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385Y1 - The connection of steel truss for rectangular hollow section - Google Patents

The connection of steel truss for rectangular hollow s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385Y1
KR200317385Y1 KR20-2003-0010657U KR20030010657U KR200317385Y1 KR 200317385 Y1 KR200317385 Y1 KR 200317385Y1 KR 20030010657 U KR20030010657 U KR 20030010657U KR 200317385 Y1 KR200317385 Y1 KR 200317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quare steel
tension
trus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6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성식
정상민
강석규
조영태
배규웅
박금성
곽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주식회사 상원구조기술사사무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주식회사 상원구조기술사사무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Priority to KR20-2003-0010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38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385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Landscapes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철골 트러스용 접합부는 크게 고장력 인장 강봉, 핀 플레이트, 상·하현재 각형강관, 경사재 각형강관, 수직재 각형강관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플랫 트러스와 와렌 트러스의 K형과 N형 및 T형의 형태로 되며, 철골 트러스용 K형 및 N형 접합부는 인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고장력 인장 강봉을 사용하고 압축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과 45도 회전시킨 각형강관을 사용하며, 인장용 핀 플레이트가 1개 또는 2개이고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과 빌트-업(BUILT-UP)한 각형강관으로 구성된 접합부이고, 이와 같은 동일한 단면성능을 갖는 K형 접합부의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주관 상부면과 주관 측벽에 주관 두께 이상을 갖는 플레이트 두께(tp)로 보강한 접합부이며, 또한 T형 접합부 형태는 경사방향의 웨브재 없이 인장·압축력을 받는 수직방향 웨브재로 구성되어 수직웨브재는 45도 회전시킨 각형강관을 사용하며,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과 빌트-업한 각형강관으로 구성된 접합부이고, 동일한 단면성능을 갖는 T형 접합부의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주관 측벽과 주관 상부면에 주관 두께 이상을 갖는 플레이트 두께(tp)로 보강한 접합부이다.The joint part for steel tru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high tensile tensile steel bar, pin plate, up and down current square steel pipe, inclined square steel pipe, and vertical square steel pipe. K-type and N-type joints for steel trusses use high-tensile tensile steel rods for web materials subjected to tension only, and conventional cold-formed square steel pipes and square steel pipes rotated 45 degrees for web materials receiving compression force only. One or two pin plates, and the upper and lower chords are joints consisting of existing cold-formed square steel pipes and built-up square steel pipes, and increase the design strength of K-shaped joints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performance. and a reinforcement abutment in organiz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plate thickness (t p) to the host side wall having at least a thickness so as to organize, and form the junction-type T is in an oblique direction gateway It consists of vertical web material that is tensioned and compressed without material, and the vertical web material uses square steel pipe rotated by 45 degrees.Upper and lower current is a joint consisting of existing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and built-up square steel pipe. In order to increase the design strength of the T-shaped joint having performance, the joint is reinforced with a plate thickness t p having a main pipe thickness or more on the main pipe side wall and the main pipe upper surface.

Description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THE CONNECTION OF STEEL TRUSS FOR RECTANGULAR HOLLOW SECTION }Square Steel Pipe Steel Truss Joint {THE CONNECTION OF STEEL TRUSS FOR RECTANGULAR HOLLOW SECTION}

본 고안은 각형강관을 사용한 철골 트러스용 접합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 for steel trusses using a square steel pipe.

특히, 본 고안은 장스팬 구조용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장스팬 구조체 공사에서 하중지지용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H형강과 강관, 빌트업(BUILT-UP) 부재 등을 웨브재(경사재와 수직재)로 사용하지 않고, 주로 인장을 받는 웨브재에 고장력 인장 강봉으로 대체할 수 있는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 구성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quare steel tube steel truss joint for long span structure. More specifically, the existing H-shaped steel, steel pipes, and built-in (BUILT-UP) members, which are used for supporting loads in various long span structure constructions, are mainly subjected to tension without being used as web materials (slope materials and vertical materia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figuration of a square steel tube steel truss joint that can be replaced with a high tensile tensile steel bar in a web material.

본 고안은 특히, 무주대공간 구조에서 트러스 골조의 상·하현재와 웨브재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이음부의 구조적 강도를 확보하여 장스팬 구조물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성이 높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철골 트러스 접합부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경제성이 좋은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the upper and lower chords and web material of the truss frame in the abutment-free space structure, but also to secure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joints to sufficiently support the load of the long span structure, as well as easy construction To provide a steel truss structure with good overall economic efficiency by forming a steel truss joint with high safety and high durability.

