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260Y1 - Flowerpot structure having functional device - Google Patents

Flowerpot structure having function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260Y1
KR200320260Y1 KR20-2003-0011959U KR20030011959U KR200320260Y1 KR 200320260 Y1 KR200320260 Y1 KR 200320260Y1 KR 20030011959 U KR20030011959 U KR 20030011959U KR 200320260 Y1 KR200320260 Y1 KR 200320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lant
fragrance
air purifier
artificial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9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석범
Original Assignee
정석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범 filed Critical 정석범
Priority to KR20-2003-0011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26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260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Abstract

본 고안은 인조식물을 갖는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하부에 돌출된 고정관이 일체로 구비된 관상용 인조식물과, 상기 고정관을 구속하는 고정수단이 내부에 마련되어 인조식물이 상부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은 내부에 외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기와 정화된 공기에 향기를 부가하는 향기발생수단이 설치되고, 하부면과 일측면에는 공기정화기로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구 및,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면의 외측 코너에는 하부면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공기흡입구의 공기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스페이서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과; 화분의 상단 내측에는 상호 대향상태로 돌출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의 상부에는 걸림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화분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시키는 차단판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ted structure with a functional device having an artificial plant, the present invention is a tubular artificial plant is provided with a fixed tube protruding lower portion and the fixing means for restraining the fixed tube is provided therein artificial plant In the potted plant structured to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the potted plant is provided with an air purifier for purifying the outside air and the fragrance generating means for adding a scent to the purified air, the lower surface and one side inlet air into the air purifier An air inlet to be formed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from the air purifier, each having a structure having a spacer at an outer corner of the lower surface to separate the lower surface from the bottom to allow the air inlet to enter the air inlet; At least two locking pieces protruding from each other in a state opposite to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flower pot, and a lock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cking piece so as to block the inside of the flower pot from the outside.

따라서, 화분에서 공기가 정화될 뿐만 아니라 향기도 발산되어 정화된 공기와 향기를 흡입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환경과 건강한 생활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not only the air is purified from the pollen, but also the scent may be emitted to inhale the purified air and the scent, thereby promoting a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and healthy life.

Description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 Flowerpot structure having functional device }Flowerpot structure having functional device

본 고안은 인조식물이 설치된 화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조식물이 설치된 화분의 구조에 공기정화기능 및 향기발생기능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가능한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pot with artificial pl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t structure having a functional device capable of various functions such as an air purifying function and a fragrance generating function in the structure of a pot with artificial plants.

일반적으로 화분에 식물을 재배할 경우, 식물의 고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식물을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알레르기를 유발시키는 화분(花粉)과 세균 등이 식물과 흙에서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In general, when cultivating a plant in a pollen, in addition to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anage the plant periodically to prevent the death of the plant, as well as the problem that allergens such as pollen (flower) and bacteria that occur in the plant and soil There is.

그래서, 근자에는 이러한 불편함과 문제점을 배제하고자 스티로폼 등으로 충진된 화분에 인조식물이 심어진 화분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조식물이 심어진 화분에 공기정화기 등이 부가된 제품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Thus, in recent years, in order to rule out such inconveniences and problems, potted plants planted in artificial plants filled with styrofoam have received the spotlight, and in addition, air purifiers are added to pots in which artificial plants are planted as shown in FIG. 1. Products are constantly being developed.

도시된 도 1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는 화분(20)과, 화분(20)에 고정된 인조식물(10)로 대별되며, 화분(20)의 내부에는 탈취필터(32)와 집진박스(34) 및 이온화부(36), 그리고 항균필터(38), 송풍팬(F)이 순차적으로 조립된 공기정화기(30)가 내장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otted structure with a conventional functional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potted structure with a conventional functional device as shown is fixed to the potted plant 20, the potted plant 20 It is roughly divided into artificial plants 10, and the deodorizing filter 32, the dust collecting box 34, the ionizer 36, and the antibacterial filter 38 and the blowing fan F are sequentially inside the pot 20. The assembled air purifier 30 is embedded.

