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403Y1 - Kitchen furniture - Google Patents

Kitchen furni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403Y1
KR200319403Y1 KR20-2003-0011074U KR20030011074U KR200319403Y1 KR 200319403 Y1 KR200319403 Y1 KR 200319403Y1 KR 20030011074 U KR20030011074 U KR 20030011074U KR 200319403 Y1 KR200319403 Y1 KR 200319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furniture
kitchen
small appliances
small
appli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07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한
권영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넥스
Priority to KR20-2003-0011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40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403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06B3/482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에서 사용하는 소도구 및 소가전 제품을 간편하면서 깔끔하게 보관,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주방가구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kitchen furniture that allows for simple and neat storage and use of props and household appliances used in the kitchen.

본 고안은 주방가구에 컵이나 식기와, 소가전 제품이 보관되는 수납부와, 상기 소가전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와; 상기 수납부의 전면을 승하강하면서 개폐하는 자바라 도어를 구비하여, 상기 소도구 또는 소가전제품을 사용시, 자바라 도어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자바라 도어를 하방으로 잡아당겨 닫아준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깔끔한 주방을 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p or tableware in the kitchen furniture, a storage unit for storing small appliances, and an outle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mall appliances; A bellows door that opens and closes while raising and lowering the front of the storage unit is used when the props or small appliances are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bellows door is pushed upward and opened, and the bellows door is downward when not in use. By keeping it in the closed state, you can create a cleaner kitchen.

Description

주방가구{KITCHEN FURNITURE}Kitchen Furniture {KITCHEN FURNITURE}

본 고안은 주방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에서 사용하는 소도구 및 소가전 제품을 간편하면서 깔끔하게 보관,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주방가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kitchen furni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kitchen furniture that allows simple and neat storage and use of props and home appliances used in the kitchen.

일반적으로 주방에서는 식기, 컵 이외에 믹서, 토스터기, 커피포트 등과 같은 소가전 제품을 구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식기나 컵과 같은 소도구 또는 믹서, 토스터기, 커피포트와 같은 소가전은 늘 사용하기 보다는 필요할 때 꺼내어 사용하게 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주방에 설치되는 주방가구 또는 별도의 보관함에 보관하면서 사용하게 된다.In general, kitchens include small appliances such as mixers, toasters, and coffee pots, in addition to tableware and cups, where small appliances such as tableware and cups or small appliances such as mixers, toasters, and coffee pots are always needed rather than used. If it is not used, it will be used while keeping the kitchen furniture or separate storage box installed in the kitchen.

이와 같이 필요할 때만 꺼내어 사용하게 되는 소가전 제품의 경우, 대부분이 주방가구의 어느 한쪽에 보관하게 되는 관계로, 사용시 일일이 찾아서 꺼내어야 하는 번거로움 뿐만 아니라, 사용후에는 다시 보관 장소에 보관하게 되므로 사용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small household appliances that are only taken out when needed, most of them are stored in one side of the kitchen furniture, so it is not only hassle to find and take out when using them. There is a troublesome problem.

그래서 최근에는 주방의 현대화 또는 하나의 생활 공간 개념으로 바뀌어 가면서 상기 주방을 보다 깨끗하고 아름다운 생활공간으로 가꾸어 가게 됨에 따라 늘 또는 가끔 사용하는 소가전 제품을 보다 편리하게 보관하고 사용할 수 있는 주방 가구가 등장하게 되었고, 이 일환으로 상기 주방가구에 소도구 또는 소가전 제품을 보관 사용할 수 있는 보관함을 마련하여 상기 보관함에 소도구 또는 소가전제품을 보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는가 하면, 상기 주방가구에 소도구 또는 소가전 제품을 놓고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이 마련된 공간에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해오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as the modernization of the kitchen or the concept of a living space has been transformed into a cleaner and more beautiful living space, kitchen furniture has emerged to store and use home appliances that are always or occasionally used more conveniently. As a part of this, there is a storage box for storing props or small appliances in the kitchen furniture so that they can be used while storing props or small appliances in the storage box. It is a situation that has prepared a space for placing home appliances to be used in the space provided.

그러나 상기 주방가구에 마련된 보관함에 넣고 사용하게 되는 경우, 상기 소도구나 소가전 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함을 막아 외부로 부터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소도구나 소가전 제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관함으로 부터 꺼내어 사용하고, 사용후에는 다시 제 위치에 보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when used in the storage box provided in the kitchen furniture, it can be used while preventing the inflow of dust or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by blocking the storage box when not using the small appliances or small appliances. If you want to use the small appliances or small appliances, take out from the storage box, and after use there is a hassle to store in place again.