장스팬 건축물은 산업사회의 발달에 힘입어 최근에 그 수요가 늘고 있지만, 국내의 장스팬 건축물의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외국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크고, 특히 장스팬 건축물 중에서 철골 트러스의 각종 접합부에 대한 성능평가 및 이에 대한 접합부재간의 상세한 내용과 설계가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다.Jangspan building has recently been in increasing deman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 society, but it is highly dependent on foreign technology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stage of the Jangspan building in Korea.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 details and design between the joining members are relatively poor.

장스팬 구조체 공사에서 하중지지용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H형강과 강관, 빌트-업 부재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현장작업의 증가로 인한 품질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단면이 커지거나 부재길이를 길게 제작하는데 한계가 있다.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quality due to the increase in the field work because it uses the existing H-shaped steel, steel pipe, built-up member, etc., which are used for load support in long span structure construction. There is a limit.

이에 대해서 본 고안은 무주대공간 구조에서 철골 트러스 골조의 상·하현재와 웨브재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이음부의 구조적 강도를 확보하여 장스팬 구조물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성이 높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철골 트러스 접합부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경제성이 양호한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the upper and lower chords and web materials of the steel truss frame in the abutment-free space structure, while ensuring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joints to sufficiently support the load of the long span structure. It is to provide a square steel pipe steel truss structure with good overall economic efficiency by forming a steel truss joint easy and high safety and excellent durability.

본 고안은 무주대공간 구조에서 철골 트러스 골조의 상·하현재와 웨브재 중에서 순수 인장재에는 고장력 인장 강봉을 사용함으로써, 접합부에서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접합부의 구조적 강도를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ensure structural strength of the joints while being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at the joints by using high-tensile tensile steel bars for the upper and lower chords and web materials of the steel truss frame in the abutment-free space structure.

또한, 본 고안은 장스팬 구조물의 지붕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성이 높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철골 트러스 접합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경제성이 양호하고 전체 철골 트러스 구조체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ble to sufficiently support the roof load of the long span structure, but also easy to construct, high in safety, and durable to form a steel truss joint having excellent durability, thereby reducing deformation of the entire steel truss structure. It is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be enabled.

도1은 본 고안의 고장력 인장 강봉과 각 철골부재가 이루는 철골 트러스 접합부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teel truss joint formed by the high-tensile tensile steel bar and each ste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및 도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2 and 3 are a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 및 도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4 and 5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top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 및 도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6 and 7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top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 및 도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8 and 9 are a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 및 도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10 and 11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top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 및 도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12 and 13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top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4 및 도1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14 and 15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top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6 및 도1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16 and 17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top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8 및 도19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18 and 19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top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0 및 도2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20 and 21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plan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2 및 도2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22 and 23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top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4 및 도2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24 and 25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top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6 및 도2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26 and 27 are a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8 및 도2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28 and 29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top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0 및 도3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30 and 31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plan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2 및 도33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32 and 33 are front, plan and perspective views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4 및 도3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34 and 35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plan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6 및 도3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36 and 37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plan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8 및 도3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38 and 39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plan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0 및 도4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40 and 41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plan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2 및 도4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42 and 43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top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4 및 도4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44 and 45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top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6 및 도4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46 and 47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top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8 및 도4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48 and 49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top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0 및 도51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50 and 51 are a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2 및 도53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52 and 53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top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4 및 도55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54 and 55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top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고장력 인장 강봉10: high tensile tensile steel bar

10a : 고장력 강봉의 스페이드 단부 10b : 고장력 강봉의 클레비스 단부10a: Spade end of high tensile steel bar 10b: Clevis end of high tensile steel bar

11 : 핀 플레이트11: pin plate

12 : K형의 상·하현재인 냉간 성형 각형강관12: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of K type upper and lower current

12a : K형의 상·하현재인 빌트-업 각형강관12a: Built-up square steel pipe of K type upper and lower current

13 : K형의 경사재인 냉간 성형 각형강관13: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which is K type inclined material

14 : K형의 경사재로 45도 회전시킨 냉간 성형 각형강관14: Cold formed square steel pipe rotated 45 degrees with K type inclined material

15 : N형의 수직재인 냉간 성형 각형강관15: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of N type vertical material

16 : N형의 수직재로 45도 회전시킨 냉간 성형 각형강관16: Cold formed square steel pipe rotated 45 degrees with N type vertical material

17 : N형의 상·하현재인 냉간 성형 각형강관17: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of N type upper and lower current

