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863Y1 - 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863Y1
KR200321863Y1 KR20-2003-0004907U KR20030004907U KR200321863Y1 KR 200321863 Y1 KR200321863 Y1 KR 200321863Y1 KR 20030004907 U KR20030004907 U KR 20030004907U KR 200321863 Y1 KR200321863 Y1 KR 2003218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image
stereoscopic image
image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90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filed Critical 이승현
Priority to KR20-2003-0004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86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863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휴대폰, PDA단말기 등)의 전방에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주기의 슬릿들을 가진 패러랙스 배리어 마스크를 적당한 거리를 두고 부착시켰을 때, 마스크의 슬릿들에 의해 입체영상을 볼 수 있고, 이 마스크를 제거함으로써 보통의 화면을 볼 수 있도록 고안된 착탈식 3D 구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when a parallax barrier mask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of slits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in front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mobile phone, PDA terminal, etc.) at a suitable distance, the mask By the slits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can be seen, by removing the mas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ble 3D implemente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designed to view the normal screen.

여기에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수평방향으로 홀수의 픽셀열에는 오른쪽눈이 본 그림을, 짝수의 픽셀열에는 왼쪽 눈이 본 그림이 나타나게 한 후, 수평방향으로 2개의 픽셀열당 1개씩의 수직배열 슬릿을 대응시켜서 제작된 마스크를 통해서 볼 때, 관찰자의 좌안은 짝수의 픽셀열들이 보이고, 우안은 홀수의 픽셀열들이 보이기 때문에 양안시차에 의해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Here, a picture of the right eye is seen in an odd pixel colum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a picture of the left eye is shown in the even pixel column, and then one vertical array slit is provided for each two pixel colum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looking through a mask manufactured by matching, the observer's left eye can see even-numbered pixel columns, and the right eye can see odd-numbered pixel columns.

그리고, 정밀 제작된 패러랙스 배리어 마스크를 착탈함으로써, 일반영상과 입체영상을 간편하고 저렴하게 선택적으로 볼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by detaching the precisely manufactured parallax barrier mas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signed to selectively and easily view the general image and stereoscopic image.

Description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Stereoscopic Display Device {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본 고안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한 주기의 슬릿들을 가진 패러랙스 배리어 마스크를 일정 거리를 두고 부착시켜 입체영상을 볼 수 있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that can view a stereoscopic image by attaching a parallax barrier mask having a certain period of slit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사람이 입체감을 느끼는 요인은 생리적인 요인과 경험적인 요인이 있는데, 3차원 영상표시 기술에서는 일반적으로 근거리에서 입체감을 인식하는 가장 큰 요인인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하여 물체의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There are physiological and empirical factors in which a person feels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in 3D image display technology,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an object is generally sensed by using a binocular parallax, which is the biggest factor that recognizes a three-dimensional effect at a short distance. .

입체영상을 보는 방식으로서는 크게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과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이 있다.As a method of viewing a stereoscopic image, there are largely a method of wearing glasses and a glasses-free method of not wearing glasses.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은 양안에 각각 청색과 적색의 색안경을 쓰는 애너그리프(anaglyph)방식과, 각각 편광 방향이 다른 편광안경을 쓰는 편광방식, 그리고 시간 분할된 화면을 주기적으로 반복시키고 이 주기에 동기시킨 전자셔터가 설치된 안경을 쓰는 시분할방식이 있다. 그러나,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은 안경을 써야 하는 불편함과 안경을 쓴 상태로 화상 이외의 다른 사물을 관찰하는데 지장을 받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The way of wearing glasses is the anaglyph method using blue and red sunglasses on both eyes, the polarization method using polarized glasses with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s, and the time-divided screen is periodically repeated and synchronized with this cycle. There is a time-division method of wearing glasses with an electronic shutter. However, the method of wearing glasses has problems such as inconvenience of wearing glasses and trouble in observing an object other than an image while wearing glasses.

따라서, 근래에는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researches on how not to wear glass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으로서 알려진 대표적인 것으로는, 원통형의 렌즈 어레이를 수직으로 배열한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판을 영상패널 전방에 설치하는 렌티큘러 방식과, 패러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이 있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non-glasses that do not wear glasses include a lenticular method in which a lenticular lens plate in which a cylindrical lens array is arranged vertically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image panel, and a parallax barrier method. .

