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796Y1 -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796Y1
KR200319796Y1 KR20-2003-0012211U KR20030012211U KR200319796Y1 KR 200319796 Y1 KR200319796 Y1 KR 200319796Y1 KR 20030012211 U KR20030012211 U KR 20030012211U KR 200319796 Y1 KR200319796 Y1 KR 200319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electroacoustic transducer
present
voice coi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만
Original Assignee
아비코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비코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비코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2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7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7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5Diaphragms comprising polymeric materials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출력을 요하는 전자음향변환기 특히, 스피커의 진동판 중앙부에서 발생하는 분할 진동을 최소화하는 등 진동판의 출력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진동판이 큰 입력신호에도 지속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면서도 기존 진동판의 유연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요크에 안착 고정된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와 전자기적으로 작용하는 보이스 코일을 갖는 얇은 합성수지로 성형된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에 있어서, 돔 형상으로 된 진동판의 중앙에 금속 박판 또는 고분자 화합물로 된 박판 또는 고분자 화합물로 된 입자를 코팅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 구조{A diaphragm structure of speaker}
본 고안은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출력을 요하는 전자음향변환기 특히, 스피커의 진동판 중앙부에서 발생하는 분할진동을 최소화하는 등 진동판의 출력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진동판이 큰 입력신호에도 지속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면서도 기존 진동판의 유연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노트북 PC 등과 같은 전자장치에는 자기회로를 가지는 스피커나 리시버 등과 같은 전자음향변환기가 내장되어 음향을 출력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폰, 노트북 PC 등과 같은 전자 장치에 장착되는 전자음향변환기는 보이스 코일에 전류가 흐르고 마그네트와의 상호관계에 의해 자기력선이 발생되고, 보이스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해당 주파수의 진동수에 의해 보이스 코일의 상부에 고정된 진동판이 상, 하로 진동하여 음향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자음향변환기는 첨부 도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40) 내부에 요크(10)와 마그네트(20) 및 탑 플레이트(30)를 접착하여 고정 설치하고, 케이스(40)내 상방에 진동판(50)을 설치하되, 마그네트(20) 및 탑 플레이트(30)와 전자기적으로 작용하여 상, 하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54)을 상기 진동판(50) 하방에 설치함과 동시에, 코일의 단선을 터미널의 일측과 납땜 접합하고 터미널의 타측은 케이스(40) 외부로 인출하여 자체 텐션에 의해 탄발하면서 전자장치의 인쇄회로기판과 접촉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음향변환기(100)의 진동판(50)은 얇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부면 중앙에 설치된 보이스 코일(54)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마그네트(20)와의 상호관계에 의해 자기력선이 발생되고, 보이스 코일(54)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해당 주파수의 진동수에 의해 보이스 코일(54)이 상, 하 진동하게 되고, 보이스 코일(54) 상부에 고정된 진동판(50)이 상, 하로 진동하게 된다.
이 때, 종래의 진동판(50)은 인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입력된 신호와 달리 동작되는 즉, 분할 진동으로 인한 디스토션 발생의 우려가 매우 높은 것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진동판(50) 자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자체 강도가 높은 소재를 사용하여야 하나, 이럴 경우에는 입력되는 신호 대비 출력 신호가 현저히 낮아지며, 저음 특성 역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종래의 마이크로 전자음향변환기(100) 특히, 스피커는 0,5W ~ 0.8W 정도의 입력값 범위를 갖는 등 입, 출력 특성에 한계 및 폭이 적은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출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과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고출력을 요하는 전자음향변환기 특히, 스피커의 진동판 중앙부에서 발생하는 분할 진동을 최소화하는 등 진동판의 출력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진동판이 큰 입력신호에도 지속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면서도 기존 진동판의 유연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 구조를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요크에 안착 고정된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와 전자기적으로 작용하는 보이스 코일을 갖는 얇은 합성수지로 성형된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에 있어서, 돔 형상으로 된 진동판의 중앙에 금속 박판 또는고분자 화합물로 된 박판 또는 고분자 화합물로 된 입자를 코팅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전자음향변환기에서 진동판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전자음향변환기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전자음향변환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전자음향변환기 10 : 요크
20 : 마그네트 30 : 탑플레이트
40 : 케이스 41 : 환턱
50 : 진동판 51 : 진동판 외곽면
52 : 진동판 중앙면 53 : 금속 박판
