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854Y1 - Lamp assembly using portable phone - Google Patents

Lamp assembly using portab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854Y1
KR200317854Y1 KR20-2003-0009237U KR20030009237U KR200317854Y1 KR 200317854 Y1 KR200317854 Y1 KR 200317854Y1 KR 20030009237 U KR20030009237 U KR 20030009237U KR 200317854 Y1 KR200317854 Y1 KR 200317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mobile phone
emitting device
holder
scre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923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20-2003-0009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85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854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that can be turned on by using a power source of a battery installed in the mobile phone.

이 같은, 본 고안은, 양극(+)과 음극(-)을 갖는 복수의 고정단자부를 가지고 휴대폰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갖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고정단자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가동단자부를 가지고 상기 휴대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부와; 상기 복수의 가동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가 장착된 발광소자지지구와; 상기 홀더부에 대해 상기 발광소자지지구를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phone having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a mobile phone having a plurality of fixed terminal portions having a positive electrode (+) and a negative electrode (−), wherein the plurality of movable parts selectively contacted with the fixed terminal portions of the battery. A holder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mobile phone having a terminal portion; A light emitting element support on which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movable terminal portion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nk por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support relative to the holder portion.

Description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Lamp assembly using portable phone}Light emitting device using mobile phone {Lamp assembly using portab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that can be turned on by using a power source of a battery installed in the mobile phone.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나 자주 이용되는 휴대폰은 그 외형에 따라플립형과 폴더형으로 크게 대분된다. 플립형 휴대폰은 디스플레이창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버튼이 있는 부분만을 플립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폴더형 휴대폰은 중앙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커버부가 디스플레이창과 입력버튼을 모두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근자에 들어서는 전자의 플립형 보다는 후자인 폴더형 휴대폰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Regardless of age and gender, mobile phones that are frequently used anytime, anywhere are largely divided into flip type and folding type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The flip-type mobile phone allows flip-opening to open only the part with the input button while the display window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folding-type mobile phone has a cover unit which blocks or opens both the display window and the input button with the hinge at the center. As a result, the latter has a higher preference for the latter type of cellular phone than the former flip type.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휴대폰의 기술 발전과 함께 휴대폰은 그 크기가 점점 더 작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소정의 대상체를 그 자리에서 직접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 인터넷 환경이 가능하여 휴대폰을 통해서도 이메일 송수신 및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행할 수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phone technology, mobile phones are not only getting smaller in size but also adding various kinds of functions. For example, a camera mounted on a mobile phone may not only directly photograph a predetermined object on the spot, but also enable a mobile Internet environment, and may perform e-mail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a mobile phone.

또한, 포켓에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작은 크기임에도 불구하고 그 간단한 게임이 내장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수첩과 같이 스케줄 관리 및 전화번호 관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따르릉"이라는 단순하고도 단조로운 착신음을 가요나 팝, 가곡 등의 음악이나 조크 및 음성으로 대처함과 더불어 이를 16화음, 32화음, 40화음 등의 사운드를 통해 발산하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은 더 이상 전화로써의 역할만이 아닌 또 다른 액세서리의 용도로도 그 가치를 충분히 발휘하고 있다.In addition, despite being small enough to fit in a pocket, the simple game is not only built-in, but also schedule management and phone number management can be performed like an electronic notebook. And, by coping with the simple and monotonous ringtone called "Tarung" with music, jokes and voices such as song, pop, and song, it makes it possible to radiate it through the sound of 16 chords, 32 chords, 40 chords, etc. The value is not only used as a telephone but also used as another accessory.