반면에 상기 마련된 공간에 놓고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일일이 꺼내어 사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점이 있으나,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외부에 노출된 채 보관하게 되므로, 주방가구의 외관 및 분위기를 해칠 뿐만 아니라, 상기 소가전 제품에 외부로 부터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On the other hand, when used in the prepared space, there is a convenience that can be used without taking out one by one, but when not in use will be kept exposed to the outside, not only harm the appearance and atmosphere of the kitchen furniture, There is a problem that dust or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into the home appliances.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방에서 사용하는 식기나 컵과 같은 소도구 및 소가전 제품을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보관함과 아울러,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외관을 해치지 않으며, 외부로 부터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주방가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keep the small utensils and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utensils and cups used in the kitchen for convenient use, and do not harm the appearance when not in use, and the inflow of dust or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The aim is to provide kitchen furniture that can be used while preventing it.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주방가구에 컵이나 식기와, 소가전 제품이 보관되는 수납부와, 상기 소가전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와; 상기 수납부의 전면을 승하강하면서 개폐하는 자바라 도어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p or tableware for kitchen furniture, an accommodating portion for storing small appliances, and an outle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mall appliances; The bellows door which opens and closes while raising and lowering the front side of the said accommodating part is provided.

상기 수납부의 좌우측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자바라 도어를 안내하는 안내레일이 구비되게 된다.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to guide the bellows door.

상기 수납부의 상부 외측에는 와이어를 풀었다 감았다 하면서 자바라 도어를 승하강하면서 개폐하는 권취롤러를 더 구비하게 된다.The winding outer roller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outer side of the housing while opening and closing the bellows door while unwinding and winding the wire.

그러므로 본 고안에 의하면, 주방에서 사용하는 컵,식기와 소도구 또는 소가전 제품을 보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주방가구에 수납부, 콘센트와 전면에 자바라도어를 구비하여, 상기 소도구 또는 소가전제품을 사용시, 자바라 도어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자바라 도어를 하방으로 잡아당겨 닫아준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깔끔한 주방을 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itchen furniture that can be used while storing the cups, tableware and props or small appliances used in the kitchen is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an outlet and a Java door in the front, when using the small props or small appliances, The bellows door is pushed upward to be used in an open state, and when not in use, the bellows door can be pulled downward and stored in a closed state, thereby creating a cleaner kitchen.

도 1 은 본 고안 주방가구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kitchen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고안 주방가구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the kitchen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고안 주방가구의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kitchen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 주방가구의 다른 실시예도.Figure 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kitchen furnitur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주방가구 20; 수납부10; 20 kitchen furniture; Storage

21; 가이드레일 22; 선반21; Guide rail 22; shelf

23; 걸이부 24; 서랍23; Hanger 24; a drawer

30; 콘센트 40; 자바라 도어30; Outlet 40; Bellows door

50; 권취롤러 51; 와이어50; Winding roller 51; wire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고안 주방가구의 사시도 이고, 도 2 는 본 고안 주방가구의 정면도 이며, 도 3 은 본 고안 주방가구의 종단면도 로서, 주방에서 사용하는 식기 또는 컵과 같은 소도구 또는 믹서, 토스터기, 커피포트 등의 소가전 제품을 보관하는 주방가구(10)에 있어서, 상기 주방가구(10)에 상기 컵이나 식기와, 소가전 제품이 보관되는 수납부(20)와; 이 수납부(20)의 내부에 상기 소가전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30)와; 상기 수납부(20)의 전단에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개폐하는 자바라 도어(40)를 구비하게 된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kitchen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kitchen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kitchen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mall tools or mixers such as dishes or cups used in the kitchen, toasters, A kitchen furniture (10) for storing small appliances such as coffee pots, comprising: an accommodating portion (20) in which the cup or tableware and small appliances are stored in the kitchen furniture (10); An outlet 30 for supplying power to the small appliance in the housing 20; The front door of the housing 20 is provided with a bellows door 40 to open and close while moving up and down.

상기 수납부(20)의 내부 좌우측벽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자바라 도어(40)를 안내하는 안내레일(21)이 구비되게 된다.The inner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accommodating part 2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rail 21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to guide the bellows door 40.

