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187Y1 - Terminal Box - Google Patents

Terminal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187Y1
KR200318187Y1 KR20-2003-0008737U KR20030008737U KR200318187Y1 KR 200318187 Y1 KR200318187 Y1 KR 200318187Y1 KR 20030008737 U KR20030008737 U KR 20030008737U KR 200318187 Y1 KR200318187 Y1 KR 200318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movable
spring
cover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73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20-2003-0008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18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187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결한 구조의 가동성(可動性)을 갖는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box having a compact structure of the (movable).

이러한 본 고안은 벽체에 매립되는 단자함의 양 측벽부에는 철근 골조에 고정되는 가동체를 그 단자함에 슬라이딩 되게 설치함과 아울러 가동체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되게 하여, 상기 단자함을 철근 골조로부터 상기 가동체의 가동 범위 내에서 이동되게 하였다. 따라서, 철근 골조의 다소 불규칙적인 배치에 의한 단자함의 위치에 변형이 있더라도 단자함의 가동성에 의한 거푸집과의 간격조절로 항시 밀착성을 유지하여, 시멘트 몰탈의 타설시 그 시멘트 몰탈이 단자함의 내부로 유입되는 일이 없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the movable body fixed to the reinforcement frame on both side wall portions of the terminal box embedded in the wall so as to slide in the terminal box,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is applied to the movable body, thereby moving the terminal box from the reinforcing frame The sieve was allowed to move within its operating range. Therefore, even if there is deformation in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box due to the irregular arrangement of the reinforcing bar frames, the adhesiveness is always maintained by adjusting the gap with the formwork due to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box. It did not work.

Description

단자함{Terminal Box}Terminal box

본 고안은 단독, 공동주택 혹은 건물 등의 벽체에 매설되어 배선(配線)되는 통신선과 연결되는 단자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에 관 한 것으로, 특히 단자함 본체의 일부위를 그 단자함 본체와는 독립적으로 이동되는 가동성을 갖게하여 벽체에 매립설치시 작업성을 향상 시킨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box that provides a space for installing terminal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line buried in a wall of a single house, a common house or a building, and particularly, a part of the terminal box body and the terminal box body. Regarding the terminal box to improve the workability when installed on the wall by having a movable movable independently.

일반적으로 단자함이라고 하면, 단독, 공동주택 혹은 건물 등의 시공시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예컨대 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인데, 위와 같은 단자함을 벽체에 매설하는 과정을 보면, 벽체를 형성하는 철근 골조를 먼저 설치 후, 그 철근 골조에는 기 준비된 단자함을 그 단자함의 개구부를 실내로 노출되게 위치하고, 이어서 거푸집을 설치 후 시멘트 몰탈을 타설함에 의해 단자함이 매입된 벽체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에서 거푸집의 설치시 그 거푸집은 단자함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상태로 설치해야만 한다. 그 이유는 시멘트 몰타르의 타설시 시멘트 몰타르가 개구를 통하여 단자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general, the terminal box is to provide a space for installing terminals for connecting electric wires, such as electric wires, telephone lines, Internet dedicated lines, and antenna lines, which are buried in the walls of a single house, apartment house, or building. In the process of embedding the terminal box in the wall, the first step is to install the reinforcing bar frame to form the wall, and then place the prepared terminal box to expose the opening of the terminal box to the room, and then install the formwork and cement mortar The terminal box is formed by embedding the wall into which the terminal box is embedded. When the formwork is installed in the above, the formwork must be installed with the opening of the terminal box closed. The reason is to prevent the cement mortar from entering the terminal box through the opening when the cement mortar is poured.

그러나, 단자함의 개구가 거푸집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간격이 있게되는 경우에는 타설되는 그 거푸집의 내부로 타설되는 시멘트 몰탈은 상기 개구를 통해 유입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단자함의 개구를 별도의 부재나 도구를 사용하여 막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이 있고, 만약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에는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거푸집을 이탈 시킨 후에는 상기 단자함으로 유입되어 굳어진 시멘트 몰탈을 일일히 털어내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과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if the opening of the terminal box is not completely closed by the formwork and there is a certain gap, the cement mortar that is poured into the inside of the formwork being poured is likely to flow through the opening. It is inconvenient to prevent it by using a member or a tool, and if it is left as it is, the cement mortar is cured and the mold is removed. have.

