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514Y1 - 의자의 탄성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의 탄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514Y1
KR200318514Y1 KR20-2003-0010862U KR20030010862U KR200318514Y1 KR 200318514 Y1 KR200318514 Y1 KR 200318514Y1 KR 20030010862 U KR20030010862 U KR 20030010862U KR 200318514 Y1 KR200318514 Y1 KR 200318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hair
fixed
back plat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병섭
Original Assignee
심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병섭 filed Critical 심병섭
Priority to KR20-2003-0010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5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인용 의자의 탄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각 좌판과 등판을 고정축으로 일측을 축설하여 사람이 의자에 앉으면 고정축을 기점으로, 고정축에 고정캡, 회동캡으로 설치한 코일스프링의 감김탄력과 풀림탄력에 의하여 연결캡과 받침판과 일체로 부착시킨 좌판 및 등판이 회동간격 범위내에서 회동되게 함으로 의자에 앉으면 쿠션과 탄력을 받게되어 안락한 의자를 이용할 수 있고 또 간단한 구조로 조립이 간편하고 견고한 의자를 장기간 이용 될수 있게 고안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의 탄성장치 {Tension device of chair}
본 고안은 2인용 의자에 있어서, 좌판과 등판에 설치한 탄성장치에 의하여 사람이 의자에 앉으면 좌판과 등판의 끝부가 고정축을 기점으로 코일스프링의 감김탄력과 풀림탄력에 의하여 일정간격의 회동작용을 하도록 하여 앉은 몸의 움직이는 작동에 따라서 탄력과 안락한 탄성력을 가지게한 의자의 탄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의 좌판 및 등판이 의자 몸체에 고정상태로 조립된 구조이고 또 좌판 및 등판 내부에 스프링을 장입시켜 스폰지와 함께 쿠션을 가지도록 한 의자는 있었다.
이러한 의자구조는 볼품이 없고 딱딱한 감각을 주므로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으면 피로감이 크고 안락한 의자로 이용되지 못한 폐단이 있고 스프링장입의 좌판, 등판은 자체쿠션으로 안정감은 있으나 몸을 움직일때 유동감을 주지 못하므로 앉은몸의 유동작에 따르는 안락하고 피로감이 적은 의자로는 이용되지 못한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개선함과 동시에 의자 조립구조가 간단하고 또 조립이 간편할 뿐아니라 견고한 안락의자로 장기간 사용될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2인용 또는 3인용의자의 좌판과 등판은 각기 동일의 고정축에 연결 설치되어지고 또 고정축 양단은 의자몸체인 앞다리와 곡선형 뒷다리 받침대에 연결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비교적 간단하고도 안락한 의자를 제공할수 있도록 할 목적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각각의 좌판과 등판은 동일의 고정축에 내향의 고정캡과 회동캡을 연속적으로 