°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무선 전화통화를 위한 수화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이 이어 스피커(130)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다.The ear speaker 130 is integrated with the main body portion 110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that is, the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ide where the microphone 120 is installed. It is provided to extend, it is provided to rotate left and right 180 °, and has a function as a receiver for a wireless telephone call. This speaker 13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여기서, 이와 같이 이어 스피커(130)가 좌우 180°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은 사용자가 좌측 귀 혹은 우측 귀 중 그 어느 쪽 귀에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이어 스피커(130)와 주몸체부(110)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연결부위(130c)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귀에 거치시 귀의 곡선에 대응하여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그 형태상으로는 유선형으로 절곡 형성되고, 재질상으로는 어느 정도의 탄력성을 가지도록 사출용 러버 재질로 성형 제작된다.In this case, the ear speaker 130 is provided to be rotatable 180 ° to allow the user to freely use either the left or right ear. In addition, the ear 130 and the connection portion 130c in which the main body portion 110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fix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urve of the ear when mounted on the user's ear, as shown in FIG. The shape is bent in a streamlined shape, and the material is molded and manufactured in the injection rubber material to have a certain degree of elasticity.

상기 훅 스위치(140)는 주몸체부(110)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통화 온/오프, 자체 전원 온/오프 및 휴대폰과의 ID를 일치시키기 위한 버튼 기능을 갖는다.The hook switch 14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has a button function for matching the ID of the call on / off, its own power on / off and the mobile phone.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이 훅 스위치(140)에 근접한 주몸체부(110) 상에는 훅 스위치(140)의 조작에 따른 통화 온/오프, 전원 온/오프 및 휴대폰과의 ID 일치 작업 등에 있어서의 각각의 상태 변화를 표시하는 표시부(180)가 더 마련된다. 이 표시부(180)로는 LED(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적색과 녹색의 2가지 색상을 낼 수 있는 LED가 사용되며, 점멸 방식에 있어서도 연속 점등 및 플래쉬(flash) 점등 방식이 채용된다. 이는 일반 휴대폰에 채용되고 있는 LED 및 그 점멸방식과 거의 유사한 구조로 볼 수 있다.Here, preferably, on the main body portion 110 proximate to the hook switch 140, each of a call on / off, power on / off, and ID matching operation with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ook switch 140 is performed. A display unit 180 for displaying a state change is further provided. As the display unit 180, an LED (light emitting diode) may be used. Preferably, an LED capable of emitting two colors of red and green is used, and a continuous lighting and a flash lighting method are employed even in a flashing method. do. This can be seen as a structure almost similar to the LED and the flashing method used in the general mobile phone.

여기서, 또한 이와 같은 휴대폰과의 ID 일치작업과 관련하여, 해당 휴대폰은 본 고안과 같은 무선 헤드셋과의 연계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요소, 예를 들면, 블루투스를 적용하고 있는 소형 트랜시버 칩(transceiver chip)이 내장되어 있는 휴대폰이어야 함을 전제 조건으로 한다.Here, also in connection with the ID matching with the mobile phone, the mobile phone is a small transceiver chip (applied Bluetooth) to the device element that enables the use of the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headset, such a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phone must be a built-in mobile phone.

상기 볼륨 조절 스위치(150)는 주몸체부(110)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통화시의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륨 조절 스위치(150)에서 위쪽의 정방향 삼각형 "△"를 누르면 통화시 수신음의 소리가 크게 조절되고, 아래쪽의 역방향 삼각형 "▽"를 누르면 통화시 수신음의 소리가 작게 조절되는 것이다.The volume control switch 15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and ha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volume during the call. That is, when the upper forward triangle "△" is pressed in the volume control switch 150 as shown in FIG. It is small.

