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878Y1 - 잔받침이 일체로 결합된 찻잔 - Google Patents

잔받침이 일체로 결합된 찻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878Y1
KR200317878Y1 KR20-2003-0005997U KR20030005997U KR200317878Y1 KR 200317878 Y1 KR200317878 Y1 KR 200317878Y1 KR 20030005997 U KR20030005997 U KR 20030005997U KR 200317878 Y1 KR200317878 Y1 KR 2003178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
adhesive surface
horizontal
cup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덕배
Original Assignee
최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덕배 filed Critical 최덕배
Priority to KR20-2003-0005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8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8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8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잔받침이 일체로 결합된 찻잔에 관한 것으로, 개방된 상단면과 폐쇄된 하단면으로 이루어진 몸체를 갖는 도자기 또는 유리재질의 찻잔에 있어서, 상기 찻잔몸체의 하단면과 대응되는 동일한 형상을 상단에 형성하고 찻잔하단면에 점착제에 의해 한몸으로 결합되어 상단에서 하단외측방향으로 경사진 몸체를 갖는 나무재질의 잔받침을 구비하고, 상기 찻잔의 하단면은 중심에서 하부로 돌출된 수직점착면을 갖는 제2수평점착면이 형성되고 수직점착면 상단에는 외측방향으로 제1수평점착면이 단층지게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어 점착제로 일체로 결합되는 잔받침은 찻잔의 제2수평점착면에 대응되는 제2수평점착면이 형성되고 찻잔의 수직점착면에 대응되는 수직점착면이 형성되며 찻잔의 제1수평점착면에 대응되는 제1수평점착면이 단층지게 형성됨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찻잔 내부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갑거나 뜨거운 찻잔의 내용물이 보다 오래 그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잔받침이 일체로 결합된 찻잔{Teacup and saucer combination}
본 고안은 잔받침이 일체로 결합된 찻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찻잔 내부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갑거나 뜨거운 찻잔의 내용물이 보다 오래 그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잔받침이 일체로 결합된 찻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茶(다), tea)는 차나무의 어린잎을 따서 음료로 가공한 제품으로, 차는 채취시기에 따라, 즉 제일 어린잎에서부터 맏물차, 두물차, 세물차 등으로 구분하며, 차나무에서 따낸 날잎은 햇볕에 쬐어 말리는 일쇄차(日茶)와 인공적인 가열에 의해 말리는 차로 나뉘는데, 후자는 발효의 유무와 정도에 따라 불발효차(녹차), 발효차(홍차), 부분발효차(우룽차)로 구분된다.
차를 맛있게 달이는 중요한 요소는 수질, 끓인 물의 온도, 잎차, 우려내는 시간, 찻그릇 등이다. 물은 단물이 좋으며 수도물은 클로르칼크 냄새가 나지 않는 것을 받아서 쓴다. 센물을 쓰거나 내면이 부식된 철제의 탕관(湯罐)을 쓰게 되면 차의 타닌산과 화합하여 검은 침전물이 생긴다. 끓인 물의 양과 차의 품질에 따르는 적정온도, 잎차의 투입량, 침출시간 등은 표준제원에 기준을 두어 기호에 따라가감하는데, 잎차는 3번까지 우려 마실 수 있다.
차의 성분은 차나무의 재배성적, 품종, 채다시기(採茶時期)의 조만(早晩) 등에 의하여 좌우되며, 품질을 결정하는 객관적인 기준은 찻잎에 담긴 전질소 함유량이다.
차에는 타닌산, 카페인, 아미노산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타닌산은 12 % 전후로 맏물차에 가장 적고 두, 세물차로 갈수록 많아진다. 타닌산은 떫은 맛과 관계가 있으며 수렴작용과 지혈작용을 한다. 홍차는 타닌산이 산화한 여러 가지 화합물을 함유하여 독특한 맛의 근원이 되므로 타닌산이 많은 잎에서 좋은 홍차를 만들 수 있다. 카페인은 쌉쌀한 맛의 성분으로서 평균 1∼3 % 함유되어 있는데, 신경을 흥분시켜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이뇨작용을 하며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다. 아미노산은 차의 단맛과 관계가 있으며, 맏물차에 많고 두, 세물차에 적다. 향기는 극히 미량이 함유된 정유성분(精油成分)에 의한다. 비타민 C는 녹차에 많이 있으나 홍차에는 발효시에 파괴되므로 함유되어 있지 않다.
