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749Y1 - Multifunctional shoe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sho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749Y1
KR200320749Y1 KR20-2003-0013297U KR20030013297U KR200320749Y1 KR 200320749 Y1 KR200320749 Y1 KR 200320749Y1 KR 20030013297 U KR20030013297 U KR 20030013297U KR 200320749 Y1 KR200320749 Y1 KR 200320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ositioning
wheel
sole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2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웨이-엔 츄
Original Assignee
웨이-엔 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이-엔 츄 filed Critical 웨이-엔 츄
Priority to KR20-2003-0013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74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749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6Skating boots
    • A43B5/1633Multipurpose skate boo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과, 위치 조정부와, 슬라이딩 장치와,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다기능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 신발에는 적어도 수용부가 마련되어 있는 밑창부가 있다. 위치 조정부는 고정 부재에 의해 수용부 내에 고정되고, 아래쪽을 향하는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중공형 바디이며, 따라서 밑창부의 하부에서 장착 개구를 형성한다. 슬라이딩 장치는 휠과 휠 베이스를 포함한다. 휠 베이스는 위치 조정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태에 있어서 위치 조정부와 상응한다. 잠금 장치는 위치 조정부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잠금 장치 내부에는 잠금핀이 배치되어 있고, 이 잠금핀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밑창부의 외부로부터 제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shoe including a shoe, a position adjusting unit, a sliding device, and a locking device. The shoe has a sole at least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is a hollow body which is fixed in the receiving portion by the fixing member and is provided with an opening facing downward, thus forming a mounting opening at the bottom of the sole portion. The sliding device includes a wheel and a wheel base. The wheel base corresponds in position to the position adjustment portion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position adjustment portion. The locking device is arranged on the side of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A locking pin is disposed inside the locking device, which can be controlled from the outside of the sole portion to move in the axial direction.

Description

다기능 신발{MULTIFUNCTIONAL SHOE}Multifunction Shoes {MULTIFUNCTIONAL SHOE}

본 고안은 다기능 신발, 더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 기능과 보행 기능을 모두 구비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having both a sliding function and a walking function.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에는 신발 본체(a)의 하부에 한 세트의 휠(b)이 있다. 신발 본체(a) 하부의 높이(H1)는 적어도 6cm이다. 초보자가 이 신발을 착용하면, 무게 중심이 높고 불균형해지기 때문에, 다리를 위로 향한 채 등 뒤로 넘어지기 쉽고, 이에 따라 지면에 부딪혀 엉덩이를 다치게 되고 더 이상의 연습을 포기할 정도로 두려워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inline skate shown in FIG. 1, there is a set of wheels b under the shoe body a. The height H1 of the bottom of the shoe body a is at least 6 cm. When a beginner wears these shoes, their center of gravity is high and unbalanced, which makes them prone to fall back with their legs up, thus hitting the ground, hurting their buttocks and giving up more exercise.

연구에 따르면, 스케이팅 운동은 균형 감각에 의존한다. 균형 감각을 잡은 후에는, 초보자도 쉽게 스케이팅을 배울 수 있다. 자전거를 탈 수 있다면 모터사이클을 아주 쉽게 타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관심사는 어떻게 지면에 넘어지지 않고 스케이팅을 배우고, 균형 감각을 연마하는 가이다.According to research, skating exercise relies on a sense of balance. Once you have a good balance, even beginners can learn to skate. If you can ride a bike, it's like riding a motorcycle very easily. Therefore, the main concer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w to learn skating and hone the balance without falling to the ground.

한편, 통상적인 인라인 스케이트는 오직 스케이팅용으로만 사용될 수 있고,보행용으로는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롤러 스케이트 사용자는 스케이트를 스케이팅 장소까지 운반한 후 스케이트를 착용해야 하고, 이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inline skates can be used only for skating and cannot be used for walking. Therefore, the roller skate user must wear the skate after carrying the skate to the skating place, which is very cumbersome.

