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762Y1 - 천정용 등받이 - Google Patents

천정용 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762Y1
KR200317762Y1 KR20-2003-0008705U KR20030008705U KR200317762Y1 KR 200317762 Y1 KR200317762 Y1 KR 200317762Y1 KR 20030008705 U KR20030008705 U KR 20030008705U KR 200317762 Y1 KR200317762 Y1 KR 200317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late
ceiling
present
plat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현
Original Assignee
송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병현 filed Critical 송병현
Priority to KR20-2003-0008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7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7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2Composite shades, i.e. shades being made of distinc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용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용 등받이의 입체감을 더욱 부각시키는 한편, 다양한 모양으로 용이하게 변화 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정용 등받이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한편, 설치에 따른 작업성 및 호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이 가능한 천정용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일정한 형상과 모양으로 가공된 장식판 다수개를 연결하여서 되는 천정용 등받이에 있어서,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여서 된 장식판1을 원하는 모양으로 배열시키고, 장식판1과 동일한 모양으로 가공하되, 장식판1 보다 다소 크게 제작된 장식판2를 장식판1의 상부면에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정용 등받이{A decoration panel for an overhead light}
본 고안은 천정용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용 등받이의 입체감을 더욱 부각시키는 한편, 다양한 모양으로 용이하게 변화 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정용 등받이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한편, 설치에 따른 작업성 및 호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이 가능한 천정용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용 등받이는 천장에 설치되는 각종 등과 조화를 이루어 실내 인테리어를 한층 돋보이도록 하는 것으로, 대부분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천정용 등받이는 원이면 원, 사각이면 사각 등 그 형상 그대로 하나의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어, 특히, 목재의 경우 제조시에 많은 조각(자투리)이 생겨 투입 자재 대비 생산량이 극히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 같이 하나로 이루어진 천정용 등받이를 천정에 설치하기란 그 무게 및 크기로 인해 매우 난해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천정용 등받이의 외관의 미려함을 향상시키고자 일측 면(우리가 천정을 쳐다볼 때 보이는 부분)에 음/양각으로 무늬, 모양 및 선 등을 표현하여 입체감이 나타나도록 하였으나, 이는 천정용 등받이가 높은 천정에 설치될 경우, 미감을 느끼는 것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개선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천정용 등받이의 입체감을 더욱 부각시키는 한편, 다양한 모양으로 용이하게 변화 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정용 등받이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한편, 설치에 따른 작업성 및 호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이 가능한 천정용 등받이를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한 형상과 모양으로 가공된 장식판 다수개를 연결하여서 되는 천정용 등받이에 있어서,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여서 된 장식판1을 원하는 모양으로 배열시키고, 장식판1과 동일한 모양으로 가공하되, 장식판1 보다 다소 크게 제작된 장식판2를 장식판1의 상부면에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장식판1이 연결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장식판1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장식판1에 차단판이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장식판1에 차단판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장식판2가 연결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장식판2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장식판2가 천정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장식판1과 장식판2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장식판1과 장식판2가 결합되어 천정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천정용 등받이 10 : 장식판1
11 : 내측 홈 12 : 외측 홈
13 : 고정면 14 : 연결판
15 : 차단판 20 : 장식판2
21 : 연결판2 1 : 천정등
2 : 천정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첨부 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장식판1이 연결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장식판1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장식판1에 차단판이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장식판1에 차단판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장식판2가 연결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장식판2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장식판2가 천정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장식판1과 장식판2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장식판1과 장식판2가 결합되어 천정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중 도면 부호 10은 본 고안인 천정용 등받이의 장식구1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 부호 30은 장식구2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형상과 모양으로 가공된 장식판 다수개를 연결하여서 되는 천정용 등받이(100)에 있어서,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여서 된 장식판1(10)을 원하는 모양으로 배열시키고, 장식판1(10)과 동일한 모양으로 가공하되, 장식판1(10) 보다 다소 크게 제작된 장식판2(20)를 장식판1(10)의 상부면에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장식판1(10)은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형상과 모양으로 가공된 것으로, 일측 면상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식판1(10)의 외부 곡선과 동일하게 내/외측 홈(11)(12)형성되고, 내/외측 홈(11)(12)이 형성된 장식판1(10)의 일측 면 양단에 내측 방향으로 고정면(13)이 형성된 것이다.
장식판1(10)은 동일한 형상과 모양으로 된 다수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각 장식판1(10) 양단에 형성된 고정면(13)에 연결판(14)을 위치시키고 타카로고정하여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장식판1(10)의 내/외측 홈(11)(12)에 첨부 도면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차단판(15)을 끼워 고정함으로써, 외부로 장식판1(10)의 내측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장식판1(10)이 높이 방향으로 입체감을 갖도록 한다.(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내측 홈(11)에 끼움)
이와는 별도로 이루어진 장식판2(20)는 첨부 도면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의 곡선이 전체적으로는 장식판1(10)과 동일한 모양을 하고 있으나, 전체 직경은 다소 크면서 넓이는 동일한 판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장식판2(20)는 다수개의 장식판2(20) 일측 면 양단에 연결판2(21)을 위치시키고 타카로 고정하여 연결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장식판2(20)를 천정등(1)이 설치된 천정(2)에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연결판2(21)이 천정(2)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장식판2(20)에 첨부 도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식판1(10)을 고정 설치하게 되는데, 장식판1(10)의 내측 홈(11)에 끼워진 차단판(15)의 외측면에 장식판2(20)의 내측면이 접하도록 끼우되, 장식판1(10)의 상부면과 장식판2(20)의 하부면을 밀착시켜 고정하게 되면, 첨부 도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천정용 등받이(100)가 설치 시공된다.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식판1(10)과 장식판2(20)을 적층하여 다단의 천정용 등받이(100)를 설치 시공함에 있어서, 장식판2(20)가 장식판1(10)의 외곽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장식판2(20)의 전체 직경을 장식판1(10) 보다 다소 작게 하고, 넓이는 동일하게 하여 첨부도면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식판1(10)에 장식판2(20)가 적층되었을 경우, 장식판1(10)의 내측으로 장식판2(20)의 내측이 돌출되어 보이도록 할 수도 있으며, 장식판2(20)의 전체 직경과 폭을 장식판1(10)의 전체 직경과 폭 보다 다소 크게 하여 첨부 도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식판1(10)에 장식판2(20)가 적층되었을 경우, 장식판1(10)의 내/외측으로 장식판2(20)의 내/외측이 돌출되어 나타나도록 하는 것도 천정용 등받이(100)의 입체감을 향상시키는데 바람직한 실시예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천정 뿐 만 아니라, 실내의 벽면 또는 바닥면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실내 장식에 있어서 획기적인 장식물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천정용 등받이의 입체감을 더욱 부각시키는 한편, 다양한 모양으로 용이하게 변화 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정용 등받이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한편, 설치에 따른 작업성 및 호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일정한 형상과 모양으로 가공된 장식판 다수개를 연결하여서 되는 천정용 등받이(100)에 있어서,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여서 된 장식판1(10)을 원하는 모양으로 배열시키고, 장식판1(10)과 동일한 모양으로 가공하되, 장식판1(10) 보다 다소 크게 제작된 장식판2(20)를 장식판1(10)의 상부면에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용 등받이.
KR20-2003-0008705U 2003-03-24 2003-03-24 천정용 등받이 KR200317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705U KR200317762Y1 (ko) 2003-03-24 2003-03-24 천정용 등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705U KR200317762Y1 (ko) 2003-03-24 2003-03-24 천정용 등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762Y1 true KR200317762Y1 (ko) 2003-06-25

