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616Y1 - Display packing case for use lollipop - Google Patents

Display packing case for use lollipo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616Y1
KR200320616Y1 KR20-2003-0012793U KR20030012793U KR200320616Y1 KR 200320616 Y1 KR200320616 Y1 KR 200320616Y1 KR 20030012793 U KR20030012793 U KR 20030012793U KR 200320616 Y1 KR200320616 Y1 KR 200320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od
box
display
can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79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윤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청우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청우식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청우식품
Priority to KR20-2003-0012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61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616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1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made of cardboard, paper or the like

Landscapes

  • Cartons (AREA)

Abstract

막대형 손잡이가 형성된 막대사탕을 용이하게 보관하고 판매를 촉진할 수 있는 형태로 진열할 수 있는 진열대를 가지는 막대사탕용 진열 상자를 개시한다. 상기 막대사탕용 진열상자는 사각형 바닥면의 네 개의 끝단으로부터 상부로 신장되어진 메인 몸체와, 상기 메인 몸체의 상단면으로부터 내부의 대향 상단면의 길이 만큼 신장되며 끝단이 상자 안쪽으로 접힘 가능한 단부를 가지며, 상부에 막대사탕의 로드가 삽입되는 구멍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제1덮개와; 상기 제1덮개가 형성된 대향 상단면의 끝단에서 상기 대향 면의 길이 만큼 신장되며 중간의 부분에서 접힘 가능한 접힘선 및 일부분이 절개된 절개선이 형성되며 끝에 상자 안쪽으로 접힘 가능한 단부를 가지는 제2덮개 및 상기 제1덮개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들에는 막대사탕의 로드가 끼워져 삽입되는 로드 홈이 형성된 다수의 레그들이 형성된 진열 플레이트의 레그들이 삽입 결합되어 구성된다.Disclosed is a display box for a lollipop having a display stand capable of easily storing a lollipop formed with a rod-shaped handle and prompting sales thereof. The lollipop display box has a main body that extends upwards from four ends of a rectangular bottom surface, and extends from the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by the length of the opposite top surface thereof, and has an end that can be folded into the box. A first cover having at least one hole into which a rod of rod candy is inserted; A second cover having an end portion which is extended by the length of the opposite surface at the end of the opposite top surface on which the first cover is formed, a foldable line that is foldable at a middle portion, and a cut line where a portion is cut, and has an end which is foldable at the end in the box; And the hole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is formed by inserting the legs of the display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legs formed with a rod groove into which the rod of the rod candy is inserted.

Description

막대사탕용 진열상자{DISPLAY PACKING CASE FOR USE LOLLIPOP}Display box for lollipops {DISPLAY PACKING CASE FOR USE LOLLIPOP}

본 고안은 사탕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막대형(rod type) 손잡이가 형성된 막대사탕을 용이하게 보관하고 판매를 촉진할 수 있는 형태로 진열할 수 있는 진열대를 가지는 막대사탕용 진열 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dy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box for a lollipop having a display stand that can be easily stored in a rod-shaped handle is formed to display and facilitate the sale.

통상적으로 막대형의 손잡이가 형성된 막대사탕(Lollipop)은 둥근형태 사탕알의 중앙에 로드형의 손잡이가 결합되어진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막대사탕은 소정 크기를 갖는 사탕알을 입속에 넣고 녹여 먹는 것이 일반적 이어서 로드 형태의 손잡이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로드형의 손잡이를 이용하여 입속에 위치된 사탕알의 위치를 바꿀 수도 있으며, 사탕의 섭취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Typically lollipops having a rod-shaped handle (Lollipop) has a rod-shaped handle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round candy. Such a lollipop is generally eaten by dissolving a candy grai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n a mouth, and thus a rod-shaped handle is very useful. For example, the rod-shaped handle may be us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andy eggs located in the mouth, and the intake of the candy may be easier.

