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335Y1 - 채혈용 주사기 - Google Patents

채혈용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335Y1
KR200320335Y1 KR20-2003-0012708U KR20030012708U KR200320335Y1 KR 200320335 Y1 KR200320335 Y1 KR 200320335Y1 KR 20030012708 U KR20030012708 U KR 20030012708U KR 200320335 Y1 KR200320335 Y1 KR 2003203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blood collection
blood
syringe body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나예환
Original Assignee
나예환
이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예환, 이경호 filed Critical 나예환
Priority to KR20-2003-0012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3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3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venous or arterial blood, e.g. with syringes
    • A61B5/154Devices using pre-evacuate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채혈을 실시할 때 한 손으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채혈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채혈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채혈을 위해서는 두 손을 모두 주사기를 잡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환자를 돌보는 다른 어떠한 일을 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고, 또 한 손은 주사기를 고정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는 피스톤을 후퇴시켜 채혈을 하는데, 엄밀이 보면 양손이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때문에 피스톤을 당기는 행위를 실수하게 될 경우에는 반작용에 의해 몸체부가 전진하여 바늘에 의해 피검자가 깊은 상처를 입게 되는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에 의해 채혈과정이 초보자들에게는 쉽지 않은 도전이 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방에 주사바늘을 갖고 그 후측에 주사바늘에 의해 채혈된 혈액을 보관하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을 전방 내부에 결합하고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된 원통형 주사기 몸체와, 상기 주름관의 후측에 결합되어 상기 주사기 몸체 내에서 전 후진하고 양측에 상기 주사기 몸체의 가이드 홈으로 돌출된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주름관을 신장 및 압축시키는 이동몸체와, 상기 주사기 몸체내부 후측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이동몸체를 전방으로 밀어 전진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채혈용 주사기는 주사기 몸체의 양측에 돌출된 손잡이를 주먹을 쥐는 듯한 동작으로 주름관을 펼쳐 진공에 의해 혈관내의 혈액을 채혈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한 손으로도 채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에 의해 다른 한 손으로는 피검자를 돌보는 일을 할 수가 있으며, 채혈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몸체와 주름관이 분리형일 경우에는 이동몸체를 강제로 전진시켜 주름관을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재활용할 수가 있으므로 채혈용 주사기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또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채혈용 주사기{Injector for blood-gathering}
본 고안은 채혈을 할 때 한 손으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채혈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채혈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벼운 질병에서부터 중증의 질병 그리고 증상이 없는 질병 및 유전적인 취약성에 의한 잠재적 질병 등을 검사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혈액검사이다.
이 혈액검사를 위해서는 혈액을 채취하게 되는데, 이는 피검자의 정맥혈관에 채혈주사기의 바늘을 꽂아 피스톤을 후퇴시켜 채혈 주사기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시킴으로 그 압력차에 의해 채혈을 하는 방법을 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채혈을 위한 채혈 주사기는 여러 가지가 고안된 것이 있다.
