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880Y1 -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 - Google Patents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880Y1
KR200317880Y1 KR20-2003-0006155U KR20030006155U KR200317880Y1 KR 200317880 Y1 KR200317880 Y1 KR 200317880Y1 KR 20030006155 U KR20030006155 U KR 20030006155U KR 200317880 Y1 KR200317880 Y1 KR 2003178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irror
light source
half mirro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준
Original Assignee
김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준 filed Critical 김태준
Priority to KR20-2003-0006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8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8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개구에 설치된 하프미러, 상기 하프미러로부터 이격 배열되는 이미지시트와 상기 하프미러 사이에 설치된 광원,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개구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상기 이미지 시트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중심부를 상기 케이스의 후면으로 굴곡시키는 굴곡수단 및 상기 광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스위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A table picture frame for using it as mirror}
본 고안은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휘도가 향상되면서 더욱 슬림화된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에 관한 것이다.
액자와 거울은 용도가 상이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예컨대, 액자는 프레임과 투명 아크릴 또는 유리 사이에 개재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실내 장식용 소품이며, 거울은 투명한 유리에 빛을 반사시키는 물질을 표면에 도포하여 거울 전방에 디스플레이를 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반사시키는 미용 소품이다.
상기와 같이 각각 개별된 기능을 수행하는 액자와 거울은 일반적으로 벽면 또는 탁자 등에 장식 소품으로서 별도로 설치된다. 하지만, 탁자와 같이 제한된 공간에 액자와 거울을 동시에 설치할 경우에 유사 소품의 중복 설치는 심미감을 반감시킬뿐만 아니라, 또한 공간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액자와 거울이 각각 가지는 본래의 기능은 상실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또한, 단일 소품으로서 오래 사용하게 되면 액자의 경우는 이미지에 식상한 사용자의 시선을 끌지 못하게 되며, 거울에 있어서는 사용 목적의 제한성 때문에 자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방치되거나 쉽게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하프미러와 조명등을 이용한 거울 겸용 액자가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경우, 내부의 조명 불빛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서는 반사판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였다. 이로 인해, 거울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두껍게 되며, 내부에 장식물까지 삽입하여 놓을 경우에는 공간의 효용성이 저하 된다. 또한, 장식물이 하프미러와 반사유리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장식물의 교환시에는 케이스 전체를 분리해야 했다.
한편, 반사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액자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하여 공간을 차지하는 비율을 줄일 수 있지만, 액자의 몸체 일측에 설치된 조명이 이미지 전체에 균일하게 조사되지 못하여 이미지에 음영이 발생하는 등 전체적으로 휘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미지의 교환을 위해서는 몸체를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의 케이스 내부에 반사판을 형성하지 않고도 이미지 전체에 균일한 휘도를 제공하기 위한 곡률형 사진 부착판이 마련되며, 사진 등과 같은 이미지 시트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후면 커버를 구비한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울 겸용 액자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및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수단 부위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이미지 시트 10..케이스 11..전면 케이스
12..개구 13..후면 케이스 14..지지부
15..테두리 16..가이드돌기 20..하프미러
21..장식판 30..광원 31..구동회로
32..반사프레임 40..굴곡수단 42..라운딩가이드
43..돌출가이드 44..보조가이드 45..커버
46..돌출부 47..후크 50..스위치
52..가이드 60..크래들 61..홈부
62..접지부
A..디스플레이 영역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는 전면에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개구에 설치된 하프미러, 상기 하프미러로부터 이격 배열되는 이미지시트와 상기 하프미러 사이에 설치된 광원,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개구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상기 이미지 시트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중심부를 상기 케이스의 후면으로 굴곡시키는 굴곡수단 및 상기 광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스위치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 따른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의 굴곡수단은 라운딩되는 상기 이미지 시트의 배면을 가이드하는 라운딩가이드와, 상기 시트의 가장자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가이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고정가이드는 케이스의 후면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설치된 커버에 구비된다.
또한, 본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단자부가 형성되며, 케이스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과 상응하는 홈부 및 상기 단자부와 상응하는 접지부를 구비한 크래들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는 전면에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개구에 설치된 하프미러(20)와, 상기 하프미러와 이격 배열되는 이미지시트(1)와 하프미러(20) 사이에 설치된 광원(30)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이 케이스(10)의 개구(12)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굴곡수단(40) 및 상기 광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스위치(5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진 대략 사각 형상의 하우징으로서 전면에는 소정 크기의 개구(1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12)에는 하프미러(20)가 결합되며, 케이스(10) 내부 공간에는 광원(30), 굴곡수단(40) 및 스위치(50)가 각각 위치한다.