이와 같은 막대사탕은 크기가 통상의 캔디보다 크고 로드형의 막대 때문에 판매를 위한 진열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소정 크기를 갖는 유리용기에 담아 진열하는 경우 사탕 알에 결합되어진 막대(rod)의 길이에 의해 유리용기 내에서 일목요연하게 진열되지 않아 상품을 소비자에게 정확하게 보여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이 상자 등을 이용하는 경우 상품을 외부에서 식별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왔다. 따라서, 막대사탕의 진열은 높이가 막대사탕의 막대길이 정도를 가지는 투명용기에 수직으로 넣어 진열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Such a lollipop has a problem in that its size is larger than that of a normal candy and is not easily displayed for sale because of a rod-shaped rod.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is contained in a glass container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 is not accurately displayed in the glass container due to the length of the rod coupled to the candy eggs, so that the product cannot be accurately displayed to the consumer. In addition, when using a paper box or the like has been a problem that can not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Therefore, the display of the lollipops is the most widely used method of vertically placed in a transparent container having a height of about the length of the rod candy.

그러나, 투명용기에 막대사탕을 넣어 보관 및 진열하는 방법은 구매자의 시선을 끌거나 관심을 유발하는 것이 미흡하여 판촉 효과를 충분하게 얻을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어 왔다.However, the method of storing and displaying the lollipops in the transparent container has been problematic in that it is insufficient to attract the buyer's attention or cause interest, and thus the promotion effect cannot be sufficiently obtained.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막대사탕의 보관 및 판촉효과를 충분하게 얻을 수 있는 막대사탕용 진열 보관 상자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elf storage box for lollipops that can sufficiently obtain the storage and promotion effect of the lollipop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막대사탕을 보관함과 동시에 입체적으로 진열할 수 있도록 하는 막대사탕용 진열보관 상자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elf storage box for lollipops to be stored in three dimensions at the same time to store the lollipops.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막대사탕의 로드형 손잡이를 상자의 상부에 결합된 진열 플레이트의 로드 홀(rod hole)에 끼워 진열할 수 있는 막대사탕용 진열상자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d candy display box that can be displayed by inserting the rod-shaped handle of the rod candy into the rod hole of the display plat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x.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제과 상자에 있어서, 사각형의 바닥면의 네 개의 끝단으로부터 상부로 신장되어진 메인 몸체와, 상기 메인 몸체의 상단면으로부터 내부의 대향 상단면의 길이 만큼 신장되며 끝단이 상자 안쪽으로 접힘 가능한 단부를 가지며, 상부에 막대사탕의 로드가 삽입되는 구멍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제1덮개와; 상기 제1덮개가 형성된 대향 상단면의 끝단에서 상기 대향 면의 길이 만큼 신장되며 중간의 부분에서 접힘 가능한 접힘선 및 일부분이 절개된 절개선이 형성되며 끝에 상자 안쪽으로 접침 가능한 단부를 가지는 제2덮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fectionery box having a hexahedron shape, the main body extending upward from the four ends of the rectangular bottom surface, and the length of the opposit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ide from the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A first cover having an end extended at an end thereof and having an end foldable into the box, and having at least one hole into which a rod of rod candy is inserted; A second cover having an end that is foldable at an end portion of the opposite top surface having the first cover formed therein, the folding line being foldable at a middle portion and a cut line cut at a portion thereof, and having a foldable end in the box at the end; Characterized in having a.

상기 제1덮개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들에는 막대사탕의 로드가 끼워져 삽입되는 로드 홈(rod groove joint)이 형성된 진열 플레이트(display plate)의 레그(leg)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 leg of a display plate having a rod groove joint into which the rod of the rod candy is inserted is coupled to the hole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상기 진열 플레이트는 육각형 원호로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각 모서리 영역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소정 깊이를 가지고 파여진 원형상의 로드 홈을 가지는 다수의 레그들을 가진다.The display plate has a plurality of legs having a plate formed by a hexagonal arc and a circular rod groov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each corner region of the plate and excavated with a predetermined depth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plate.