이처럼 현대인들에게 있어 휴대폰은 더 이상 사치품으로 취급되지 않고 거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폴더용 휴대폰은, 크게 본체부와 폴더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체부의 배면에는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다. 배터리는 충전식으로써, 그 하단에 양극(+)과 음극(-)을 갖는 고정단자부가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As such, for modern people, mobile phones are no longer treated as luxury goods, but are becoming almost essential to life.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folder mobile phone is composed of a main body portion and a folder portion, and a battery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main body portion. As the battery is rechargeable, it can be seen that a fixed terminal portion having a positive electrode (+) and a negative electrode (−)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한편, 어두운 밤에 대문이나 현관문에 형성된 자물쇠의 키홈에 키를 삽입하고자 할 경우 키홈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를 흔히 경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불연 듯 정전이 될 경우, 일정 위치에 넣어둔 양초를 찾기 위해 더듬거리는 일도 종종 일어난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insert the key into the keyway of the lock formed on the gate or front door in the dark night, you may often experience a case where the keyway is not visible. In addition, if there is a power outage like a non-combustible, often stuttering to find a candle in a certain position.

이러한 경우, 라이터나 램프를 소지하고 있다면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담배를 피우는 사람을 제외하고 라이터를 소지하고 있는 일은 없으며, 램프는 더더욱 소지하는 경우가 없다.In this case, if you have a lighter or a lamp, it does not matter, but you do not have a lighter except a person who smokes, and a lamp is not carried even more.

이에, 본 출원인은 라이터나 램프 등은 소지하고 있지 않는데 반해, 통상적으로 휴대폰을 늘 지니고 다닌다는 점을 고려하여,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켤 수 있는 발광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can be turned on by using a battery mounted on the mobile phon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mobile phone is usually carried with the lighter and the lamp.

본 고안은,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that can be turned on by using the power of the battery mounted on the mobile phone is its main purpos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of use of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단면도,3 is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3;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휴대폰, 12 : 본체부, 14 : 폴더부, 16 : 힌지부, 18 : 안테나, 19 : 배터리, 19a : 고정단자부, 20 : 발광장치, 30 : 홀더부, 30a : 가동단자부, 31 : 제1홀더부분, 32 : 제2홀더부분, 40 : 링크부, 50 : 가로조임수단, 60 : 밀착유지수단, 70 : 위치이동수단, 80 : 발광소자지지구10: mobile phone, 12: main body, 14: folder, 16: hinge, 18: antenna, 19: battery, 19a: fixed terminal, 20: light emitting device, 30: holder, 30a: movable terminal, 31 1 holder portion, 32: second holder portion, 40: link portion, 50: horizontal tightening means, 60: close holding means, 70: position moving means, 80: light emitting element suppor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극(+)과 음극(-)을 갖는 복수의 고정단자부를 가지고 휴대폰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갖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고정단자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가동단자부를 가지고 상기 휴대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부와; 상기 복수의 가동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가 장착된 발광소자지지구와; 상기 홀더부에대해 상기 발광소자지지구를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obile phone having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phone having a plurality of fixed terminal portion having a positive (+) and a negative (-), selectively contacting the fixed terminal of the battery A holder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mobile phone having a plurality of movable terminal portions; A light emitting element support on which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movable terminal portions; And a link por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support with respect to the holder por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main parts.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20)는, 앞서 설명한 플립형 및 폴더형 모두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이하의 설명에서는 폴더용 휴대폰을 채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폴더용 휴대폰(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와, 본체부(12)의 전면을 개폐하는 폴더부(14)와, 본체부(12)와 폴더부(14) 사이에 마련되어 폴더부(14)를 본체부(12)에 대해 회동시키는 힌지부(16) 및 본체부(12)의 배면에 형성된 배터리(19)를 갖는다.The light emitting device 20 using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in both the flip type and the folder type described above,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by employing a folder mobile phone. As shown in FIG. 1, the folder cellular phone 10 includes a main body 12, a folder 14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2, a main body 12, and a folder 14. The hinge part 16 and the battery 19 form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2 are provided between and provided, and the folder part 14 rotat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12. As shown in FIG.