상기 케이스(10)는 개구(12)가 형성되는 전면 케이스(11)와, 굴곡수단(40)이 형성되는 후면 케이스(13)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 및 개구(12)는 각각 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타원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제조 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전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는 탁자, 식탁 등에 장식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대부분 소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바닥 및 의자에 앉는 사용자의 시야각을 고려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10)의 후면 하단에는 지지부(1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프미러(half mirror:20)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개구(12)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두리(15)에 지지되고, 그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디스플레이 영역(A)이다. 상기 테두리(15)는 소정 두께의 하프미러(20)가 결합된 후에도 돌출되지 않도록 케이스에 단차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15)와 하프미러(20)의 경계부분이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장식판(21)이 케이스(10) 전면에 부착된다.
상기 하프미러(20)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반투명 반사유리로서, 적당한 광투과율과 반사율을 갖는 양면성을 띄고 있어 조명 밝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반사와 투과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1-105009호에 종류별 제원이 제시되어 있으며, 일례로서 가시광선의 투과율과 반사율이 각각 8%, 35%이고, 태양 복사열의 투과율과 반사율이 각각 6%, 30%인 SS-08 계열의 반투명 반사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light source:30)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광램프로서, 바람직하게는 냉음극선관의 내부에 양극 및 음극의 두 전극을 가진 냉음극 형광램프(CCFL: Cool Cathode Fluorescence Lamp) 또는 방전관 내부에 전극이 설치되지 않는 무전극 형광램프(EEF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ce Lamp)이며, 상기 냉음극 형광램프 또는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인버터, 외부 전원 연결단자 등으로 구성된 구동회로(31)를 구비한다. 상기 냉음극 형광램프 또는 무전극 형광램프는 액정표시소자에 널리 사용되는 통상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광원(30)은 냉음극 형광램프 또는 무전극 형광램프가 채용함으로서 60W의 소비전력을 가진 일반적인 형광등에 비해 1/3 정도의 전력이 소비되고, 초세관화 할 수 있으며, 5000시간의 수명을 가진 일반적인 형광등에 비해 6배 정도 수명이 길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광원(30)은 하프미러(2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하프미러와 이격 설치되는 이미지 시트(1)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원(30)은 이미지가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A)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측하형(edge-lighting) 방식으로 이미지 시트(1) 상에 빛을 조사한다. 상기 광원(30)을 디스플레이 영역(A) 주위에 배치하기 위해서 상기 후면 케이스(13)의 내측 예컨대, 이미지 시트(1)의 배면과 접하는 면에는 이미지 시트(1)의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돌기(16)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돌기(16)는 코너마다 설치되어 광원(30)의 위치를 안정되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하프미러(20)와 광원(30) 사이에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성의 반사프레임(32, 33)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프레임(32, 33)은 하프미러(20)에 빛이 직접적으로 투과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굴곡수단(40)으로 보다 많은 양의 빛을 조사하도록 한다. 상기 반사프레임(32)은 광원(30)의 조립 후 케이스 내부에 별도로 설치되며, 광반사프레임(33)은 후면케이스(13)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굴곡수단(40)은 광원(30)에서 발생된 빛이 케이스(10)의 전면 개구(12)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굴곡수단(40)은 후면 케이스(13)의 내측면 즉, 이미지 시트(1)의 배면과 접하는 면에 마련된 공간과, 라운딩가이드 (42)와 고정가이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고정가이드는 돌출가이드(43)와 보조가이드(44)를 구비한다.