상기 메인 몸체의 전면 높이는 후면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하여 막대 사탕의 로드를 상기 진열 플레이트의 로드 홈에 끼웠을 때 진열 상태가 안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ont height of the main body is preferably lower than the rear height so that the display state is stabilized when the rod of lollipop is inserted into the rod groove of the display plat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막대 사탕용 진열 상자는 제1덮개 및 제2덮개를 개방한 후 메인 몸체의 내부에 보관된 막대사탕들중 일부를 꺼내어 제1덮개의 상부에 결합되어진 진열 플레이트의 로드홈에 끼워 진열함으로써 막대 사탕의 물류 이동에 의한 포장 보관과 판매를 위한 진열을 할 수 있어 다수의 상품이 진열된 가게에서 막대사탕을 소비자가 쉽게 식별하고 구매의 용이성을 주게된다.The rod candy display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fter opening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taking out some of the lollipops stored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rod of the display plat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over. By inserting the display into the groove can be displayed for the storage and sale of the lollipops by the logistics movement of the lollipops in the store where a large number of products are displayed to give consumers easy identification and ease of purchase.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막대사탕용 진열상자의 사용상태 사시도 및 진열 플레이트를 분리하였을 때의 사시도이다.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of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box for the lollipop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splay plate when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막대사탕용 진열상자의 제1덮개를 개방하고 제2덮개를 폴딩하였을 때의 사시도, 제2덮개를 언폴딩(unfolding)하였을 때의 사시도, 정면도 및 제1덮개를 덮고 제2덮개를 폴디드(folded)하였을 때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s 2a, 2b, 2c and 2d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of the display box for the lollipop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folding the second cover Is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second cover is folded and the second cover is folded.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막대사탕용 진열상자의 제1덮개를 개방하여 폴딩(folding)하였을 때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Figures 3a, 3b and 3c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when the folding (folding) of the first cover of the display box for lollipop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열 플레이트의 구조를 타나낸 도면으로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4a and 4b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display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고안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이며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intended to describe one embodiment and is intended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막대사탕용 진열상자의 사용상태 사시도 및 진열 플레이트를 분리하였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a, 도 2b,도 2c 및 도 2d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막대사탕용 진열상자의 제1덮개를 개방하고 제2덮개를 폴딩하였을 때의 사시도, 제2덮개를 언폴딩(unfolding)하였을 때의 사시도, 정면도 및 제1덮개를 덮고 제2덮개를 폴디드(folded)하였을 때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막대사탕용 진열상자의 제1덮개를 개방하여 폴딩(folding)하였을 때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열 플레이트의 구조를 타나낸 도면으로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of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box for the lollipop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splay plate when separated from each other. Figures 2a, 2b, 2c and 2d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of the display box for the lollipop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folding the second cover Is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second cover is folded and the second cover is folded. 3a, 3b and 3c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when the folding (folding) of the first cover of the display box for lollipop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display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도 1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막대사탕용 진열상자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With reference to Figures 1a to 4b look at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box for candy b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막대사탕용 진열상자 10은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메인몸체 12의 상부에 제1덮개 14 및 제2덮개 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덮개 12, 16들 각각은 메인 몸체 12의 전면 끝단과 후면 끝단으로부터 대향면까지의 길이를 가진다. 상기 제1덮개 14의 상부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에는 진열 플레이트 18의 하부에 형성된 레그 13들이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진열 플레이트 18에 형성된 레그 13들의 상부측에는 막대사탕의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로드홈 20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제2덮개 16은 중앙부분에 접힘선 및 절개선을 가지고 있어서 하부측으로 접힙선으로 따라 폴딩(folding)될 때 절개된 사인영역(sign area) 24가 상부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때, 상기 사인영역 24에 막대사탕의 상표 등을 표기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자사의상품을 보다 적극적으로 홍보할 수 있다. 이러한 진열상자 10의 구성은 후술하는 도 2a 내지 도 2b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1A and 1B, the display box 10 for lollipops has a first cover 14 and a second cover 16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2 having a hexahedron shap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vers 12 and 16 has a length from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12 to the opposite surface.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14, and legs 13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late 18 are fitted into the holes. At this time, the rod grooves 20 are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legs 13 formed in the display plate 18 so that the rod candy can be inserted. The second cover 16 shown in FIGS. 1a and 1b has a fold line and an incision in the center portion so that the sign area 24 cut off when folded along the fold line on the lower side rises to the upper side. do.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more actively promote its products to consumers by marking the label of the candy bar on the sign area 24.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box 10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description of FIGS. 2A to 2B described later.