상기 전원 충전용 접속부(160)는 주몸체부(110)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외부의 전원 공급원과의 접속에 의해 자체의 필요한 전원을 충전한다. 이 전원 충전용 접속부(160)로는 바람직하게는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 혹은 3pin 커넥터(일반 휴대폰의 배터리 등에 채용되어 있는 충전용 커넥터)가 사용된다. USB 커넥터가 사용될 경우에는 컴퓨터, 전화 콘센트 혹은 자동차의 시거 잭(cigar jack) 등에 유선으로 접속하여 그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체의 필요한 전원을 충전하게 된다. 그리고, 3pin 커넥터가 사용될 경우에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기와 유사한 별도의 충전기에 본 고안의 무선 헤드셋을 안착시켜 필요한 전원을 충전하게 된다. 이때, 이와 같은 별도의 충전기는 본 고안의 무선 헤드셋에 하나의 세트 품목으로 함께 구비된다.The power charging connection unit 16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charges its own necessary power by connection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source. As the power supply charging connecting portion 160, a USB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or a 3-pin connector (a charging connector employed in a battery of a general mobile phone) is preferably used. If a USB connector is used, it will be wired to a computer, telephone outlet, or cigar jack of a car, and will receive power from them to charge its own power. In addition, when a 3pin connector is used, the wireless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in a separate charger similar to a battery charger of a mobile phone to charge necessary power. At this time, such a separate charger is provided with one set item in the wireless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회로부(170)는 상기 주몸체부(110)에 내부에 설치되며, 전화통화와 관련된 기능의 수행, 상기 스위치들의 조작에 따른 제어기능 등 제반 제어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 circuit unit 17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unit 110 and performs various control functions such as performing a function related to a telephone call and controlling a function according to manipulation of the switches.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의 동작 및 사용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Then, the operation and use of the handset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본 고안에 따른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의 사용을 위해서는 자신의 휴대폰(혹은 어떤 특정 휴대폰)과의 ID 일치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우선 자신의 휴대폰과 본 고안의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을 근접되게 위치시키고,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의 주몸체부(1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훅 스위치(140)를 눌러 휴대폰의 ID와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의 ID를 일치시키는 작업을 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훅 스위치(140)를 비교적 길게(예컨대, 약 10초 정도) 누르게 되면, 무선 헤드셋과 휴대폰 간에 특정 주파수의 신호가 송수신된다. 그러면, 무선헤드셋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회로부(170)에서는 수신 신호를 바탕으로 휴대폰의 ID를 읽어내고, 그와 동일한 ID를 세팅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위의 표시부 (180)의 LED는 색상 변화로 그 상태 변화를 나타내게 되는데, 예를 들면 ID 일치를 위한 신호가 송수신되는 동안에는 적색으로 점등되어 있다가 ID 일치 작업이 완료되면 녹색으로 점등된다.In order to use the wireless headset for the han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D matching with his mobile phone (or any specific mobile phone) must be preceded. Therefore, first, the user places his mobile phone and the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lose proximity and presses the hook switch 14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of the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It will work to match the ID of the wireless headset.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hook switch 140 relatively long (for example, about 10 seconds), a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wireless headset and the mobile phone. Then, the control circuit unit 170 installed in the wireless headset reads the ID of the mobile phone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and sets the same ID. At this time, the LED of the display unit 180 indicates the state change by the color change. For example, the LED is turned red while the signal for ID matching is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then turns green when the ID matching operation is completed.

이렇게 하여 무선 헤드셋과 휴대폰과의 ID 일치 작업이 완료되면, 본 고안의 무선 헤드셋은 휴대폰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휴대폰에 전화가 걸려올 경우, 본 고안의 무선 헤드셋의 훅 스위치(140)를 가볍게 한번 누르면, 바로 통화 온(on) 상태가 되며, 이상태에서 일반 휴대폰에 의한 통화방식 대로 통화를 나누면 된다. 이때, 본 고안의 무선 헤드셋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사용자의 어느 일측 귀에 착용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사용자는 통상 ID 일치 작업 완료 후 무선 헤드셋을 귀에 착용하게 되는데, 이때 이어 스피커(130)가 좌우 180°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오른 쪽 귀 혹은 왼쪽 귀에 자유롭게 착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어느 일측 귀의 청력 이상이나 귓바퀴의 외관 구조상 문제가 있어도 그와 같은 것에 크게 구애됨 없이 무선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운전중이거나 두 손으로 컴퓨터 키보드 작업을 하면서도 통화를 자유롭게 나눌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ID matching between the wireless headset and the mobile phone is completed, the wireless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place of the mobile phone. For example, when a call is made to a mobile phone, when the hook switch 140 of the wireless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ghtly pressed once, the call is immediately turned on. In this state, the call is divided according to a general mobile phone call. do. At this time, the wireless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is already worn on any one ear of the user. That is, the user usually wears the wireless headset to the ear after completion of the ID matching operation, in which case the speaker 130 is configured to rotate left and right 180 ° freely worn on the right ear or the left ear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 Therefore, even if there is a hearing problem of one side of the ear or the appearance structure of the auricle, it is possible to freely talk while driving or working on a computer keyboard with two hands while wearing a wireless headset without being particularly concerned with such a thing.

한편, 이상과 같은 통화 상태에서 수화음이 작게 들리거나 너무 크게 들릴 경우, 사용자는 볼륨 조절 스위치(150)의 업(up)(정방향 삼각형 "△") 또는 다운(down)(역방향 삼각형 "▽") 부위를 누름으로써 수화음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call state, if the ring tone is too small or too loud, the user may move up (forward triangle "Δ") or down (reverse triangle "▽") of the volume control switch 150. ) By pressing the area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또한,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무선 헤드셋의 전원을 완전히 끄고자 할 경우에는, 훅 스위치(140)를 누른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약 3초 정도)하면 된다. 그리고, 무선 헤드셋의 자체 전원이 소모되어 충전이 필요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충전용 접속부(160)를 컴퓨터나 전화 콘센트, 혹은 자동차의 시거 잭 (cigar jack) 등에 유선으로 접속하여 그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체의 필요한 전원을 충전하게 된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표시부(180)의 LED는 각 상태의 변화에 따라 각각 색상을 달리함으로써 그 상태의 변화를 표시한다.In addition, when you want to completely turn off the power of the wireless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ate of pressing the hook switch 140 may be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bout 3 seconds). When the wireless headset consumes its own power and needs to be charged,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charging connection unit 160 is connected to a computer, a telephone outlet, a cigar jack of a car, or the like to supply power from them. It is supplied with power to charge its own power. Also in these cases, the LEDs of the display unit 180 display the change of the state by changing the color of each state according to the change of each state.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은 귓바퀴에 거치되는 부위가 탄성을 가지는 연질 고무로 되어 있어 귓등의 크기에 구애됨 없이 귓바퀴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고, 이어 스피커 부분이 좌우 180°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좌우 어느 쪽 귀에도 자유롭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oft rubber having elasticity of the part mounted on the wheel, it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wheel without any size of the lamp, the ear parts are left and right The 180 ° rotatable structure has the advantage of being free to wear on both left and right ears.

