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922Y1 - 냉풍 선풍기 - Google Patents

냉풍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922Y1
KR200322922Y1 KR20-2003-0016722U KR20030016722U KR200322922Y1 KR 200322922 Y1 KR200322922 Y1 KR 200322922Y1 KR 20030016722 U KR20030016722 U KR 20030016722U KR 200322922 Y1 KR200322922 Y1 KR 200322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water
cold air
hous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국
Original Assignee
이원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국 filed Critical 이원국
Priority to KR20-2003-0016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9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9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2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선풍기의 내부에 별도의 공간을 설치하고, 이 공간 안에 설치된 열도체를 가열하고 여기에 물을 분사하여 물을 증발시킴으로써 이때 발생하는 증발 잠열에 의해 주위의 온도가 낮아지면 이 차가워진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여 한층 더 시원한 바람을 내보내는 냉풍 선풍기에 관한 고안.

Description

냉풍 선풍기{Cold wind fan}
본 고안은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몸체 내부의 증발실에서 물을 증발시키고 이때 발생하는 증발 잠열에 의해 주위의 온도가 내려가면, 이 차가워진 공기를 송풍팬에 의해 외부로 방출하는 냉풍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단순 전동팬식 선풍기는 단지 바람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므로, 주위의 온도가 더워져 있는 상태에서는 별로 시원한 감을 주지 못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편,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주변 온도를 낮추어 실내를 식히는 에어컨디셔너는 냉각효과는 좋으나, 그 구조상 가격이 비싸고 부피가 크며 전력소모가 큰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선풍기에서 배출되는 바람을 시원하게 만들고자 하는 여러가지 노력들이 시도되었다. 가령, 박스형 선풍기의 몸체 내에 특수 화학냉매를 얼려서 저장하고, 이 화학냉매에 의해 차가워진 내부 공기를 밖으로 불어내는 선풍기가 대표적이다.
그런데, 이 선풍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화학냉매가 담긴 팩을 냉장고의 냉동실에 수 시간 넣어서 완전히 얼린 다음에 선풍기 내부에 넣어야 한다. 화학냉매가 동결되어 있는 시간이 그리 길지 않기 때문에(보통 수 시간 정도) 매번 화학냉매를 교환해 주어야 하는데 이는 선풍기 사용자에게 있어서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또한, 이렇게 번거로운 냉매 교환의 수고에 비해 선풍기의 냉풍 배출 효율이 그리 크게 체감되지는 않는다.
이에, 본 고안자는 선풍기의 내부에 별도의 공간을 설치하고, 이 공간 안에 설치된 열도체를 가열하고 여기에 물을 분사하여 물을 증발시킴으로써 이때 발생하는 증발 잠열에 의해 주위의 온도가 낮아지면 이 차가워진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여 한층 더 시원한 바람을 내보내는 선풍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도1은 본 고안의 개요도
도2는 본 고안의 구체적 구성도
도3a와 도3b는 본 고안의 외관 예시도
<도면부호의 설명>
열도체(10), 물저장통(12), 냉풍팬(14), 하우징(200), 발열원(202), 방열팬(204), 증발실(300), 열도체(302), 냉풍팬(304), 송풍팬(306), 물분사 노즐(308), 회수구(312), 바닥면(314), 물통(400)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냉풍 선풍기의 개요도로서, 열에 의해 가열되고 있는 열도체(10)와, 이 열도체(10)에 물을 분사(13)하는 노즐을 갖는 물저장통(12)과,열도체(10)에 분사된 물(13)이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증발 잠열에 의해 주위의 온도가 내려가면 이 차가워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풍팬(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열도체(10)의 가열은 열도체(10) 주위에서 할로겐램프 등의 열원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도 있고, 열도체(10)가 직접 열원이 될 수도 있다(가령, 전기 히터).
물저장통(12)의 물을 열도체(10)에 분사하는 노즐은 공지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분무식 스프레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냉풍 효과를 배가하기 위하여, 도1에서 적어도 열도체와 물분사 노즐의 구성요소는 하나의 공간 내에서 주변과 차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냉풍 선풍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전체 하우징(200) 내부에 증발실(300)과 물통(400)이 위치한다. 증발실(300)은 도1에서 설명한 바 있는 열도체(302)와 물분사 노즐(308) 및 냉풍팬(304)으로 구성되어 주변 공기와 차폐되어 있다. 증발실(300) 내부의 상부에는 열도체(302)가 설치되어 있다. 열도체(302)로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 구리판을 사용할 수 있다.
증발실(300)의 열도체(302) 아래에는 물저장통(400)의 물을 열도체(302)로 분사하는 노즐(308)이 설치되고, 증발실(300)의 한 측면에는 증발실의 차가워진 공기를 배출하는 냉풍팬(304)이 설치된다. 특히, 증발실(300)의 바닥면(314)은 아래로 오목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바닥면의 가장 낮은 부분에는 열도체(302)에서 증발된 물이 기체상태에서 응결되어 다시 물로서 떨어지면 이를 다시 물저장통(400)으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구(312)가 형성되어 있다.
물분사 노즐(303)이 도2에서는 아래에서 위로 분사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물분사 노즐을 열도체(302)의 위에 설치하여 위에서 아래로 분사하는 방식도 적용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다시, 하우징(200) 내의 증발실(302) 외부에는 증발실(302) 내부의 열도체(302)를 가열하는 발열원(202)이 설치된다. 발열원(202)으로는 할로겐램프, 백열등, 적외선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하우징(200) 내부의 온도가 발열원(202)에 의해 올라가므로 하우징의 발열원(202) 부근에 방열팬(204)이 설치되어 있다. 이는, 하우징(200) 내부의 더운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2에서처럼 열도체(302)를 발열원(202)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이외에, 열도체(302) 자체가 직접적으로 발열하는 방식(예를 들면, 열도체를 전기히터로 제작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증발실(300) 냉풍팬(304)에 인접해있는 하우징 부분에는 증발실(300)의 냉풍팬(304)에 의해 배출되는 찬 바람을 더욱 강하게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306)이 설치된다. 사용자는 직접 이 송풍팬(306)에 의해 바람을 맞게 된다. 즉, 이 송풍팬(306)은 기존의 선풍기와 같은 바람을 만들면서, 뒤쪽의 찬 공기를 앞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한편, 물저장통(400)은 통 자체를 사용자가 교환하는 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물통에 직접 수도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물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위제한을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예컨대, 공지의 기계식 플로트밸브(float valve) 또는 전자식 수위센서 콘트롤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팬(306)은 도2에서는 액셜팬(axial fan)으로 표시하였으나, 크로스플로우팬(cross-flow fan)도 사용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액셜팬을 채용한 본 고안에 따른 선풍기의 외관도를 도3a에, 크로스플로우팬을 채용한 본 고안의 선풍기의 외관도를 도3b에 예시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선풍기에 비해 한층 시원한 바람을 내보내면서도, 에어컨과 달리 가격이 비싸지 않고 전력소모가 적으며, 화학냉매 교환식 냉풍기에 비해 그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외관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공간으로서 그 내부에는, 열에 의해 가열되는 열도체와, 이 열도체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과, 열도체에 분사된 물이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증발 잠열에 의해 주위의 온도가 내려가면 이 차가워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풍팬으로 구성되는 증발실,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실의 노즐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통,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증발실 내부의 열도체를 가열하는 발열원,
    상기 하우징의 증발실 냉풍팬에 인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증발실의 냉풍팬에 의해 배출되는 찬 바람을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으로 구성되는 냉풍 선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발열원 부근에 설치되어 하우징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팬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선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실의 바닥면은 아래로 오목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바닥면의 가장 낮은 부분에는 열도체에서 증발된 물이 기체상태에서 응결되어 다시 물로서 떨어지면 이를 다시 물저장통으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선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원은 증발실 외부에 설치되는 할로겐램프 또는 백열등 또는 적외선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선풍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원은 상기 열도체를 직접 가열하는 전기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선풍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통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하여 사용자가 교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선풍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통에 직접 수도물을 공급할 수는 공급구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선풍기.
  8. 제7항에 있어서, 공급구에 의해 수도물이 공급될 때 물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위를 제한하는 수단이 추가로 포함되는 냉풍 선풍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액셜팬(axial fa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선풍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크로스플로우팬(cross-flow fa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선풍기.
KR20-2003-0016722U 2003-05-29 2003-05-29 냉풍 선풍기 KR200322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722U KR200322922Y1 (ko) 2003-05-29 2003-05-29 냉풍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722U KR200322922Y1 (ko) 2003-05-29 2003-05-29 냉풍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922Y1 true KR200322922Y1 (ko) 2003-08-14

