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859Y1 - 관장기 - Google Patents

관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859Y1
KR200323859Y1 KR20-2003-0015668U KR20030015668U KR200323859Y1 KR 200323859 Y1 KR200323859 Y1 KR 200323859Y1 KR 20030015668 U KR20030015668 U KR 20030015668U KR 200323859 Y1 KR200323859 Y1 KR 200323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ma
container
pump
solution
enema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열
Original Assignee
이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열 filed Critical 이종열
Priority to KR20-2003-0015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8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8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4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8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5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Joule effect, i.e. electric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관장액을 적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정량의 관장액을 주입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관장액이 정화되어 수용되는 수용용기와, 수용용기 내부의 관장액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와, 수용용기 내부의 관장액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되는 관장액을 항문을 통하여 장의 내부로 주입하기 위하여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삽입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관장기를 제공한다.
히터는 수용용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류가 공급되면 소정의 온도로 열이 발생되는 발열체와, 수용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관장액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온도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발열체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이송장치는 충전이 가능한 축전지와, 축전지의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고 수용용기 내부의 액체를 흡입하여 압송시키는 펌프와, 축전지에서 펌프로 공급되는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작동버튼과, 작동버튼을 1회 누를 때마다 일정시간 동안 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관장기 {Enema}
본 고안은 관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합한 온도와 용량의 관장액을 항문으로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휴대가 간편하도록 구성한 관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장기는 변비를 치료하거나 장의 내부를 세척하는 등의 경우 관장액을 항문을 통해 장의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상기한 관장기는 다양한 관장액(예를 들면, 물, 글리세린, 커피 등)을 항문을 통하여 장의 내부에 주입함으로서 각종 장질환의 치료를 꾀하고 있다.
상기한 관장기는 과거에 병원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을 최근에는 가정에서도 장의 세척이나 세정, 변비치료 등을 위하여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관장기는 주로 단독 또는 욕실의 변기에 부가적으로 설치하며, 관장액이 수용되는 수용용기와, 상기한 수용용기에 수용되는 유체가 흐르는 통로가 형성되는 유체라인과, 상기한 유체라인의 수용용기 반대쪽 끝부분에 설치되고 유체라인을 통하여 유출되는 유체가 장내로 주입되도록 항문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주입구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수용용기는 중력에 의해 관장액이 주입구로 유출되도록 주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며 수용용기의 높이에 따라 관장액의 압력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유체라인을 폐쇄시켜서 유출을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유체라인에 클램프나 밸브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관장기는 관장액으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물이 정수되지 않거나 정수된 물을 수용용기에 공급해야 하고, 추운 겨울에는 별도로 따뜻하게 데워진 물을 공급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관장기는 중력을 이용하여 관장액이 주입구로 토출되는 구조이므로 토출압력이 약하거나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고 휴대하기도 불편하며, 항상 일정량의 관장액을 주입하기 힘들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체적으로 정수가 이루어지면서 관장액을 적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정량의 관장액을 주입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도록 이루어지는 관장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장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장기의 일실시예를 부분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장기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용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장기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관장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관장기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관장액이 수용되는 수용용기와, 상기한 수용용기 내부의 관장액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한 수용용기 내부의 관장액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상기한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되는 관장액을 항문을 통하여 장의 내부로 주입하기 위하여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삽입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수용용기는 윗면이 개구되고 내부에는 관장액이 저장되는 통형상의 몸체와, 상기한 몸체의 개구된 윗면을 개폐하며 상기한 몸체의 내부로 관장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는 덮개와, 상기한 몸체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케이스는 사각형상의 상자형상이나 가방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수용용기의 주입구와 연결관을 통하여 연통되는 외부주입구를 윗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히터는 상기한 수용용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류가 공급되면 소정의 온도로 열이 발생되는 발열체와, 상기한 수용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관장액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한 온도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한 발열체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이송장치는 충전이 가능한 축전지와, 상기한 축전지의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고 상기한 수용용기 내부의 액체를 흡입하여 압송시키는 펌프와, 상기한 축전지에서 펌프로 공급되는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작동버튼과, 상기한 작동버튼을 1회 누를 때마다 일정시간 동안 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삽입장치는 상기한 펌프와 유연성이 있는 호스를 통하여 연통되는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직선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직선부의 호스와 연통되는 반대쪽 끝부분에는 소정의 각도로 둥글게 굽어지도록 원호부가 형성되는 안내관과, 상기한 안내관과 연통되고 상기한 펌프를 통하여 압송되는 관장액이 토출되며 상기한 원호부의 직선부 반대쪽 끝부분에 설치되어 항문에 삽입하는 팁부와, 상기한 직선부의 호스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관장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관장기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2)와, 상기한 케이스(2)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관장액(11)이 수용되는 수용용기(10)와, 상기한 수용용기(10) 내부의 관장액(11)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20)와, 상기한 수용용기(10) 내부의 관장액(11)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30)와, 상기한 이송장치(30)에 의하여 이송되는 관장액(11)을 항문을 통하여 장의 내부로 주입하기 위하여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삽입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케이스(2)는 대략 내부가 빈 직육면체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한 수용용기(10)를 설치한다.