신발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대만 특허 번호 제367879호에 개시되어 있는 "롤러 신발의 밑창부"와 대만 특허 번호 제400753호에 개시되어 있는 "주행용 및 스케이팅용 신발"이 종래 기술로서 공지되어 있다. 이 2개의 특허에 있어서, 종래의 신발의 밑창부에는 돌출 위치 또는 수납 위치의 롤러가 마련되어 있어서, 신발이 스케이팅 기능을 하게 한다. 그러나, 유지홈(d)의 하부는 롤러(7)를 꺼내거나 수납하기 위해 개방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불순물이 축적되어 롤러의 오작동이 발생한다(예를 들어, 롤러는 불순물에 의해 쉽게 고장난다). 또한, 롤러(c)의 피봇(e)에는 내부에 강력 스프링(도시 생략)이 장착되어 수납된 롤러는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롤러를 스케이팅 위치로 노출시키는 데에는 많은 수고가 필요하고, 이것을 어린이가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롤러(c)를 사용한 후의 높이가 일반적인 롤러 스케이트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이 높이는 초보자에게는 균형 감각 훈련용 및 연습용으로 적당하지 않다.In order to enhance the function of the shoes, "sole of roller shoes" disclosed in Taiwan Patent No. 367879 as shown in Figure 1a and "run and skating" disclosed in Taiwan Patent No. 400753. Shoes ”are known in the art. In these two patents, the sole of the conventional shoe is provided with a roller in the protruding position or the storing position, so that the shoe has a skating function. However, the lower part of the retaining groove d must be opened for taking out or accommodating the roller 7, whereby impurities accumulate and malfunction of the roller occurs (for example, the roller is easily broken by impurities). . In addition, the pivot (e) of the roller (c) is equipped with a strong spring (not shown) therein so that the stored roller does not fall down. However, exposing the roller to the skating position requires a lot of effort, and it is almost impossible for a child to do this. In addition, the height after using the roller c is almost the same as the height of a general roller skate. Therefore, this height is not suitable for beginners for balance sensory training and practice.

도 1은 통상적인 인라인 스케이트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of a typical inline skate.

도 1a는 대만 특허 번호 제367879호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 기술의 개략도이다.1A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ior art disclosed in Taiwan Patent No. 367879.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 분해도이다.2 is a perspective exploded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선 5-5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5-5 of FIG.

도 6은 도 4의 선 6-6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of FIG.

도 7은 휠을 집어넣는 동작을 보여주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제1 개략도이다.7 is a first schematic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operation of retracting the wheel.

도 8은 휠을 집어넣는 동작을 보여주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제2 개략도이다.8 is a second schematic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operation of retracting the wheel.

도 9는 도 7의 선 9-9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9 of FIG. 7.

도 10은 휠을 집어넣는 동작을 보여주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제3 개략도이다.10 is a third schematic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operation of retracting the wheel.

도 11은 휠을 적소에 집어넣은 후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wheel is put in plac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신발1: shoes

2 : 위치 조정부2: position adjusting unit

3 : 슬라이딩 장치3: sliding device

4 : 잠금 장치4: locking device

11 : 밑창부11: sole

12 : 수용부12: receiving part

21 : 고정 부재21: fixed member

22 : 위치 조정 표면22: positioning surface

23 : 관통 구멍23: through hole

24 : 압축 스프링24: compression spring

26 : 장착 막대26: mounting rod

31 : 휠31: Wheel

32 : 휠 베이스32: wheel base

33 : 고무 패드33: rubber pad

41 : 잠금핀41: locking pin

42 : 케이스42: case

45 : 노브45 knob

46 : 회전편46: rotating piece

261 : 슬롯261: slot

262 : 후크262: Hook

321 : 위치 조정 구멍321 positioning hole

322 : 태핑 구멍322 tapping hole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신발로 사용될 수 있고, 초보자가 균형 감각을 훈련하고 스케이팅 중에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슬라이딩 신발로 언제라도 전환될 수 있는 다기능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shoe which can be used as a normal shoe in normal times and can be switched at any time to a sliding shoe that helps beginners train their sense of balance and prevent injury during skating.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 시에 안전하면서도 연습 중에 흥미를 더해주는다기능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shoe that is safe to use and adds interest during practic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 및 주행 중에 안락하고 편리하며 힘이 들지 않는 다기능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shoe that is comfortable, convenient and effortless during use and driving.

