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890Y1 - 사료살포장치 - Google Patents

사료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890Y1
KR200318890Y1 KR20-2003-0012064U KR20030012064U KR200318890Y1 KR 200318890 Y1 KR200318890 Y1 KR 200318890Y1 KR 20030012064 U KR20030012064 U KR 20030012064U KR 200318890 Y1 KR200318890 Y1 KR 200318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conveyor unit
base
unit
sp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길
유금범
박재필
정우건
Original Assignee
유금범
정용길
박재필
정우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범, 정용길, 박재필, 정우건 filed Critical 유금범
Priority to KR20-2003-0012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8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8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료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고정되어 설치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사료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유니트(20)와, 상기 베이스(10)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컨베이어유니트(20)의 단부에 설치되어 컨베이어유니트(20)에 의해 공급되어온 사료를 살포하는 사료살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와 컨베이어유니트(20)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컨베이어유니트(20)의 회전을 위한 회전중심축(28)과 상기 회전중심축(28)이 수납되는 회전중심보스(12)가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유니트(20)가 회전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26)이 삽입되는 고정보스(14)와 고정원통(25)이 베이스(10)와 컨베이어유니트(20)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집단사육장에서 사료를 원하는 위치로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사료살포장치{A feed feeder}
본 고안은 사료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량사육을 하는 양식장 등에서 사료를 원하는 위치에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사료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식장이나 목장 등에서 어류나 동물을 집단으로 사육하는 것이 일반화 되었다. 이들 어류나 동물을 집단으로 사육하기 위해서는 사료를 먹여야 하고, 상기 사료는 대량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료를 공급하고 어류나 동물에게 살포하는 것 또한 자동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에 가두리 양식장과 같은 곳에서 사료를 펠릿 형태로 만들어 어류에 공급하고 있다. 하지만, 펠릿제조기에서 만들어진 펠릿을 일일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옮기고 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양식등의 집단사육이 점차 대형화 되어 가는 추세에서 펠릿으로 만들어진 사료를 일일이 작업자가 살포하는 것은 인력을 구하기 힘든 농어촌의 현실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료를 보다 넓은 범위에 보다 용이하게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까지 사료를 살포할 수 있는 사료살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하지 않을 때 사료살포장치를 주변의 물체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사료살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와 그 주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 컨베이어유니트를 베이스에 고정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사료살포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살포차의 개략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사료살포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이스 12: 회전중심보스
14: 고정보스 16: 펠릿제조기
17: 사료배출구 18: 지지대
19: 연결링 20: 컨베이어유니트
21: 컨베이어프레임 22: 컨베이어벨트
23: 컨베이어모터 25: 고정원통
26: 고정핀 27: 지지바아
28: 회전중심축 30: 사료살포부
31: 장착브라켓 32: 살포차모터
33: 회전축 33': 베어링부
34: 살포차 35: 살포날개
40: 지지레그 42: 바아연결부
43: 텐션바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고정되어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사료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유니트와, 상기 베이스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컨베이어유니트의 단부에 설치되어 컨베이어유니트에 의해 공급되어온 사료를 살포하는 사료살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와 컨베이어유니트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컨베이어유니트의 회전을 위한 회전중심축과 상기 회전중심축이 수납되는 회전중심보스가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유니트가 회전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이 삽입되는 고정보스와 고정원통이 베이스와 컨베이어유니트에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컨베이어유니트로 사료를 공급하는 장치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컨베이어유니트의 중간 하부에는 컨베이어유니트의 지지를 위한 지지레그가 더 구비된다.
상기 컨베이어유니트의 선단에는 바아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아연결부에는 텐션바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텐션바의 타단부는 별도의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유니트의 선단측을 지지한다.
상기 사료살포부는, 상기 컨베이어유니트에 장착되는 장착브라켓과, 상기 장착브라켓에 구비되는 베어링부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다수개의 살포날개를 구비하여 컨베이어유니트에서 전달된 사료를 쳐서 살포하는 살포차와, 상기 살포차를 구동시키는 살포차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살포차는 중앙에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가지는 중심원통의 외주면에 접선방향으로 상기 살포날개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사료살포장치에 의하면 사료를 보다 넓은 범위에 보다 용이하게 살포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까지 사료를 살포할 수 있게 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주변 물체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사료살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사료살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와 그 주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컨베이어유니트를 베이스에 고정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사료살포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베이스(10)는 사료살포장치가 놓여지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그 일측에 회전중심보스(12)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중심보스(12)에는 삽입공(도시되지 않음)이 상부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0)의 타측에는 고정보스(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보스(14)에는 상부로 개구되게 핀홀(15)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이 구비되는 바닥면에 안착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사료살포장치로 펠릿형태의 사료를 공급하는 펠릿제조기(16)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펠릿제조기(16)의 일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된다. 도면부호 17은 펠릿형태의 사료가 배출되는 사료배출구이다.