그 중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69465호는 도 1에서와 같이 피검자의 혈액을 저장하는 채혈관(1), 이 채혈관(1) 일단의 내외주를 밀봉시키고 채혈관(1)의 반대측에 채혈 니들(7)이 결합되는 니들 결합부(9)를 구비한 밀폐뚜껑(3), 이 밀폐뚜껑(3)의 내면과 대향하는 자세로 채혈관(1)의 내면에 기밀 상태를 유지하면서 응고 촉진제와 혈청 분리겔을 담고 있는 겔 컨테이너(5), 이 겔 컨테이너(5)에 결합되어 전진 및 후진시키고 채혈 후 절단되어 밀폐뚜껑(3)의 선단에 결합되어 밀봉 작용하는 밀봉캡(6)을 구비한 컨테이너 로드(7)로 구성하여, 이 구성에 의해 겔 컨테이너에 연결된 컨테이너 로드의 조작으로 채혈하여 밀봉캡으로 밀폐뚜껑을 밀봉하므로 채혈관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시킬 필요가 없어 채혈관의 제조 과정이나 취급 과정을 보다 편리하게 하면서, 채혈 및 원심침전 후 혈액의 보관을 하나의 용기 내에서 실시할 수 있게 하여 피검자로부터 혈액을 채혈하는 과정과 채혈된 혈액을 혈청과 혈구성분으로 불리하여 보관하는 과정을 편리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채혈용 주사기는 채혈관의 제조 과정이나 취급 과정을 보다 편리하게 하면서 채혈된 혈액을 혈청과 혈구성분으로 불리하여 보관하는 과정을 편리하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채혈을 실시할 때 한 손으로 주사기 몸체, 즉 채혈관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피검자의 정맥부위를 잡은 후 정맥혈관에 주사바늘을 찔러 넣고, 이번에는 한 손으로는 주사기의 몸체를 잡아 고정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는 주사기의 로드를 후퇴시켜 채혈을 하는 기존의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채혈을 위해서는 두 손을 모두 주사기를 잡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환자를 돌보는 다른 어떠한 일을 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고, 또 한 손은 주사기를 고정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는 피스톤을 후퇴시켜 채혈을 하는데, 엄밀이 보면 양손이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때문에 피스톤을 당기는 행위를 실수하게 될 경우에는 반작용에 의해 몸체부가 전진하여 바늘에 의해 피검자가 깊은 상처를 입게 되는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에 의해 채혈과정이 초보자들에게는 쉽지 않은 도전이 될 수밖에 없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채혈주사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한 손으로도 채혈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한 손으로는 피검자를 돌보는 일을 할 수가 있도록 하고, 또 손을 쥐는 조작으로 채혈을 실시하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인 자세로 채혈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채혈용 주사기의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채혈용 주사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채혈용 주사기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채혈용 주사기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주사기 몸체에 주름관이 결합된 상태의 요부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12 - 가이드홈
14 - 후퇴방지 돌기 16 - 파손턱
20 - 주름관 22 - 주사바늘
24 - 결합부 26 - 걸림턱
30 - 이동몸체 32 - 손잡이
34 - 스냅핀 40 - 스프링
42 - 스프링 지지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방에 주사바늘을 갖고 그 후측에 주사바늘에 의해 채혈된 혈액을 보관하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을 전방 내부에 결합하고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원통형 주사기 몸체와,
상기 주름관의 후측에 결합되어 상기 주사기 몸체 내에서 전 후진하여 상기 주름관을 신장 및 압축시키고 양측에 상기 주사기 몸체의 가이드 홈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이동몸체와,
상기 주사기 몸체내부 후측에 상기 이동몸체를 전방으로 밀어 전진시키도록 탄력 설치된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채혈용 주사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채혈용 주사기의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채혈용 주사기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 몸체(10)와, 선단에 바늘을 갖고 상기 몸체의 선단에 결합되는 채혈 주름관(20)과, 주름관을 전 후진시키는 이동몸체(30) 및 이동몸체(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링(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사기 몸체(10)는 후측이 막힌 원통형 구조(다각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를 가지며 양측에 상기 채혈 이동몸체(30)의 손잡이(32)가 돌출되어 안내하는가이드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주사기 몸체(10)의 내주면 상하부에는 톱니형상의 후퇴방지 돌기(14)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측에는 상기 이동몸체(30)에 형성된 후술될 스냅핀(34)을 파손시키는 파손턱(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사기 몸체(10)의 일측 외주면에는 이동몸체(30)의 이동거리, 즉 채혈된 혈액의 양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눈금(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름관(20)은 내부에 채혈된 혈액을 보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주사기 몸체(10)의 선단 내측에 결합되고 전방에 주사바늘(22)이 결합되어 있다.