위와 같은 일들이 발생되는 주된 이유는 철근 골조의 시공이 정확이 되지 못하는 작업상의 미숙에서 가끔씩 발생하게 되는데, 철근 골조의 시공상의 오차는 결과적으로 거푸집과 단자함과의 사이에 간극 등을 생기게 하는 문제를 유발한다.The main reason why these things happen is that sometimes the construction of reinforcing bar frames is inaccurate, and the construction error of reinforcing bar frames results in a gap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terminal box. caus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개발한 것으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에 등록번호 제20-276,316호로 실린 "옥내 배선용 접속함의 고정장치"(이하,"선행기술"이라 칭한다)가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is a "fixing device for an indoor wiring junction box"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which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76,316.

상기 선행기술의 구성을 보면, 접속함을 2개로 분할한 구성 즉, 고정브라켓의 내부에 본체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그 브라켓과 본체와의 사이에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본체는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탄성력을 받으면서 이동할수 있도록 브라켓으로부터 스프링이 수축되는 만큼 앞쪽으로 돌출된 구조를 이루게 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철근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ior ar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junction box is divided into two parts, that is, the main body is movably received in the inside of the fixing bracket, and a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bracket and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y has an elastic force from the fixing bracket. The spring is contracted from the bracket so as to move while receiving the structure to form a projecting forward, the fixing bracket is provided with a rail for fixing to the rebar.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철근 골조의 시공상 오차가 있는 경우 특히, 거푸집과 철근 골조 사이에 간격이 있게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할지라도 접속함 본체는 브라켓으로부터 스프링의 부세력으로 인하여 앞으로 돌출된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인해, 거푸집의 설치시 상기 접속함 본체는 후측으로 수축되면서 상기 거푸집과의 사이에 간격이 없이 밀착되게 함으로써, 타설되는 시멘트 몰타르가 본체의 내부로 흘러 들어가게되는 일을 없게 한다.However, the prior art, even if there is an error in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ing bar frame, in particular, even if there is a gap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reinforcing bar frame the junction box body protrudes forward due to the spring force from the bracket Therefore, when the formwork is installed, the junction box main body is contracted to the rear sid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orm without any gap, so that the cement mortar to be poured does not flow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접속함 본체를 그 본체와 같은 구조를 이루게 형성한 고정 브라켓의 내부에 수용하여 이동되게 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제작공정이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높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prior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junction box body is accommodated and moved inside a fixed bracket formed to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main body,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resulting in a high manufacturing cost.

따라서,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결점들을 해소 하고, 간결한 구성으로 작업성을 향상시켜 안가로 공급할 수 있게 한 단자함을 제공하는 데 있 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shortcomings, and to provide a terminal box that can be supplied at ease by improving the workability in a concise configur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단자함은 청구항1의 고안과 관련된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통신용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전선 인입구들을 갖는 단자함 본체, 그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커버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하는 커버후레임으로 된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 본체와 상기 커버 후레임의 양측 벽부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게 지지되며, 어느 일 측면에는 상기 철근 고정홈이 설치된 소정형상의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에 고정지지되어 상기 커버 후레임의 양측으로 입설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들과 대향 위치된 상기 커버 후레임의 양측 벽부를 관통 설치하여 일단은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맞닿게 하고 그 반대 단은 상기 커버 결합용 나사 체결공을 형성하기 위한 넓이를 제공하는 금속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가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erminal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a reinforced concrete wall associated with the invention of claim 1 terminal box body having a plurality of wire inlets to form a receiving space for install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body In the terminal box made of a cover frame to provide a place for installing the cover, the terminal box main body and the guide frame formed on both side wall portions of the cover frame is supported to be moved, the one side of the predetermined rebar fixing groove is installed The spring is fixedly supported by the movable body and the movable body and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ver frame, and both wall portions of the cover frame positioned opposite to the springs are installed so that one end contacts the end of the spring. The opposite end provides an area for forming the screw fastening hole for the cover couplin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vable apparatus consisting in a fixing piece.

또한, 상기 가동체에는 단자함 본체들의 간격 유지용 홈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vable body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groove for maintaining the spacing of the terminal box main body.

또, 상기 스프링은 원형이나 사각 단면의 철선 부재를 절단부를 갖는 환형체를 이루게 형성하여, 그 절단부에는 상기 가동체에 고정하기 위한 수직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pring is formed to form an annular body having a cut portion of the wire member having a circular or square cross section, the cu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end for fixing to the movable body.