설치한 내부에 코일스프링을 각각 설치하여 회동캡이 코일스프링의 감김탄력과 풀림탄력을 같이 받게하고 또 회동캡은 좌판 또는 등판의 받침판 선단에 부착시킨 연결캡과 고정핀으로 연결 고정시켜서 대향의 연결캡과 사이에 고정축 외면으로 끼운 연결관을 연결 부착한 구조로 하므로 양측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좌판 또는 등판은 균등하게 받게되므로 탄성력 작용은 안정감이 있고 또 고장없이 장기간 이용되게 할 목적으로 착안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장착된 2인용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조 일부를 절개한 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조 일부를 전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앞다리 3 : 뒷다리 받침대 4 : 고정축
5 : 좌판 6 : 등판 7,7′: 고정캡
8,8′: 회동캡 9 : 코일스프링 10 : 키삽입홈
11 : 키돌기 13,13′: 연결캡 15 : 연결관
H : 회동간격
의자몸체(1)인 양측의 앞다리(2) 상부와 뒷다리 받침대(3)의 상부사이에 고정축(4)으로 좌판(5)과 등판(6) 일측을 도 1과 같이 설치하여 반대측이 회동되게 한 2인용 의자에 있어서,
좌판(5)과 등판(6)을 설치한 각각의 고정축(4)에 도 2에서와 같이 좌판(5) 및 등판(6)을 폭으로 고정캡(7)(7′)을 대향으로 삽입 고정하고 고정캡(7)(7′) 내측에는 회동캡(8)(8′)을 고정축(4)에 삽입공(20)으로 끼워 결합한 내에 코일스프링(9)을 각각 탄력 설치하되 코일스프링(9) 일단은 고정캡(7)(7′)에 다른단은 회동캡(8)(8′)에 고정시켜서 회동캡(8)(8′)이 코일스프링(9)의 감김탄력과 풀림탄력을 받도록 하고 또 회동캡(8)(8′)의 회동 한개를 정하고 또 코일스프링(9)의 안전한 조립을 위하여 고정캡(7)(7′) 외부 사방으로형 키삽입홈(10)을 형성하고 또 회동캡(8)(8′)에 키삽입홈(10)의 싸이즈 보다 작은 크기의형 키돌기(11)를 또한 사방에 형성하여서 회동캡(8)(8′)의 키돌기(11)가 고정캡(7)(7′)의 키삽입홈(10)에 사방에서 삽입 결합되어지고 동시에 도 3에 도시된 회동간격(H)이 유지되게 구성하고 또한 회동캡(8)(8′) 외면에는 고정홈(12)(12′)을 형성하여 삽입공 (20′)으로 고정축(4)에 끼운 연결캡(13) 내면에 형성한 고정핀(14)(14′)으로 고정홈(12)(12′)에 삽입 결합하여 연결캡(13)(13′)과 회동캡(8)(8′)은 일체로 같이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또한 연결캡(13)과 연결캡(13′) 사이에는 고정축 (4) 외부로 연결관(15)을 끼워 연결캡(13) 및 연결캡(13′)이 일체로 동시 회동가능 하게 하고 또 연결캡(13)(13′) 외부로는 좌판(5)과 등판(6)을 구성하는 양측의 받침판(17) 선단부(17′)를 부착하여 받침판(17) 선단부(17′) 반대단부(17a)를 앉아 눌렀을때 좌판(5) 과 등판(6)을 이루는 받침판(17) 연결캡(13)(13′) 및 회동캡 (8)(8′)은 일체로 코일스프링(9)의 감김탄력을 받게 하고 또 일어났을 때 감겼던 코일스프링(9)의 풀림탄력을 받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본 고안은 양측의 받침판(17)위를 스폰지 등의 탄력포지를 감쌓아서 좌판(5)과 등판(6)를 구성함은 통상의 방법으로 구성시킨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의자몸체(1)인 양측의 앞다리(2) 상부와 뒷다리 받침대(3)의 상부 사이에 하나의 고정축(4)으로 각각 좌판(5)과 등판(6) 일측이 각각 축설되어져있고 또 좌판(5) 뒷끝과 등판(6) 하부끝이 횡으로 공간을 이루고 있어 의자조립이 간단히 된다.
