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125Y1 - 사다리겸용 짐수레 - Google Patents

사다리겸용 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125Y1
KR200320125Y1 KR20-2003-0012531U KR20030012531U KR200320125Y1 KR 200320125 Y1 KR200320125 Y1 KR 200320125Y1 KR 20030012531 U KR20030012531 U KR 20030012531U KR 200320125 Y1 KR200320125 Y1 KR 200320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main
cart
auxiliary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5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섭
Original Assignee
김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섭 filed Critical 김창섭
Priority to KR20-2003-00125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1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1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 B62B1/0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1/04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6Bumpers; Safety devices
    • B62B5/0009Stops for moving parts, e.g. rubber elements to eliminate stop noise

Abstract

본 고안은, 사다리겸용 짐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사다리와; 소정의 짐을 받치는 짐받이와, 상기 짐받이의 하단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바퀴와, 상기 사다리의 하단과 상호 착탈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짐수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다리 및 짐수레로써의 활용이 용이해지도록 그 구조를 간소화시킨 사다리겸용 짐수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사다리겸용 짐수레{Cart use as a ladder}
본 고안은, 사다리겸용 짐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다리 및 짐수레로써의 활용이 용이해지도록 그 구조를 간소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홍보용 플래카드를 걸어둘 수 있도록 한 사다리겸용 짐수레에 관한 것이다.
화원이나 농장, 혹은, 철물점과 같이 소규모의 상점을 운영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비교적 무거운 물건을 운반하거나 혹은 높은 곳에 올라가 작업을 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빈번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일은, 일반 가정에서도 가끔씩 발생한다.
이처럼, 무거운 물건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으로써의 짐수레와 비교적 높은 곳의 작업을 위한 수단으로써의 사다리에 대한 필요성은 누구나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서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짐수레와 사다리를 모두 구비하기는 실질적으로 곤란하다. 이는, 화원이나 소규모의 상점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에, 한편으로는 짐수레로써 이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다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공개번호 20-1990-15830에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기술에 의하면, 접철식 사다리의 하단에 짐받이 및 바퀴를 설치하여 짐수레와 사다리를 겸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공지된 기술을 보면, 바퀴가 복수의 스크루에 의해 사다리의 하부에 체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짐수레 역시, 사다리의 하부 일측에 스크루 결합되어 있다. 이럴 경우, 짐수레로써 사용하기에는 편리할 수 있을 지언정, 사다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스크루를 풀어 바퀴와 짐수레를 사다리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이용해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불편하다.
한편, 공개번호 20-1990-17216에도 짐수레와 사다리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 역시 사다리로 사용하기 위해 복수의 스크루를 일일이 풀어야 한다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기술과 마찬가지로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공개번호 20-2000-6008에는 사다리와 짐수레를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또 다른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이 기술은, 앞서 설명한 두 개의 기술과는 상이하게 바퀴와 짐수레가 사다리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 의하면, 사다리로 이용하고자 한 쌍의 사다리부분을 상호 벌리게 될 경우, 일측에 장착된 바퀴로 인해 안정적인 지지를 이룰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사다리와 짐수레를 겸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 간단한 방법을 통해 사다리와 짐수레의 활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간소화한 기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으며, 사다리로써 혹은 짐수레로써도 모두 사용하지 않을 경우, 사다리겸용 짐수레가 자신의 상점에 대한 홍보용 플래카드를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다리 및 짐수레로써의 활용이 용이해지도록 그 구조를 간소화시킨 사다리겸용 짐수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홍보용 플래카드를 걸어둘 수 있도록 한 사다리겸용 짐수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겸용 짐수레에서 사다리의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사다리겸용 짐수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다리의 스토퍼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겸용 짐수레의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사다리겸용 짐수레의 분해 사시도,