상기한 수용용기(10)는 윗면이 개구되고 내부에는 관장액이 저장되는 통형상의 몸체(12)와, 상기한 몸체(12)의 개구된 윗면을 개폐하며 상기한 몸체(12)의 내부로 관장액(11)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6)가 형성되는 덮개(14)와, 상기한 주입구(16)를 통하여 몸체(12)로 주입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18)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수용용기(10)의 몸체(12) 및/또는 덮개(14)는 일정한 강도를 가지며 내열성, 내식성이 양호한 재질(예를 들면,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필터(18)는 망형상의 지지케이스(19)를 통하여 상기한 수용용기(10)의 덮개(14) 저면에 지지된다. 상기한 필터(18)로는 일반적으로 물 등의 액체를 정수하기 위하여 정수기나 비데기 등에 사용되는 필터를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수용용기(10)의 내부에는 작은 알갱이 형상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예를 들어,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 세라믹 등)(13)을 바닥에 설치하거나 주머니(15) 등에 넣어서 덮개(14)에 지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히터(20)는 상기한 수용용기(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류가 공급되면 소정의 온도로 열이 발생되는 발열체(22)와, 상기한 수용용기(10) 내부에 수용되는 관장액(11)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4)와, 상기한 온도센서(24)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한 발열체(22)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2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발열체(22) 및 온도센서(24)는 상기한 수용용기(10)의 몸체(12)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에서 발열체(22)는 수용용기(10)의 몸체(12) 하부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전류를 공급받으면 열이 발생되는 발열체로 널리 사용되는 재질(예를 들어, 니크롬선이나 텅스텐선 등)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어부(26)에는 상기한 케이스(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쪽면에 작동레버(27)를 설치한다.
상기한 제어부(26)는 수용용기(10) 내부에 수용되는 관장액(11)의 온도를 5~45℃ 범위내에서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관장액(11)의 온도가 5℃ 미만이면 사용자가 너무 차가운 느낌을 갖게 되고 항문 근육의 수축작용이 일어나 원활한 관장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상기한 관장액(11)의 온도가 45℃를 초과하면 사용자가 너무 뜨겁게 느끼게 되며 연약한 살로 이루어지는 항문 내부에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상기한 이송장치(30)는 충전이 가능한 축전지(32)와, 상기한 축전지(32)의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고 상기한 수용용기(10) 내부의 액체를 흡입하여 압송시키며 상기한 삽입구(40)와 연통되는 펌프(34)와, 상기한 축전지(32)로부터 펌프(34)로 공급되는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작동버튼(36)과, 상기한 작동버튼(36)을 1회 누를 때마다 일정시간 동안 펌프(34)를 작동시키는 제어부(38)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축전지(32)는 플러그(1) 등을 통하여 상기한 히터(20)로 전원이 공급되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한 히터(20)로 공급되는 전원과 아답터(33)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작동버튼(36)은 상기한 케이스(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쪽면에 설치된다.