또한 고정축(4)으로 설치된 좌판(5)과 등판(6)은 도면 도2, 도3, 도4의 도시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좌판(5)과 등판(6) 마다에 고정축(4) 양측에 고정시킨 고정캡(7)(7′) 내측에 회동캡(8)(8′)과 연결캡(13)(13′)이 고정홈(12)(12′)과 고정핀(14)(14′)으로 끼워 결합하고 있으며 또 연결캡(13)과 연결캡(13′) 사이에 연결관(15)으로 연결시켜 일체로 되고 또한 삽입공(20)(20′)으로 고정축(4)에 끼워 삽입결합시킨 고정캡(7)(7′) 및 회동캡(8)(8′)내의 고정축(4) 외부로 코일스프링(9) 일단은 고정캡(7)(7′)에 다른 단은 회동캡(8)(8′)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을뿐더러, 고정캡(7)(7′)의 사방에 형성시킨 키삽입홈(10)에 회동캡(8) (8′) 사방에 형성된 키삽입홈(10)보다 작은싸이즈의 키돌기(11)가 삽입 결합되어져서 회동간격(H)을 이루고 있고 또한 회동캡(8)(8′)과 일체로 결합 부착된 연결캡(13) 및 (13′)은 연결관(15)으로 연결되어져서 좌판(5)과 등판(6)을 이루는 받침판(17)의 선단부(17′)에 각각 원형으로 삽입 부착되어져서 단일체를 이루고 있으므로 양측의 회동캡(8) 및 (8′)는 동시에 균형적으로 회동간격(H)범위 내에서 회동작용을 원활하게 하므로 좌판(5)과 등판(6)은 안정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9)의 감김탄력과 풀림탄력을 받게 되어 안락한 의자 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좌판(5)과 등판(6)의 회동범위는 고정캡(7)(7′)에 형성된 회동간격(H) 범위로 정하므로 좌판(5)과 등판(6)은 무리없이 안전한 탄성작용을 하므로 안전한 의자를 이용할수 있고 이러한 구조는 코일스프링(9)을 내장한 고정캡(7)(7′) 회동캡(8)(8′) 연결캡(13)(13′) 및 연결관(15)을 고정축(4) 일측으로 끼워 맞추고 고정조립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견고한 효과가 있어 널리 다량 제작 이용될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1)

  1. 양측의 앞다리(2) 상부와 뒷다리 받침대(3)의 상부 사이에 고정축(4)으로 좌판(5)과 등판(6) 일측을 각각 축설하게 된 의자에 있어서,
    고정축(4)에 좌판과 등판폭으로 고정캡(7)(7′)을 고정하고 고정캡(7)(7′) 사방에 형성한형 키삽입홈(10)에는 중간의 삽입공(20)으로 고정축(4)에 끼워 맞춘 회동캡(8)(8′)의형 키돌기(11)를 삽입 결합하여 회동간격(H)이 형성되게 함과 동시에 내부로 코일스프링(9)을 끼워 일단은 고정캡(7)(7′)에 고정시키고 다른단은 회동캡(8)(8′)에 고정하고 회동캡(8)(8′) 내면에는 연결관(15)으로 결합시킨 연결캡(13)(13′)을 회동캡(8)(8′)과 일체로 부착시키고 연결캡(13)(13′)은 좌판(5)과 등판(6)을 이루는 받침판(17)의 선단부(17′)와 부착 결합하여 일체로한 의자의 탄성장치.
KR20-2003-0010862U 2003-04-09 2003-04-09 의자의 탄성장치 KR200318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862U KR200318514Y1 (ko) 2003-04-09 2003-04-09 의자의 탄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862U KR200318514Y1 (ko) 2003-04-09 2003-04-09 의자의 탄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514Y1 true KR200318514Y1 (ko) 2003-07-02

Family

ID=49409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862U KR200318514Y1 (ko) 2003-04-09 2003-04-09 의자의 탄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5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799B1 (ko) 좌판 틸팅형 의자
US20020084687A1 (en) Sling chair
US8919885B2 (en) Simple self-assembly chair for health
KR20120044577A (ko) 휴대용 의자
KR200450927Y1 (ko) 좌판 접이식 의자
KR101754071B1 (ko) 요추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등받이
KR102141589B1 (ko)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200318514Y1 (ko) 의자의 탄성장치
KR20150046490A (ko) 의자
KR100428434B1 (ko) 등받이폭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지지구
US20170340120A1 (en) Structure for chair backrest
KR200388338Y1 (ko)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
KR200436739Y1 (ko) 헤드레스트
KR100942429B1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KR100981057B1 (ko) 의자용 신체받이류의 결합연결구조
KR100651612B1 (ko) 의자용 등받이의 조립구조
KR100499339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등받이
CN209995721U (zh) 一种新颖椅靠背
KR200422115Y1 (ko) 수평회동 가능한 의자용 팔걸이
KR200342421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KR200382955Y1 (ko)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
KR200401274Y1 (ko) 의자용 팔걸이의 힌지구조
KR200395547Y1 (ko) 침대겸용 소파
KR200327969Y1 (ko) 탄성부를 갖는 등받이 의자
CN220109436U (zh) 一种腰靠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