또한,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는 고정홈이 그리고 상기 고정홈과 대면되는 상기 금속 고정편에는 측면에서 보아 ㄷ자상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pring and the metal fixing piece facing the fix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formed bent in the c-shape viewed from the side.

또,상기 단자함 본체 내부의 인입구와의 대향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설되어 상기 인입구를 통하여 인입되는 전선을 상방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갖는 안내턱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jaw having an inclined surface which protrudes upward from the opposite position to the inlet in the terminal box body to guide the wire drawn through the inlet upward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표시의 단자함을 커버만을 생략하고 표시한 분리 사시도,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erminal box of FIG. 1 with the cover omitted; FIG.

도 3은 도 2에서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본체만을 분리하여 그 내부를 보이게하여 표시한 사시도,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도 4는 동도(同圖)의 후면만을 보이게 표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rear surface of the same figure;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설치상태를 커버를 생략하고 나타낸 정면도이고,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ver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he cover,

도 6은 동 5의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of FIG. 5.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a,2b : 전선 10 : 철근 골조2a, 2b: wire 10: steel frame

100 : 단자함 110 : 단자함 본체100: terminal box 110: terminal box body

113a~113d : 전선인입구 116a,116b : 안내턱113a ~ 113d: Wire entrance 116a, 116b: Guide jaw

120 : 커버지지 후레임 200a,200b : 가동장치120: cover support frame 200a, 200b: movable device

210a,210b: 가동체 216a : 간격 유지용홈210a, 210b: movable body 216a: spacing groove

220a,220b : 스프링 230a,230b : 금속지지편220a, 220b: Spring 230a, 230b: Metal Support Pie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 표시의 단자함을 커버만 생략하고 표시한 분리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box of FIG.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100)은 단자(미도시)들이 설치되는 수용공간(112)의 개구를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하여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것인데, 그 단자함(100)은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수용 공간(112)를 형성하는 대략 장방형상의 전면 만이 개구된 단자함 본체(110)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본체(110)에는 단자에 연결하기 각종 전선들을 인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전선 인입구들(113a,113b)와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인입구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개방할 수 있게 한 임시로 폐쇄한 인입구들(113c,113d)가 개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terminal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stalled to be embedded in the reinforced concrete wall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space 112, the terminals (not shown) are installed to the outside, the terminal box ( The terminal 100 has a terminal box main body 110 having only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ont surface which forms the accommodating space 112 for installing a terminal. The main body 110 has a terminal box for introducing various wires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A plurality of wire inlets 113a and 113b and temporarily closed inlets 113c and 113d which can be opened to install the inlets as necessary are formed to be openable.

또,단자함 본체(110)의 전면에는 커버(130)을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해주는 커버 후레임(120)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terminal box body 110, the cover frame 120 that provides a place for installing the cover 130 is integrally coupled.

이렇게 구성된 상기 단자 함(100)의 양측에는 본원 고안의 단자함 본체(110)을 철근골조(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장치들(200a,200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동장치들(200a,200b)가 본원 고안에서 핵심을 이루는 부분인데, 상기 가동장치들(200a,200b)가 후술하는 거푸집과 단자함(100)과의 사이에 간극을 없게하는 중요한 역활을 한다.Both sides of the terminal box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with movable devices 200a and 200b for supporting the terminal box body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reinforcing frame 10. The movable devices 200a and 200b form a key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vable devices 200a and 200b play an important role of eliminating gaps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terminal box 100 described later.

상기 가동장치들(200a,200b)를 대별하면 철근골조(10)이 삽입 고정되는 가동체들(210a,210b), 스프링들(220a,220b) 및 금속 지지편들(230a,230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단자함(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가동장치들(200a,200b)의 구성은 양쪽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면에서 보아 상부에 위치한 가동장치(200a)만을 일예로 들어 설명한다.When the movable apparatuses 200a and 200b are roughly divided, the movable frames 210a and 210b, springs 220a and 220b, and metal support pieces 230a and 230b into which the steel frame 10 is inserted and fixed are formed. . Since the configurations of the movable apparatuses 200a and 200b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terminal box 100 are the sam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only the movable apparatus 200a positioned at an upper side as shown in the drawings.