상기 수납부(20)에는 상부에 식기나 컵이 놓여지는 다단의 선반(22) 및 걸이부(23)와, 하부에 소가전 제품이 놓여지고 후방에 각종 부속품이 넣어지는 서랍(24)으로 구성된다.The accommodating portion 20 includes a multi-stage shelf 22 and a hook portion 23 in which a table or a cup is placed on the upper part, and a drawer 24 in which small appliances are placed in the lower part and various accessories are put in the rear. do.

상기 콘센트(30)에는 믹서, 토스터기, 커피포트등과 같은 소가전 제품을 접속하게 된다.The outlet 30 is connected to small appliances such as mixers, toasters, coffee pots, and the like.

도 4 는 본 고안 주방가구의 다른 실시예도 로서, 도 3 의 수납부(20)의 상부 외측에는 와이어(51)를 풀었다 감았다 하면서 자바라 도어(40)를 승하강하면서 슬라이딩 개폐하는 권취롤러(5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kitchen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winding and winding the wire 51 on the upper outer side of the housing 20 of FIG. 3 while winding the bellows door 40 while slidingly opening and closing the roller ( 5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주방가구(10)의 수납부(20)에 주방에서 사용하는 식기 또는 컵과 같은 소도구 및 믹서, 토스터기, 커피포트를 넣어 보관하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식기 또는 컵등은 다단의 선반(22), 컵걸이부(23)에 놓거나 걸어 주면서 보관하게 되고, 상기 소가전 제품등은 하부에 놓으며, 소도구는 수납서랍(24)에 넣고, 수납부(20)의 전면을 자바라 도어(40)로 닫아 주면서 보관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is used while storing the props and mixers, such as a tableware or a cup, a toaster, a coffee pot used in the kitchen in the storage unit 20 of the kitchen furniture 10, wherein the tableware or cup, etc. Silver multistage shelf 22, the cup hanger 23 is stored or put while hanging, the small appliances are placed in the lower, the props are put in the storage drawer 24, the front of the storage unit 20 Closed by bellows door 40 will be stored.

이어서 상기 수납부(20)에 넣어져 있는 컵, 식기와 같은 소도구 또는 믹서, 토스터기, 커피포트등과 같은 소가전 제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수납부(20)의 전면을 닫고 있는 자바라 도어(40)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 주게 되면, 상기 자바라 도어(40)는 내부 좌우측벽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안내레일(21)을 따라 자중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수납부(20)의 전면을 개방하게 되고,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20)가 큰 경우 자바라 도어(40)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주게 되면, 상기 자바라 도어(40)와 연결된 와이어(51)가 권취롤러(50)로 권취되면서 상방으로 슬라이딩되게 되어 수납부(20)의 면면을 열어주게 된다.Subsequently, if you want to use small appliances such as cups and tableware or small appliances such as mixers, toasters, coffee pots, etc., which are put in the storage unit 20, the bellows door closing the front of the storage unit 20 ( When the 40 is pushed upward, the bellows door 40 extends lo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inner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moves upward along the guide rails 21 to be slid upward, thereby sliding the accommodating part ( The front of the 20 is opened, and as shown in FIG. 3, when the housing 20 is large, when the bellows door 40 is pushed upward, the wire 51 connected to the bellows door 40 is opened. As it is wound up by the winding roller 50, it is slid upwards to open the surface of the housing 20.

이와 같이 주방가구(10)의 수납부(20)를 열어준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20)에 보관중인 식기 또는 컵과 같은 소도구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여기서상기 믹서, 토스터기, 커피포트와 같은 소가전 제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소가전 제품을 꺼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콘센트(30)에 소가전 제품의 전원코드를 접속하여 그 위치에서 그대로 편리 사용할 수 있게 된다.As such, in the state in which the storage unit 20 of the kitchen furniture 10 is opened, a small tool such as a tableware or a cup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 can be taken out and used, wherein the mixer, toaster, and coffee pot are used. In the case of using the same small appliances, the power cord of the small appliances is connected to the outlet 30 in a state where the small appliances are not taken out so that they can be conveniently used as they are.