그리고, 인조식물(10)의 몸체 및 가지와 화분(20)의 측벽에는 공기정화기(30)에 외기가 공급된 후 배출되도록 복수개의 관통된 공기흡입구(12) 및 토출구(22)가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erforated air inlets 12 and outlets 22 are formed on the body and the branches of the artificial plant 10 and the sidewalls of the flower pot 20 so as to be discharged after the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air purifier 30. .

물론, 인조식물(10)은 공기흡입구(12)로 유입된 외기가 공기정화기(30)로 유입이 가능하도록 가지의 내부에 미도시된 통기관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공기흡입구(12)로 유입된 공기는 통기관로를 지나, 공기정화기(30)를 거쳐 화분(20)의 토출구(22)로 배출된다.Of course, the artificial plant 10 is formed with a vent pipe not shown in the inside of the branch to allow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take 12 into the air purifier 30, thereby to the air intake 12 The introduced air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22 of the pollen 20 through the air passageway, through the air purifier 30.

한편, 공기정화기(30)는 미도시된 전선을 갖는 플러그에 의하여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으며, 공기정화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작스위치(SW)의 조작에 따라 작동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ier 30 is supplied with external power by a plug having a wire (not shown), and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SW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ir purifier 30.

따라서, 인조식물(10)과 화분(20)에 의하여 외기는 정화되며, 이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외기를 정화된 신선한 공기로 교환할 수 있다.Therefore, the outside air is purified by the artificial plant 10 and the pollen 20, and thus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exchange the fresh air with purified outside air.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는 공기정화기(3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인조식물(10) 전체에 많은 공기흡입구(12)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인조식물(10)의 사실감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미려함도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potted structur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functional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has to form a large number of air suction holes 12 in the artificial plant 10 in order to supply air to the air purifier 30, artificial plant 10 ) As well as the deterioration of the sense of reality is also a disadvantage that is reduced.

그리고, 인조식물(10)의 미관을 위하여 공기흡입구(12)를 인조식물(10)의 몸체인 가지 굵기에 비례하도록 형성하여야 하므로 공기흡입구(12)의 크기, 즉 지름이 제약 받게되며, 이로 인하여 공기흡입구(12)의 크기는 작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In addition, since the air intake 12 must be formed in proportion to the thickness of the branch of the artificial plant 10 for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artificial plant 10, the size, that is, the diameter of the air intake 12 is restricted, thereby The size of the air intake 12 is inevitably small.

따라서, 작게 형성된 공기흡입구(12)로 공기가 흡입될 경우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미세한 이물질이 공기흡입구(12)에 흡착되어 공기흡입구(12)가 밀폐되는 문제도 있다.Therefore, when the air is sucked into the air inlet 12 formed small, the fine foreign matter sucked with the air is adsorbed to the air inlet 12 has a problem that the air inlet 12 is sealed.

이렇게 공기흡입구(12)가 밀폐되면 공기정화기(30)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되어 궁극적으로는 공기정화기(30)의 오작동을 유발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When the air inlet 12 is sealed in this way, no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purifier 30, which ultimately causes a malfunction of the air purifier 30.

또한, 공기의 유통을 위하여 인조식물(10)의 내부, 특히 가늘게 형성된 가지의 내부에 공기가 이송되는 통기관로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제품성형용 금형의 제작이 어려워지게 되어 금형비가 비싸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도 있다.In addition, the flow of air must b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artificial plant 10, particularly in the form of a thinly formed branch for the distribution of air, so that it becomes difficult to manufacture a mold for forming a product, thereby increasing the mold cost.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rises.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공기흡입구의 크기가 제약받지 않으며, 인조식물의 내부에 통기관로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공기정화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조식물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size of the air intake is not restricted, there is no need to form a vent pipe inside the artificial plant can not only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air purifi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otted structure equipped with a functional device that can maintain the beauty of artificial plants.

그리고, 본 고안은 공기정화기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가 더욱 상쾌하고 쾌적하게 느껴질 수 있도록 인조식물에서 향기가 발산되는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len structure with a functional device that emits scent from artificial plants so that air purified by an air purifier can be felt more refreshing and comfortable.