상기한 이송장치(30) 제어부(38)는 상기한 작동버튼(36)을 1회 누를 때마다 상기한 펌프(34)를 소정의 시간 동안 작동시켜 상기한 관장액(11)을 이송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어부(38)는 작동버튼(36)을 1회 누를 때 펌프(34)를 통하여 이송되어 항문에 주입되는 관장액(11)의 양을 조절하도록 입력되는 값을 미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한 펌프(34)의 양정과 작동시간을 증감시키는 것에 의하여 작동버튼(36)을 1회 누를 때 이송되는 관장액(11)의 양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관장액(11)의 1회 사용량은 성인의 경우에는 대략 90cc 정도, 어린이는 경우에는 40~50cc 정도가 바람직하므로, 상기한 작동버튼(36)을 1회 누를 때 이송되는 관장액(11)은 상기한 펌프(34)가 1초동안 작동함에 따라 대략 40~100cc 정도의 관장액(11)을 이송시켜 주입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히터(20) 및 이송장치(30)의 제어부(26),(38)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모스탯(thermostat:자동온도조절장치) 및/또는 타이머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히터(20) 및/또는 이송장치(30)는 전원과 연결되는 중간에 전원스위치(S)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삽입장치(40)는 상기한 펌프(34)와 유연성이 있는 호스(38)를 통하여연통되는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직선부(43)가 형성되고 상기한 직선부(43)의 호스(38)와 연통되는 반대쪽 끝부분에는 소정의 각도로 둥글게 굽어지도록 원호부(45)가 형성되는 안내관(42)과, 상기한 안내관(42)과 연통되고 상기한 펌프(34)를 통하여 압송되는 관장액(11)이 토출되며 상기한 원호부(45)의 직선부(43) 반대쪽 끝부분에 설치되어 항문에 삽입하는 팁부(46)와, 상기한 직선부(43)의 호스(38)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손잡이(4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관장기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케이스(2)가 윗면이 개구되는 사각상자형상의 몸체(4)와 상기한 몸체(4)의 개구된 윗면을 개폐하는 덮개(6)로 이루어지는 가방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한 덮개(6)나 몸체(4)의 한쪽 바깥면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케이스(2)는 몸체(4)와 덮개(6)의 서로 대응되는 한쪽 모서리를 힌지축(8)을 이용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며 힌지축(8)이 형성되는 반대쪽 모서리에는 덮개(6)가 닫힌 상태에서 임의로 열리지 않게 고정하도록 고정장치(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수용용기(10)의 주입구(16)에는 마개(17)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케이스(2)에는 도 1~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수용용기(10)의 주입구(16)와 연결관(9)을 통하여 연통되는 외부주입구(7)를 윗면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외부주입구(7)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마개(17)를 분리가능하게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케이스(2)의 외부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나 상기한 히터(20) 및 이송장치(30) 등의 작동상태를 알 수 있도록 작동표시부(L)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작동표시부(L)는 일반적으로 표시장치로 널리 사용되는 LED, VFD, LCD 등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관장기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한 수용용기(10)의 몸체(12)에 물이나 관장액을 저장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한 히터(20)가 작동하여 물이나 관장액의 온도를 설정된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고 일정한 온도범위로 유지시킨다. 이 때 외부 전원이 있는 곳에서는 외부 전원을 사용하여 히터(20)를 작동시키고, 외부 전원이 없는 곳에서는 축전지(32)의 전원을 사용하여 히터(20)를 작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48)를 잡고 팁부(46)를 항문에 삽입한 상태로 작동버튼(38)을 1회 또는 2회 누름에 따라 상기한 이송장치(30)의 펌프(34)가 설정된 시간동안 작동하여 관장액을 항문에 주입하여 관장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작동버튼(38)을 누르는 횟수는 이송장치(30)에 의하여 1회에 이송되는 관장액의 양에 맞추어 결정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관장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내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관장기에 의하면, 수용용기에 자체적으로 정수가 이루어지도록 필터가 장착되므로 항상 깨끗한 관장액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위생적이다.
그리고 정수되는 관장액을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관장효과를 증진시킨다.