본 고안의 전술한 목적 및 기타 목적의 실현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하게 된다.The realization of the foregoing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다기능 신발은 신발(1)과, 위치 조정부(2)와, 슬라이딩 장치(3)와, 잠금 장치(4)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2 to 4, the multifunctional sho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oe 1, a position adjusting unit 2, a sliding device 3, and a locking device 4.

신발(1)에는 적어도 수용부(12)가 마련되어 있는 밑창부(11)가 있다.The shoe 1 has a sole portion 11 provided with at least a receiving portion 12.

위치 조정부(2)는 고정 부재(21)에 의해 수용부 내에 고정되고, 아래쪽을 향하는 개구가 있는 중공형 바디이며, 이에 따라 밑창부(11)의 하부에 장착 개구가 형성된다. 또한, 위치 조정부(2)에는 이 위치 조정부(2)의 내벽 상의 미리 정해진 높이에 위치 조정 표면(22)이 있다. 그리고, 위치 조정부(2)의 하부 근처의 측부에는 관통 구멍(23)이 배치되어 있다.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2 is a hollow body which is fixed in the receiving portion by the fixing member 21 and has an opening facing downward, whereby a mounting opening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ole portion 11. In addition, the positioning part 2 has a positioning surface 22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inner wall of this positioning part 2. And the through hole 23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ide part near the lower part of the position adjustment part 2.

슬라이딩 장치(3)는 휠(31)과 휠 베이스(32)를 포함한다. 휠 베이스(32)는 위치 조정 표면(22)과 접촉하여 위치 조정부(22)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태에 있어서 위치 조정부(2)와 상응한다. 위치 조정부(2)의 관통 구멍(23)과 상응하는 위치 조정 구멍(321)이 슬라이딩 장치(3)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다.The sliding device 3 comprises a wheel 31 and a wheel base 32. The wheel base 32 corresponds to the positioning device 2 in form so that it can be received by the positioning device 22 in contact with the positioning surface 22. A positioning hole 321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23 of the positioning device 2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liding device 3.

위치 조정부(2)의 측부에는 잠금 장치(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잠금 장치(4)의 내측에는 잠금핀(41)이 배치되어 있고, 이 잠금핀은 위치 조정부(2)의 관통 구멍(23)과 휠 베이스(32)의 위치 조정 구멍(321) 내로 축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구멍들로부터 후퇴될 수 있도록 밑창부(11)의 외부에서 제어 가능하다.The locking device 4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side part of the position adjustment part 2. A locking pin 41 is disposed inside the locking device 4, and the locking pin is axi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3 of the positioning unit 2 and the positioning hole 321 of the wheel base 32. It is controllable from the outside of the sole 11 so that it can move in or retract from the holes.

전술한 구조에 기초하여, 위치 조정부(2)는 밑창부(11)의 수용부(12)에 수용되어 있고, 고정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나사(211)에 의해 위치 조정부(2)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21)에 의해 고정된다. 변형예로서, 위치 조정부(2)와 고정 부재(2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Based o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2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 of the sole portion 11, and is composed of a fixing plate and is fixed to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2 by screws 211. It is fixed by 21. As a variant,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2 and the fixing member 21 may be integrally formed.