도 1은 종래의 기능성 장치를 갖는 화분구조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t structure having a conventional functional device,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otted structure with a func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능성 장치를 구비한 화분구조를 자세히 도시한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pot structure with the functional device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화분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Figure 4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pot shown in Figure 2,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조식물을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tificial 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인조식물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side by cutting a part of the artificial plant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50 : 인조식물 52 : 도어50: artificial plant 52: door

52a : 통기공 54 : 고정관52a: vent 54: fixed tube

60 : 화분 60a : 공기흡입구60: flower pot 60a: air intake

60b : 토출구 62 : 고정수단60b: discharge port 62: fixing means

63, 63a : 향기발생수단 64 : 걸림편63, 63a: Scent generating means 64: Hanging piece

65 : 공기정화기 66 : 스페이서65 air cleaner 66 spacer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는, 가지와 줄기를 가지며 하부에는 돌출된 고정관이 일체로 구비된 관상용 인조식물과, 상기 인조식물의 고정관을 구속하는 고정수단이 내부에 마련되어 인조식물이 상부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은 내부에 외기를 정화하는 공지된 공기정화기와 정화된 공기에 향기를 부가하는 향기발생수단이 설치되고, 하부면과 일측면에는 공기정화기로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구 및,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면의 외측 코너에는 하부면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공기흡입구의 공기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스페이서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과; 화분의 상단 내측에는 상호 대향상태로 돌출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의 상부에는 걸림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화분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시키는 차단판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otted structure provided with a func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artificial plant for the ornamental having a branch and stem and a protruding fixed tube integrally, and fixing means for restraining the fixed tube of the artificial plant In the flowerpot made of a structure that is provided inside the artificial plant is fixed to the top, the flowerpot is provided with a known air purifier for purifying the outside air and the fragrance generating means for adding aroma to the purified air, the lower surface and On one side, an air inlet for introducing air to the air purifier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from the air purifier are formed, respectively, and an outer corner of the low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to enable the air inlet of the air inlet. Consisting of a structure having a spacer to make; At least two locking pieces protruding from each other in a state opposite to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flower pot, and a lock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cking piece so as to block the inside of the flower pot from the outside.

그리고, 본 고안은 관상 기능과 공기정화 기능을 하는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에 있어서, 몸체에는 향기를 발산시켜 외기를 상쾌하고 쾌적하게 만드는 향기발생수단이 내장되고, 하부에는 돌출된 고정관을 갖는 인조식물 및; 상기 인조식물의 고정관을 구속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외기를 정화하는 공지된 공기정화기가 내부에 각각 마련되고, 하부면과 일측면에는 공기정화기로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구 및,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하부면의 코너에는 하부면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공기흡입구의 공기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스페이서가 형성된 화분;을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potted plant equipped with a functional device that functions as a tubular fun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 the body has a built-in fragrance generating means for releasing the fragrance to make the outside air refreshing and comfortable, the bottom of the artificial having a protruding fixed tube Plants and; Fixing means for restraining and fixing the fixed tube of the artificial plant, and a known air purifier for purifying the outside air is provided inside, respectively, the air inlet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air purifier on the lower surface and one side, and purifying in the air purifi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air is formed, the corner of the lower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to form a spacer to enable the air inlet of the air inlet.

여기서, 상기 인조식물은 몸체의 내부에 상기 향기발생수단이 내장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몸체의 일측에는 향기발생수단을 외부에서 확일할 수 있도록 개폐되며, 중공과 연통되어 향기발생수단의 향기를 발산하는 통기공이 형성된 도어를 포함하는 것과; 상기 화분은 상단 내측에 상호 대향상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걸림편 및; 상기 걸림편의 상부에 걸림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화분의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시키는 차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한 특징으로 한다.Here, the artificial plant is formed inside the body of the hollow in which the fragrance generating means is built, and opened and closed on one side of the body so as to ensure the fragrance generating means from the outside, and communicates with the hollow to radiate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generating means. It includes a door formed with a vent; The flower pot is at least two engaging pieces formed to protrude in a state facing each other inside the upper e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locking plate is installed in the upper state of the engaging piece to block the inside of the pot from the outsi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otted structure with a func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기능성 장치를 구비한 화분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능성 장치를 구비한 화분구조를 자세히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화분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t structure with a func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pot structure with a functional device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shown in Figure 2 The bottom view of the bottom of the potted plant.