Claims (5)

좌,우측 어느 일측 귀에 거치하고 무선으로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무선 헤드셋으로서,A wireless headset that is mounted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ears and conducts a telephone call wirelessly. 중심부에서 양측 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중심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차 감소되는, 전체적으로 대략 바나나 형태의 외관을 이루는 주몸체부;A main body part forming an overall banana-shaped appearance, the diameter of whic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portion to both ends thereof in comparison with the center portion; 상기 주몸체부의 일측 단부에 주몸체부와 일체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무선 전화통화를 위한 송화부로서의 마이크(mike);A microphone (mike) which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portion at one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a transmitter for a wireless telephone call; 상기 주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주몸체부와 일체로 연장되어 마련되되, 좌우 180°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무선 전화통화를 위한 수화부로서의 이어 스피커 (ear speaker);An ear speaker which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portion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rotatably rotated by 180 °, and is an ear speaker as a receiver for a wireless telephone call; 상기 주몸체부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통화 온/오프, 자체 전원 온/오프 및 휴대폰과의 ID를 일치시키기 위한 버튼 기능을 갖는 훅 스위치;A hook switch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button function for matching a call on / off, self power on / off, and an ID with a mobile phone; 상기 주몸체부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통화시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 스위치;A volume control switch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adjust a volume during a call; 상기 주몸체부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외부의 전원 공급원과의 접속에 의해 자체의 필요한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전원 충전용 접속부; 및A power charging connection part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part to charge its own required power by connection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source; And 상기 주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화통화와 관련된 기능의 수행, 상기 스위치들의 조작에 따른 제어기능 등 제반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The wireless headset for the handset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control circuit unit for performing various control functions such as performing a function related to a telephone call and controlling a switch.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훅 스위치에 근접한 주몸체부 상에는 훅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통화 온/오프, 전원 온/오프 및 휴대폰과의 ID 일치 작업 등에 있어서의 각각의 상태 변화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On the main body portion close to the hook switch, a display portion for displaying each state change in call on / off, power on / off, and ID matching with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ook switch is further provided.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어 스피커와 주몸체부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연결부위는 사용자의 귀에 거치시 귀의 곡선에 대응하여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그 형태상으로는 유선형으로 절곡 형성되고, 재질상으로는 어느 정도의 탄력성을 가지도록 사출용 러버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The connection part where the ear speaker and the main body part are continuously connected is bent in a streamlined shape so as to be tightly fixed to correspond to the curve of the ear when mounted on the user's ear, and the rubber for injection to have a certain degree of elasticity in material.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원 충전용 접속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Handset wireless headset for the pow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the USB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원 충전용 접속부는 3Pin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The wireless charging headset for handse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charging connection portion is a 3Pin connector.
KR20-2003-0015792U 2003-05-22 2003-05-22 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 KR20032386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792U KR200323865Y1 (en) 2003-05-22 2003-05-22 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792U KR200323865Y1 (en) 2003-05-22 2003-05-22 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865Y1 true KR200323865Y1 (en) 2003-08-21

Family

ID=49413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792U KR200323865Y1 (en) 2003-05-22 2003-05-22 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86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0459B2 (en) Method for securing a headset
US6795718B2 (en) Headset communication device
JP3140230U (en) Glasses with reception function
KR101686205B1 (en) Neckband type bluetooth earset for moibile phone
JP4231525B2 (en) Communication device using bone conduction speaker
US20020065115A1 (en) Accessory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US20050143140A1 (en)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US20060177086A1 (en) Tubular, flexi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60158608A1 (en) Eyeglasses with signal receiving function
KR20040077486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 free operation for a phone
WO2006074369A2 (en) Wireless phone headset
WO2006113042A1 (en) Speakerphone with detachable ear bud
JP2000341778A (en) Handset using bone conduction speaker
US7353043B2 (en) Mobile communication peripheral device
KR200323865Y1 (en) 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
CN212970055U (en) Head-wearing sports Bluetooth headset with voice recognition
KR100567457B1 (en) Handsfree apparatus using bluetooth
FI121908B (en) Device for facilitating the use of a mobile phone for hearing impaired
KR200345394Y1 (en) 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
CN212660309U (en) Wireless earphone
CN110996211B (en) Earphone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10183373U (en) Ear hanging type mobile telephone
KR20070040950A (en) Earring type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mobile phone
KR200340082Y1 (en) an apparatus of portable wireless hands free
KR200326823Y1 (en) Wireless ear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