17a : N형의 상·하현재인 빌트-업 각형강관17a: Built-up square steel pipe of N type upper and lower current

18 : 고장력 인장강봉과 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핀(pin)18: pin connecting high tensile steel bar and pin plate

19 : K형 및 N형의 주관 상부면(플랜지면)을 보강한 보강판19: Reinforcement plate reinforcing the upper surface (plan surface) of main pipe of K type and N type

20 : K형 및 N형의 주관 측벽면(웨브면)을 보강한 보강판20: Reinforcement plate reinforcing main side wall surface (web surface) of K type and N type

21 : T형의 주관 측벽면(웨브면)을 보강한 보강판21: Reinforcement plate reinforced with T-shaped main pipe sidewall (web surface)

22 : T형의 주관 상부면(플랜지면)을 보강한 보강판22: Reinforcement plate reinforcing the upper surface (plan surface) of T-shaped main pipe

23 : T형의 수직재로 45도 회전시킨 냉간 성형 각형강관23: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rotated 45 degrees with a T-shaped vertical material

24 : T형의 상·하현재인 냉간 성형 각형강관24: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of T-shaped upper and lower current

24a : T형의 상·하현재인 빌트-업 각형강관24a: Built-up square steel pipe of T type

갭(gap) : K형 및 N형에서 인장지관 끝단(toe)과 압축지관 끝단(toe) 사이의 간격Gap: The gap between the tension tube end and the compressed tube end in type K and N.

Bp: K형 및 N형, T형에서 플랜지면을 보강한 보강판의 폭B p : Width of reinforcement plate reinforced with flange surface in K type, N type and T type

Hp: K형 및 N형, T형에서 웨브면을 보강한 보강판의 높이H p : Height of reinforcement plate reinforced web surface in K type, N type and T type

Lp: K형 및 N형, T형에서 플랜지면 또는 웨브면을 보강한 보강판의 길이L p : Length of reinforcement plate reinforced with flange face or web face in K type, N type and T type

tp: K형 및 N형, T형에서 플랜지면 또는 웨브면을 보강한 보강판의 두께t p : Thickness of reinforcement plate reinforced with flange face or web face in type K, N and 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explain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체적인 철골 트러스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철골 트러스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현재 각형강관(12,12a)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하현재 각형강관(17,17a) 사이의 다수의 웨브재 중에서 압축을 받는 수직재 및 경사재는 기존의 각형강관(13,15) 및 45도 회전시킨 각형강관(14,16)을 사용하여 접합되며, 또한 주로 인장을 받는 인장재는 고장력 인장강봉(10,10a,10b)으로 구성되는 철골 트러스 구조체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steel truss sh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plurality of web materials between the upper current square steel pipes 12 and 12a disposed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truss and the lower current square steel pipes 17 and 17a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vertical members and the inclined members that receive compression are conventional square steel pipes. (13,15) and a square steel pipe (14,16) rotated by 45 degrees, and the tensile material mainly subjected to tension represents the joint portion of the steel truss structure composed of high tensile steel bars (10, 10a, 10b) Front view.

도2 및 도3은 제1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철골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K형의 형태로서 인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고장력 인장강봉(10)을 사용하고 압축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3)을 사용하며,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2개이고 수평 경사방향의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2)과 빌트-업한 각형강관(12a)으로 구성된 접합부이다. 도4 및 도5, 도6, 도7은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철골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K형의 형태로 주관과 지관의 접합부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지관과 접합되는 주관 플랜지면과 웨브(측벽)면에 일정한 크기(LP×BP,LP×HP)와 두께(tp)를 갖는 플레이트(19,20)로 보강한 접합부 형상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14 및 도15는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고장력 인장강봉 단부(10b)와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1개인 형태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16 및 도17, 도18, 도19는 제 1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인장을 받는 핀플레이트가 1개인 K형 접합부에서 접합부의내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주관 접합면과 측벽면에 플레이트(19,20)를 이용하여 보강한 접합부 형태이다.2 and 3 show a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Among the joints for steel trusses, a high tensile steel bar 10 is used for a web material that receives only tension in the form of a K type, and an existing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13 is used for a web material that receives only a compressive force, and a pin plate 11 for tension is used. There are two and the upper and lower chords in the horizontal inclined direction is a joint consisting of the existing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12 and the built-up square steel pipe 12a. 4, 5, 6, and 7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plan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main pipe is joined to the paper pipe to increase the design strength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pipe and the paper pipe in the form of a K-shape among the joints for steel trusses. It denotes a flange surface and a web (side wall) in a joint-like reinforcing plate (19, 2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n the surface (L × P B P, L P × P H) and a thickness (t p). 14 and 15 show another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in which a high tensile tension bar end portion 10b and a tension pin plate 11 are configured. 16, 17, 18, and 19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plan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main joint surface and the side of the main joint surface are increased in order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joint at the K-type joint with one pin plate subjected to tension. It is in the form of a joint reinforced with plates 19 and 20 on the wall.