본 고안에 의한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와 줄기를 갖는 몸체로 이루어진 인조식물(50)과, 인조식물(50)이 고정설치되는 화분(60)으로 대별된다.The potted structure provided with the func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divided into an artificial plant 50 consisting of a body having branches and stems, and a potted plant 60 in which the artificial plant 50 is fixed as shown in FIG. 2. .

여기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인 화분(60)의 구조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전술된 본 고안에 따른 화분(60)은 도 3과 같이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인조식물(5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62)과, 탈취필터와 집진박스, 이온화부, 그리고 항균필터 및 송풍팬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공기정화기(65)를 포함하며, 공기정화기(63)의 일측에 나란히 설치되어 공기정화기(65)에서 정화되는 공기에 향기를 부가하는 향기발생기(63)를 더 포함한다,Here, with reference to Figures 3 and 4 to explain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of the potted plant 60, the bigges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potted plant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3, integral It is formed of a fixed means 62 for fixing the artificial plant 50, and a known air purifier (65) including a deodorizing filter and a dust box, an ionization unit, and an antibacterial filter and a blowing fan, air purifier Further installed side by side of the (63) further comprises a scent generator (63) for adding aroma to the air purified by the air purifier (65),

이때, 고정수단(62)은 고정관(54)의 압입고정이 가능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달리 미도시된 집게형태 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fixing means 62 is prefer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to enable the press-fit fixing of the fixing tube 54, otherwis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in the form of tongs not shown.

계속해서, 본 고안은 화분(60)의 상단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되, 화분(60)과 별개로 형성되어 화분(6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차단판(70) 및, 화분(60)의 상단 내측면에 상호 대향 상태로 돌출형성되어 차단판(70)이 화분(60)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걸림편(64)을 포함한다.Subsequently, the present invention blocks the upper end of the pot 60 from the outside, but formed separately from the pot 60, the blocking plate 70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pot 60, and the upper end of the pot 60 Protrudingly formed on the side facing each other and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engaging pieces (64) to hang the blocking plate 70 to the upper end of the pot (60).

여기서, 차단판(70)에는 인조식물(50)의 고정관(54)이 화분(60) 내부의 고정수단(62)에 고정가능하도록 고정관(54)에 대응되는 관통구멍(70a)이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Here, the blocking plate 70 should be formed with a through-hole 70a corresponding to the fixing tube 54 so that the fixing tube 54 of the artificial plant 50 can be fixed to the fixing means 62 inside the flower pot 60. Is self explanatory.

한편, 화분(60)의 내부에 설치된 공기정화기(65)는 미도시된 전선을 갖는 플러그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기정화기(65) 및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작스위치(SW)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ier (65) installed inside the flowerpot (60)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by a plug having a wire (not shown), the air purifier (65) and by the operation switch (SW)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The operation is controlled.

그리고, 공기정화기(6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60)의 하부면에 형성된 매시형태의 공기흡입구(60b)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으며, 공급된 공기가 정화된 후에는 화분(60)의 일측면에 형성된 토출구(60a)로 배출한다.And, the air purifier 65 is supplied with air from the air inlet (60b) of the mash form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wer pot 60, as shown in Figure 4, after the supplied air is purified pollen (60) Discharge to the discharge port (60a) formed on one side of.

이때, 화분(60)의 하부면에는 화분(60)이 바닥에서 이격되어 공기흡입구(60)로 공기가 원활히 공급되도록 복수개의 스페이서(66)가 코너에 형성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spacers 66 are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flower pot 60 so that the flower pot 6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o that the air is smoothly supplied to the air suction opening 60.