한편 꺼내어 사용했던 식기 또는 컵, 소도구등을 보관 또는 소가전 제품을 보관하고자 할 경우, 상기 식기 또는 컵, 소도구를 모두 제자리에 위치에 놓고나 걸어주고, 상기 소가전 제품의 경우에는 콘센트(30)로 부터 전원코드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자바라 도어(40)를 하방으로 당겨줌으로써, 상기 자바라 도어(40)는 자중에 의하여 안내레일(21)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수납부(20)의 전면을 닫아 주어 수납부(20)의 내부를 노출시키지 않고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keep the tableware, cups, props, etc. that were taken out or store the small appliances, put all the tableware, cups, and props in place or walk, in the case of the small appliances outlet 30 By pulling the bellows door 40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cord is separated from the door, the bellows door 40 slides along the guide rail 21 by its own weight to close the front of the housing 20. The storage unit 20 will be stored without exposing the insid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컵이나 식기와, 소가전 제품이 보관하면서 사용하는 주방가구에 수납부와, 상기 소가전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와; 상기 수납부의 전단에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개폐하는 자바라 도어를 구비하여 줌으로써, 보관시 수납부의 내부를 노출시키기 않은 상태에서 보관이 이루어게 되므로 보다 깔끔한 주방을 연출은 물론,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차단하면서 보다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p or tableware, an accommodating part in a kitchen furniture used while the small appliance is stored, and an outle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mall appliance; By providing a bellows door that opens and closes while moving up and down on the front of the housing, the storage is made without expos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during storage, thus producing a cleaner kitchen, as well as introducing dust or foreign matter. It will be able to keep more hygienic while blocking.

Claims (3)

식기 또는 컵과 같은 소도구 또는 믹서, 토스터기, 커피포트 등의 소가전 제품을 보관하는 주방가구에 있어서, 상기 주방가구에 상기 컵이나 식기와, 소가전 제품이 보관되는 수납부와; 이 수납부의 내부에 상기 소가전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와; 상기 수납부의 전단에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개폐하는 자바라 도어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A kitchen appliance for storing small appliances such as tableware or cups or small appliances such as mixers, toasters, and coffee pots, the kitchen furniture comprising: an accommodating portion for storing the cups and tableware and small appliances in the kitchen furniture; An outle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mall appliance inside the housing; Kitchen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bellows door to open and close while moving up and down in front of th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좌우측벽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자바라 도어를 안내하는 안내레일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The kitchen furni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storage unit are provided with guide rails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to guide the bellows 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상부 외측에는 와이어를 풀었다 감았다 하면서 자바라 도어를 승하강하면서 슬라이딩 개폐하는 권취롤러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The kitchen furnitur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inding roller for sliding and opening and closing the bellows door while raising and lowering the wire while unwinding and winding the wire.
KR20-2003-0011074U 2003-04-10 2003-04-10 Kitchen furniture KR20031940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074U KR200319403Y1 (en) 2003-04-10 2003-04-10 Kitchen furni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074U KR200319403Y1 (en) 2003-04-10 2003-04-10 Kitchen furni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403Y1 true KR200319403Y1 (en) 2003-07-10

Family

ID=49410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074U KR200319403Y1 (en) 2003-04-10 2003-04-10 Kitchen furni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403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195B1 (en) * 2013-01-04 2014-11-20 진주영 Keeping facilities
KR101548826B1 (en) * 2013-12-19 2015-09-01 윤정한 Kitchen cabine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195B1 (en) * 2013-01-04 2014-11-20 진주영 Keeping facilities
KR101548826B1 (en) * 2013-12-19 2015-09-01 윤정한 Kitchen cabine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54002B2 (en)
US6595607B2 (en) Counter top appliance stand
KR200319403Y1 (en) Kitchen furniture
KR101548826B1 (en) Kitchen cabinets
JPS6318484B2 (en)
KR101477416B1 (en) store system for sink
KR200358395Y1 (en) Kitchen furniture
JPS6129312Y2 (en)
CN217906896U (en) Cabinet capable of improving space utilization rate
JPH0352434Y2 (en)
CN213927249U (en) Assembled kitchen wallboard
KR200363200Y1 (en) Shelf suitable to kinchi refrigerator
JPS591550Y2 (en) kitchen equipment
JPS6129311Y2 (en)
KR200307210Y1 (en) Multipurpose furniture with pottery rice-box
JPH0245B2 (en)
KR200324914Y1 (en) a top recipience cabinet of sink
JP5069899B2 (en) Face-to-face storage cabinet
KR200344264Y1 (en) Multipurpose furniture with pottery rice-box possible of slide
KR200288618Y1 (en) Wardrobe with storage box
JPS6063003A (en) Kitchen apparatus
KR200464656Y1 (en) Furniture module having accessories cabinet
JPS6255409B2 (en)
RU67828U1 (en) ANTresOL
JP2003310517A (en) Kitche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