상·하현재와 접합되는 웨브재 중에서 압축재는 강절점을 통해 형성되고, 고장력 인장강봉을 사용하는 인장 웨브재는 핀절점을 통해 구성되어 있으며 핀 구멍에 고정 핀(18)이 삽입되어 있다.Among the web materials joined to the upper and lower chords, the compressive material is formed through the steel node, and the tension web material using the high tensile steel bar is configured through the pin node, and the fixing pin 18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도8 및 도9는 제2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철골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K형의 형태로서 인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고장력 인장강봉(10)을 사용하고 압축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3) 대신에 45도 회전시킨 냉간 성형 각형강관(14)을 사용하며,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2개이고 수평 경사방향의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2)과 빌트-업한 각형강관(12a)으로 구성된 접합부이다. 도11 및 도12, 도13, 도14는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철골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K형의 형태로 주관과 지관의 접합부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주관 상부(플랜지)면과 측벽(웨브)면에 일정한 크기(LP×BP,LP×HP)와 두께(tp)를 갖는 플레이트(19,20)로 보강한 접합부 형상을 나타낸다. 특히, 압축을 받는 웨브재에서 기존 각형강관의 형태에서 벗어나 45도 회전시킨 형상의 접합부는 강도 및 변형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도20 및 도21은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고장력 인장 강봉 단부(10b)와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1개인 형태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22 및 도23, 도24,도25는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 인장을 받는 핀플레이트가 1개인 K형 접합부에서 접합부의 내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주관 상부 접합면과 측벽면에 플레이트(19,20)를 이용하여 보강한 접합부 형태이다.8 and 9 show a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Among the joints for steel trusses, a high tensile steel bar (10) is used for a web material that receives only tensile force in the form of a K-shape, and a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that is rotated 45 degrees instead of the existing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13) for a web material that receives only compression force ( 14), the tension pin plate (11) is two and the up and down chord in the horizontal inclined direction is a joint consisting of the existing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12 and the built-up square steel pipe (12a). 11, 12, 13, and 14 show still another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main pipe (flange) in order to increase the design strength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pipe and the branch pipe in the form of a K-shape among the joints for steel trusses. The shape of the joint portion reinforced by plates 19 and 20 having a constant size (L P x B P , L P x H P ) and a thickness t p on the face and the side wall (web) face is shown. In particular, the joint of the shape rotated 45 degrees away from the shape of the existing square steel pipe in the compressed web material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trength and deformation capacity. 20 and 21 show another front view, plan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a high tension tensile steel rod end 10b and a tension pin plate 11 are formed in one form. 22, 23, 24, and 25 show another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joint at the K-type joint with one pin plate subjected to tension. It is in the form of a joint reinforced with plates 19 and 20 on the side wall.

도26 및 도27은 제3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철골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N형의 형태로서 인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고장력 인장 강봉(10)을 사용하고 압축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3)을 사용하며,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2개이고 수평 경사방향의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7)과 빌트-업한 각형강관(17a)으로 구성된 접합부이다. 도28 및 도29, 도30, 도31은 제3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철골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N형의 형태로 주관과 지관의 접합부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주관 상부(플랜지)면과 측벽(웨브)면에 일정한 크기(LP×BP,LP×HP)와 두께(tp)를 갖는 플레이트(19,20)로 보강한 접합부 형상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38 및 도39는 제3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고장력 인장 강봉 단부(10b)와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1개인 형태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40 및 도41, 도42, 도43은 제3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인장을 받는 핀플레이트가 1개인 N형 접합부에서 접합부의 최대내력 및 변형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주관 상부 접합면과 측벽면에 플레이트(19,20)를 이용하여 보강한 접합부 형태이다.26 and 27 show a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Among the joints for steel trusses, a high tension tensile steel bar 10 is used for a web material that receives only tensile force in the form of an N type, and an existing cold-formed square steel tube 13 is used for a web material that receives only compression force, and a pin plate 11 for tensioning is used. There are two and the upper and lower chords in the horizontal inclined direction are joints composed of the existing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17 and the built-up square steel pipe 17a. 28, 29, 30, and 31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plan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main pipe (flange) to increase the design strength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pipe and the branch pipe in the form of an N-shape among steel truss joints; The shape of the joint portion reinforced by plates 19 and 20 having a constant size (L P x B P , L P x H P ) and a thickness t p on the face and the side wall (web) face is shown. 38 and 39 show still another front view, plan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the third embodiment, in which a high tension tensile steel rod end 10b and a tension pin plate 11 are formed in one form. 40, 41, 42, and 43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plan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the third embodi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maximum strength and deformation capacity of the joint at an N-type joint with one pin plate subjected to tension. It is in the form of a joint reinforced with plates 19 and 20 on the upper joint surface and the side wall surface.