먼저, 상기 가동체(210a)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으로 대략 장방형체를 이루게 성형되며,양단에는 상기 철근골조(10)을 끼울수 있게 한 삽입홈(211a)이 형성되어 상기 철근 골조(10)을 탄성적으로 가압되게 지지한다. 또한 가동체(210a)의 상기 삽입홈(211a)과의 반대면의 중앙에는 상기 단자함 본체(110)의 측벽부로부터 상기 커버 후레임(120)의 측벽부 까지 연장 설치된 안내레일(214a)를 따라 이동되게 지지하고자, 그 안내레일(214a)에 이동되게 삽입하는 안내홈(212a)가 전(全)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 레일(214a)의 일단 즉, 상기 단자함 본체(110)에 설치된 안내레일(214a)의 단부에는 상기 가동체(210a)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막힘단부(216a)가 설치되어 있다.First, the movable body 210a is formed to form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dy with a plastic injection molded product, and both ends of the grooved frame 10 are formed with insertion grooves 211a formed therein to allow the reinforced frame 10 to be fitted. Support sexually pressurized. In addition, the movable body 210a moves along the guide rail 214a which extends from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terminal box main body 110 to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cover frame 120 at the center of the surface opposite to the insertion groove 211a. In order to be supported, the guide groove 212a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214a to be moved is provided over the entire length. One end of the guide rail 214a, that is, the end of the guide rail 214a provided in the terminal box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blocking end 216a for suppress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210a.

상기 스프링(220a)는 상기 가동체(210a)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상기 스프링(220a)는 원형 단면이나 사각 단면의 철선 부재를 절단부 (221a)를 갖는 환형체를 이루게 형성한 것이며, 그 절단부(221a)에는 상기 가동체(210a)에 고정하기 위한 수직단부(22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스프링(220a)의 수직단부(222a)는 상기 가동체(210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그 반대 단은 상기 금속지지편(230a)에 닿게 되어, 상기 가동체(210a)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220a)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약간 들어가게 형성한 고정홈(223a)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홈(223a)는 상기 스프링(220a)와 맞닿게 되는 후술하는 금속 지지편(230a)의 걸림부(231a)에 걸리는 상태로 위치되게 하여 외부로의 이탈 됨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The spring 220a is installed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body 210a, and the spring 220a is formed to form an annular body having a cut portion 221a of a wire member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or a square cross section. The cut portion 221a is provided with a vertical end portion 222a for fixing to the movable body 210a. The vertical end portion 222a of the spring 220a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movable body 210a, and the opposite end thereof contacts the metal support piece 230a, thereby applying elastic force toward the movable body 210a. Grant.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spring (220a)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223a formed to be slightly entered inward, the fixing groove 223a is to be contacted with the spring 220a to be described later metal support piece (230a) It is positioned in the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231a of the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outside.

상기 금속지지편(230a)는 소정 넓이를 갖는 금속부재로서 형성한 것으로, 일단에는 상기 스프링(220a)의 고정홈(223a)에 걸린 상태로 지지되어 있게 하는 옆에서 보아 대략 ㄷ자 형상의 걸림부(231a)를 절곡 형성하고 있으며, 그 반대 단에는 하여 상기 커버(130)을 체결하기위한 나사 체결공(232a)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금속 지지편(230a)는 상기 스프링(220a)와 대향 위치된 상기 커버 후레임(120)의 양측 벽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ㄷ자 형상의 걸림부(231a)가 형성된 쪽은 상기 스프링(220a)의 고정홈(223a)에 맞닿는 상태로 위치되게 하고, 그 반대 쪽의 나사 체결공(232a)는 상기 커버 후레임(120)의 내부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커버(130)를 나사 체결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금속 지지편(230a)는 상기 커버 후레임(120)의 성형시 금형 내에 위치되어 상기 커버 후레임(120)과 일체로 고정되게 한다.The metal support piece 230a is formed as a metal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t one end of the metal support piece 230a is held in a state of being held in the fixing groove 223a of the spring 220a. 231a is bent, and a screw fastening hole 232a for fastening the cover 130 is provided at the opposite end thereof. The metal support piece 230a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a state of penetrating both wall portions of the cover frame 120 positioned opposite to the spring 220a, so that the c-shaped locking portion 231a is formed. It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fixing groove 223a of the spring 220a, and the screw fastening hole 232a on the opposite side is positioned inside the cover frame 120 to screw the cover 130. To be able. The metal support piece 230a is positioned in a mold during molding of the cover frame 120 to be integrally fixed to the cover frame 120.