Family

ID=4940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705U KR200317762Y1 (ko) 2003-03-24 2003-03-24 천정용 등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7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28341S1 (en) Lighting fixture
USD908271S1 (en) Lighting fixture
USD556359S1 (en) Corner mount light fixture
US9897291B2 (en) Light fixture joint with notched edge and methods incorporating the same
USD540974S1 (en) Wall mounted lantern
USD879363S1 (en) Lighting fixture
USD465297S1 (en) Luminaire with a candelabra base socket assembly
KR200317762Y1 (ko) 천정용 등받이
KR101777162B1 (ko) 분할 조립성과 장식성을 갖는 천정직착등
USD575447S1 (en) Lighting fixture canopy
KR200321758Y1 (ko) 천정설치용 조립식 등박스
USD558388S1 (en) Ceiling light fixture
USD530654S1 (en) Decorative louver assembly for an automobile
USD503819S1 (en) Ceiling fan light fixture
KR20090005483U (ko) 조립식 천정조명등의 코너 연결구
USD502147S1 (en) Stackable building panel pass-through fixture
USD484233S1 (en) Combined ceiling fan and light fixture
KR20140132592A (ko) 실내 구획용 파티션
KR200308618Y1 (ko)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이 가능한 천정등받이용 장식구
KR200351252Y1 (ko) 조립식 천정등받이
USD470266S1 (en) Light cover with faux alabaster appearance
KR200321770Y1 (ko) 천정용 등받이
KR200251411Y1 (ko) 천장 장식판
CN209926298U (zh) 灯体结构的连接件
CN218117077U (zh) 一种功能立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