본체부(12)의 내면에는 복수의 입력버튼(12a)이 구비되어 있으며, 입력버튼(12a)들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혹은, 음성메시지를 녹음하기 위한 송신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12)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조정버튼(12c)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조정버튼(12c)들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버튼(12a)들과는 달리 수신 음량을 조정하거나 혹은 키톤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조정버튼(12c)들의 인접 영역에는 안테나(18)가 마련되어 있다.A plurality of input buttons 12a are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2, and a lower part of the input buttons 12a is provided with a transmitter 12b for transmitting a user's voice to the other party or recording a voice message. It is. A plurality of adjustment buttons 12c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12. These adjustment buttons 12c, unlike the input buttons 12a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serve to adjust the reception volume or to adjust the key tone. An antenna 18 is provided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adjustment buttons 12c.

폴더부(14)의 내면에는 전화번호, 배터리(19)의 충전상태, 진동 여부, 알람상태 표시 등을 확인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창(14a)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창(14a)의 상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14b)가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folder unit 14 is provided with a display window 14a for checking the phone number,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19, whether the vibration, the alarm state display and the like. In addition, a receiver 14b for receiving a voice from the other party is formed above the display window 14a.

도 1에는 디스플레이창(14a)이 폴더부(14)의 내면에 마련되고 입력버튼(12a)들이 본체부(12)에 마련된 휴대폰(10)에 대해 도시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창(미도시)이 입력버튼(12a)들과 함께 본체부(12)에 마련된 휴대폰(미도시)도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다. 이렇듯, 디스플레이창(14a)과 입력버튼(12a)들은 어디에 배치되더라도 본 고안의 사상과는 무관한 것이다.In FIG. 1, the display window 14a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older unit 14 and the input button 12a is illustrated for the mobile phone 10 provided in the main body unit 12, but the display window (not shown) is input. A mobile phone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12 together with the buttons 12a may also be commonly encountered in the vicinity. As such, the display window 14a and the input button 12a are irrelevant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no matter where they are arranged.

배터리(19)는 본체부(12)의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폰(1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19)는 통상적으로 충전식을 채용되며, 그 하단 일영역에는 휴대폰충전기로부터 전기를 제공받아 충전될 수 있도록 양극(+)과 음극(-)을 갖는 복수의 고정단자부(19a)가 형성되어 있다.The battery 19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ck of the main body 12 to supply power to the mobile phone 10. Such a battery 19 is typically adopted a rechargeable type, a plurality of fixed terminal portion (19a) having a positive electrode (+) and a negative electrode (-) is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battery 19 to receive electricity from the mobile phone charger have.

이러한 구성을 갖는 휴대폰(10)의 배터리(19) 영역에 결합되는 본 고안의 발광장치(20)는,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결합되어 사용됨으로써 순간적으로 불빛이 필요한 순간(어두운 밤에 키홈을 찾는 등)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battery 19 region of the mobile phone 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direction of the arrow of FIG. Etc.) immediately.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9)를 포함하여 본체부(12)의 일영역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배터리(19)에 마련된 고정단자부(19a)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가동단자부(30a)를 갖는 홀더부(30)와, 가동단자부(3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소자가 장착된 발광소자지지구(80)와, 홀더부에 대해 발광소자지지구(80)를 상대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부(40)를 포함한다.The light emitting device 20 using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4, including a battery 19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area of the main body portion 12, while the battery 19 And a light emitting element support 80 on which a holder portion 30 having a movable terminal portion 30a selectively contacted with the fixed terminal portion 19a provided at the bottom portion), and a light emitting elemen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vable terminal portion 30a. And a link portion 40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support 80 with respect to the holder portion.

통상적인 휴대폰(10)을 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9)를 포함한 본체부(12)의 가로방향 길이(A)와 두께방향의 높이(B)가 서로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고안의 홀더부(30)는, 배터리(19)를 포함한 본체부(12)의 가로방향 길이(A)를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한 제1 및 제2홀더부분(31,32)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제1 및 제2홀더부분(31,32) 사이에 가로조임수단(50)을 마련하고 있다. 이 때, 실제로 움직이는 제2홀더부분(32)의 크기는 도시된 것처럼 제1홀더부분(31)의 크기에 비해 작게 형성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Looking at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10, as shown in Figure 3, it can be seen that the horizontal length (A) and the height (B)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2 including the battery 19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have.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holder par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arts 31 which are mutually accessible and spaced apart along the horizontal length A of the main body part 12 including the battery 19. 32, and a horizontal fastening means 5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ortions 31 and 32.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it may be advantageous to form the size of the second holder portion 32 which is actually moving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older portion 31 as shown.