한편, 공기흡입구(60b)는 화분(60)의 하부면 크기에 비례하여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달리 크게 형성할 수 있어, 흡입되는 공기에 이물질이 포함되어도 밀폐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air intake (60b) can be formed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ot 60, it can be formed large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even if the foreign air is contained in the intake air is not sealed.

여기서, 공기정화기(65)로부터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는 정화되는 과정 중, 향기발생기(63)에 의하여 향기가 부가되며, 이로 인하여 정화된 공기는 더욱 상쾌하게 느껴진다.Here, the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purifier 65 is added to the scent by the fragrance generator 63 during the purification process, thereby the purified air feels more refreshing.

즉, 미도시된 공기정화기(65)의 송풍팬이 작동됨에 따라 향기발생기(63)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공기정화기(65)로 유입되어, 정화된 공기와 함께 토출구(60a)로 배출된다.That is, as the blowing fan of the air purifier 65 is not shown, the fragrance emitted from the fragrance generator 63 flows into the air purifier 65 and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60a together with the purified air.

이러한 향기발생기(63)는 공기정화기(65)를 제어하는 조작스위치(SW)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향수나 향기페이스트 등을 전력으로 가열하여 휘발시키는 전기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공기중에서 휘발되는 언플러그드(unpluged)형 향수나 방향제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The fragrance generator 6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switch (SW) for controlling the air purifier (65) can be applied to the electric heating to volatilize by heating the perfume or fragrance paste, etc., unlike the use of electricity Instead, it is possible to apply an unpluged perfume or air freshener which is generally volatilized in the air.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조작스위치(SW)를 조작하여 공기정화기(65)를 작동시키고, 공기정화기(65)의 작동에 의하여 외기는 전술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정화될 뿐만 아니라 향기까지 부가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such a structure, first operating the operation switch (SW) to operate the air purifier 65, the outside air by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65 can be purified by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Not only fragrance is added.

따라서, 사용자는 본 고안의 작동으로 인하여 깨끗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며, 공기에 함유된 향기로 인하여 상쾌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inhale clean air due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feel a refreshing feeling due to the fragrance contained in the air.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는, 공기흡입구(60b)가 화분(60)의 하부면에 형성됨에 따라 공기흡입구(60b)의 개구부가 종래에 비하여 대단히 크게 형성되므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로 인한 공기흡입구(60b)의 밀폐를 방지할 수 있어 공기정화기(65)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다.The potted structure with the func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a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air inlet (60b)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wer pot 60, the opening of the air inlet (60b) compared with the prior art Since it is formed very lar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aling of the air inlet (60b) due to foreign matter in the inhaled air can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air purifier (65).

또한, 공기흡입구(60b)가 화분(60)의 하부면에 형성되므로 종래에서 처럼 인조식물(50)의 가지 및 가지의 내부에 공기흡입구(60b) 및 통기관로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조식물(50)의 전체적인 외관을 훼손시킬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통기관로의 배재로 인한 금형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inlet (60b)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otted plant (60),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air inlet (60b) and the vent pipe passage in the branches of the artificial plant 50 and the branches as in the prior art, artificial plants ( Not only does it have to compromise the overall appearance of 50), but the mold cost can be reduced due to the exclusion to the vent pipe.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조식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인조식물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and Figure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tificial 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the artificial plant shown in Figure 5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inside by cutting a part.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된 도 2 내지 도 4의 구조와 동일하되, 단지 화분(60)의 내부에 향기발생기(63)가 제외된 것과, 인조식물(50)의 구조가 변경된 것이 차이점이며, 그 변경된 구조로 인하여 인조식물(50)에서 향기가 발생되는 것이 차이점이다.In the descrip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FIGS. 2 to 4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fragrance generator 63 is removed from the inside of the pot 60, the structure of the artificial plant 50 The difference is that the changed, the fragrance is generated in the artificial plant 50 due to the changed structure is the difference.

즉, 화분(60)의 내부에 향기발생기(63)가 구비되지 않고, 인조식물(50)의 내부에 향기발생기(63a)가 구비되어 인조식물(50)에서 향기가 발생되는 것이 차이점이다.That is, the fragrance generator (63) is not provided inside the potted plant (60), the fragrance generator (63a)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artificial plant 50 is the difference that the fragrance is generated in the artificial plant (50).