상기에서 도면부호(216a)는 철근 골조(10)에 인접 배치되는 단자함(100)들의 간격을 변함이 없도록 하고자 하는 사용하는 간격유지부재(미도시)들을 삽입하는데 사용하는 상기 간격 유지용 홈으로, 그 홈(216a)는 상기 가동체(210a)두께의 반 정도 까지만 들어가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그 간격 유지용 홈(216a)는 그 홈(216a)에 삽입되는 간격유지 부재의 크기에 따라 임의로 변형 가능하다.In the above reference numeral 216a is the interval maintaining groove used to insert the spacing members (not shown) to be used so that the spacing of the terminal boxes 100 disposed adjacent to the reinforcing frame 10 does not change. The groove 216a is provided in such a manner as to enter only about half the thickness of the movable body 210a, and the gap holding groove 216a is arbitrari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holding member inserted into the groove 216a. It is possible.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 함의 설치상태를 커버를 생략하고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5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원 고안의 단자함(100)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he cover, Figure 6 is a plan view of FIG.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box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표시와 같이, 단자함(100)은 벽체를 형성하고자 기 시공된 철근 골조 (10)에 고정되는데, 상기 철근 골조(10)에의 고정은 상기 단자함(100)의 양단에 구비된 가동장치들(200a,200b)의 가동체들(210a,210b)의 끼움홈(211a)(도1,2참조)를 통하여 실시된다. 상기 단자함(100)을 상기 가동체들(210a,210b)의 끼움홈(211a)(도1,2참조)를 통해 철근 골조(10)에 끼움 고정이 완료 되면, 기 시공된 상기 철근 골조(10)의 주위로는 거푸집(5)이 설치된다(도6참조). 이때 철근 골조(10)의 시공시 약간의 변형이 있게 되는 경우, 예컨대 철근 골조(10)자체의 휨등으로 인한 변형이나 철근 골조(10)을 시공하는 작업자들의 잘못으로 인해 상기 철근 골조(10)이 원래 위치에서 약간 들어가게 시공되는 경우, 상기 단자함(100)역시 철근 골조(10)의 변형에 따라 위치 변형이 있게 되어, 거푸집과 단자함(100)과의 사이에는 본원 고안의 선행기술의 설명란에서 설명 하였듯이 간극이 존치하게 된다. 이때 간극 거리는 대체적으로 약 5mm 이하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terminal box 100 is fixed to the reinforcing steel frame 10 that is already constructed to form a wall, the fixing to the reinforcing steel frame 10 is movable devices 200a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erminal box 100 And 200b through the fitting grooves 211a (see FIGS. 1 and 2) of the movable bodies 210a and 210b. When the terminal box 100 is fitted to the reinforcing bar frame 10 through the fitting grooves 211a (see FIGS. 1 and 2) of the movable bodies 210a and 210b, the reinforcing bar frame 10 is constructed. In the circumference of), a formwork 5 is provided (see Fig. 6). At this time, when there is a slight deformation during construction of the reinforcing bar 10, for example,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reinforcing bar 10 itself or the error of workers constructing the reinforcing bar 10, the reinforcing bar 10 is originally When the construction is slightly entered from the position, the terminal box 100 also has a positional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reinforcing steel frame 10, the gap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terminal box 100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remain. The gap distance is generally about 5 mm or less.

그러나, 본원 고안의 단자함(100)은 상기 가동 장치들(200a,200b)가 단자함 본체(110)의 양 측벽부의 후단에 구비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단자함(100)을 철근 골조(10)에 고정시 거푸집(5)와 상기 철근 골조(10)와의 사이에 생기게 되는 간극보다는 항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단자함(100)의 돌출 거리 즉, 철근 골조(10)에 설치시 그 단자함(100)이 철근 골조(10)의 변형으로 인해 거푸집(5)과의 사이에 생기게되는 간극(상기에서 설명한 대략 5mm 정도이다)보다는 제품의 제조상에서 더 돌출되도록 설치되는데, 바로 상기 가동 장치들 (200a,200b)의 설치 위치가 상기 단자함(100)을 상기 철근 골조(10)로부터 거푸집 (5)을 배치하는 위치보다 약간 더 돌출되게 한다.However, the terminal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ovable devices 200a and 200b are provided at rear ends of both sidewall portions of the terminal box main body 110, so that the terminal box 100 is reinforced with the frame 10. It is always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gap created between the formwork 5 and the reinforcing bar 10 when fixed to. Protruding distance of the terminal box 100, that is, when the terminal box 100 is installed in the reinforcing frame 10, the gap between the formwork 5 and the formwork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reinforcing frame 10 (about 5 mm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more in the manufacture of the produc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movable devices (200a, 200b) than the position of placing the formwork (5) in the terminal box 100 from the reinforcing frame 10 Make it slightly more protruding.