여기서, 상기 패러랙스 배리어 방식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 the parallax barrier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패러랙스 배리어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패턴(11-1)과 투명슬릿(11-2)이 반복 배열되어 형성된 마스크(11)가 영상패널(13)의 일측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패널(13)의 타측 전면에는 백라이트 광원(15)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마스크(11)는 불투명한 영역을 형성시키는 격자패턴(11-1)과, 투명한 영역을 형성시키는 투명슬릿(11-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영상패널(13)은 우안에 의해 보여지는 우안 대응 픽셀(13-1)과, 좌안에 의해 보여지는 좌안 대응 픽셀(13-2)로 구성되어 있다.In the parallax barrier method, as shown in FIG. 1, a mask 11 formed by repeatedly arranging the lattice pattern 11-1 and the transparent slit 11-2 is disposed on one front surface of the image panel 13. . In addition, a backlight light source 15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image panel 13. The mask 11 includes a lattice pattern 11-1 for forming an opaque region and a transparent slit 11-2 for forming a transparent region. The image panel 13 is composed of a right eye correspondence pixel 13-1 seen by the right eye and a left eye correspondence pixel 13-2 shown by the left eye.

관찰자(10)는 상기 마스크(11)의 투명슬릿(11-2)을 통해 영상패널(13)로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을 보게 되는데, 관찰자(10)의 좌안과 우안은 동일한 투명슬릿(11-2)을 통하더라도 각각 영상패널(13)의 다른 영역을 보게 된다. 패러랙스 배리어 방식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좌안과 우안이 투명슬릿(11-2)을 통해서 각각 인접 영역의 픽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게 되어 입체감을 느끼도록 한다. 이는, 좌안과 우안에서 영상패널(13)에 이르는 거리(VD), 마스크(11)와 영상패널(13) 간의 간격(T), 격자패턴(11-1)과 투명슬릿(11-2)의 피치(P), 우안 대응 픽셀(13-1)과 좌안 대응 픽셀(13-2)의 피치(S)에 의해 입체감을 느끼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격자패턴(11-1)과 투명슬릿(11-2)의 피치(P)에 있어서, 격자패턴(11-1)이 피치(P)의 1/2 내지 2/3 사이의 비율을 갖고, 투명슬릿(11-2)이 상기 격자패턴(11-1) 영역을 제외한 피치(P)의 1/3 내지 1/2 사이의 비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bserver 10 sees an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panel 13 through the transparent slit 11-2 of the mask 11, and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observer 10 have the same transparent slit 11-2. Even through the display, different regions of the image panel 13 are viewed. The parallax barrier method uses this principle, and the left and right eyes see the image displayed on the pixels of the adjacent area through the transparent slit 11-2, so that they feel three-dimensional. This is because the distance VD from the left and right eyes to the image panel 13, the distance T between the mask 11 and the image panel 13, the grid pattern 11-1 and the transparent slit 11-2. The pitch P, the right eye-corresponding pixel 13-1 and the left eye-corresponding pixel 13-2 make it possible to feel a three-dimensional feeling. At this time, in the pitch P of the grating pattern 11-1 and the transparent slit 11-2, the ratio of the grating pattern 11-1 is between 1/2 and 2/3 of the pitch P.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parent slit 11-2 has a ratio between 1/3 and 1/2 of the pitch P excluding the region of the grid pattern 11-1.

이와 같이, 좌안은 영상패널(13)에서 좌안 대응 픽셀(13-2)을 보게 되고, 우안은 영상패널(13)에서 우안 대응 픽셀(13-1)을 보게 된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미지처리기(미도시)에 의해 영상패널(13)의 각 대응 픽셀에는 좌안과 우안에 해당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In this way, the left eye sees the left eye correspondence pixel 13-2 on the image panel 13, and the right eye sees the right eye correspondence pixel 13-1 on the image panel 13. Therefore, although not shown, an image processor (not shown) display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on each corresponding pixel of the image panel 13.

그러나, 패러랙스 배리어 방식은 마스크가 영상패널의 전방에 고정되어 있게 되면 일반영상을 시청하기는 곤란하게 되는데, 일반영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마스크를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마스크를 쉽게 착탈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However, in the parallax barrier method, when the mask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image panel, it becomes difficult to watch the general image. However, since the mask must be removed to view the general image, the necessity of detaching the mask has emerged. .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패러랙스 배리어 방식의 마스크를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휴대폰, PDA단말기 등)의 전방에 쉽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영상과 입체영상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detachable parallax barrier mask in front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mobile phone, PDA terminal, etc.), so that the stereoscopic image can be selected and viewed as needed. An image display apparatus is provided.