도32 및 도33은 제4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철골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N형의 형태로서 인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고장력 인장 강봉(10)을 사용하고 압축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3) 대신에 45도 회전시킨 냉간 성형 각형강관(14)을 사용하며,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2개이고 수평 경사방향의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7)과 빌트-업한 각형강관(17a)으로 구성된 접합부이다. 도34 및 도35, 도36, 도37은 제4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철골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N형의 형태로 주관과 지관의 접합부 설계내력과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주관 상부(플랜지)면과 측벽(웨브)면에 일정한 크기(LP×BP,LP×HP)와 두께(tp)를 갖는 플레이트(19,20)로 보강한 접합부 형상을 나타낸다. 특히, 압축을 받는 웨브재에서의 기존 각형강관의 형태에서 벗어나 45도 회전시킨 형상의 접합부는 강도 및 변형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도44 및 도45는 제4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고장력 인장 강봉 단부(10b)와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1개인 형태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46 및 도47, 도48, 도49는 제4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인장을 받는 핀플레이트가 1개인 N형 접합부에서 접합부의 최대내력 증대 및 철골 트러스의 변형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주관 상부 접합면과 측벽면에 플레이트(19,20)를 이용하여 보강한 접합부 형태이다.32 and 33 show a front view, a top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Among the joints for steel trusses, a high tensile steel bar 10 is used for a web material that receives only tensile force in the form of an N-type, and a cold formed square steel pipe that is rotated 45 degrees instead of the existing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13 for a web material that receives only compression force ( 14), the tension pin plate (11) is two and the up and down chord in the horizontal inclined direction is a joint consisting of the existing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17 and the built-up square steel pipe (17a). 34, 35, 36, and 37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plan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the fourth embodi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design strength and rigidity of the joint design of the main pipe and the branch pipe in the form of an N-type among the steel truss joints; The shape of the joint portion reinforced by plates 19 and 20 having a constant size (L P x B P , L P x H P ) and a thickness t p on the flange) face and the side wall (web) face is shown. In particular, the joint of the shape rotated 45 degrees out of the shape of the existing square steel pipe in the compressed web material provid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rength and deformation capacity. 44 and 45 show another front view, plan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in which a high tension tensile steel rod end 10b and a tension pin plate 11 are configured. 46, 47, 48, and 49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plan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the fourth embodiment, in which the maximum strength of the joint is increased and the deformation of the steel truss is reduced at the N-type joint having one pin plate subjected to tension. In order to make the main pipe upper joining surface and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joint portion reinforced using the plates (19, 20).

도50 및 도51은 제5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철골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T형의 형태로서 인장과 압축력을 받는 수직 웨브재에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 대신에 45도 회전시킨 냉간 성형 각형강관(23)을 사용하며,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24)과 빌트-업한 각형강관(24a)으로 구성된 접합부이다. 도52 및 도53, 도54, 도55는 제5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철골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T형의 형태로 주관과 지관의 접합부 설계내력 및 강성을 증대시키고 접합부의 안정된 파괴모드를 확보하기 위하여 주관 상부(플랜지)면과 측벽(웨브)면에 일정한 크기(LP×bP,LP×HP)와 두께(tp)를 갖는 플레이트(21,22)로 보강한 접합부 형상을 나타낸다. 압축을 받는 웨브재에서의 기존 각형강관의 형태에서 벗어나 45도 회전시킨 형상의 접합부는 강도 및 변형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50 and 51 show a front view, a top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Among the joints for steel trusses, cold-formed square steel pipes 23 rotated 45 degrees instead of conventional cold-formed square steel pipes are used for vertical web materials that are tensile and compressive in the form of T-shapes. A joint consisting of a steel pipe 24 and a built-up square steel pipe 24a. 52, 53, 54, and 55 are still another front view, plan view, and perspective view of the fifth embodiment, in which the design strength and rigidity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pipe and the branch pipe are increased in the form of a T-shape among the steel truss joints, and the stable failure of the connection is shown. Reinforced with plates 21 and 22 having a constant size (L P × b P , L P × H P ) and thickness (t p )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pipe (flange) and the side wall (web) to secure the mode The junction shape is shown. The joints of the shape rotated 45 degrees out of the shape of the existing square steel pipe in the compressed web material provid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rength and deformation capacity.