도6의 표시와 같이, 상기 단자함(100)은 철근 골조(10)에 설치될 때 마다, 상기 철근골조(10)으로부터 거푸집(5)가 설치되는 원래의 위치 보다도 약간 돌출되게 위치된다. 그러나 본원 고안의 단자함(100)은 그 양단에 상기 가동장치들 (200a,200b)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단자함(100)의 본체(110)을 도 6의 가상선 위치로 수축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이루게 하므로, 거푸집(5)의 배치에 장해를 주지 않음은 물론 거푸집(5)와 단자함(100)과의 사이에 간극이 있게되는 일은 전연 없게 하여,시멘트 몰탈의 타설시 항시 그 시멘트 몰탈의 유입됨을 없게 한다.As shown in FIG. 6, each time the terminal box 100 is installed in the reinforcing frame 10, the terminal box 100 is positioned to protrude slightly from the original position in which the formwork 5 is installed from the reinforcing frame 10. As shown in FIG. However, since the terminal box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movable devices 200a and 200b at both ends thereof, the main body 110 of the terminal box 100 is contracted and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virtual line of FIG. 6. Therefore, it does not impede the placement of the formwork 5, and there is no gap between the formwork 5 and the terminal box 100, so that the cement mortar always flows during cement mortar pouring. It makes no sense.

즉,상기 단자함(100)의 양측에 구비된 가동장치들(200a,200b)는 도1, 2의 표시와 같이, 단자함 본체(110)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어 있는 가동체들(210a, 210b)는 철근 골조(10)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반면, 상기 가동체들(210a,210b)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단자함 본체(110)은 어디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고 오직 상기 가동체들(210a,210b)로부터 만 이동할 수 있는 자유로운 상태로 있게 된다.That is, the movable apparatuses 200a and 200b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terminal box 100 are movable bodies 210a and 210b that are slidably coupled to the terminal box body 110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erminal box body 110 coupled to the movable bodies 210a and 210b, while being integrally fixed to the reinforcing frame 10, is not fixed anywhere but only from the movable bodies 210a and 210b. Free to move.

따라서, 상기 단자함(100)이 상기 철근 골조(10)으로부터 약간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거푸집(5)을 원래의 위치에 설치 하고자, 상기 단자함(100)측에 대고서 밀면, 이때의 압압력에 의해 상기 단자함(100)의 본체(110)은 상기 가동체들(210a, 210b)에 설치된 스프링들(220a,200b)(도2참조)에 저항하면서 도 6의 가상선 위치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 때문에 거푸집(5)는 단자함(100)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시 상기 단자함(100)과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됨을 없게 하면서 설치할 수 가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단자함(100)의 내부로 시멘트 몰탈이 유입됨을 전연 없게 한다. 특히 두개의 스프링들(220a,220b)(도1,도2참조)이 양측에서 강하게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는 구조로 인하여, 본원 고안의 단자함(100)은 거푸집과의 사이에 적은 간극이라도 허용됨이 없도록 강한 밀착성을 유지한다.Therefore, even if the terminal box 100 is installed in a state slightly protruding from the reinforcing frame 10, in order to install the formwork 5 in its original position, when pushed against the terminal box 100 side, at this time The main body 110 of the terminal box 100 is pushed to the imaginary line position of FIG. 6 while resisting the springs 220a and 200b (see FIG. 2) installed in the movable bodies 210a and 210b by the pressing force. do. Because of this, the formwork 5 can be installed without any gap between the terminal box 100,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box 100 at all times. This consequently ensures no cement mortar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terminal box 100. Particularly,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two springs 220a and 220b (see FIGS. 1 and 2) strongly impart elasticity on both sides, the terminal box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llow even a small gap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die. Maintain strong adhesion.

도 3은 도 2에서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자함의 본체만을 분리하여 그 내부를 보이게하여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동도(同圖)의 후면만을 보이게 표시한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main body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howing the inside thereof,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rear side of the same figure.