제1 및 제2홀더부분(31,32) 각각은, 폴더부(14)의 외면에 본체부(12)의 가로방향 길이(A)를 따라 배치되는 제1 및 제2몸체부(31a,31b)와, 본체부(12)의 내면 일부구간에 걸림유지되는 제1 및 제2걸림부(31b,32b)와, 제1 및 제2몸체부(31a,31b), 제1 및 제2걸림부(31b,32b)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연결부(31c,32c)를 포함한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ortions 31 and 32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er portion 14 along the horizontal length A of the main body portion 12, and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31a and 31b. ), First and second catching portions 31b and 32b held in portion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2, and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31a and 31b and first and second catching portions. And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31c and 32c connecting the 31b and 32b, respectively.

이 때, 제1 및 제2걸림부(31b,32b)의 두께는 제1 및 제2몸체부(31a,31b), 제1 및 제2연결부(31c,32c)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이는, 발광장치(20)를 휴대폰(10)에 장착한 상태에서 폴더부(14)를 본체부(12)에 대해 닫았을 경우, 제1 및 제2걸림부(31b,32b)로 인해 기기의 작동이 일부 정지하지 않고 계속 온(ON)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31b and 32b are relatively narrower than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31a and 31b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31c and 32c. It is preferable to become. This is because when the folder unit 14 is clos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unit 12 while the light emitting device 20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10, the first and second catching portions 31b and 32b may cause the device. This is to prevent the operation from continuing to ON without some stopping.

제1 및 제2홀더부분(31,32) 사이에 마련된 가로조임수단(50)은, 여러 형태로채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홀더부분(31)의 제1몸체부(31a)의 외면으로 일부 노출되게 마련되는 가로조임휠(51)과, 가로조임휠(51)로부터 연장되어 제2홀더부분(32)의 제2몸체부(32a) 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스크루축(52)으로 마련하고 있다.The horizontal tightening means 50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ortions 31 and 32 may be employed in various forms,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body portion 31a of the first holder portion 31 may be employed. Horizontal tightening wheel 51 is provided to be partially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nd the first screw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tightening wheel 51 rotatably coupled into the second body portion (32a) of the second holder portion (32) The shaft 52 is provided.

이에,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9)를 포함한 본체부(12)를 홀더부(30) 내에 배치하고 나서 가로조임휠(5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스크루축(52)이 회전하면서 제1홀더부분(31)에 대해 제2홀더부분(32)이 접근시킴으로써 제1 및 제2연결부(31c,32c)의 내면이 배터리(19)를 포함한 본체부(12)의 양측면을 견고하게 홀딩할 수 있게 된다.3, when the main body portion 12 including the battery 19 is disposed in the holder portion 30 and then the horizontal tightening wheel 5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first screw shaft ( As the second holder portion 32 approaches the first holder portion 31 while the 52 is rotate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31c and 32c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2 including the battery 19. Both sides can be held firmly.

이처럼 가로조임수단(50)을 이용하면 배터리(19)를 포함한 본체부(12)의 양측면을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연결부(31c,32c)를 통해 배터리(19)를 포함한 본체부(12)의 양측면을 견고하게 밀착유시켰다 하더라도 배터리(19)를 포함한 본체부(12)의 두께방향으로 높이(B)로 인해가 배터리(19)를 포함한 본체부(12)가 홀더부(30)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Thus, using the horizontal fastening means 50 can be firmly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2 including the battery (19). However, even if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2 including the battery 19 are tightly adher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31c and 32c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ain body 12 including the battery 19. The height B allows the body portion 12, including the battery 19, to move within the holder portion 30.