본 고안은 장스팬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용 접합부에 관한 것으로 각종 장스팬 공사에서 하중지지용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H형강과, 강관, 빌트-업 등을 웨브재로 사용하지 않고 압축을 받는 웨브재에는 기존의 각형강관을 사용하고 주로 인장을 받는 웨브재에서는 고장력 인장 강봉으로 대체할 수 있는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 구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 part for long span square steel pipe steel truss, and the web material that is compressed without using the existing H-shaped steel, steel pipe, built-up, etc. used for load support in various long span constructio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onstruction of a square steel tube steel truss joint that can be replaced with a high tensile steel bar using a conventional square steel tube and mainly subjected to tension.

본 고안은 특히, 무주대공간 구조에서 철골 트러스 골조의 길이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된 상현재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하현재가 웨브재와의 조립시공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접합부의 구조 강도와 강성을 확보하여 지붕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성이 높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철골 트러스 접합부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경제성이 양호한 철골 트러스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upper chord and the lower chord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clin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truss frame in the abutment-free space structure is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the web material, while ensuring the structural strength and rigidity of the joint Not only can fully support the roof load, but also easy to construct, high safety, and durable to form a steel truss joint to provide a steel truss structure with good overall economic efficiency.

기존의 각형강관을 45도 회전시킨 압축재로 구성되는 형태의 접합부에서는 접합부의 강성과 강도 및 변형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joint formed by the compression material rotated 45 degrees of the existing square steel pipe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rigidity, strength and deformation capacity of the joint.