단자함 본체(110)내저부의 인입구들(113a,113b)와의 대향 위치에는 측면에서 보아 반구형을 이루는 경사면들(115a,115b)를 갖는 안내턱들(116a,116b)가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턱들(116a,116b)는 상기 인입구들(113a,113b)를 통하여 인입되는 전선들(2a,2b)의 단부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턱들(116a,116b)의 경사면들(115a,115b)를 타고 올라가서 상기 단자함 본체(110)의 저부로부터 떠 있는 상태를 이루게 함으로써, 작업자들로 하여금 전선들(2a,2b)의 끝부분을 잡는데 편리하게 하여 그 만큼 작업성을 향상되게 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 인입구들(113a,113b)로부터 인입되는 전선들(2a,2b)는 상기 단자함 본체(110)의 내저부에 밀착되는 상태로 위치되어 작업자들이 선을 잡는데 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작업자들은 전선 연결작업시 대체적으로 장갑을 끼고 작업을하므로 인해 선을 잡는데 더욱 불편함이 있다.Guide jaws 116a and 116b having hemispherical inclined surfaces 115a and 115b viewed from the side are protruded from opposite positions to the inlets 113a and 113b of the inner bottom of the terminal box main body 110, respectively. The guide jaws 116a and 116b may have end portions of the wires 2a and 2b introduced through the inlets 113a and 113b as shown in FIG. 3. By climbing up the inclined surfaces 115a and 115b to form a floating state from the bottom of the terminal box main body 110, it is convenient for workers to hold the ends of the wires 2a and 2b so that the workability It is to improve. In the related art, the wires 2a and 2b drawn from the inlets 113a and 113b are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of the terminal box main body 110, so that workers have difficulty in catching the wire. In particular, workers are generally inconvenient to catch the wire because the work is generally wearing gloves when connecting the wire.

도면부호(218)은 상기 단자 본체(110)을 철근 골조에 설치시 더욱 유동됨을 없도록 하고자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홈을 나타낸 것이다.Reference numeral 218 denotes a groove used to fix the terminal body 110 so as to prevent the flow further when installed in the reinforcing bar fram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단자함 본체의 이동을 그 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가동장치들에 의해서 실행되게 한 구조에 의해, 종래의 중앙에서 하나의 스프링만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구조에 비해 거푸집과의 사이에 아주 작은 간극의 허용도 없이 보다 강한 탄성력으로 밀착 유지되게 하는 효과가 있고, 특히 종래에 비해 그 단자함 본체의 이동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수 감소에 따른 조립 공정이 쉬워 그 만큼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와 그 결과 안가로 대량 공급을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structure that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box main body is executed by the movable devices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main body, compared to the structure that imparts elastic force with only one spring in the center of the conventional It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close contact with stronger elastic force without allowing a very small gap between them. Especially,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the moving structure of the terminal box body is simpler, and the assembling workability is easy as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improved,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ly a large quantity at no cost.

Claims (5)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전선 인입구들을 갖는 단자함 본체, 그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커버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하는 커버후레임으로 된 단자함에 있어서,In a terminal box body having a plurality of wire inlets embedded in a reinforced concrete wall to form a receiving space for installing the terminal, a terminal box made of a cover fram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body to provide a place for installing the cover, 상기 단자함 본체와 상기 커버 후레임의 양측 벽부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게 지지되며, 어느 일 측면에는 상기 철근 고정홈이 설치된 소정형상의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에 고정지지되어 상기 커버 후레임의 양측으로 입설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들과 대향 위치된 상기 커버 후레임의 양측 벽부를 관통 설치하여 일단은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맞닿게 하고 그 반대 단은 상기 커버 결합용 나사 체결공을 형성하기 위한 넓이를 형성하는 금속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가동 장치를 포함하는 단자함.It is supported to be moved along the guide grooves formed on both side wall portions of the terminal box body and the cover frame, one side of the movable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provided with the reinforcing bar fixed, and fixed to the movable body, both sides of the cover frame And a spring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and opposite side walls of the cover frame positioned opposite to the springs, one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spring,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an area for forming the screw coupling hole for the cover coupling. A terminal box including a movable device made of a metal fixing piece to 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장치의 가동체에는 단자함 본체들의 간격 유지용 홈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하는 단자함.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able body of the movable device is further provided with grooves for maintaining gaps between the terminal box bod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원형이나 사각 단면의 철선 부재를 절단부를 갖는 환형체를 이루게 형성한 것이며, 그 절단부에는 상기 가동체에 고정하기 위한 수직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단자함.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ring is formed to form an annular body having a cut portion of a wire member having a circular or square cross section, and the cut portion has a vertical end portion for fixing to the movable body. 제1항 또는 제3항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는 고정홈이 그리고 상기 고정홈과 대면되는 상기 금속 고정편에는 측면에서 보아 ㄷ자상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가 더 형성 됨을 특징으로하는 단자함.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a fixing groov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pring, and a locking portion bent in a c-shape is formed on the metal fixing piece facing the fix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 본체 내부의 인입구와의 대향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설되어 상기 인입구를 통하여 인입되는 전선들을 상방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갖는 안내턱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단자함.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guide jaws having an inclined surface which protrudes upward at an opposite position to an inlet of the inside of the terminal box main body to guide upwardly the electric wires drawn through the inlet.
KR20-2003-0008737U 2003-03-24 2003-03-24 Terminal Box KR20031818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737U KR200318187Y1 (en) 2003-03-24 2003-03-24 Terminal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737U KR200318187Y1 (en) 2003-03-24 2003-03-24 Terminal Box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111A Division KR20040083598A (en) 2003-03-24 2003-03-24 Terminal Bo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187Y1 true KR200318187Y1 (en) 2003-06-28