도 3은 도 1및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수단 부위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굴곡수단(40)은 이미지 시트(1)의 세로 또는 가로 방향 중심부를 상기 케이스의 후면 방향으로 굴곡시켜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공간은 광원의 빛을 수렴해서 반사할 수 있도록 라운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굴곡수단(40)이 라운딩되어 있지 않고 하프미러와 평행하게 배열될 경우 굴곡수단에 도달하는 빛은 전면으로 수렴 반사되지 않기 때문에, 평형 배열 면(P)의 중심부와 외곽부 사이에 휘도차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또한, 빛이 동일한 각도로 굴곡수단(40)과 평행 배열된 면(P)에 입사할 경우에는 라운드된 곡면이 평행 배열(P)된 면보다 더 넓은 영역에 걸쳐 빛을 받기 때문에 휘도가 낮은 광원에서도 효율적으로 작용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굴곡수단(40)은 이미지 시트(1)를 거치하기 위해 라운딩가이드(42)와, 고정가이드인 돌출가이드(43) 및 보조가이드(44)를 구비한다. 상기 라운딩가이드 (42)는 전면 케이스(11) 방향으로 오목하게 라운딩되어, 이미지 시트(1)의 라운딩 곡률 반경을 가이드한다. 곡률 반경의 정도는 이미지 시트(1)의 폭보다 라운딩가이드(42)의 폭을 작게 부여함으로서 조절 가능하다. 상기 돌출가이드(43)는 상기 라운딩가이드(42)에 배면이 지지된 이미지 시트(1)가 굴곡수단(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라운딩가이드(42)보다 전방에 이격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라운딩가이드(42)와 돌출가이드(43)는 서로 상대적 위치 예컨대, 본 고안과 같이 라운딩가이드(42)가 상하면에 위치하면, 돌출가이드(42)는 좌우측 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라운딩가이드(42)와 돌출가이드(43)가 이미지 시트(1)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위치하기 때문에, 별도의 접착수단 없이 이미지 시트(1)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보조가이드(44)는 이미지 시트(1)의 가장자리가 꾸겨지지 않고 돌출가이드(43)에 삽입되도록 돌출가이드(43)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서 설명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 부재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굴곡수단(40)은 후면 케이스(13)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설치된 커버(45)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45)는 후면 케이스(13)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46)를 가지며, 상단부에는 별도의 공구 없이 수작업만으로 착탈이 이루어질 수 있는 후크(47)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46)를 후면 케이스(13)의 홈부(미도시)에 삽입한 상태에서 후크(47)에 힘을 가하여 밀어 넣게 되면, 커버(45)는 후면 케이스(13)에 고정된다. 반대로, 후크(47)에 힘을 가하여 밖으로 당기게 되면, 커버(45)는 후면케이스 (13)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스위치(50)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거울과 액자를 사용할 수 있도록 케이스(10)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30)의 구동회로(31)와 접속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50)는 접촉/단락의 스위칭 구조를 가지는 누름 스위치 또는 접촉 스위치가 채용된다. 오프(off)시에는 거울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광원(30)을 소등시키며, 온(on)시에는 액자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광원(30)을 점등시킨다. 물론 상기 동작은 반대로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0)가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케이스 내부에 가이드(52)를 설치하여 케이스의 스위치 홈 경사와 스위치(50) 및 구동회로(31)의 경사를 맞추어 결합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거울 겸용 액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상기 케이스(10)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크래들(60)을 구비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10)는 구동회로(31)와 접속될 수 있도록 저면에 형성된 단자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크래들(60)은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면에 형성된 접지부(6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크래들(60)은 케이스(1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면에 상기 케이스(10)의 저면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된 홈부(62)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미러(20)가 개구(12)에 결합된 케이스(10) 내부에 디스플레이 영역(A)을 둘러싸도록 광원(30)을 설치하고, 상기 광원(30)에 인접하게 반사프레임(32)을 결합시킨 후, 상기 굴곡수단(40)에 이미지시트(1)를 거치시키게 되면 본 고안의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 상태로 사용자는 액자를 거실의 탁자, 식탁, 테이블 등에 장식 소품으로 놓아두거나, 대안으로는 상기 크래들(60)에 결합하여 장식해 놓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에 도시되지 않은 전원공급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액자에 전원을 공급한다. 초기 모드는 전원 스위치(50)를 온위치로 세팅할 수 있으며, 오프위치에 세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스위치(50)가 온의 상태일 경우 광원(30)은 점등되고, 케이스(10) 내부는 외부보다 밝게 된다. 광원(30)의 빛은 상기 반사프레임(32, 33)에 의해 외부로 상실되지 않고 굴곡수단(40)에 의해 이미지시트(1)로 다량 입사되며, 입사된 빛은 굴곡수단(40)에 의해 케이스(10) 전면으로 수렴됨과 동시에 균일하게 반사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영역(A) 전체에 걸쳐 휘도가 높으면서 이미지 일부에 음영이 생기지 않게 된다.