Claims (9)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골조에서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현재 각형강관(12,12a)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하현재 각형강관(17,17a) 사이에 다수의 압축을 받는 웨브재와 인장을 받는 웨브재가 강절점 및 핀절점을 통해 형성되는 각형강관 트러스 접합부로서,A web material subjected to a plurality of compressions and a web material subjected to tension between the upper chord square steel pipes 12 and 12a disposed in an inclined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quare steel steel truss frame and the lower chord square steel pipes 17 and 17a arranged horizontally Square steel tube truss connection formed through the steel node and pin node,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 중에서 K형의 형태로서 인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고장력 인장 강봉(10)과 스페이드 단부(10a)를 사용하고, 압축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3)을 사용하며,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2개이고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2)과 빌트-업한 각형강관(12a)으로 구성되며,Among the square steel pipe steel truss joints, a tension-like tensile steel rod 10 and a spade end 10a are used for a web material that is tensioned in the form of a K-type, and an existing cold-formed square steel tube 13 is used for a web material that receives only a compressive force. The upper and lower chords, which have two tension pin plates 11 and ar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composed of existing cold-formed square steel pipes 12 and built-up square steel pipes 12a. 상·하현재와 접합되는 웨브재 중에서 압축재는 강절점을 통해 형성되고, 고장력 인장 강봉을 사용하는 인장 웨브재는 핀절점을 통해 구성되어 있고 핀 구멍에 고정 핀(18)이 삽입되어 있으며,Among the web materials joined to the upper and lower chords, the compression material is formed through the steel node, and the tension web material using the high tensile tension steel bar is configured through the pin node, and the fixing pin 18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 중에서 K형의 형태로 인장과 압축을 받고 있는 접합부에서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고 전체 철골 트러스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관 상부(플랜지)면과 측벽(웨브)면을 일정한 크기와 두께로 보강한 보강판을 갖는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pipe (flange) and the side wall (web) of the square steel pipe truss joints are designed to increase the design strength and reduce the deformation of the entire steel truss at the joints under tension and compression in the form of K type. Square steel tube steel truss connection with reinforcement plate reinforced with size and thickness. 제1항에 있어서, 고장력 인장 강봉의 클레비스 단부(10b)와 하나의 핀 플레이트(11)로 구성된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2. A square steel tube steel truss connection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a clevis end (10b) and a pin plate (11) of a high tensile steel bar.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 중에서 K형의 형태로서 인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고장력 인장 강봉(10)과 스페이드 단부(10a)를 사용하고, 압축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45도 회전시킨 냉간 성형 각형강관(14)을 사용하며,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2개이고,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2)과 빌트-업한 각형강관(12a)으로 구성된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로서,The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14 rotated 45 degrees to the web material receiving only the compressive force using a high tension tensile steel bar 10 and the spade end 10a for the web material receiving only the tension in the form of a K-shape of the square steel pipe truss. Tension pin plate (11) is used, the upper and lower chords arranged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quare steel pipe steel truss joint consisting of the existing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12 and the built-up square steel pipe (12a) as, 상·하현재와 접합되는 웨브재 중에서 압축재는 강절점을 통해 형성되고, 고장력 인장 강봉을 사용하는 인장 웨브재는 핀절점을 통해 구성되어 있으며 핀 구멍에 고정 핀(18)이 삽입되어 있으며,Among the web materials joined to the upper and lower chords, the compressive material is formed through the steel node, and the tension web material using the high tension tensile steel bar is configured through the pin node, and the fixing pin 18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철골 트러스 K형 형상을 갖는 접합부로 인장과 압축을 받고 있는 접합부에서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고 전체 철골 트러스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관 상부(플랜지)면과 측벽(웨브)면을 일정한 크기와 두께로 보강한 보강판을 갖는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Steel trusses K-shaped joints are designed to increase the design strength of the joints under tension and compression and to reduce the deformation of the entire steel truss. Square steel tube steel truss connection with reinforcement plate reinforced with thickness. 제3항에 있어서, 고장력 인장 강봉의 클레비스 단부(10b)와 하나의 핀 플레이트(11)로 구성된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4. The square steel tube steel truss connection according to claim 3, comprising a clevis end (10b) and one pin plate (11) of the high tensile steel bar.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 중에서 N형의 형태로서 인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고장력 인장 강봉(10)과 스페이드 단부(10a)를 사용하고, 압축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3)을 사용하며,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2개이고, 길이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7)과 빌트-업한 각형강관(17a)으로 구성되는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로서,Among the rectangular steel tube steel truss joints, a tensile strength steel bar 10 and a spade end 10a are used for the web material receiving only tension in the form of an N-type, and an existing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13 is used for the web material receiving only the compressive force. In the upper and lower chords, which have two pin plates 11 for tension and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quare steel pipe steel truss connection portion is composed of the existing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17 and the built-up square steel pipe 17a. as, 상·하현재와 접합되는 웨브재 중에서 압축재는 강절점을 통해 형성되고, 고장력 인장 강봉을 사용하는 인장 웨브재는 핀절점을 통해 구성되어 있으며 핀 구멍에 고정 핀(18)이 삽입되어 있으며,Among the web materials joined to the upper and lower chords, the compressive material is formed through the steel node, and the tension web material using the high tension tensile steel bar is configured through the pin node, and the fixing pin 18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N형 형상을 갖는 접합부로 인장과 압축을 동시에 받고 있는 접합부에서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고 전체 철골 트러스 구조체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관 상부(플랜지)면과 측벽(웨브)면을 일정한 크기와 두께(tp)로 보강한 보강판을 갖는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Square steel truss steel trusses N-shaped joints are used to increase the design strength and reduce the deformation of the entire steel truss structure at the joint under tension and compression. Steel tube steel truss connection with reinforcement plate reinforced with constant size and thickness (t p ). 제5항에 있어서, 고장력 인장 강봉의 클레비스 단부(10b)와 하나의 핀 플레이트(11)로 구성된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6. A square steel tube steel truss connection according to claim 5, consisting of a clevis end (10b) and a pin plate (11) of a high tensile steel bar.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 중에서 N형의 형태로서 인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고장력 인장 강봉(10)과 스페이드 단부(10a)를 사용하고, 압축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45도 회전시킨 냉간 성형 각형강관(14)을 사용하며,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2개이고, 길이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성형 각형강관(12)과 빌트-업한 각형강관(12a)으로 구성되는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로서,The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14 rotated 45 degrees to the web material receiving only compressive force by using a high tension tensile steel bar 10 and a spade end 10a for the web material receiving only tension in the form of an N-shape among the square steel pipe steel truss joints. And two pin plates 11 for tension, and the upper and lower chord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square steel pipes composed of existing cold-formed square steel pipes 12 and built-up square steel pipes 12a. As steel truss joints, 상·하현재와 접합되는 웨브재 중에서 압축재는 강절점을 통해 형성되고, 고장력 인장 강봉을 사용한 인장 웨브재는 핀절점을 통해 구성되어 있으며 핀 구멍에 고정 핀(18)이 삽입되어 있으며,Among the web materials joined to the upper and lower chords, the compressive material is formed through the steel node, and the tension web material using the high tensile steel bar is configured through the pin node, and the fixing pin 18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철골 트러스 N형 형상을 갖는 접합부로 인장과 압축을 동시에 받고 있는 접합부에서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고 전체 철골 트러스 구조체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관 상부(플랜지)면과 측벽(웨브)면을 일정한 크기와 두께(tp)로 보강한 보강판을 갖는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Steel trusses N-shaped joints are designed so that the top (flange) and sidewall (web) faces of the main pipe are increased to increase the design strength and reduce the deformation of the entire steel truss structure at the joint under tension and compression. Square steel tube steel truss connection with reinforcement plate reinforced by size and thickness (t p ). 제7항에 있어서, 고장력 인장 강봉의 클레비스 단부(10b)와 하나의 핀 플레이트(11)로 구성된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The angle steel tube steel truss connection according to claim 7, comprising a clevis end (10b) and one pin plate (11) of a high tensile steel bar.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 중에서 T형의 형태로서 인장 또는 압축을 받는 수직 웨브재(23)에는 45도 회전시킨 냉간 성형 각형강관(23)을 사용하며,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24)과 빌트-업한 각형강관(24a)으로 구성되는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로서,Among the square steel pipe truss joints,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23 rotated by 45 degrees is used for the vertical web material 23 that is tensioned or compressed in the form of a T-shape. As a square steel pipe steel truss joint consisting of a cold-formed square steel pipe 24 and a built-up square steel pipe 24a, 상·하현재와 접합되는 수직 웨브재 중에서 압축 및 인장재는 강절점을 통해 형성되며,Among the vertical web materials joined with the upper and lower chords, the compression and tension members are formed through the steel point, 각형강관철골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T형의 형태로 인장 또는 압축을 받고 있는 접합부에서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고 전체 철골 트러스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관 상부(플랜지)면과 측벽(웨브)면을 일정한 크기와 두께(21,22)로 보강한 보강판을 갖는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pipe (flange) and the side wall (web) are used to increase the design strength and reduce the deformation of the entire steel truss at the joints under tension or compression in the form of T-shape among the square steel tube truss joints. Square steel tube steel truss connection with reinforcement plate reinforced to a certain size and thickness (21,22)
KR20-2003-0010657U 2003-04-08 2003-04-08 The connection of steel truss for rectangular hollow section KR20031738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657U KR200317385Y1 (en) 2003-04-08 2003-04-08 The connection of steel truss for rectangular hollow s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657U KR200317385Y1 (en) 2003-04-08 2003-04-08 The connection of steel truss for rectangular hollow sec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989A Division KR100582230B1 (en) 2003-04-08 2003-04-08 The connection of steel one-directional truss for rectangular hollow s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385Y1 true KR200317385Y1 (en) 2003-06-25