도 1은 패러랙스 배리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arallax barrier scheme;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및 확대도,2 is a configuration and enlarged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마스크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관찰자 11 : 마스크10: observer 11: mask

11-1 : 격자패턴 11-2 : 투명슬릿11-1: Grid Pattern 11-2: Transparent Slit

11-3 : 필름베이스 11-4 : 투명점착제11-3: film base 11-4: transparent adhesive

11-5 : 투명기판 13 : 영상패널11-5: transparent substrate 13: image panel

13-1 : 우안 대응 픽셀 13-2 : 좌안 대응 픽셀13-1: Right eye correspondence pixel 13-2: Left eye correspondence pixel

15 : 백라이트 광원 21 : 휴대폰15: backlight light source 21: mobile phone

23 : 입체영상 조립체23: stereoscopic image assembly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방에 수평, 수직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주기의 슬릿들을 가진 마스크를 적당한 거리를 두고 부착시키는데, 여기에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수평방향으로 홀수의 픽셀열에는 오른쪽 눈이 본 그림을, 짝수의 픽셀열에는 왼쪽 눈이 본 그림이 나타나게 한 후, 수평방향으로 2개의 픽셀열당 1개씩의 수직배열 슬릿열을 대응시켜서 제작된 마스크를 통해서 볼 때, 관찰자의 좌안은 짝수의 픽셀열들이 보이고, 우안은 홀수의 픽셀열들이 보이기 때문에 양안시차에 의해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sk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of slit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n front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respectively, at an appropriate distance, wherein the stereoscopic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right eye is shown in the odd pixel columns, and the left eye is shown in the even pixel columns, and one vertical array slit column is provided for each two pixel colum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viewed through a mask made by making a mask, the observer's left eye can see even-numbered pixel columns, and the right eye can see an odd-numbered pixel strings.

영상패널에는 백라이트 광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스크는 격자패턴과 투명부분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가지는 패러랙스 배리어 마스크를 사용한다. 이 마스크는 착탈가능함으로써 일반영상과 입체영상을 선택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Preferably, a backlight light source is formed in the image panel, and the mask uses a parallax barrier mask having a pattern formed by a lattice pattern and a transparent portion. The mask is detachable so that regular and stereoscopic images can be viewed selective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1)는 영상패널(13)의 전방에 소정 거리(T)를 두고 설치되며, 투명슬릿(11-2)이 상기 영상패널(13) 픽셀 2개씩(13-1, 13-2)의 중간 경계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슬릿(11-2)을 통해 영상패널(13) 픽셀(13-1, 13-2)의 영상을 VD의 위치에서 보게 되는데, 관찰자의 좌안 및 우안에 해당되는 그림이 영상패널(13)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면, 관찰자는 입체영상을 볼 수가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mask 11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 in front of the image panel 13, and the transparent slits 11-2 are disposed two pixels 13 of the image panel 13. -1, 13-2) so as to be located in the middle boundary. Accordingly, the image of the pixels 13-1 and 13-2 of the image panel 13 through the transparent slit 11-2 is viewed at the position of the VD, and the picture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observer is the image panel ( 13), the viewer can see the stereoscopic image.

이 때의 마스크(11)의 피치는 다음의 식으로 구할 수 있다.The pitch of the mask 11 at this time can be calculated | required by the following formula.

피치 : P = 2S(VD - T)/VDPitch: P = 2S (VD-T) / VD

(여기서, P는 수평 방향의 마스크 피치, S는 수평 방향의 픽셀(13-1, 13-2)의 피치, VD는 픽셀(13-1, 13-2)로부터 관찰자까지의 거리, T는 픽셀(13-1, 13-2)로부터 마스크(11)까지의 거리)Where P is the mask pitc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 is the pitch of the pixels 13-1 and 13-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VD is the distance from the pixels 13-1 and 13-2 to the viewer, and T is the pixel. (Distance from 13-1, 13-2) to the mask 11)

여기서 슬릿의 크기나 수량 등은 제품의 모델에 따라 입체영상구현의 최적화를 위해서 변경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Here, the size and quantity of the slits may be changed and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product for optimization of stereoscopic image implementation.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휴대폰(2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측면확대도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체영상 조립체(23)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입체영상 조립체(23)는 개략적으로 보호창(23-1) 및 보호케이스(23-2)로 그 외부를 형성시키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마스크(11), 영상패널(13), 및 백라이트 광원(15)이 내장되어 있다. 여기에 패러랙스 배리어 마스크(11)가 착탈될 수 있는 삽입홈(H)을 보호케이스(23-2)의 측면에 만들어 놓는데, 삽입홈(H)의 위치는 화면이 나타나는 영상패널(13), 즉 LCD 및 EL소자와 보호창(23-1) 사이에 설치하며, 패러랙스 배리어 마스크(11)가 부드럽게 착탈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한다.As shown in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phone 21 shown in FIG. 2, the display device is composed of a stereoscopic image assembly 23, which is schematically provided with a protective window 23-1 and a protective cover. The outside is formed by the case 23-2, and a mask 11, an image panel 13, and a backlight light source 15 are embedded therein. Here, the insertion groove (H) in which the parallax barrier mask (11) is detachable is made on the side of the protective case (23-2), and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groove (H) is the image panel (13) on which the screen appears. That is, it is installed between the LCD and the EL element and the protective window 23-1, and designed and manufactured so that the parallax barrier mask 11 can be detachably and smoothly.