Family

ID=49336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722U KR200322922Y1 (ko) 2003-05-29 2003-05-29 냉풍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9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4396B2 (en) 2014-01-02 2018-10-09 Jae Ha SONG Fan having cold air function
KR20200016535A (ko) 2018-08-07 2020-02-17 김병권 냉풍 선풍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4396B2 (en) 2014-01-02 2018-10-09 Jae Ha SONG Fan having cold air function
KR20200016535A (ko) 2018-08-07 2020-02-17 김병권 냉풍 선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22922Y1 (ko) 냉풍 선풍기
CN101826578B (zh) 大功率led相变冷却装置
KR200451891Y1 (ko) 선풍기
KR20090131562A (ko) 응축기 발생열을 이용한 건조장치
KR20020019787A (ko) 효율이 뛰어난 차량용 열전 냉·온장고
KR200379764Y1 (ko) 냉,난방을 겸한 실외기 없는 공기조화기
JP2885470B2 (ja) 空調ユニット
KR0110427Y1 (ko) 에어콘 기능을 갖는 선풍기
KR200222092Y1 (ko) 수냉식 이동형 에어콘의 결합구조
KR200400067Y1 (ko) 히트파이프가 내장된 냉,난방을 겸한 실외기 없는공기조화기
KR200273492Y1 (ko) 쇼케이스
KR100525502B1 (ko) 쇼케이스
KR20030068931A (ko) 증발기
CN220956121U (zh) 一种新型风冷装置
KR200218554Y1 (ko) 냉동실을 이용한 냉기 발생장치
KR200302341Y1 (ko) 히트파이프를이용한냉온풍기
KR100403155B1 (ko) 히트파이프와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KR100657803B1 (ko) 제상장치를 구비한 실외열교환기
KR200325633Y1 (ko) 화장품 냉장고의 수분제거구조
CN114636271A (zh) 冰箱
KR20030041746A (ko) 가습 사계절 냉온풍기
KR100546675B1 (ko) 직냉식 냉장고의 방열구조
KR200262997Y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축열식 전기보일러에서 열매체유의냉축장치
KR100479116B1 (ko) 냉장고 기계실의 폐열을 이용하기 위한 냉장고의 응축 시스템
KR200212807Y1 (ko) 냉난방 일체형 수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