위치 조정부(2)의 내측 상면에는 압축 스프링(2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휠 베이스(32)의 상면에는 고무 패드(33)가 장착되어 있다.The compression spring 24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position adjustment part 2. In addition, a rubber pad 33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heel base 32.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위치 조정부(2)의 양측부에는 종방향 관통 구멍(25)이 있어서, 이 종방향 관통 구멍(25)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삽입되는 2개의 장착 막대(26)를 수용한다. 또한, 양 장착 막대(26)는 종방향 관통 구멍(25)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장착 막대(26)의 하부에는 슬롯(261)이 마련되어 있고, 상부에는 후크(262)가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딩 장치(3)의 휠 베이스(32)는 그 양쪽 측부의 중간에 태핑 구멍(322)이 있다. 나사(34)가 장착 막대(26)의 슬롯(261)을 관통하여 양 장착 막대(26) 사이에 슬라이딩 장치(3)를 배치시킨다. 한편, 슬롯(261)은 슬라이딩 장치(3)를 상하로 뒤집기 위한 회전 지점의 역할을 한다.2 to 6, there are longitudinal through holes 25 at both sides of the position adjusting part 2, so that two mounting rods 26 are inser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longitudinal through holes 25. To accept. In addition, the both mounting rods 26 are movable up and down in the longitudinal through hole 25. The slot 261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rod 26, and the hook 262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The wheel base 32 of the sliding device 3 has a tapping hole 322 in the middle of both sides thereof. Screw 34 penetrates through slot 261 of mounting rod 26 to place sliding device 3 between both mounting rods 26. On the other hand, the slot 261 serves as a rotation point for flipping the sliding device 3 up and down.

게다가,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장치(3)의 위치 조정 구멍(321)은 휠 베이스(32)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다면, 위치 조정 구멍(321)은 휠 베이스(32)의 전방과 후방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잠금 장치(4)는 위치 조정 구멍(321)의 위치에 따라 후방부, 좌측부, 및 우측부에 장착되어야 한다. 또한, 위치 조정부(2)의 관통 구멍(23)은 잠금 장치(4)잠금핀(41)의 위치에 따라 배치되어야 한다. 밑창부(11)의 공간을 조절하고 편리하게 작동하기 위해서, 잠금 장치(4)의 케이스(42)는 선택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 장치(4)는 위치 조정부(2)의 좌우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단지 하나의 잠금 장치(4)로도 충분하고, 2개라면 전체적인 효과에 있어서 분명히 더 안정하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 장치(4')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잠금핀(41)을 제어하도록 회전편(46)을 압박하는 데에 사용되는 노브(45; knob)를 포함하고, 노브(45)와 회전편(46)과 잠금핀(41)은 케이스(42)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42)와 잠금핀(41) 사이에는 스프링(43)이 개재되어 있고, 노브(45)는 밑창부(11)의 측부에 있는 관통 구멍(14)에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ing holes 321 of the sliding device 3 in the third embodiment are arranged at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wheel base 32. I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ositioning holes 321 may be mount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wheel base 32. However, the locking device 4 should be mounted on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sitioning hole 321. Further, the through hole 23 of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2 should b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locking device 41 of the locking device 4. In order to adjust the space of the sole part 11 and to operate conveniently, the case 42 of the locking device 4 may be selectively molded. As shown in FIG. 2, the locking device 4 is arrang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 Only