이 주름관(20)은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주사기 몸체(1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조립성을 위해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나사결합이나 억지끼움식으로 결하는 방식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본 고안의 도 5에서는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의하면 주름관(20)의 선단에 외주가 주사기 몸체(10)의 내경과 같거나 조금 큰 결합부(24)를 형성하여 억지끼움되도록 하고 또 걸림턱(26)을 형성하여 과도한 삽입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동몸체(30)는 주름관(20)의 후측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결합되며, 이때에도 조립성을 위해 나사결합이나 핀결합 또는 고리결합을 통해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몸체(30)는 양측에 손잡이(32)를 가지며 이 손잡이(32)는 주사기 몸체(1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2)으로 돌출되는데, 손가락 즉 검지와 중지가 파지되기 용이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또 이동몸체(30)의 상하부에는 후측으로길게 돌출된 스냅핀(34)이 형성되며 이 스냅핀(34)은 주사기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후퇴방지 돌기(14)와 대응되어 후퇴는 가능하면서 전진은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주사기 몸체(10) 내부 후측에 스프링 지지부(42)에 의해 탄력 설치되며 그 텐션에 의해 이동몸체(30)를 전방으로 밀어 전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채혈 주사기의 초기 상태는 스프링(40)의 텐션에 의해 이동몸체(30)가 전진하여 주름관(20)을 수축시킨 상태를 갖는다.
그리고 초기 상태의 채혈 주사기의 바늘(22)을 피검자의 혈관 즉 동맥에 꽂은 후 주사기 몸체(10)의 후단을 손바닥부에 밀착시키고 동일한 손의 검지와 중지를 양측으로 돌출된 손잡이(32)에 각각 파지한다.
이 상태에서 주먹을 쥐듯이 검지와 중지를 손바닥 쪽으로 당기게 되면 손잡이(32)와 일체를 이루는 이동몸체(30)가 스프링(40)을 압축시키면서 가이드홈(12)을 따라 후퇴하게 되고 이와 일체 또는 분리형으로 결합된 주름관(20)이 펴지게 된다. 주름관(20)이 펴지게 되면 그 내부가 진공을 이루기 때문에 기압차에 의해 혈관내로 흐르는 혈액이 주름관(2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이동몸체(30)가 후퇴하게 되면 그 후측에 설치된 스냅핀(34)이 주사기 몸체(10)의 내측면 상하부에 형성된 후퇴방지 돌기(14)와 대응된다. 대응시에는 스냅핀(34)이 후퇴방지 돌기(14)를 연속적으로 타고 넘는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다.그리고 주사기 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눈금(18)을 이용하여 채혈양을 예측하고 그 채혈양의 정도에 따라 이동몸체(30)의 후퇴동작을 정지하게 되면 스냅핀(34)이 후퇴방지 돌기(14)에 걸려 스프링(40)의 압축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그 위치가 유지된다.
채혈이 완료된 후에는 주사기의 주사바늘(22)을 피검자의 혈관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채혈병에 주사기 바늘을 삽입시킨 후 다시 검지와 중지로 손잡이를 과하게 당기게 되면 이동몸체(30)가 후퇴되면서 상하부의 스냅핀(34)이 파손턱(16)에 걸려 부러져 파손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32)를 파지하고 있던 검지와 중지를 풀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40)의 텐션에 의해 이동몸체(3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힘에 의해 주름관(20)은 수축하여 그 내부에 충진되어 있던 혈액이 주사바늘(22)을 통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채혈병으로 유입되어 수집된다.