도 6a, 도 6b 및 도 7a, 도 7b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사다리겸용 짐수레에서 로킹부가 로킹 및 로킹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겸용 짐수레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사다리겸용 짐수레에 플래카드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겸용 짐수레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다리 20 : 메인사다리부분
21 : 메인기둥 22 : 메인가로장
30 : 보조사다리부분 31 : 보조기둥
32 : 보조가로장 41 : 제1스토퍼
42 : 제2스토퍼 50 : 짐수레
52 : 짐받이 54 : 바퀴
56 : 결합부 60 : 제1로킹부
70 : 제2로킹부 80 : 플래카드
82a,82b : 플래카드거취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사다리와; 소정의 짐을 받치는 짐받이와, 상기 짐받이의 하단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바퀴와, 상기 사다리의 하단과 상호 착탈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짐수레를 포함하는, 사다리겸용 짐수레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다리는, 상호 이격배치되는 한편 하단은 상기 결합부에 착탈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단은 소정 각도 절곡되어 손잡이부로 이용되는 한 쌍의 메인기둥과, 상기 메인기둥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가로장을 갖는 메인사다리부분과; 상호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보조기둥과, 상기 한 쌍의 보조기둥 사이에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보조가로장을 가지고 상기메인사다리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사다리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메인기둥 사이로 상기 보조사다리부분이 포개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가로장은 상기 메인기둥의 외측에 마련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메인기둥의 상단 손잡이부 영역에는, 상기 보조사다리부분의 회동한계를 지지하는 스토퍼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메인기둥과 상기 짐수레의 결합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짐수레에 대해 상기 사다리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편 상기 사다리와 상기 짐수레간을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로킹부를 추가로 마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때, 하나의 로킹부는, 상기 로킹부는,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과; 상기 메인기둥에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제2관통공과;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의 외측에 결합된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에 체결되는 한편 상기 제1 및 제2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결합부와 상기 메인기둥을 상호 고정시키는 로킹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핀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상호 이격되게 나사산이 형성된 축부와, 상기 축부의 노출단에 형성된 머리부를 포함한다.
다른 하나의 로킹부는,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제3관통공과; 상기 메인기둥에 형성되어 제3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제4관통공과; 상기 메인기둥 내부에 마련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에 결합되어 상기 제3 및 제4관통공이 상호 연통할 경우 상기 제3 및 제4관통공 사이에 일체로 배치되는 탄성핀을 포함한다.
상기 짐받이의 전방 하단에는 지면을 향해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짐수레와 상기 메인 및 보조기둥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마련되어 플래카드를 지지하는 플래카드거취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짐수레는 상기 사다리에 대해 접철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각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겸용 짐수레에서 사다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사다리겸용 짐수레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다리겸용 짐수레는,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사다리(10)로부터 출발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다리(10)는, 크게 메인사다리부분(20)과, 보조사다리부분(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메인사다리부분(20)은, 상호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기둥(21)과, 한 쌍의 메인기둥(21)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가로장(22)을 갖는다. 한 쌍의 메인기둥(21)의 하단은 제2실시예에서 설명할 짐수레(50)와 결합되는 영역으로 활용된다. 만일, 메인기둥(21)의 하단에 짐수레(50)가 결합될 경우 그 상단은 손잡이부(21b)로 활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손잡이부(21b)는 메인기둥(21)으로부터 일정하게 절곡되어 있다.
보조사다리부분(30)은, 메인사다리부분(20)과 마찬가지로 상호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보조기둥(31)과, 한 쌍의 보조기둥(31) 사이에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보조가로장(32)을 갖는다.
한 쌍의 보조기둥(31) 상단에는 제1핀수용부(31a)가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메인기둥(21)의 상부 영역에도 제2핀수용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보조기둥(31)에 마련된 제1핀수용부(31a)와 메인기둥(21)에 마련된 제2핀수용부(21a)를 상호 연통시킨 상태에서 회동핀(34)을 끼워 넣음으로써 보조사다리부분(30)은 메인사다리부분(2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메인사다리부분(20)과 보조사다리부분(30)은 전체적인 사다리(10)의 중량의 고려하여 관상의 파이프나 혹은, 내부가 빈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메인사다리부분(20)에 형성된 메인가로장(22)은, 도 1을 참조할 때, 메인기둥(21)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마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사다리(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한 쌍의 메인기둥(21) 사이로 보조사다리부분(30)이 완전히 포개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도 9 참조).