one locking device 4 is sufficient, and two are obviously more stable for the overall effect. As shown in FIG. 6, the locking device 4 ′ comprises a knob 45 used to press the rotating piece 46 to control the locking pin 41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The knob 45, the rotating piece 46, and the locking pin 41 are fixed to the case 42. A spring 43 is interposed between the case 42 and the locking pin 41, and the knob 45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14 on the side of the sole portion 11.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로서, 노브(45)가 밑창부(11)의 측부에 있는 관통 구멍(14)에 배치되어 있는 한편, 슬라이딩 장치(3)는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도 3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는 슬라이딩 장치(3)가 잠금핀(41)에 의해 위치 조정부(2)의 내부에 고정되는 한편, 장착 막대(26)는 나사(34)에 의해 휠 베이스(32)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각 선 5-5 및 선 6-6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자세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휠(31)은 밑창부(11)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돌출되어 아래쪽을 향하고 있다. 잠금핀(41)은 위치 조정부(2)의 관통 구멍(23)을 통해 휠 베이스(32)의 위치 조정 구멍(321) 내로 적소에 삽입되어 있다. 휠(31) 위치의 변경 시에는, 노브(45)는 압박되는 한편, 잠금핀(41)은 회전편(46)에 의해 해제 상태로 복귀된다.Referring again to FIG. 3, as a sid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b 45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14 on the side of the sole portion 11, while the sliding device 3 is It shows that it is fixed in a slidable stat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In FIG. 4, the sliding device 3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positioning portion 2 by the locking pin 41, while the mounting rod 26 is connected to the wheel base 32 by the screw 34. Is shown.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5-5 and 6-6, and detailed structures are shown. The wheel 31 protrudes from the sole part 11 in a slidable state and faces downward. The locking pin 41 is inserted in place into the positioning hole 321 of the wheel base 32 through the through hole 23 of the positioning part 2. When the wheel 31 is changed in position, the knob 45 is pressed while the locking pin 41 is returned to the released state by the rotary piece 46.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장치(3)는 해제되는 경우 장착 막대(26)의 슬롯(261)을 따라 하강한다. 한편, 장착 막대(26)도 동시에 아래로 하강하고 종방향 관통 구멍(25)의 하부에서 후크(262)에 의해 고정되어, 슬라이딩 장치(3)에는 상하가 뒤집힐 공간이 생긴다(도 9 및 도 10 참조).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가 뒤집힌 슬라이딩 장치(3)의 휠(31)은 위치 조정부(2) 내로 밀어넣어진다. 그 후, 잠금핀(41)은 위치 조정 구멍(321) 내로 삽입되어 잠금 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장치(3)는 보행 기능을 갖도록 밑창부(11) 내에 수납된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sliding device 3 descends along the slot 261 of the mounting rod 26 when released. 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rod 26 is also lowered at the same time and fixed by the hook 262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through hole 25, so that the sliding device 3 has a space for upside down (Figs. 9 and 10). Reference). As shown in FIG. 11, the wheel 31 of the sliding device 3 with the top and bottom sides upside down is pushed into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 Thereafter, the locking pin 41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321 to return to the locked state. Thus, the sliding device 3 is housed in the sole portion 11 to have a walking function.