도 2a 내지 도 2d를 살피면, 진열상자 10의 메인몸체 12의 전면부의 상단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제1덮개 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덮개 14의 끝단에는 메인몸체 1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단부 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부 15는 메인몸체 12측으로 접혀져 제1덮개 14가 닫혀졌을 때 메인몸체 12의 상부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메인몸체 12의 후면부의 상단에는 상기 제1덮개 14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제2덮개 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덮개 16의 중앙부분에는 몸체측으로 접혀지도록 하는 접힘선 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힘선 22의 중앙에는 하부측으로 절개된 절개선 25를 갖는다.2A to 2D, the first cover 14 having a plurality of holes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2 of the display box 10. An end portion 15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2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cover 14. The end portion 15 is folded toward the main body 12 side so that when the first cover 14 is closed, it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2. A second cover 16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first cover 14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rear part of the main body 12. A fold line 22 is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cover 16 to be folded toward the body side, and has a cut line 25 cut to the lower side at the center of the fold line 22.

또한 제2덮개 16의 끝단에는 메인몸체 12와 제1덮개 12의 사이에 형성된 래치구멍(latch hole)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단부 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덮개 14 및 제2덮개 16의 길이는 전면부분의 상단으로부터 내부의 대향 상단면의 길이, 즉, 후면부의 상단까지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몸체 12의 좌우측면의 상단부들 각각에는 소정 길이의 단부 17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중, 제2덮개 16은 도 2b 및 도 2c와 같이 중앙에 형성된 접힘선 22를 기준으로 메인몸체 12측으로 폴딩/언폴딩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2덮개 16을 개방한 후 메인몸체 12측으로 제2덮개 16을 도 2d와 같이 폴딩하면, 접힘선 22를 따라 내측으로 접혀져 젖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2덮개 16을 접어 끝에 형성된 단부 26을 제1덮개 14와 후면부 사이에 끼우면 전술한 도 1a와 같이 된다.In addition, an end 16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cover 16 to be fitted into a latch hole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12 and the first cover 12 is formed.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first cover 14 and the second cover 16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length from the upper end of the front portion to the length of the opposite upper surface,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rear portion. Each of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2 has end portions 17 of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econd cover 16 is folded / unfolded to the main body 12 side with respect to the fold line 22 formed at the center as shown in FIGS. 2B and 2C. When the user opens the second cover 16 and then folds the second cover 16 toward the main body 12 side as shown in FIG. 2D, the user is folded inward along the fold line 22.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nd 26 formed by folding the second cover 16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cover 14 and the rear portion, the same as in FIG. 1A is described.

따라서, 도 2a와 같이 제1 및 제2덮개 14, 16을 모두 개방하여 메인몸체 12의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 즉, 진열 플레이트 18과 막대사탕을 꺼낸 후, 제1덮개 14를 닫고 상기 제1덮개 14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들에 진열 플레이트 18의 레그 23을 삽입하면, 도 2b 및 도 2c와 같은 형태로 조립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덮개 16을 접고, 제2덮개 16의 단부 26을 제1덮개 14와 메인몸체 12 사이의 틈새에 끼우면 도 3c와 같은 형태로 조립된다. 이와 같이 제1덮개 14에 진열 플레이트 18이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는 도 3a 및 도 3b와 같다.Therefore, as shown in FIG. 2A, the first and second covers 14 and 16 are opened to remove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main body 12, that is, the display plate 18 and the lollipop, and then the first cover 14 is closed and the first cover is removed. When the leg 23 of the display plate 18 is inserted into the hole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14, it is assembled as shown in FIGS. 2B and 2C. In this state, the second cover 16 is fold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end 26 of the second cover 16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first cover 14 and the main body 12 to be assembled as shown in FIG. 3C. Thus, the front view and the top view of the display plate 18 is coupled to the first cover 14 as shown in Figure 3a and 3b.