또 1회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하여 일정량의 관장액을 장의 내부로 주입할 수 있으며, 1회 버튼을 누를 때 장의 내부로 주입되는 관장액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연령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관장기에 의하면, 가방처럼 들고 다닐 수 있는 상자형상의 케이스에 지지되는 구조이므로 보관이나 휴대가 편리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관장기에 의하면, 축전지가 내부에 장착되므로 전원이 없는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7)

  1.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관장액이 수용되는 수용용기와,
    상기한 수용용기 내부의 관장액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한 수용용기 내부의 관장액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상기한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되는 관장액을 항문을 통하여 장의 내부로 주입하기 위하여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삽입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관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용용기는
    윗면이 개구되는 통형상의 몸체와,
    상기한 몸체의 개구된 윗면을 개폐하며 상기한 몸체의 내부로 관장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는 덮개와,
    상기한 주입구를 통하여 몸체로 주입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관장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히터는
    상기한 수용용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류가 공급되면 소정의 온도로 열이 발생되는 발열체와,
    상기한 수용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관장액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한 온도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한 발열체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관장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송장치는
    충전이 가능한 축전지와,
    상기한 축전지의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고 상기한 수용용기 내부의 액체를 흡입하여 압송시키는 펌프와,
    상기한 축전지에서 펌프로 공급되는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작동버튼과,
    상기한 작동버튼을 1회 누를 때마다 일정시간 동안 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관장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삽입장치는
    상기한 펌프와 유연성이 있는 호스를 통하여 연통되는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직선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직선부의 호스와 연통되는 반대쪽 끝부분에는 소정의 각도로 둥글게 굽어지도록 원호부가 형성되는 안내관과,
    상기한 안내관과 연통되고 상기한 펌프를 통하여 압송되는 관장액이 토출되며 상기한 원호부의 직선부 반대쪽 끝부분에 설치되어 항문에 삽입하는 팁부와,
    상기한 직선부의 호스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관장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스는 상자형상이나 가방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수용용기의 주입구와 연결관을 통하여 연통되는 외부주입구가 윗면에 형성되는 관장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히터의 제어부로는 서모스탯을 사용하며 상기한 관장액이 5~45℃ 범위내로 가열되도록 발열체를 제어하고,
    상기한 이송장치의 제어부로는 타이머를 사용하며 상기한 펌프가 1초에 40~100㏄의 관장액을 압송시키도록 제어하는 관장기.
KR20-2003-0015668U 2003-05-21 2003-05-21 관장기 KR200323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668U KR200323859Y1 (ko) 2003-05-21 2003-05-21 관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668U KR200323859Y1 (ko) 2003-05-21 2003-05-21 관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859Y1 true KR200323859Y1 (ko) 2003-08-21

Family

ID=4941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668U KR200323859Y1 (ko) 2003-05-21 2003-05-21 관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85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843A (ko) * 2004-08-19 2006-02-23 강학선 관장 방법
EP3673931A4 (en) * 2018-11-05 2021-08-18 Young Kuk Oh MEDICAL DEVICE FOR CONSTRUCTION PREVENTION, COPROSTASIS REMOVAL AND GOOD GAITING
CN114848951A (zh) * 2022-04-24 2022-08-05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多功能灌肠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843A (ko) * 2004-08-19 2006-02-23 강학선 관장 방법
EP3673931A4 (en) * 2018-11-05 2021-08-18 Young Kuk Oh MEDICAL DEVICE FOR CONSTRUCTION PREVENTION, COPROSTASIS REMOVAL AND GOOD GAITING
AU2018448364B2 (en) * 2018-11-05 2021-11-11 Young Kuk Oh Medical device for constipation prevention, coprostasis removal and good bowel movement
AU2018448364B9 (en) * 2018-11-05 2021-12-02 Young Kuk Oh Medical device for constipation prevention, coprostasis removal and good bowel movement
CN114848951A (zh) * 2022-04-24 2022-08-05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多功能灌肠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80353B1 (en) Personal urine collecting apparatus having bidet system
US4622704A (en) Portable hygenic warm water jet having disposable nozzle tip
JP3590400B2 (ja) 足マッサージ器
ES2371736T3 (es) Dispositivo para la preparación de bebidas con sistema de eliminación de incrustraciones en línea y método de eliminación de incrustaciones utilizando dicho sistema.
KR101015717B1 (ko)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US4134404A (en) Portable colostomy kit
US20080208172A1 (en) Colostomy Pump System
KR200323859Y1 (ko) 관장기
US20050119628A1 (en) Lavag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CA2573461A1 (en) Automatic wash water storage apparatus for use with portable wash water supply hose
CN209933641U (zh) 便携式家用电动阴道冲洗器
JP3124267U (ja) ポータブル型洗浄機の洗浄用水桶
CN220010492U (zh) 一种足浴靴放置仓
KR200176327Y1 (ko) 찜질기에 있어서의 좌변기용 증기 유도구
US20050236022A1 (en) Ostomy bag cleaning device
KR200314230Y1 (ko) 초음파 가열 찜질기
KR200392280Y1 (ko) 반신욕용 온수조절장치
KR200470134Y1 (ko) 진동자가 구비된 비데용 및 의료용 스팀모듈
JP3644029B2 (ja) 簡易温水洗浄器
KR200300763Y1 (ko) 욕조용 반신욕 장치
KR100494075B1 (ko) 휴대형 비데장치
CN219127948U (zh) 一种结肠给药机
JP3816617B2 (ja) 衛生洗浄器
CN209060159U (zh) 一种多功能家用结肠水疗仪
JP2009142386A (ja) 排泄物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