이를 저지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배터리(19)를 포함한 본체부(12)가 홀더부(30) 내에 배치될 경우, 배터리(19)를 포함한 본체부(12)를 제1 및 제2걸림부(31b,32b)에 밀착유지시키는 밀착유지수단(60)을 더 마련하고 있다. 밀착유지수단(60) 역시, 여러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제1몸체부(31a)의 내면에 배치되는 판상의 가압판(61)과, 일단은 가압판(61)에 배치되고 타단은 제1몸체부(31a)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제2스크루축(62)과, 제2스크루축(62)의 노출단에 마련되어 제2스크루축(62)을 회전시키는 밀착유지휠(63)로 구성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body portion 12 including the battery 19 is disposed in the holder portion 30, the first and second catching portions of the main body portion 12 including the battery 19 are disposed. A close contact holding means 60 is further provided to keep the close contact with 31b and 32b. The adhesion maintaining means 60 may also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ate-shaped pressure plate 61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31a and one end thereof are disposed on the pressure plate 61 and the other end may be The second screw shaft 62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31a and the contact holding wheel 63 provided at the exposed end of the second screw shaft 62 to rotate the second screw shaft 62. It consists.

이 때, 밀착유지휠(63)과 제2스크루축(62)으로 인해 가압판(61)이 배터리(19)를 포함한 본체부(12)의 높이(B)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몸체부(31a)의 내면에 소정의 관통부(64)를 형성하고 이 관통부(64)에 가압판(61)의 더미부(65)가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관통부(65)로부터 가압판(61)이 빠지지 않도록 이들은 대략 "??"자 형상을 갖는 것이 유리하며 관통부(65)에 비해 가압판(61)의 크기가 훨씬 작게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At this time, the first body part (10) ma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height B of the body part 12 including the battery 19 due to the close contact wheel 63 and the second screw shaft 62. A predetermined through portion 64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31a and the dummy portion 65 of the pressure plate 61 is disposed on the through portion 64. It is advantageous that they have an approximately " ?? " shape so that the pressure plate 61 does not come out of the through part 65, and the size of the pressure plate 61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through part 65.

밀착유지휠(63)은 제1몸체부(31a)의 외면으로 노출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제1몸체부(31a)의 외면에 그루브(66)를 형성하고 이 그루브(66)에 은닉커버(67)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켜 밀착유지휠(63)을 은닉시키고 있다. 물론,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가로조임휠(51)과 후술할 위치이동휠(72) 역시 이러한 구성을 그대로 전용할 수 있다.Since the close contact wheel 63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31a, it may not be good in appearance.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a groove 66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31a, and the cover 66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groove 66 to conceal the close contact wheel 63. Of course, although the description is omitted, the transverse tightening wheel 51 and the position movement wheel 72 to be described later can also be dedicated to such a configuration.

한편, 배터리(19)를 포함한 본체부(12)를 홀더부(30) 내에 배치할 경우, 배터리(19)에 형성된 고정단자부(19a)와 홀더부(30)에 형성된 가동단자부(30a)의 위치가 서로 맞아야만 한다. 통상적으로 보면, 제조사마다 배터리(19)에 형성된 고정단자부(19a)의 위치가 상이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가동단자부(30a)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in body portion 12 including the battery 19 is disposed in the holder portion 30, the positions of the fixed terminal portion 19a formed in the battery 19 and the movable terminal portion 30a formed in the holder portion 30 are shown. Must match each other. In general, considering that the positions of the fixed terminal portion 19a formed in the battery 19 for each manufacturer is different, it will be necessary to move the posi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ortion 30a.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가동단자부(30a)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이동수단(70)을 더 마련하고 있다. 위치이동수단(70)은, 제1몸체부(31a) 내에 마련되는제3스크루축(71)과, 제1연결부(31c)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제3스크루축(71)의 일단에 결합되어 제3스크루축(71)을 회전시키는 위치이동휠(72)과, 제3스크루축(71)에 결합되어 제3스크루축(71)의 회전시 제3스크루축(71)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편(73)과, 제1몸체부(31a)의 내면에 형성된 관통공(h)을 통해 노출된 가동단자부(30a)와 이동편(73)을 결합시키는 결합부(74)와, 관통공(h)의 개구 연부면에 마련되어 이동편(73)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75)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position moving means 70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ortion 30a. The position shifting means 7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third screw shaft 71 provided in the first body portion 31a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1c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third screw shaft 71. Position movement wheel 72 for rotating the third screw shaft 71 and the movement coupled to the third screw shaft 71 to move along the third screw shaft 71 when the third screw shaft 71 rotates. Coupling portion 74 for coupling the movable terminal portion 30a and the movable piece 73 exposed through the piece 73, the through hole h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31a, and the through hole ( It is provided on the opening edge surface of h) and guide guide 75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piece 73.