한편, 채혈된 혈액이 채혈병에 유입된 후에는 채혈 주사기를 버리게 되는데, 이때에는 비용면으로나 환경오염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가능하면 소독하여 재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재활용이 가능한 채혈용 주사기는 주름관이 분리 가능한 구조인데, 이때에는 손잡이(32)를 전방으로 더욱 강하게 밀게 되면 억지끼움되어 있던 주름관(20)이 강제로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주름관(20)과 이동몸체(30)를 분리시킨 후 사용한 주름관(20)은 버리고 새로운 주름관(20)을 구비하여 그 후단을 이동몸체(30)에 결합하고 이를 다시 주사기 몸체(10)의 선단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본 고안의 채혈용 주사기는 주사기 몸체의 양측에 돌출된 손잡이를 주먹을 쥐는 듯한 동작으로 주름관을 펼쳐 진공에 의해 혈관내의 혈액을 채혈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한 손으로도 채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에 의해 다른 한 손으로는 피검자를 돌보는 일을 할 수가 있으며, 채혈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몸체와 주름관이 분리형일 경우에는 이동몸체를 강제로 전진시켜 주름관을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재활용할 수가 있으므로 채혈용 주사기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또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방에 주사바늘을 갖고 그 후측에 주사바늘에 의해 채혈된 혈액을 보관하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을 전방 내부에 결합하고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원통형 주사기 몸체와,
    상기 주름관의 후측에 결합되어 상기 주사기 몸체 내에서 전 후진하고 양측에 상기 주사기 몸체의 가이드 홈으로 돌출된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주름관을 신장 및 압축시키는 이동몸체와,
    상기 주사기 몸체내부 후측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이동몸체를 전방으로 밀어 전진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용 주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몸체의 상하 내측면에 다단의 후퇴방지 돌기와, 상기 이동몸체의 상하부에 후퇴방지 돌기와 대응되는 스냅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용 주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의 후퇴방지 돌기 후측에 상기 이동몸체의 스냅핀을 파손시키는 파손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용 주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은 주사기 몸체의 선단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용 주사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본체의 외주면에 채혈양을 알 수 있는 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용 주사기.
KR20-2003-0012708U 2003-04-24 2003-04-24 채혈용 주사기 KR2003203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708U KR200320335Y1 (ko) 2003-04-24 2003-04-24 채혈용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708U KR200320335Y1 (ko) 2003-04-24 2003-04-24 채혈용 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335Y1 true KR200320335Y1 (ko) 2003-07-22

Family

ID=49411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708U KR200320335Y1 (ko) 2003-04-24 2003-04-24 채혈용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3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111B1 (ko) 2009-06-19 2012-04-24 대국산업 주식회사 캡슐 일회용 주사기
KR101205641B1 (ko) * 2009-04-16 2012-11-28 대국산업 주식회사 일회용 주름관 주사기
KR101863451B1 (ko) * 2016-10-07 2018-06-11 조효진 일회용 인슐린 주입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641B1 (ko) * 2009-04-16 2012-11-28 대국산업 주식회사 일회용 주름관 주사기
KR101138111B1 (ko) 2009-06-19 2012-04-24 대국산업 주식회사 캡슐 일회용 주사기
KR101863451B1 (ko) * 2016-10-07 2018-06-11 조효진 일회용 인슐린 주입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7101A (en) Quick release needle coupling system
EP2653745B1 (en) Lancet pricking device
US6096005A (en) Retractable needle medical devices
JP3625846B2 (ja) キャップ操作で引込み可能な医療器具
USRE37908E1 (en) Needle holder for fluid collection and/or injection system
CN101849831B (zh) 接触致动的刺血针装置
US7798977B2 (en) Disposable blood sampling device
KR20080033342A (ko) 천자 디바이스와 그것을 구성하는 란셋 어셈블리 및 주사기어셈블리
JPH04502125A (ja) ピペツト装置
CN108836357B (zh) 一种可退针的采血笔及组装方法
CN1968652B (zh) 接触致动的刺血针装置
CN209172320U (zh) 一种可退针的采血笔
KR200320335Y1 (ko) 채혈용 주사기
US5069667A (en) Device for effecting safe removal of a used needle
US5226884A (en) Single use syringe
CN203609428U (zh) 一次性采血器
EP3236852B1 (en) Skin pricking device
CN103549964A (zh) 一次性采血器
CN206365895U (zh) 一种缩头型头部按压式一次性采血器
CN219613870U (zh) 一种安全采血针
CN214907002U (zh) 一种具有拔针防护和堵塞密封功能的血气针
CN215653136U (zh) 安全型胰岛素针头
CN219021576U (zh) 一种带有切割功能的利器盒
CN215129709U (zh) 一种穿刺导引针套件
CN217237357U (zh) 一种食用菌培养料取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