도 3c와 같이 메인몸체 12의 상부에 결합된 제1덮개 14에 진열 플레이트 18이 결합되고, 제2덮개 16이 폴딩 결합된 상태에서 막대사탕의 로드가 진열 플레이트 18의 상부에 형성된 로드홈 20에 삽입되면, 막대상품이 도 1a와 같이 진열상자 10의 상부에 진열된다. 이때, 메인몸체 12의 내부공간에는 진열되고 남은 막대사탕을 보관할 수 있게된다. 이때 상기 로드홈 20의 깊이는 레그 20의 길이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레그 23의 길이가 길면 깊이도 그에 따라 깊게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C, the display plate 18 is coupled to the first cover 14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2, and the rod candy 20 is formed in the rod groove 20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plate 18 while the second cover 16 is folded. Once inserted, the bar goods are displayed on top of the display box 1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2 can be displayed and the remaining stick candy. The depth of the rod groove 20 depends on the length of the leg 20. For example, if the length of leg 23 is long, the depth is formed accordingly.

상기 메인몸체 12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덮개 14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들에 결합되는 진열 플레이트 18의 구조를 살피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봉의 형상을 가진다. 이때, 육각봉의 형상을 가지는 진열 플레이트 18의 중앙에도 로드홈 20이 형성된 레그 23이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에 위치된 레그 23은 연결부재들 21에 의해 진열플레이트 18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진열 플레이트 18의 하부에 형성된 레그들 23의 길이는 경사지도록 형성된 메인몸체 12의 상부측 혹은 하부측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2덮개 16의 방향으로 위치되어 결합되는 진열 플레이트 18의 레그 23은 짧고, 제1덮개가 연결된 하부 방향으로 위치되어 결합되는 진열플레이트 18의 레그 23은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열 플레이트 18의 레그 23의 길이를 다르게 하는 이유는 메인몸체 12가 도 3c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막대사탕을 진열 플레이트 18의 레그 23에 형성된 로드홈 20에 끼워 진열시 동일한 형태로 경사지게 진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plate 18 coupled to the hole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14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2, as shown in Figures 4a and 4b has the shape of a hexagonal bar. In this case, a leg 23 having a rod groove 20 is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plate 18 having a hexagonal bar shape, and the leg 23 positioned at the center is fixedly coupled to the display plate 18 by connecting members 21.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legs 23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late 18 is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2 formed to be inclined. For example, the leg 23 of the display plate 18 positioned and coupl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ver 16 is short, and the leg 23 of the display plate 18 coupled and positioned in the lower direction to which the first cover is coupled is elongated. The reason why the length of the leg 23 of the display plate 18 is different is that the main body 12 is formed to be inclined as shown in FIG. 3C, and the rod candy is displayed to be inclined in the same shape when the rod candy is inserted into the rod groove 20 formed in the leg 23 of the display plate 18. To make it possible.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진열 플레이트 18을 육각봉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였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진열 상자에 진열되는 막대사탕의 개수에 따라 형성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late 18 has the shape of a hexagonal bar, but it should be note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formation can be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lollipops displayed in the display box.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막대사탕의 보관 및 진열을 하나의 상자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막대사탕을 진열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가 불필요하며, 상품 진열대에서 막대사탕을 소비자가 쉽게 식별하고 구매하기 편리하도록 전시해줄 수 있어 광고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torage and display of the lollipops in one box so that a separate container for displaying the lollipops is unnecessary, and the consumer can easily identify and purchase the lollipops on the shelf. There is an advantage to promote the advertising effect can be displayed.