이에,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이동휠(72)을 일방향으로 돌리면, 제3스크루축(71)이 정위치에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이동편(73)이 제3스크루축(71)을 따라 일정 거링 이동한다. 그러면, 이와 동시에 결합부(74)가 함께 이동하면서 가동단자부(30a)의 위치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위치이동수단(70)은 제1 및 제2홀더부분(31,32) 모두에 마련할 수도 있고 혹은, 어느 하나의 홀더부분에만 마련할 수도 있다.Thus, as shown in FIG. 4, when the positioning wheel 72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third screw shaft 71 rotates at the correct position, and accordingly, the moving piece 73 moves to the third screw shaft 71. Move along the schedule. Then, at the same time, the coupling portion 74 moves together to move the posi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ortion 30a. The position shifting means 70 may be provided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ortions 31 and 32, or may be provided only in any one holder portion.

발광소자지지구(80)는, 발광소자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구본체(81)와, 발광소자가 형성된 면에 마련되는 반사판(82)을 포함한다. 발광소자는 복수의 LED(83)로 채용될 수 있다. 이처럼 발광소자를 LED(83)로 채용할 경우, 별도의 제어부를 더 형성하여 LED(83)의 점멸 형태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light emitting element support 80 includes a support sphere body 81 on which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detachably mounted, and a reflecting plate 82 provided on a surface on which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formed. The light emitting element can be employed as a plurality of LEDs (83).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employed as the LED 83 as described above, an additional control unit may be further formed to control the blinking form of the LED 83.

만일, 발광소자를 일반 전구를 사용하게 되면, 배터리(19)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미약하기 때문에 불빛이 밝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복수의 LED(83)를 채용하는 한편 발광소자지지구(80)에 반사판(82)을 형성함으로써, 어두운 밤, 열쇠의 키홈을 찾는 정도는 아무런 무리가 없을 것이다.If the light emitting device uses a general light bulb, the light may not be bright becaus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9 is weak. However, by employing the plurality of LEDs 83 and forming the reflecting plate 82 in the light emitting element support 80, it will be enough to find the keyway of the key in the dark night.

링크부(40)는, 제1 및 제2연결부(31C,32C)에 결합되는 제1회동부(41)와, 지지구본체(81)의 양측면에 제2회동부(42)와, 제1 및 제2회동부(41,4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링크(43)를 갖는다. 이 때, 연결링크(43)는 부분적으로 절곡된 관상체로 형성되어 가동단자부(30a)와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미도시)의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The link portion 40 includes a first rotating portion 41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31C and 32C, a second rotating portion 42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ody 81, and a first rotating portion 41. And a connection link 43 connecting the second pivots 41 and 42 to each other. At this time, it is advantageous that the connection link 43 is formed of a partially bent tubular body to form an arrangement space of an electric wire (not show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ovable terminal portion 30a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20)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method of us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20 using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우선, 위치이동휠(72)을 일방향으로 돌려 제3스크루축(71)이 정위치에서 회전하도록 한다. 그러면, 이동편(73)이 제3스크루축(71)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결합부(74)가 함께 이동하면서 가동단자부(30a)의 위치가 이동된다. 가동단자부(30a)의 위치 이동상태를 적절히 고려하여 위치이동휠(72)의 회전량을 조절하면 된다.First, the position movement wheel 72 is rotat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third screw shaft 71 rotates at the correct position. Then, the moving piece 73 moves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third screw shaft 71, and at the same time, the posi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ortion 30a is moved while the coupling portion 74 moves togethe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djust the rotation amount of the position movement wheel 72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movement state of the movable terminal part 30a.