한편, 상기 펠릿제조기(16)의 일측에는 지지대(18)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8)는 펠릿제조기(16)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바아가 서로 경사지게 세워져 선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8)의 선단에는 연결링(19)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링(1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텐션바(43)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컨베이어유니트(20)는 펠릿제조기(16)에서 배출된 사료를 이송하는 역할을하는 것이다. 상기 컨베이어유니트(20)는 컨베이어프레임(21)에 컨베이어벨트(2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22)는 컨베이어모터(23)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컨베이어모터(23)는 컨베이어유니트(20)의 선단, 즉 상기 펠릿제조기(16)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상기 컨베이어프레임(21)의 일측에는 고정원통(25)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원통(25)은 상기 고정보스(14)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유니트(20)를 상기 베이스(10)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료살포장치가 실제로 사용될 때, 컨베이어유니트(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보스(14)가 하나만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고정보스(14)를 상기 고정원통(25)의 이동궤적을 따라 다수개 배치하면 컨베이어유니트(2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핀(26)은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원통(25)을 관통하여 고정보스(14)에 삽입되어 상기 컨베이어유니트(20)의 설치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핀(26)에는 링형상의 손잡이(26')가 구비되어 그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컨베이어프레임(21)의 일단부에는 지지바아(27)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바아(27)는 상기 컨베이어프레임(21)의 일단부 하단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그 중앙에 회전중심축(28)을 가진다. 상기 회전중심축(28)은 상기 회전중심보스(12)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유니트(20)는 상기 회전중심축(28)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설치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중심축(28)이 설치된 반대쪽에는 사료살포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사료살포부(30)는 상기 컨베이어유니트(20)를 따라 전달된 사료를 흩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컨베이어프레임(21)의 선단 양측에는 장착브라켓(31)이 설치된다. 상기 장착브라켓(31)에는 살포차모터(32)가 설치된다. 상기 살포차모터(32)는 유압모터로서 아래에서 설명될 살포차(34)를 구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장착브라켓(31)에는 상기 살포차모터(32)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3)의 양단이 지지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장착브라켓(31)에 설치된 베어링부(33')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회전축(33)에는 살포차(34)가 설치된다. 상기 살포차(34)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3)이 회전중심에 연결된 중심원통(35')이 구비되고, 상기 중심원통(35')에 살포날개(34)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살포날개(34)는 상기 중심원통(35')의 외주면에 접선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상기 살포날개(34)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심원통(35')은 그 직경이 d이고 길이가 4d 정도된다. 그리고, 상기 살포날개(34)는 상기 중심원통(35')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고 폭은 약 1.5d정도이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유니트(20)의 일측 하부에는 지지레그(4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레그(40)는 사료살포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이 구비되는 바닥면에 컨베이어유니트(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레그(40)가 구비되는 컨베이어유니트(20) 근처에는 바아연결부(42)가 구비된다. 상기 바아연결부(42)는 상기 컨베이어프레임(21)에 연결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18)의 연결링(19)에 일측이 연결된 텐션바(43)의 타측이 연결된다. 상기 텐션바(43)는 상기 컨베이어유니트(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지지레그(40)가 컨베이어유니트(20)를 지지하지 못할 때 그러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사료살포장치는 다양한 집단사육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가두리양식장과 같은 곳에서 사용할 때는 뗏목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사료살포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사료살포장치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뗏목(B)에 설치되어 가두리양식장과 같은 곳에서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사료살포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6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뗏목(B)의 내측에 위치되게 한다. 이때에는 상기 지지레그(40)가 뗏목(B)의 갑판 상에 안착되어 컨베이어유니트(20)를 지지한다.
그리고, 사료살포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컨베이어유니트(20)를 상기 회전중심축(28)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컨베이어유니트(20)가 회전되어 상기 고정원통(25)이 고정보스(14)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게 되면 상기 고정핀(26)을 상기 고정원통(25)을 관통하여 고정보스(14)에 삽입되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 6에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유니트(20)가 뗏목(B)의 일측으로돌출되게 설치된다.