여기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이러한 인조식물(50)에 대하여 설명하면, 인조식물(50)은 몸체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몸체의 일측에는 중공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개폐될 뿐만 아니라, 중공과 연통된 나뭇결 모양의 통기공(52a)을 갖는 도어(52)가 설치된다.Here, referring to the artificial plant 50 with reference to Figures 5 and 6, the artificial plant 50 is formed in the hollow inside the body, as well as opening and closing to check the hollow on one side of the body, A door 52 having a wood grain vent 52a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is provided.

그리고, 중공에는 도어(52)를 통하여 설치가 가능한 향기발생기(63a)가 내장되며, 향기발생기(63a)는 화분(60)에 설치된 조작스위치(SW)의 조작에 따라 작동되도록 전원공급용 전선(W)이 고정관(54)을 따라 배선되어 조작스위치(SW)에 연결된다.In addition, the hollow has a built-in fragrance generator (63a) that can be installed through the door 52, the fragrance generator (63a) is a power supply wire to be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SW) installed in the flower pot 60 ( W) is wired along the fixed tube 54 and connected to the operation switch SW.

물론, 향기발생기(63a)는 그 향기를 인공식물(50)의 종류에 부합되는 향기를 적용하여 인공식물(50)에서 자연식물과 같은 느낌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Of course, the scent generator (63a) can be applied to the scent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artificial plant 50, the scent can be felt like a natural plant in the artificial plant (50).

예를 들면, 인공식물(50)이 소나무 형상일 경우에는 솔향기가, 향나무 형상일 경우에는 향나무 향기가 발산되도록 향기발생기(63a)의 향기를 적용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rtificial plant 50 has a pine shape,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generator 63a may be applied so that the fragrance of the pine tree is emitted.

또한, 향기발생기(63a)를 도시된 바와 달리 언플러그드(unpluged)에서 작동되는 휘발성 방향제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향기발생기(63a)에 전원공급용 전선(W)을 배선하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the scent generator 63a may be provided with a volatile fragrance that operates in an unpluged state, in which case it is not necessary to wire the power supply wire W to the scent generator 63a.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설명에 있어서 전술된 도 3 및 도 4의 화분(6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otted structure with a functio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otted plant 60 of Figs.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는, 미도시된 플러그를 콘센트에 결합한 후 화분(60)과 인공식물(50)의 내부에 마련된 공기정화기(65) 및 향기발생기(63a)가 작동되도록 조작스위치(SW)를 조작한다.Potted structure equipped with a functio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air purifier 65 and the fragrance generator (63a)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pot 60 and the artificial plant 50 after coupling the plug not shown in the operation Operate the operation switch (SW) as much as possible.

그러면, 외기는 공기정화기(65)에 포함된 송풍팬의 작동으로 화분(60)의 하부면 공기흡입구(60b)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공기정화기(65)의 공기정화 부품들을 경유하여 각종 먼지및 세균, 미생물 등이 정화된 다음 화분(60)의 토출구(60a)로 배출된다.Then,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bottom surface air inlet 60b of the flower pot 60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an included in the air purifier 65, and the introduced air passes through the air purifying parts of the air purifier 65. Dust, bacteria, microorganisms, etc. are purifi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60a of the pollen 60.

이때, 인공식물(50) 내의 향기발생기(63a)는 내장된 향수나 향기페이스트를 휘발시켜 향기를 발생시키며, 이 향기는 도어(52)의 통기공(52a)을 통하여 인조식물(50)의 외부로 발산된다.At this time, the fragrance generator (63a) in the artificial plant 50 generates a fragrance by volatilizing the built-in perfume or fragrance paste, the fragrance is the outside of the artificial plant (50) through the vent (52a) of the door 52 Is divergent.