그런 다음, 배터리(19)를 포함한 본체부(12)가 홀더부(30) 내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로조임휠(5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스크루축(52)이 회전하면서 제1홀더부분(31)에 대해 제2홀더부분(32)이 접근됨으로써 제1 및 제2연결부(31c,32c)의 내면이 배터리(19)를 포함한 본체부(12)의 양측면을 견고하게 홀딩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horizontal tightening wheel 5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while the main body 12 including the battery 19 is disposed in the holder 30. Then, as the first screw shaft 52 rotates, the second holder portion 32 approaches the first holder portion 31, so that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31c and 32c move the battery 19. Both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12 can be firmly held.

그리고는 은닉커버(67)를 그루브(66)로부터 제거하고, 밀착유지휠(6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스크루축(62)에 의해 가압판(61)이 배터리(19)를 가압하여 본체부(12)의 내면이 제1 및 제2걸림부(31b,32b)에 지지되도록 한 후, 다시 은닉커버(67)를 그루브(66)에 결합시킨다.Then, the cover cover 67 is removed from the groove 66, and the contact retaining wheel 63 is rotat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pressing plate 61 presses the battery 19 by the second screw shaft 62 so that the main body portion The inner surface of (12) is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31b and 32b, and then the cover cover 67 is coupled to the groove 66 again.

이처럼 홀더부(30)의 결합이 완료되면 배터리(19)의 고정단자부(19a)와 홀더부(30)의 가동단자부(30a)가 상호 접촉해 있는 상태가 되므로, 배터리(19)로부터의 전원은 도시 않은 전선을 통해 발광소자인 LED(83)를 온(ON)시키게 되고, 그 불빛은 반사판(82)을 통해 외부로 난반사됨으로써 실질적으로 필요한 만큼의 불빛을 얻을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coupling of the holder unit 30 is completed, the fixed terminal unit 19a of the battery 19 and the movable terminal unit 30a of the holder unit 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ower from the battery 19 LED 83, which is a light emitting device, is turned on through an electric wire (not shown), and the light is diffusely refl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flecting plate 82, thereby obtaining as much light as practically necessary.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폴더용 휴대폰(10)을 채용하여 설명하였지만 플립형 휴대폰에도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older-type mobile phone 10 has been described, bu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applied to a flip-type mobile phon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that can be turned on by using a power source of a battery mounted in the mobile phone.

Claims (10)