Claims (4)

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제과 상자에 있어서,In the confectionery box having a hexahedron form, 사각형의 바닥면의 네 개의 끝단으로부터 상부로 신장되어진 메인 몸체와,A main body extending upwards from the four ends of the bottom of the quadrangle, 상기 메인 몸체의 상단면으로부터 내부의 대향 상단면의 길이 만큼 신장되며 끝단이 상자 안쪽으로 접힘 가능한 단부를 가지며, 상부에 막대사탕의 로드가 삽입되는 구멍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제1덮개와;A first cover extending from a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by a length of an opposite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end portion foldable inwardly into a box, and having at least one hole into which a rod of rod candy is inserted; 상기 제1덮개가 형성된 대향 상단면의 끝단에서 상기 대향 면의 길이 만큼 신장되며 중간의 부분에서 접힘 가능한 접힘선 및 일부분이 절개된 절개선이 형성되며 끝에 상자 안쪽으로 접힘 가능한 단부를 가지는 제2덮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사탕용 진열상자.A second cover having an end portion which is extended by the length of the opposite surface at the end of the opposite top surface on which the first cover is formed, a foldable line that is foldable at a middle portion, and a cut line where a portion is cut, and has an end which is foldable at the end in the box Display box for candy bar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들에는 막대사탕의 로드가 끼워져 삽입되는 로드 홈이 형성된 다수의 레그들이 형성된 진열 플레이트의 레그들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사타용 진열상자.The display box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e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over are inserted with legs of a display plate having a plurality of legs formed with rod grooves into which rods of rod candy are inser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 플레이트는 육각형 원호로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각 모서리 영역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소정 깊이를 가지고 파여진 원형상의 로드 홈을 가지는 다수의 레그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사탕용 진열상자.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isplay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legs having a plate formed of a hexagonal arc and a circular rod groov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each corner region of the plate and excavated with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top of the plate A display box for candy bars,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내지 제3항들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는 중앙에 형성된 접힘선의 사이에서 일정한 모양을 가지고 형성된 절개선은 상품을 소개하는 영역(sign area)임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사탕용 진열상자.4. The candy ba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econd cover has a predetermined shape between the fold line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is a sign area for introducing a product. Dragon display box.
KR20-2003-0012793U 2003-04-24 2003-04-24 Display packing case for use lollipop KR20032061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793U KR200320616Y1 (en) 2003-04-24 2003-04-24 Display packing case for use lollipo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793U KR200320616Y1 (en) 2003-04-24 2003-04-24 Display packing case for use lollipo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616Y1 true KR200320616Y1 (en) 2003-07-23

Family

ID=49411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793U KR200320616Y1 (en) 2003-04-24 2003-04-24 Display packing case for use lollipo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61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932U (en) 2015-05-08 2016-11-16 윤동혁 Lollypo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932U (en) 2015-05-08 2016-11-16 윤동혁 Lollypo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6926A1 (en) Package for delicacies and method for packaging delicacies
US7316311B2 (en) Resealable clear flexible package for shoes
US3651928A (en) Display container
US5762203A (en) Container for shipping and displaying of product
US6059113A (en) Display package with corrugated insert
KR200320616Y1 (en) Display packing case for use lollipop
US20090288981A1 (en) Package for Displaying a Product
KR101735939B1 (en) Packaging box
US4592464A (en) Folding display merchandise box
JP3111218U (en) Ball packaging box for hanging
JP3440229B2 (en) Packaging box
US20040108372A1 (en) Packaging and display device
CN211711298U (en) Horizontal push-pull type packaging and displaying box
KR200307705Y1 (en) A box for prcking
JP3125694U (en) Product display container
KR200342147Y1 (en) Confectionery box
JP2000190954A (en) Packaging box with display function
KR20090024026A (en) Standing erect type packaging box
KR200183599Y1 (en) A structure of a display box for a tube receptacle
KR200326202Y1 (en) A containing box assembly
KR200298699Y1 (en) A rack for to show and a sale of a stick bar of chocolate
KR200257009Y1 (en) A box for prcking
JP3017482U (en) Partition frame for paper containers
JP3313687B2 (en) Packaging box for packing multiple products
RU62591U1 (en) PACKAGING FOR CONFECTION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