이에, 회동핀(34)으로 인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사다리부분(20)과 보조사다리부분(30)이 상호 "∧"가 되도록 벌려진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좀 더 높은 곳의 작업을 위해서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사다리부분(30)을 메인사다리부분(20)에 대해 완전히 회동시켜 거의 일자 형상으로 배치한 후, 사용하면 된다.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회동핀(34)을 축으로 하여 보조사다리부분(30)을 완전히 회동시킬 경우, 보조사다리부분(30)을 회동한계를 지지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에,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메인기둥(21)의 손잡이부(21b) 영역에 보조사다리부분(30)의 회동한계를 지지하는 스토퍼(41,42)를 마련하고 있다.
스토퍼(41,42)는 메인사다리부분(20)의 양측에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제1실시예에서는, 좌측의 제1스토퍼(41)와 우측의 제2스토퍼(42)를 서로 상이하게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편의상 후술할 제1스토퍼(41) 만을 메인사다리부분(20)의 양측에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제조, 비용면에서 유리할 것이다.제1스토퍼(41)는 긴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1스토퍼(41)는 메인기둥(21)이 철재질일 경우, 용접하거나 혹은 스크루 체결함으로써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스토퍼(42)는, 도 3에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기둥(21) 양측에 형성된 홀(43a,43b) 중, 일측의 홀(43a)의 면에 부착된 보스부(44)에 체결되는 스크루로 채용하고 있다. 제2스토퍼(42)는 그 중앙영역에 제1나사산(42a)이 형성되고, 제1나사산(42a)에 이격된 위치인 머리(42c) 영역에 제2나사산(42b)이 형성된 것이 이용된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2나사산(42b)이 보스부(44)에 체결되도록 하면 그 노출단 영역이 메인기둥(21)의 홀(43b)을 관통하여 보조기둥(31)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나사산(42a)과 제2나사산(42b) 사이에 나사산이 없는 영역을 형성한 까닭은, 제2스토퍼(42)를 보스부(44)에 체결하는데 따른 노력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즉, 제2스토퍼(42)를 몇 번 돌리지 않더라도 쉽게 제2스토퍼(42)를 메인기둥(21)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2나사산(42b)은 실제로 보스부(44)에 체결되는 부분으로 이용되고, 제1나사산(42a)은 제2스토퍼(42)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여 제2스토퍼(42)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즉, 메인기둥(21)으로부터 제2스토퍼(42)를 빼내려 하지 않는다면 제1나사산(42a)이 보스부(44)에 걸림유지됨으로써, 제2스토퍼(42)의 분실을 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교적 높은 곳의 작업을 위해서는 제1실시예에 도시된 사다리(10)를 이용하여 충분히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비교적 무거운 물건을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는, 아래의 제2실시예와 같이, 짐수레(50)를 제1실시예의 사다리(10)에 결합시켜 사용하면 된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겸용 짐수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사다리겸용 짐수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a, 도 6b 및 도 7a, 도 7b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사다리겸용 짐수레에서 로킹부가 로킹 및 로킹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겸용 짐수레(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사다리(10)와, 사다리(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짐을 운반하는 짐수레(50)를 포함한다. 결합부(56)에는 바퀴(54)와의 결합을 위한 축(56a)이 형성되어 있다.
짐수레(50)는, 짐을 받치는 짐받이(52)와, 짐받이(52)의 하단 일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바퀴(54)와, 메인사다리부분(20)의 하단과 상호 착탈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합부(56)를 포함한다.