반대로, 스위치(50)가 오프된 경우에 광원(30)은 소등된 상태이며, 케이스 (10)의 외부가 내부보다 밝게 된다. 그 결과, 내부의 이미지 시트(1)는 외부로 투과되지 못하게 되고, 전방으로부터 하프미러(20)에 입사된 이미지는 그대로 반사되기 때문에 본 장치는 거울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후면 케이스(13)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커버(45)를 구비한 굴곡수단(40)이 도시된 도 4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미지 시트의 교환을 원할 때에는 후면 케이스(13)에 구비된 탄성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케이스(10)로부터 커버(45)를 분리시킨 후, 이미지 고정수단에 거치된 이미지 시트를 교환하게 된다.
이미지 시트(1)의 배면은 라운딩가이드(42)에 지지되어 있으며, 전면은 돌출가이드(42)에 의해 억압되어 있다. 이미지 시트(1)를 굴곡수단(40)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시트의 가장자리를 굴곡수단(40)의 중앙 방향으로 당기고, 결합시킬 때는 시트의 배면을 라운딩가이드(42) 및 보조가이드(44)에 지지시키면서 시트의 가장자리를 돌출가이드(42)에 밀어넣으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따른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종래와 달리 케이스 내부에 반사판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액자의 슬림화가 가능하다.
둘째, 반사판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굴곡수단의 구비에 의해 이미지 전체에 균일한 밝기의 휘도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반사판이 제거됨으로 인한 부품의 단소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비용 절감의 효과를 달성하게 된다.
넷째. 이미지 시트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케이스와 분리가능한 커버가 구비된 굴곡수단을 채용하여, 이미지 시트를 간편하게 바꿀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기능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하프미러를 가진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에 있어서,
    전면에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개구에 설치된 하프미러;
    상기 하프미러로부터 이격 배열되는 이미지시트와 상기 하프미러 사이에 설치된 광원;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개구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상기 이미지 시트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중심부를 상기 케이스의 후면으로 굴곡시키는 굴곡수단; 및
    상기 광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수단은 라운딩되는 상기 이미지 시트의 배면을 가이드하는 라운딩가이드와, 상기 시트의 가장자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는 케이스의 후면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설치된 커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단자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과 상응하는 홈부 및 상기 단자부와 상응하는 접지부를 구비한 크래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
KR20-2003-0006155U 2003-03-03 2003-03-03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 KR2003178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155U KR200317880Y1 (ko) 2003-03-03 2003-03-03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155U KR200317880Y1 (ko) 2003-03-03 2003-03-03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880Y1 true KR200317880Y1 (ko) 2003-06-28

Family

ID=4933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155U KR200317880Y1 (ko) 2003-03-03 2003-03-03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8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832B1 (ko) 2005-08-08 2007-04-10 이수현 거울 기능을 구비한 액자
KR101989584B1 (ko) * 2018-03-22 2019-06-14 울산과학기술원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와 감열 인쇄 기능을 이용한 탁상용 달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832B1 (ko) 2005-08-08 2007-04-10 이수현 거울 기능을 구비한 액자
KR101989584B1 (ko) * 2018-03-22 2019-06-14 울산과학기술원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와 감열 인쇄 기능을 이용한 탁상용 달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3421B (zh) 背光總成及具有該背光總成之液晶顯示裝置
CN100374933C (zh) 背光组件及具有该背光组件的液晶显示设备
JP4741913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S62111233A (ja) ビユ−フアインダ−
JPH1115392A (ja) バックライト式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部材及びハーフミラー部材
JP2000011724A (ja) バックライト、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200317880Y1 (ko) 거울 겸용 테이블 액자
JPH07287228A (ja) バックライト
TWI361307B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KR200296222Y1 (ko) 거울 겸용 이미지 디스플레이장치
JP2573282B2 (ja) 液晶表示装置の照明装置
KR20000061434A (ko) 직하 방식의 액정표시장치
JP2004119124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I321247B (en) Backlight module and flat panel display
JP2000019517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CN103946623B (zh) 照明装置、吸顶灯、背光源、液晶显示装置以及电视接收装置
WO2015041045A1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KR200235102Y1 (ko) 필름 판독기
JP3405963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
KR200318357Y1 (ko) 거울기능을 구비한 액자
KR20010067770A (ko) 필름 판독기
JP3097728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H0731212Y2 (ja) 携帯用ビュアー
KR200368450Y1 (ko) 장식용 조명장치
KR20080063907A (ko)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