물론, 상기 고정보스(14)가 베이스(10)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면, 반드시 상기 컨베이어유니트(20)가 뗏목(B)의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만 설치되지 않고 다양한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레그(40)가 상기 컨베이어유니트(20)를 더 이상 지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유니트(20)는 상기 텐션바(43)에 의해 당겨지면서 지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료를 살포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펠릿제조기(16)에서 사료가 펠릿 형태로 만들어져 상기 사료배출구(17)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벨트(22)상에 안착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22)는 상기 컨베이어모터(23)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사료가 이송되게 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22)의 선단으로 이송된 사료는 컨베이어벨트(22)에서 낙하되어 상기 살포차(34)에 의해 흩뿌려진다. 이때, 상기 살포차(34)는 상기 살포차모터(32)에 의해 회전되는데, 상기 살포차(34)가 회전하면 상기 살포날개(35)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2)에서 낙하되는 사료를 쳐서 흩뿌리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사료살포장치에서는 다음과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된 사료를 살포차의 살포날개가 쳐서 흩뿌려주므로 사료를 자동적으로 그리고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에 용이하게 살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에 더해 컨베이어유니트의 길이를 적절하게 설계함에 의해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까지 사료를 살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가두리 양식장과 같은 곳에서는 작업자가 별도로 보트 등을 타고 접근해야만 하는 곳에도 쉽게 사료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컨베이어유니트를 그 일단부를 중심으로 선회시켜 설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료살포장치를 필요시에만 원하는 위치에 연장시켜 사용하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주변의 물체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고정되어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사료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유니트와,
    상기 베이스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컨베이어유니트의 단부에 설치되어 컨베이어유니트에 의해 공급되어온 사료를 살포하는 사료살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살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컨베이어유니트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컨베이어유니트의 회전을 위한 회전중심축과 상기 회전중심축이 수납되는 회전중심보스가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유니트가 회전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이 삽입되는 고정보스와 고정원통이 베이스와 컨베이어유니트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사료살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컨베이어유니트로 사료를 공급하는 장치에 연결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살포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유니트의 중간 하부에는 컨베이어유니트의 지지를 위한 지지레그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살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유니트의 선단에는 바아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아연결부에는 텐션바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텐션바의 타단부는 별도의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유니트의 선단측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살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살포부는,
    상기 컨베이어유니트에 장착되는 장착브라켓과,
    상기 장착브라켓에 구비되는 베어링부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다수개의 살포날개를 구비하여 컨베이어유니트에서 전달된 사료를 쳐서 살포하는 살포차와,
    상기 살포차를 구동시키는 살포차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살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차는 중앙에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가지는 중심원통의 외주면에 접선방향으로 상기 살포날개가 설치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살포장치.
KR20-2003-0012064U 2003-04-18 2003-04-18 사료살포장치 KR2003188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064U KR200318890Y1 (ko) 2003-04-18 2003-04-18 사료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064U KR200318890Y1 (ko) 2003-04-18 2003-04-18 사료살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890Y1 true KR200318890Y1 (ko) 2003-07-04

Family

ID=4941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064U KR200318890Y1 (ko) 2003-04-18 2003-04-18 사료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89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690Y1 (ko) 2009-05-06 2009-11-25 천인호 선박 정박장치
KR20190132180A (ko) * 2018-05-17 2019-11-27 (주)아쿠아넷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한 어류용 사료급여기
KR102099447B1 (ko) * 2019-03-05 2020-04-09 블루오션영어조합법인 가두리 양식장의 사료공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690Y1 (ko) 2009-05-06 2009-11-25 천인호 선박 정박장치
KR20190132180A (ko) * 2018-05-17 2019-11-27 (주)아쿠아넷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한 어류용 사료급여기
KR102229111B1 (ko) 2018-05-17 2021-03-22 (주)아쿠아넷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한 어류용 사료급여기
KR102099447B1 (ko) * 2019-03-05 2020-04-09 블루오션영어조합법인 가두리 양식장의 사료공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1971B2 (en) Game feeder
WO2003032720A3 (en) Automatic animal feeder
US4719875A (en) Hog feeder with flexible agitator
US11730140B2 (en) Game feeder
US20050126501A1 (en) Feeder and methods for dispensing feed for birds and /or animals
US20130174787A1 (en) Tree mountable animal feeder
KR200318890Y1 (ko) 사료살포장치
US5975021A (en) Centrifugal feed distributor
CA2382484A1 (en) A device for supplying feed to animals
US20010029897A1 (en) Programmable hay-forage feeder
US7028636B2 (en) Rotatable bird feeder
US10226027B2 (en) Brush device for animals
CA2113512C (en) Hay distributing apparatus
KR200367523Y1 (ko) 사료살포장치
US20100132616A1 (en) Multi-finger spinner feeder and method of using same
CN212852199U (zh) 一种养殖水产用饲料混匀均匀播撒装置
US6305319B1 (en) Rotating bird feeder
US6814029B1 (en) Deer feeder
CN210869283U (zh) 一种羊用旋转喂食装置
GB2257884A (en) Pheumatic broadcaster.
CN219395878U (zh) 一种定时定量的饲料投放设备
US20230363351A1 (en) Game feeder
CN219698772U (zh) 一种饲料定时喂养装置
KR200315771Y1 (ko) 어류용 사료공급장치
EP1074177A2 (en) Animal liquid fee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