54 : 보이스 코일 60 : 덮개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첨부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마이크로 전자음향변환기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마이크로 전자음향변환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이중 도면 부호 100은 전자음향변환기를 나타낸 것이고, 50은 본 고안인 진동판을 나타낸 것이다.(본 고안의 도면 부호는 종래 기술의 도면 부호와 동일함)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요크(10)에 안착 고정된 마그네트(20) 및 탑플레이트(30)와 전자기적으로 작용하는 보이스 코일(54)을 갖는 얇은 합성수지로 성형된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50)에 있어서, 돔 형상으로 된 진동판(50)의 중앙면(52)에 금속 박판(53)을 코팅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음향변환기(100)의 케이스(40) 내측 환턱(41) 상부면에 진동판(50)을 접착 고정시켜, 케이스(40) 내측 하부면에 설치되는 요크(10)의 내측 중앙에 안착 고정되는 마그네트(20) 및 탑플레이트(30)와 전자기적으로 작용하여 상, 하로 움직이는 보이스코일(54)에 의해 상, 하 진동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진동판(50)의 외곽면(51)은 케이스(40)의 환턱(41)과 접착되어 진동판(50) 자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부분은 진동판(50)이 상, 하 진동 시 유연하게 움직임이 일어나는 부분으로 유연성이 요구되며, 진동판(50)의중앙면(52)은 케이스 내로 인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많이 받게 되는 부분으로 내구성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본 고안인 진동판(50)의 외곽면(51)은 기존의 진동판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동일한 유연성을 발휘하게 되며, 중앙면(52)은 금속 박판(53)이 코팅되어 있어 상, 하 진동 시 인입되는 공기의 압력에도 잘 견디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인 진동판(50)은 유연하면서도 내구성을 지니고 있어, 큰 입력 신호를 견디면서 큰 출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최저 공진 주파수를 낮게 하여 기존의 전자음향변환기(100) 특히, 기존의 스피커에 비해 저역 특성을 향상시켜 음향을 증대시키게 된다.
본 고안의 진동판(50)의 중앙면은 금속 박판(53)을 코팅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으나, 고분자(高分子)화합물로 된 박판 또는 고분자 화합물로 된 입자 즉, 고무와 같이 분자량이 매우 큰 물질을 코팅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고무류를 이용할 경우에는 인장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고출력을 요하는 전자음향변환기 특히, 스피커의 진동판 중앙부에서 발생하는 분할 진동을 최소화하는 등 진동판의 출력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진동판이 큰 입력신호에도 지속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면서도 기존 진동판의 유연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등 전자음향변환기의 출력 특성,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출력특성 중 최저 공진 주파수를 낮게 함으로써, 기존의 스피커에 비해 저역 특성을 향상시켜 음량을 더욱 풍부하게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요크(10)에 안착 고정된 마그네트(20) 및 탑플레이트(30)와 전자기적으로 작용하는 보이스 코일(54)을 갖는 얇은 합성수지로 성형된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50)에 있어서, 돔 형상으로 된 진동판(50)의 중앙면(52)에 금속 박판(53)을 코팅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진동판(50)의 중앙면에 코팅되는 재료를 고분자 화합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진동판(50)의 중앙면에 코팅되는 재료를 고분자 입자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 구조.
KR20-2003-0012211U 2003-04-21 2003-04-21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 구조 KR200319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211U KR200319796Y1 (ko) 2003-04-21 2003-04-21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211U KR200319796Y1 (ko) 2003-04-21 2003-04-21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796Y1 true KR200319796Y1 (ko) 2003-07-12

Family

ID=4941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211U KR200319796Y1 (ko) 2003-04-21 2003-04-21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7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1553B2 (en) Sensory signal output apparatus
US8929583B2 (en) Multi-function vibration actuator
KR200455084Y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US20110274309A1 (en) Micro speaker
US20110274308A1 (en) Multifunctional micro speaker
KR101057078B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US6804366B2 (en) Speaker apparatus
US10820113B2 (en) Speaker
KR20190123992A (ko) 하이브리드 액추에이터
JP4361580B2 (ja) スピーカ用振動板およびスピーカ
JP4034696B2 (ja) スピーカ用振動板
KR2002000316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KR200319796Y1 (ko)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 구조
KR100511219B1 (ko) 전자음향변환기의 공명구조
CN112055287A (zh) 发声致动器
KR100769885B1 (ko) 전자음향변환기
KR20060009112A (ko) 라운드형 스피커
KR200453990Y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US10674277B2 (en) Speaker
KR100355849B1 (ko) 진동 스피커
US20230345169A1 (en) Hybrid Microspeaker
KR200360716Y1 (ko) 다기능 전자음향변환기
KR100299862B1 (ko) 이중구조의 버저
KR200304259Y1 (ko) 저음특성 향상을 위한 전자음향변환기의 공명구조
KR100511218B1 (ko) 전자음향변환기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