도 3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패러랙스 배리어 마스크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rallax barrier mask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베이스(11-3)와 격자패턴(11-1)의 총두께는 175 ∼ 400미크론 정도이며, 필름베이스(11-3)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많이 사용하며, 투명점착제(11-4)를 사용하여 투명기판(11-5)과 라미네이팅을 하는데, 사용하는 투명점착제(11-4)는 광학용으로 산란이 일어나지 않는 특수 재질을 선택해야 하며, 투명기판(11-5)은 약 200 ∼ 500미크론 정도의 폴리카보네이트(PC)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As shown in FIG. 3,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lm base 11-3 and the lattice pattern 11-1 is about 175 to 400 microns, and the material of the film base 11-3 i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t is used a lot, laminating with the transparent substrate (11-5) by using a transparent adhesive (11-4), the transparent adhesive (11-4) to be used for the optical use must choose a special material that does not occur scattering For the transparent substrate 11-5, it is suitable to use polycarbonate (PC) of about 200 to 500 microns.

여기서, 상기 마스크(11)는 격자패턴(11-1)을 제외한 영역이 빛을 통과시켜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투명성재질을 이용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수지제 필름, 유리, 세라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투명점착제(11-4)는 3M사의 모델 8141(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일본 닛또사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필름베이스(11-3) 상에 격자패턴(11-1)을 별도로 형성시키고, 여기에 투명기판(11-5)를 점착시키기 위한 용도로만 상기 투명점착제(11-4)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는 반도체 공정에서 이용하는 통상의 패턴형성과정인 스퍼터 링법이나 진공증착법을 이용하거나, 프린팅기법, 포토리소그래피기법 등이 이용된다.Here, since the mask 11 has to pass light except for the lattice pattern 11-1, a transparent material is used as a whole. For example, a resin film, glass, ceramic,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transparent adhesive 11-4, 3M's Model 8141 (Optically clear adhesive) or Nippon-Nitto Co., Ltd. is appropriately used. The lattice pattern 11-1 may be separately formed on the film base 11-3, and the transparent adhesive 11-4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adher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11-5 to it. The sputtering method and the vacuum evaporation method, which are conventional pattern forming processes used in the semiconductor process, are used, or a printing method, a photolithography method, or the like is used.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21)이 수평(휴대폰을 눕혀서 사용할 경우)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수평으로 격자패턴(11-1)을 형성시킨 마스크(11')를 이용하면 되는데, 도 2와 비교하여 격자패턴(11-1)의 방향이 90° 다르게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mobile phone 21 is used horizontally (when using the mobile phone lying down), a mask 11 ′ in which the grid pattern 11-1 is formed horizontally may be used. It can be seen that the direction of the lattice pattern 11-1 is manufactured to be different by 90 ° as compared with.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는, 패러랙스 배리어 마스크를 착탈함으로써 쉽게 일반영상과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다른 입체영상 구현방법에 비해서, 간단하고 저렴한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입체영상이 가능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보급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aching the parallax barrier mask can easily implement a general image and stereoscopic image, compared to other stereoscopic image implementation method, because it is possible to use a simple and inexpensive mask It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spread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stereoscopic imag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t will be apparent that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양안시차에 의하여 픽셀(13-1, 13-2)에 의하여 표시되는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image displayed by the pixels (13-1, 13-2) in stereoscopic image by binocular parallax, 상기 픽셀(13-1, 13-2)에 의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패널(13)과; 상기 영상패널(13)의 표시면 전방에 배치시키되 일정간격 이격되고, 주기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격자패턴(11-1)이 있는 마스크(11);로 구성되는 입체영상 조립체(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An image panel 13 displaying an image by the pixels 13-1 and 13-2; Including a stereoscopic image assembly 23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surface of the image panel 13, a mask 11 having a plurality of grid patterns (11-1)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rranged periodically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11)는 입체영상 조립체(23)에 형성된 삽입홈(H)을 통하여 영상패널(13)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sk (11) is detachable by sliding forward of the image panel (13) through an insertion groove (H) formed in the stereoscopic image assembly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11)의 격자패턴(11-1)간의 피치(P)는 2S(VD - T)/V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tch (P) between the grid patterns (11-1) of the mask (11) is 2S (VD-T) / VD. (여기서, P는 수평 방향의 마스크 피치, S는 수평 방향의 픽셀(13-1, 13-2)의 피치, VD 픽셀(13-1, 13-2)로부터 관찰자까지의 거리, T는 픽셀(13-1, 13-2)로부터 마스크(11)까지의 거리)Where P is the mask pitc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 is the pitch of the pixels 13-1 and 13-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istance