짐받이(52)는, 실질적으로 짐을 떠받치는 부분으로써, 비교적 평평한 판상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그 중량을 줄이고자 한다면, 망상체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짐받이(52)의 전방 하단에는 지면을 향해 돌출된 돌출턱(52a)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턱(52a)은, 사용자가 짐받이(52)를 지면에 접촉시킬 경우, 짐받이(52)에 놓인 짐이 갑자가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결합부(56)는, 메인기둥(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고, 메인기둥(21)에 비해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기둥(21)과 결합부(56)에는, 메인기둥(21)이 결합부(56) 내에 삽입되었을 경우, 메인기둥(21)과 결합부(56)를 상호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로킹부(60,70)가 마련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스토퍼(41,42)와 마찬가지로, 로킹부(60,70) 역시, 양측에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제2실시예에서는, 우측의 제1로킹부(60)와 좌측의 제2로킹부(70)를 서로 상이하게 채용하고 있다.
제1로킹부(60)는, 도 5,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56)에 형성된 제1관통공(61)과, 메인기둥(21)에 형성되어 제1관통공(61)에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제2관통공(62)과,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관통공(61)의 외측에 결합된 보스부(63)와, 보스부(63)에 체결되는 한편 제1 및 제2관통공(61,62)을 통과하여 결합부(56)와 메인기둥(21)을 상호 고정시키는 로킹핀(64)을 포함한다.
이 때, 로킹핀(64)은 전술한 제2스토퍼(42)와 거의 유사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상호 이격되게 제1 및 제2나사산(65a,65b)이 형성된 축부와, 축부의 노출단에 형성된 머리부(66)로 이루어져 있다. 머리부(66)는 별도의 공구가 없더라도 손으로 직접 돌릴 수 있는 형상으로 제조된다.
제2나사산(65b)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로 보스부(63)에 체결되어 결합부(56)와 메인기둥(21)을 고정시키는 부분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제1나사산(65a)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핀(64)을 별도로 돌리지 않는 한, 제1나사산(65a)이 보스부(63)에 걸림유지됨으로써 로킹핀(64)이 보스부(63)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여 로킹핀(64)이 분실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제2로킹부(70)는, 도 5,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56)에 형성된 제3관통공(71)과, 메인기둥(21)에 형성되어 제3관통공(71)에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제4관통공(72)과, 메인기둥(21) 내부에 마련되는 판스프링(73)과, 판스프링(73)에 결합되어 제3 및 제4관통공(71,72)이 상호 연통할 경우 제3 및 제4관통공(71,72) 사이에 일체로 배치되는 탄성핀(74)을 갖는다.
이에, 탄성핀(74)이 제3 및 제4관통공(71,72) 사이에 일체로 배치되어 결합부(56)와 메인기둥(21)이 상호 고정된 상태인 도 7a에서, 탄성핀(74)을 가압하면,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핀(74)이 제3관통공(7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 상태가 결합부(56)와 메인기둥(21)이 상호 분리되는 상태인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다리(10)에 짐수레(50)를 결합시키고자 한다면, 메인기둥(21)의 하단을 짐수레(50)의 결합부(56)에 슬라이딩 결합시킨 후, 제1 및 제2관통공(61,62)이 연통하면 제1로킹부(60)를 통해 도 6b에서 도 6a의 상태로 고정한다. 이와 동시에 제3 및 제4관통공(71,72)이 서로 연통하면 도 7b에서도 7a의 상태로 간단히 조작함으로써 짐수레(50)의 결합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짐수레(50)를 분리하고자 한다면, 역순인 도 6a에서 도 6b의 상태로 조작함과 동시에 도 7a에서 도 7b의 상태로 조작하면 되기 때문에, 종래에 개시된 기술에 비해 짐수레(50)의 탈부착이 매우 쉽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제3실시예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겸용 짐수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사다리겸용 짐수레에 플래카드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화원이나 농장, 혹은, 철물점과 같이 소규모의 상점을 운영하는 사람들이 본 고안의 사다리겸용 짐수레를 이용한다면, 비교적 무거운 물건을 운반하거나 혹은 높은 곳에 올라가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사다리겸용 짐수레는 간헐적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는, 사다리겸용 짐수레가 대부분의 시간동안 일정한 장소에 그대로 방치되어 있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처럼, 사다리겸용 짐수레가 대부분의 시간, 사용되지 않고 방치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서는, 사다리겸용 짐수레에 별도의 플래카드거취대(82a,82b)를 마련하고 있다.