이런 차를 따라서 마시는 잔을 찻잔(茶盞)이라 하는데, 찻잔은 찻종 또는 다종(茶鍾)이라고도 한다. 찻잔은 사기, 놋, 은 같은 것으로 만들며, 꼭지가 달린 뚜껑이 있고, 잔대(盞臺)의 굽이 높다. 신라시대에 중국에서 차가 들어와, 고려시대에는 승려들이 차를 즐겼고, 여러 가지 잔이 만들어졌다. 그 가운데에서도 사기 다종을 여러 모양으로 만들어 고려 사람들의 취향을 나타내었고, 사치한 사람은 은제 다종, 유기 다종 등을 사용하였다.
이런 찻잔은 차와 함께 대중화된 커피를 담는 커피잔으로도 사용되고 있고,커피잔을 다시 찻잔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여기서 찻잔이라 함은 커피잔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런 찻잔은 현재 도자기나 유리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개방된 상단은 크고 폐쇄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형상의 측면부를 갖으며, 그 하단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띠가 형성되어 찻잔을 놓았을 때, 바닥면과 찻잔 하단의 접지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외부온도에 의해 찻잔이 쉽게 식지 않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런 구성을 갖는 종래의 찻잔은 대개 상광하협의 테이퍼형상으로, 하단에서 하부로 돌출된 띠로 인해 바닥면과 접지되는 면적이 작고, 또한 하단면의 최대폭보다 찻잔의 높이가 월등하게 크기 때문에 바닥면에 접지된 찻잔은 외부의 약한 충격에도 손쉽게 찻잔 내부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찻잔의 하단에 상협하광의 가벼운 재질로 잔받침을 점착되게 구성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찻잔 내부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갑거나 뜨거운 찻잔의 내용물이 보다 오래 그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잔받침이 일체로 결합된 찻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개방된 상단면과 폐쇄된 하단면으로 이루어진 몸체를 갖는 도자기 또는 유리재질의 찻잔에 있어서;
상기 찻잔몸체의 하단면과 대응되는 동일한 형상을 상단에 형성하고 찻잔하단면에 점착제에 의해 한몸으로 결합되어 상단에서 하단외측방향으로 경사진 몸체를 갖는 나무재질의 잔받침을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찻잔의 하단면은 중심에서 하부로 돌출된 수직점착면을 갖는 제2수평점착면이 형성되고 수직점착면 상단에는 외측방향으로 제1수평점착면이 단층지게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어 점착제로 일체로 결합되는 잔받침은 찻잔의 제2수평점착면에 대응되는 제2수평점착면이 형성되고 찻잔의 수직점착면에 대응되는 수직점착면이 형성되며 찻잔의 제1수평점착면에 대응되는 제1수평점착면이 단층지게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찻잔의 하단면은 하측방향으로 볼록한 만곡돌부점착면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차받침의 상단면은 하측방향으로 볼록한 만곡요부로 형성시켜 점착제에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찻잔의 하단면은 수평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차받침의 상단면 중심은 찻잔의 하단면과 대응되는 수평면을 갖고 수평면 외측에는 찻잔의 몸체 하부와 동일한 경사를 갖는 절곡요부가 상측외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점착제에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도 1a는 본 고안 제1실시예의 결합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 제2실시예의 결합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a는 도 1a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2b는 도 1b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 제3실시예의 결합모습을 보인 정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 제4실시예의 결합모습을 보인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잔받침 11 : 몸체