양극(+)과 음극(-)을 갖는 복수의 고정단자부를 가지고 휴대폰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갖는 휴대폰에 있어서,In a mobile phone having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a mobile phone having a plurality of fixed terminals having a positive (+) and a negative (-), 상기 배터리의 고정단자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가동단자부를 가지고 상기 휴대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부와;A holder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mobile phone with a plurality of movable terminal portions selectively contacting the fixed terminal portions of the battery; 상기 복수의 가동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가 장착된 발광소자지지구와;A light emitting element support on which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movable terminal portions; 상기 홀더부에 대해 상기 발광소자지지구를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nk unit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support relative to the hold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홀더부는, 가로조임수단을 가지고 상기 휴대폰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한 한 쌍의 홀더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The holder unit has a horizontal fastening means and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air of holder portions that are mutually accessible and spac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bile phon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가로조임수단은, 상기 한 쌍의 홀더부분 중 어느 일측에 판면에 대해 노출되게 마련되는 가로조임휠과; 상기 가로조임휠로부터 연장되어 타측의 홀더부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스크루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이용한 발광장치.The horizontal tightening means may include a horizontal tightening wheel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plate surface on any one side of the pair of holder portions;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screw shaft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tightening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holder portion of the other sid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한 쌍의 홀더부분은, 상기 휴대폰의 외면에 상기 휴대폰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휴대폰의 내면 일부구간에 걸림유지되는 걸림부와; 상기 몸체부 및 상기 걸림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의 두께는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연결부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The pair of holder portions, the body portion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bile phone; A catch part held by a part of an inne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 connecting portion interconnecting the body portion and the catching portion;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ortion is formed relatively narr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홀더부 내에 마련되어 상기 가동단자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sition moving means provided in the holder to move the posi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ortio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위치이동수단은, 상기 몸체부 내에 마련되는 제3스크루축과; 상기 연결부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3스크루축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3스크루축을 회전시키는 위치이동휠과; 상기 제3스크루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3스크루축의 회전시 상기 제3스크루축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편과; 상기 몸체부의 내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노출된 상기 가동단자부와 상기 이동편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관통공의 개구 연부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편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The position movement means, and the third screw shaft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A position shifting wheel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part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third screw shaft to rotate the third screw shaft; A moving piece coupled to the third screw shaft and moving along the third screw shaft when the third screw shaft is rotated;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the movable terminal part and the movable piece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The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piece provided on the opening edg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광소자지지구는, 상기 발광소자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구본체와, 상기 발광소자가 형성된 면에 마련되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The light emitting device support, the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sphere body to which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detachably mounted, and a reflecting plate provided on the surface on which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formed.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발광소자는 복수의 LED이며, 상기 복수의 LED의 점멸 상태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The light emitting device is a plurality of LEDs, the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ashing state of the plurality of LED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링크부는, 상기 홀더부에 결합되는 제1회동부와, 상기 발광소자지지구에 마련되는 제2회동부와; 상기 제1 및 제2회동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The link unit includes: a first pivot unit coupled to the holder unit, and a second pivot unit provided on the light emitting device support;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link for inter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pivot.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연결링크는 부분적으로 절곡된 관상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동단자부와 상기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의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발광장치.The connection link is formed of a partially bent tubular body to form a light emitting device arrangement space of the electric wire connecting the movable terminal portion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KR20-2003-0009237U 2003-03-27 2003-03-27 Lamp assembly using portable phone KR20031785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237U KR200317854Y1 (en) 2003-03-27 2003-03-27 Lamp assembly using portab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237U KR200317854Y1 (en) 2003-03-27 2003-03-27 Lamp assembly using portab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854Y1 true KR200317854Y1 (en) 2003-06-25

Family

ID=4940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237U KR200317854Y1 (en) 2003-03-27 2003-03-27 Lamp assembly using portab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85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0760B1 (en) Cellular phone with lamp
US7522946B2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888835B1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EP1720326A1 (en) Portable terminal with two bodies being both foldable and slidable relative to each other
KR100575998B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20080124626A1 (en)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US20060093133A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ombination of optical waveguide and sound resonance space
US20080226970A1 (en) Portable terminal
KR200317854Y1 (en) Lamp assembly using portable phone
EP1501261A2 (en) Dual-speaker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KR100681373B1 (en) Swing device of mobile terminal equipment
KR20050117203A (en)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lens assembly
JP2005534237A (en) Automatic open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s
KR100790106B1 (en)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KR100658207B1 (en) Personal portable device
KR20040026203A (en) Portable phone for folder
KR200317853Y1 (en) Holder for portable phone
KR20010035318A (en) dual folder-type hand-phone
KR20050005600A (en) Portable telephone
KR100901189B1 (en) Folder type mobile terminal
JP4496963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54600B1 (en) Coupling device for display unit in mobile phone
KR100819277B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506223B1 (en) Portable phone
KR200374468Y1 (en) Swing device of mobile termina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