플래카드거취대(82a,82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짐받이(52)의 전방 양측과, 메인기둥(21)의 상부영역 전방에 각각 마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도9와 같이, 이들 플래카드거취대(82a,82b)에 별도의 플래카드(80)를 걸어 둔다면 쓸모 없이 방치되던 사다리겸용 짐수레가 플래카드(80)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물론, 플래카드(80)에는 상점의 이름이나, 위치, 파는 물건 등을 홍보하는 문구 등이 적혀있을 것이다.
한편, 플래카드(80)는 그 폭의 길이가 일정하게 제조되는데 반해, 그 길이는 길거나 짧게 제조된다. 따라서, 짐받이(52)에 형성된 플래카드거취대(82a)와 메인기둥(21)에 형성된 플래카드거취대(82b)간의 거리 역시 조절되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에서 메인기둥(21)에 여러 개의 제2관통공(62)을 형성하거나 혹은, 제1관통공(61)을 통과한 로킹핀(64)이 제2관통공(62)으로 삽입되지 않고, 메인기둥(21)의 하단을 지지하는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짐받이(52)에 대한 사다리(10)의 높이를 쉽게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4실시예
도 10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겸용 짐수레의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보면, 짐수레(50)가 착탈식으로만 되어 있을 뿐이다. 그러나, 도 10과 같이, 짐받이(52)가 힌지핀(85)에 의해 메인사다리부분(20)에 대해 접철될 수 있다면, 공간의 효율면에서 유리할 것이다.
이처럼 짐받이(52)가 메인사다리부분(20)에 대해 접철되도록 구성할 경우, 짐수레(50)는 굳이 사다리(10)에 대해 착탈되지 않고, 짐수레(50)와 사다리(10)를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의 도면을 보면, 메인 및 보조사다리부분의 각 구성이 원형, 사각형 및 사다리꼴로 조합되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편의상 도시한 것일 뿐, 메인 및 보조사다리부분의 각 구성을 전부 원형으로 하거나, 혹은 사각형, 삼각형, 사다리꼴 등으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메인 및 보조사다리부분을 관상의 파이프나 혹은, 내부가 빈 플라스틱으로 제조한다고 설명하였지만, 내부가 비지 않더라도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혹은 목재로도 대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손잡이부는 메인기둥으로부터 일정하게 절곡되어 있다고 설명하였지만, 별도의 부재를 메인기둥에 붙여, 손잡이로 활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보면, 짐수레에 한 쌍의 바퀴만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3개의 바퀴, 혹은 그 이상의 바퀴를 마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보면, 메인기둥이 결합부 내에 삽입되게 되어 있으나, 반대로 결합부가 메인기둥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다리 및 짐수레로써의 활용이용이해지도록 그 구조를 간소화시킨 사다리겸용 짐수레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홍보용 플래카드를 걸어둘 수 있도록 한 사다리겸용 짐수레가 제공된다.