from the VD pixels 13-1 and 13-2 to the viewer, and T is the pixel ( 13-1, 13-2 to the distance from the mask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11)는 필름베이스(11-3)층, 격자패턴(11-1)층, 투명점착제(11-4)층, 및 투명기판(11-5)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sk 11 is a film base (11-3) layer, a lattice pattern (11-1) layer, a transparent adhesive agent (11-4) layer, and a transparent substrate (11-5) layer sequentially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cking ma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11-5)으로 그 두께가 200㎛ ∼ 500㎛ 범위의 값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세라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된 필름베이스(11-3)와 격자패턴(11-1)의 총 두께는 175㎛ ∼ 400㎛ 범위의 값을 가지며, 투명점착제(11-4)는 광학용으로 사용하는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The film base of claim 4, wherein any one selected from polycarbonate, glass, and ceramic having a thickness in the range of 200 μm to 500 μm is used as the transparent substrate 11-5. 11-3) and the total thickness of the lattice pattern 11-1 has a value in the range of 175㎛ ~ 400㎛, the transparent adhesive 11-4 is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used for optical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패턴(11-1)은 불투명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The 3D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id pattern (11-1) uses an opaque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 조립체(23)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image assembly 23, 마스크(11)를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홈(H)을 측면에 형성시키는 보호케이스(23-2)와,A protective case 23-2 for forming a side surface with an insertion groove H for inserting the mask 11; 상기 보호케이스(23-2) 내면에 형성된 백라이트 광원(15)과,A backlight light source 15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23-2; 상기 백라이트 광원(15) 상부에 형성된 영상패널(13)과,An image panel 13 formed on the backlight light source 15; 상기 영상패널(13)과 이격되어 상기 삽입홈(H)을 통하여 슬라이드 삽입 탈착되는 마스크(11)와, 그리고A mask 11 spaced apart from the image panel 13 and slide-inserted and detach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H, and 상기 마스크(11)와 이격되어 마스크(11) 상부에 형성된 보호창(23-1)A protective window 23-1 formed on the mask 11 and spaced apart from the mask 11.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는 정보통신기기의 표시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8.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is a display screen of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KR20-2003-0004907U 2003-02-19 2003-02-19 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KR20032186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907U KR200321863Y1 (en) 2003-02-19 2003-02-19 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907U KR200321863Y1 (en) 2003-02-19 2003-02-19 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464A Division KR100491523B1 (en) 2003-02-19 2003-02-19 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863Y1 true KR200321863Y1 (en) 2003-07-31

Family

ID=4933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907U KR200321863Y1 (en) 2003-02-19 2003-02-19 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86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8040B2 (en) 3D display system with active shutter plate
US6771231B2 (en) Apparatus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two-dimensional image and method therefor
KR100728112B1 (en) Barrier device, autostereoscopic display us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2591030A (en) 2-D and 3-D switchalbe and multi-full size image display system
KR101115700B1 (en) display apparatus for selecting display from 2-dimension and 3-dimension image
US7997748B2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KR20070023849A (en) Parallax barrier lcd which has wide viewing angle
US20090185138A1 (en) Project-type three-dimensional image reproducing apparatus
TWI399570B (en) 3d display and 3d display system
KR100828696B1 (en) Variable parallax barrier and stereoscopic parallax barrier lcd
KR100491523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KR101467192B1 (en) Displayer for Images Separator with Light control layer
KR20050056068A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variable observation distance
KR200321863Y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JP3762714B2 (en) 3D image display device without glasses
KR101246687B1 (en) Apparatus for Optical Shee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Optical Sheet Using the Apparatus
KR101951297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324060B1 (en) Glassesless 3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KR100696657B1 (en) Multi-dimensional mode display device
KR101958288B1 (en) 3D image display device
KR101360780B1 (en) Glassesless 3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KR20010056539A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Including Stereoscopic Panel with Parallax Barrier and Making the Same
KR20080001938A (en) Dual view display appratus and dual view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appratus
KR20120025281A (en) 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KR20080093789A (en) Optical sheet for generating stereo scopic im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