본 고안의 전술한 실시예의 기법을 통해, 슬라이딩 장치(3)는 밑창부와 슬라이딩 상태 또는 수납(분해된) 상태로 신속하게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이 간단하고 편리하면서도 본 고안의 구조는 안정하다. 또한, 슬라이딩 시에 안전하다. 또한, 슬라이딩 기능은 초보자가 균형 감각을 훈련하는 데에 도움을 주어, 연습에 흥미를 더해주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고안은 편리하고, 실질적인 다기능 신발이다.Through the techniqu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device 3 can be quickly assembled with the sole part in the sliding state or the received (disassembled) state.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ble while the operation is simple and convenient. It is also safe when sliding. In addition, the sliding function helps beginners train their sense of balance, adding interest to practice. In conclus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nient, practical multifunctional shoe.

Claims (3)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적어도 수용부가 마련되어 있는 밑창부를 구비하는 신발과;A shoe having a sole portion provided with at least a receiv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아래쪽을 향하는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중공형 바디로 구성되며, 이에 의해 상기 밑창부의 하부에 장착 개구를 형성하는 위치 조정부로서, 그것의 내벽에는 미리 결정된 높이에 위치 조정 표면이 마련되고, 이 위치 조정부의 하부 근처의 측부에는 관통 구멍이 배치되며, 각각 양측부에는 2개의 장착 막대가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하는 종방향 관통 구멍이 배치된 위치 조정부와;A hollow body which is fixed inside the receptacle by a fixing member and is provided with an opening facing downwards, thereby forming a mounting opening in the lower part of the sole part, the inner wall of which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 position adjusting portion provided with an adjustment surface, a through hole disposed on a side near the bottom of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and a longitudinal through hole in which two mounting rods freely move up and down on each side; 휠과 휠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휠 베이스는 상기 위치 조정 표면과 접촉하여 상기 위치 조정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위치 조정부와 형태에 있어서 상응하는 슬라이딩 장치로서, 그것의 측부에는 상기 위치 조정부의 관통 구멍에 상응하는 위치 조정 구멍이 배치되며, 상기 휠 베이스는 나사에 의해 상기 위치 조정부의 2개의 측부에 장착 막대의 슬롯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장치와;A wheel and a wheel base, wherein the wheel base is a sliding device corresponding in shape with the positioning portion so that the wheel base can be received in contact with the positioning surface, the side of which has a through hole in the positioning portion; A position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base, the wheel base being fixed to a slot of a mounting rod on two sides of the positioning portion by screws; 상기 위치 조정부의 측부에 배치되는 잠금 장치로서, 그것의 내측에 잠금핀이 마련되고, 이 잠금핀은 상기 위치 조정부의 관통 구멍과 휠 베이스의 위치 조정 구멍 내로 축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구멍들로부터 후퇴될 수 있도록 상기 밑창부의 외부로부터 제어할 수 있는 잠금 장치;A locking devic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wherein a locking pin is provided inside thereof, and the locking pin moves axially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positioning portion and the positioning hole of the wheel base or retracts from the holes. A locking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from the outside of the sole portion so that it can be made; 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장치는 상기 휠의 일부분이 슬라이딩의 목적으로 상기 밑창부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잠금 장치 내부에 고정되고, 또는 상기 휠은 보행용의 목적으로 상하가 뒤집혀서 수납 위치로 밀어 넣어져 상기 밑창부에는 어떠한 돌출부도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인 다기능 신발.The sliding device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locking device while a portion of the wheel is protruding from the sole portion for the purpose of sliding, or the wheel is pushed to the storage position upside down and upside down for walking purposes Versatile shoes that may not have any protrusions on the sol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부의 내측 상벽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인 다기능 신발.The multifunctional shoe of claim 1, wherein a spring is mounted on an inner upper wall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잠금핀을 제어하도록 회전편을 압박하는 데에 사용되는 노브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노브와, 회전편과, 상기 잠금핀은 케이스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와 잠금핀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되며, 상기 노브는 상기 밑창부의 측부에 있는 관통 구멍에 배치되는 것인 다기능 신발.2. The locking devic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locking device includes a knob used to press the rotating piece to control the locking pin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while the knob, the rotating piece, and the locking pin are driven by a case. And a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case and the lock pin, and the knob is disposed in a through hole in the side of the sole portion.
KR20-2003-0013297U 2003-04-29 2003-04-29 Multifunctional shoe KR20032074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297U KR200320749Y1 (en) 2003-04-29 2003-04-29 Multifunctional sho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297U KR200320749Y1 (en) 2003-04-29 2003-04-29 Multifunctional sho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749Y1 true KR200320749Y1 (en) 2003-07-22

Family

ID=4933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297U KR200320749Y1 (en) 2003-04-29 2003-04-29 Multifunctional sho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74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923B1 (en) * 2003-01-24 2005-07-19 주식회사 보스산업 boot for snow-board with l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923B1 (en) * 2003-01-24 2005-07-19 주식회사 보스산업 boot for snow-board with l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9698B2 (en) Multifunctional shoe
US3936061A (en) Roller skate
AU772408B2 (en) Skate with adjustable size
MXPA00010157A (en) Convertible skateboard/scooter.
JPS637791B2 (en)
US6375208B1 (en) Combined skateboard scooter/exerciser
US20050151332A1 (en) Skate device having turnable wheels
US5417630A (en) In place exercise device with adjustable resistance
KR200320749Y1 (en) Multifunctional shoe
US6719649B1 (en) Ball server with delay element for delaying time period of serving a ball
US6227555B1 (en) Top-press steering device for a skateboard
US6276695B1 (en) In-line skate
US6402162B1 (en) Dual-purpose roller skate
JPH0218842B2 (en)
CN106005213B (en) A kind of child&#39;s scooter constantly to be advanced using human body recoil
KR101243264B1 (en) health training machine for amusements
GB2380685A (en) Multifunction shoe for skating and walking
JP3092132U (en) Tricycle skating shoes
US20180110299A1 (en) Wearable devices with sports implements
KR100769330B1 (en) A sliding ski-board
KR200290252Y1 (en) Long stick steper for leisure
CN218392157U (en) Skiing is with balanced ability training ware of health
KR200192306Y1 (en) One foot system of a slide board
KR200325200Y1 (en) Heeling shoes
CN218650524U (en) Sports shoes of riding with shock attenuation massage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