만약, 향기발생기(63a)의 향수나 향기페이스트가 소모되어 향기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에는 인공식물(50)의 도어(52)를 개방하여 향기발생기(63a)를 확인 및 점검할 수 있다. 즉, 도어(52)를 통하여 향기발생기(63a)를 외부에서 확인 및 점검할 수 있다.If the fragrance or fragrance paste of the fragrance generator 63a is consumed and no fragrance is generated, the fragrance generator 63a may be checked and checked by opening the door 52 of the artificial plant 50. That is, the fragrance generator 63a can be checked and check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door 52.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인조식물(50)에 내장된 향기발생기(63a)의 향기로 인하여 마치 인조식물(50)에서 향기가 나는 것 처럼 느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인조식물(50)의 사실감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aroma of the fragrance generator (63a) built in the artificial plant 50, it may feel as if the fragrance from the artificial plant (50), thereby artificial The realism of the plant 50 can be raised.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Therefore, the shape and structur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y modifying, it is natural that the modification of the shape and structure belong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에 의하면, 화분 내의 공기정화기와 향기발생기로 인하여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정화될 뿐만 아니라 향기까지 함유하게 되므로, 정화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게다가 향기까지 흡입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환경과 건강한 생활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otted structure equipped with the func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polluted air from outside due to the air purifier and the fragrance generator in the potted plant not only purifies but also contains the fragrance, it is possible to suck the purified air In addition, it can inhale the fragrance and has an effect that can promote a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and healthy life.

그리고, 인조식물의 내부 구조가 간단하게 형성되므로 인조식물을 제조하기위한 금형비를 줄일 수 있어, 전체적인 제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궁극적인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rtificial plant is simply form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old cost for manufacturing the artificial plant, which has the ultimate effect of reducing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에 의하면, 인조식물에 내장된 향기발생기에서 향기가 발산되므로 인조식물에서 자연식물과 같은 향기를 맡을 수 있어 인조식물의 사실감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tted structure provided with a functio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agrance is emitted from the scent generator built in artificial plants, the artificial plants can take the same scent as natural plants to increase the realism of artificial plants It also works.

Claims (3)