14 : 제2수평점착면 15 : 수직점착면
16 : 제1수평점착면 17 : 만곡요부점착면
18 : 수평점착면 19 : 절곡요부점착면
20 : 찻잔 21 : 하단면
22 : 상단면 23 : 칫잔몸체
24 : 제2수평점착면 25 : 수직점착면
26 : 제1수평점착면 27 : 만곡돌부점착면
28 : 수평점착면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고안 제1실시예의 결합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고안 제2실시예의 결합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2a는 도 1a의 결합상태를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b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잔받침이 일체로 결합된 찻잔은, 도자기 또는 유리재질로 형성된 찻잔몸체(23)의 하단면(21)과 대응되는 동일한 형상을 잔박침(10) 상단에 형성시키되, 찻잔(20) 하단면(21)에 점착제에 의해 한몸으로 결합시켜 상단에서 하단외측방향으로 상협하광하게 경사진 나무재질의 잔받침(10)을 형성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잔받침(10)은 나무재질로 이루어져 도자기나 유리재질의 찻잔(20)과 투톤으로 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잔받침(10)은 나무질감의 합성수지나, 고무, 세라믹, 금속재질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찻잔(20)의 하단면(21)은 중심에서 하부로 돌출된 수직점착면(25)을 갖는 제2수평점착면(24)이 형성되고 수직점착면(25) 상단에는 외측방향으로 제1수평점착면(26)이 단층지게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어 점착제로 일체로 결합되는 잔받침(10)은 찻잔(20)의 제2수평점착면(24)에 대응되는 제2수평점착면(14)이 형성되고 찻잔(10)의 수직점착면(25)에 대응되는 수직점착면(15)이 형성되며 찻잔(20)의 제1수평점착면(16)에 대응되는 제1수평점착면(16)이 각각 단층지게 형성되어서 이루어진다.
상기 찻잔(20)과 잔받침(10)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점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잔받침(10)에 찻잔(20)을 억지끼움하여서 일체로 구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잔받침이 일체로 결합된 찻잔은, 찻잔(20)의 좁은 폭을 갖는 하단면(21)이 제1수평점착면(26)상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수직점착면(25)과 제2수평점착면(24)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잔받침(10)의 상단에 제1수평점착면(16)과 수직점착면(15) 및 제2수평점착면(14)이 각각 점착제로 대응되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협하광의 안정된 몸체(11)를 갖는 잔받침(10)이 상광하협의 몸체(23)를 갖는 찻잔(20)을 찻잔(20) 하단에서 안정되게 받쳐 줌에 따라 잔받침(10)이 일체로 결합된 찻잔(20)은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내용물을 엎지르지 않게 된다.
또한, 나무재질의 잔받침(10)은 뜨겁거나 차가운 내용물이 가득 찬 찻잔(20)을 하부에서 감싸기 때문에 외부 기온에 의해 찻잔(20)과 그 내용물을 쉽게 식거나 미지근하게 변화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보다 장시간 동안 뜨겁거나 차가운 내용물을 음미할 수 있게 된다.
도 3a는 본 고안 제3실시예의 결합모습을 보인 정단면도로, 상기 찻잔(20)의 하단면(21)은 하측방향으로 볼록한 만곡돌부점착면(27)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차받침(10)의 상단면은 하측방향으로 볼록한 만곡요부점착면(17)으로 형성시켜 점착제에 의해 완강하게 결합된다.