Claims (11)

  1. 사다리와;
    소정의 짐을 받치는 짐받이와, 상기 짐받이의 하단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바퀴와, 상기 사다리의 하단과 상호 착탈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짐수레를 포함하는, 사다리겸용 짐수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는,
    상호 이격배치되는 한편 하단은 상기 결합부에 착탈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단은 소정 각도 절곡되어 손잡이부로 이용되는 한 쌍의 메인기둥과, 상기 메인기둥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가로장을 갖는 메인사다리부분과;
    상호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보조기둥과, 상기 한 쌍의 보조기둥 사이에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보조가로장을 가지고 상기 메인사다리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사다리부분을 포함하는, 사다리겸용 짐수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기둥 사이로 상기 보조사다리부분이 포개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가로장은 상기 메인기둥의 외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겸용 짐수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둥의 상단 손잡이부 영역에는, 상기 보조사다리부분의 회동한계를 지지하는 스토퍼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겸용 짐수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둥과 상기 짐수레의 결합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짐수레에 대해 상기 사다리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편 상기 사다리와 상기 짐수레간을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로킹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사다리겸용 짐수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과; 상기 메인기둥에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제2관통공과;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의 외측에 결합된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에 체결되는 한편 상기 제1 및 제2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결합부와 상기 메인기둥을 상호 고정시키는 로킹핀을 포함하는, 사다리겸용 짐수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핀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상호 이격되게 나사산이 형성된축부와, 상기 축부의 노출단에 형성된 머리부를 포함하는, 사다리겸용 짐수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제3관통공과; 상기 메인기둥에 형성되어 제3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제4관통공과; 상기 메인기둥 내부에 마련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에 결합되어 상기 제3 및 제4관통공이 상호 연통할 경우 상기 제3 및 제4관통공 사이에 일체로 배치되는 탄성핀을 포함하는, 사다리겸용 짐수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짐받이의 전방 하단에는 지면을 향해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겸용 짐수레.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짐수레와 상기 메인 및 보조기둥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마련되어 플래카드를 지지하는 플래카드거취대를 추가로 포함하는, 사다리겸용 짐수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짐받이는 상기 사다리에 대해 접철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겸용 짐수레.
KR20-2003-0012531U 2003-04-23 2003-04-23 사다리겸용 짐수레 KR2003201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531U KR200320125Y1 (ko) 2003-04-23 2003-04-23 사다리겸용 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531U KR200320125Y1 (ko) 2003-04-23 2003-04-23 사다리겸용 짐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125Y1 true KR200320125Y1 (ko) 2003-07-12

Family

ID=4941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531U KR200320125Y1 (ko) 2003-04-23 2003-04-23 사다리겸용 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1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508B1 (ko) * 2013-12-26 2015-09-24 주식회사 헨티 차량 루프텐트 착탈형 사다리
KR102079969B1 (ko) * 2018-12-06 2020-04-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판대 겸용 핸드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508B1 (ko) * 2013-12-26 2015-09-24 주식회사 헨티 차량 루프텐트 착탈형 사다리
KR102079969B1 (ko) * 2018-12-06 2020-04-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판대 겸용 핸드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4046B2 (en) Multi-functional utility carts
US6123648A (en) Wheel assembly for a treadmill
CA2991930C (en) Wheel axle assembly for a carry bag
US5003652A (en) Collapsible hammock
US6422230B1 (en) Collapsible stand and barbecue grill assembly
US20060011674A1 (en) Clothes rail
US20090026732A1 (en) Cleaning cart
US9145155B2 (en) Collapsible shopping cart
US20100065702A1 (en) Flat panel display support
US6264220B1 (en) Wheeled tool cart with removable tool holder tray
US20120153585A1 (en) Expandable and Convertible Hand Trucks
US20170173444A1 (en) Collapsible Ski Caddy
US20120152155A1 (en) Combined Tool Carrier and Work Table
US20050035565A1 (en) Foldable garden wagon
US6931679B1 (en) Foldable stand for a hammock
US20050120922A1 (en) Folding work table
US7374144B1 (en) Folding portable easel
KR200320125Y1 (ko) 사다리겸용 짐수레
KR20120050026A (ko) 벽면 부착형 자전거 거치대
US7093840B2 (en) Multi-purpose combined ladder/cart assembly
US7261271B1 (en) Folding wire reel carrier
US6837501B1 (en) Saw dolly and stand
US6976593B2 (en) Bicycle stand and method of use
US7849961B1 (en) Ladder having an attached transportation device
US10472116B1 (en) Foldable bag holder with retrofittable attachments for added function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