Family

ID=49409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737U KR200318187Y1 (en) 2003-03-24 2003-03-24 Terminal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187Y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813B1 (en) 2006-02-10 2006-08-10 주식회사 영화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The variable locking device of the embedded wire terminal box
KR100640177B1 (en) 2004-07-07 2006-11-06 김근수 Terminal box
KR100650503B1 (en) 2006-09-06 2006-11-30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Fixing structure of reclaiming electric supply box
KR100662233B1 (en) * 2005-03-11 2007-01-09 유인섭 Outlet box
KR100787605B1 (en) 2005-05-23 2007-12-26 (주)상진전기 A Electric Wire Box
KR100848439B1 (en) 2006-12-11 2008-07-28 윤기홍 Shredded Electrical Terminal Box
KR100910646B1 (en) 2007-10-24 2009-08-05 김근수 Terminal box for communication and electricity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177B1 (en) 2004-07-07 2006-11-06 김근수 Terminal box
KR100662233B1 (en) * 2005-03-11 2007-01-09 유인섭 Outlet box
KR100787605B1 (en) 2005-05-23 2007-12-26 (주)상진전기 A Electric Wire Box
KR100611813B1 (en) 2006-02-10 2006-08-10 주식회사 영화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The variable locking device of the embedded wire terminal box
KR100650503B1 (en) 2006-09-06 2006-11-30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Fixing structure of reclaiming electric supply box
KR100848439B1 (en) 2006-12-11 2008-07-28 윤기홍 Shredded Electrical Terminal Box
KR100910646B1 (en) 2007-10-24 2009-08-05 김근수 Terminal box for communication and electric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7837B1 (en) Adjustable electrical box assembly
KR200318187Y1 (en) Terminal Box
KR20040083598A (en) Terminal Box
KR102073681B1 (en) A termianl box
KR100787517B1 (en) A fixing device of switch box for construction
KR200459675Y1 (en) Electric box for fixing switch outlet
KR100640176B1 (en) Terminal box
KR200387576Y1 (en) Terminal box
KR200255166Y1 (en) a wall buried socket box
KR100715952B1 (en) Terminal box
KR100902654B1 (en) Terminal box
KR200364887Y1 (en) Terminal box
KR100640177B1 (en) Terminal box
KR200363587Y1 (en) Terminal box
KR200335910Y1 (en) The fixing implement for terminal box
KR200466860Y1 (en) outlet box for conduit connecting
KR100615855B1 (en) Fixing implement for terminal box of apartment house
KR100910646B1 (en) Terminal box for communication and electricity
KR100696233B1 (en) Fixing implement for tension terminal box of apartment house
KR101591295B1 (en) outlet boxes install method for co-residential
KR200345646Y1 (en) Spacing Automatic Outlet Box
KR20090008540A (en) A outlet-box assembly
KR200381082Y1 (en) Terminal box fixing apparatus for interior wiring
KR200306554Y1 (en) Junction box for interior wiring
KR200460713Y1 (en) Fixing apparatus for terminal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