도 3b는 본 고안 제4실시예의 결합모습을 보인 정단면도로, 상기 찻잔(20)의 하단면(21)은 수평방향으로 수평점착면(28)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차받침(10)의 상단면 중심은 찻잔(20)의 하단면(21)과 대응되는 수평점착면(18)을 갖고 수평점착면(18) 외측에는 찻잔(20)의 몸체(21) 하부와 동일한 경사를 갖는 절곡요부점착면(19)이 상측외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점착제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찻잔 내부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갑거나 뜨거운 찻잔의 내용물이 보다 오래 그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개방된 상단면(22)과 폐쇄된 하단면(21)으로 이루어진 몸체(23)를 갖는 도자기 또는 유리재질의 찻잔(20)에 있어서;
    상기 찻잔몸체(23)의 하단면(21)과 대응되는 동일한 형상을 상단에 형성하고 찻잔(20)하단면(21)에 점착제에 의해 한몸으로 결합되어 상단에서 하단외측방향으로 경사진 몸체(11)를 갖는 나무재질의 잔받침(1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잔받침이 일체로 결합된 찻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찻잔(20)의 하단면(21)은 중심에서 하부로 돌출된 수직점착면(25)을 갖는 제2수평점착면(24)이 형성되고 수직점착면(25) 상단에는 외측방향으로 제1수평점착면(26)이 단층지게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어 점착제로 일체로 결합되는 잔받침(10)은 찻잔(20)의 제2수평점착면(24)에 대응되는 제2수평점착면(14)이 형성되고 찻잔(10)의 수직점착면(25)에 대응되는 수직점착면(15)이 형성되며 찻잔(20)의 제1수평점착면(16)에 대응되는 제1수평점착면(16)이 각각 단층지게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받침이 일체로 결합된 찻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찻잔(20)의 하단면(21)은 하측방향으로 볼록한 만곡돌부점착면(27)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차받침(10)의 상단면은 하측방향으로 볼록한 만곡요부점착면(17)으로 형성시켜 점착제에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받침이 일체로 결합된 찻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찻잔(20)의 하단면(21)은 수평방향으로 수평점착면(28)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차받침(10)의 상단면 중심은 찻잔(20)의 하단면(21)과 대응되는 수평점착면(18)을 갖고 수평점착면(18) 외측에는 찻잔(20)의 몸체(21) 하부와 동일한 경사를 갖는 절곡요부점착면(19)이 상측외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점착제에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받침이 일체로 결합된 찻잔.
KR20-2003-0005997U 2003-02-28 2003-02-28 잔받침이 일체로 결합된 찻잔 KR2003178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997U KR200317878Y1 (ko) 2003-02-28 2003-02-28 잔받침이 일체로 결합된 찻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997U KR200317878Y1 (ko) 2003-02-28 2003-02-28 잔받침이 일체로 결합된 찻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878Y1 true KR200317878Y1 (ko) 2003-06-28

Family

ID=4933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997U KR200317878Y1 (ko) 2003-02-28 2003-02-28 잔받침이 일체로 결합된 찻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8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40U (ko) * 2019-05-14 2020-11-24 배창경 컵 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40U (ko) * 2019-05-14 2020-11-24 배창경 컵 받침대
KR200492967Y1 (ko) * 2019-05-14 2021-01-11 배창경 컵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6283A (en) Wooden stein with responsive emblem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KR200317878Y1 (ko) 잔받침이 일체로 결합된 찻잔
CN202698678U (zh) 一种新型多功能茶杯
EP1725147A1 (en) Table service for usage and storage in household and dining places
CN105725633A (zh) 一种泡茶器
CN207928186U (zh) 一种功夫汤盅
KR200480810Y1 (ko) 드립식 음료추출용기
Tekulsky Making Your Own Gourmet Coffee Drinks: Espressos, Cappuccinos, Lattes, Mochas, and More!
CN218515546U (zh) 一种茶杯
KR200428119Y1 (ko) 보온 술잔
JP6960621B2 (ja) 飲用容器
CN210471769U (zh) 一种预装茶叶的泡茶装置
AU2007100467A4 (en) Mushroom beer (Ganoderma Lucidum)
KR200220861Y1 (ko)
CN209574246U (zh) 组合式便携一体化茶具
KR200378011Y1 (ko) 다기용 거름망 구조
CN208692805U (zh) 一种冲泡壶隔热防烫结构
KR200353233Y1 (ko) 필터가 구비된 휴대용 컵
KR200426927Y1 (ko) 차 우림구
CN207428872U (zh) 一种不锈钢功夫茶具及其盖碗、公道杯和茶杯
KR200301668Y1 (ko) 온도표시소자를 가지는 찻잔 및 주전자
Hellmich The ultimate bar book: the comprehensive guide to over 1,000 cocktails
US20140110084A1 (en) Beverage cooler
KR200273253Y1 (ko)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816

Effective date: 20041214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