가지와 줄기를 가지며 하부에는 돌출된 고정관(54)이 일체로 구비된 관상용 인조식물(50)과, 상기 인조식물(50)의 고정관(54)을 구속하는 고정수단(62)이 내부에 마련되어 인조식물(50)이 상부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화분(60)에 있어서,The artificial plant 50 having branches and stems and having a protruding fixing tube 54 integrally therein, and fixing means 62 for restraining the fixing tube 54 of the artificial plant 50 are provided therein. In the pot 60 made of a structure that is fixed to the plant 50, 상기 화분(60)은 내부에 외기를 정화하는 공지된 공기정화기(65)와 정화된 공기에 향기를 부가하는 향기발생수단(63)이 설치되고, 하부면과 일측면에는 공기정화기(65)로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구(60b) 및, 공기정화기(65)에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60a)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면의 외측 코너에는 하부면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공기흡입구(60b)의 공기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스페이서(66)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과; 화분(60)의 상단 내측에는 상호 대향상태로 돌출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걸림편(64)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64)의 상부에는 걸림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화분(6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시키는 차단판(70)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The flower pot 60 is provided with a known air purifier (65) for purifying the outside air and the fragrance generating means (63) for adding aroma to the purified air, the lower surface and one side as an air purifier (65) An air inlet 60b for introducing air and a discharge port 60a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from the air purifier 65 are formed, respectively, and an air inlet 60b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at an outer corner of the lower surface. It has a structure having a spacer 66 to enable the inflow of air; At least two or more locking pieces 64 protruding from each other in a state opposite to each other are form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flower pot 60, and the upper parts of the locking pieces 64 are installed in a locked state to prevent the inside of the flower pot 60 from outside. Potted structure with a functio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blocking plate 70 to block. 관상 기능과 공기정화 기능을 하는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에 있어서,In the potted plant equipped with a functional device for the tubular function and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몸체에는 향기를 발산시켜 외기를 상쾌하고 쾌적하게 만드는 향기발생수단(63a)이 내장되고, 하부에는 돌출된 고정관(54)을 갖는 인조식물(50) 및;The artificial plant 50 having a fragrance generating means (63a) is built into the body to emanate the fragrance to make the outside air refreshing and comfortable, the lower portion has a fixing tube 54 protruding; 상기 인조식물(50)의 고정관(54)을 구속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62)과, 외기를 정화하는 공지된 공기정화기(65)가 내부에 각각 마련되고, 하부면과 일측면에는 공기정화기(65)로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구(60b) 및, 공기정화기(65)에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60a)가 형성되며, 하부면의 코너에는 하부면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공기흡입구(60b)의 공기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스페이서(66)가 형성된 화분(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Fixing means 62 for restraining and fixing the fixing pipe 54 of the artificial plant 50, and a known air purifier 65 for purifying the outside air are provided therein, respectively, the lower surface and one side of the air purifier ( An air inlet 60b for introducing air to the air 65 and an outlet 60a for discharging the air purified by the air purifier 65 are formed, and the air inlet 60b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at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Potted plant structure with a functional device comprising a; pollen (60) formed with a spacer (66) to enable the inflow of ai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인조식물(50)은 몸체의 내부에 상기 향기발생수단(63a)이 내장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몸체의 일측에는 향기발생수단(63a)을 외부에서 확일할 수 있도록 개폐되며, 중공과 연통되어 향기발생수단(63a)의 향기를 발산하는 통기공(52a)이 형성된 도어(52)를 포함하는 것과;The artificial plant 50 has a hollow in which the fragrance generating means 63a is formed inside the body, and is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fragrance generating means 63a can be secured from the outside on one side of the body,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hollow. It includes a door 52 is formed with a vent hole (52a) for emitting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generating means (63a); 상기 화분(60)은 상단 내측에 상호 대향상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걸림편(64) 및; 상기 걸림편(64)의 상부에 걸림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화분(6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시키는 차단판(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장치가 구비된 화분구조.The flower pot 60 is at least two engaging pieces (64) formed to protrude in a state opposite to each other inside the upper end; Planter structure provided with a functio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locking plate (70) is installed in the upper state of the engaging piece (64) to block the inside of the potted plant (60) from the outside.
KR20-2003-0011959U 2003-04-18 2003-04-18 Flowerpot structure having functional device KR20032026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959U KR200320260Y1 (en) 2003-04-18 2003-04-18 Flowerpot structure having functio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959U KR200320260Y1 (en) 2003-04-18 2003-04-18 Flowerpot structure having functiona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260Y1 true KR200320260Y1 (en) 2003-07-16

Family

ID=4941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959U KR200320260Y1 (en) 2003-04-18 2003-04-18 Flowerpot structure having functiona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26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786B1 (en) Apparatus of air freshening diffuser
EP1007887B1 (en) A devic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door air
KR100867110B1 (en) Air clean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fragrance
KR100971307B1 (en) Air purifier
KR100559084B1 (en) A room cleaning equipment using plant and soil
KR101414452B1 (en) Mettress for bed having antibacteria and deodorizing function
KR20090069035A (en) Indoor garden having air refreshing function
KR200320260Y1 (en) Flowerpot structure having functional device
KR200154926Y1 (en) Air-cleaner
KR200265726Y1 (en) Humidifier with fragrance emission function
KR101950878B1 (en) The desk flower-pot type air purifier
JPH0745168Y2 (en) Household and deodorant plant pots
CN202173618U (en) Fumigating machine
KR200191459Y1 (en) Air Purifier Built in Artificial Landscaping
US9744501B1 (en) Artificial plant humidifier
JPS61208455A (en) Air circulating machine
KR102537574B1 (en) the surface of a wall green device
CN206300305U (en) A kind of humidifier
JPH0415101Y2 (en)
KR200262629Y1 (en) A binding structure of a topological artificial flower and tree framed picture accomplish a plant purify
KR20130123898A (en) Picture frame type air cleaner
KR200245350Y1 (en) A fan having a perfume emanation machine
JP2005312422A (en) Air cleaner utilizing greenhouse
KR200394637Y1 (en) Humidifier-type air cleaner
KR200317610Y1 (en) A Multirole Humidifier which is the Shape of Flowers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