Family

ID=49409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657U KR200317385Y1 (en) 2003-04-08 2003-04-08 The connection of steel truss for rectangular hollow s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38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470B1 (en) * 2009-04-16 2009-11-03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Assembly type H-beam with trus connection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470B1 (en) * 2009-04-16 2009-11-03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Assembly type H-beam with trus connection structure
WO2010120045A2 (en) * 2009-04-16 2010-10-21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Assembly-type h-beam with a truss connection structure
WO2010120045A3 (en) * 2009-04-16 2010-12-09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Assembly-type h-beam with a truss connection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608B1 (en) Phi truss structure
CN210596977U (en) Steel pipe-steel plate combined web steel-concrete combined box girder
KR101470135B1 (en) Steel frame structures using steel beam having tapered flange
KR200317385Y1 (en) The connection of steel truss for rectangular hollow section
KR100582230B1 (en) The connection of steel one-directional truss for rectangular hollow section
CN111119405A (en) Assembled steel-wood combined truss
CN217557877U (en) Node structure that steel-concrete combination beam column is connected
KR200289680Y1 (en)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steel house frame
KR101154121B1 (en) Steel built up beam an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CN114704029A (en) Steel-wood combined roof truss structure
KR102294174B1 (en) Temporar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ormwork
CN210712505U (en) Shallow slot type connection structure of steel plate combination beam and steel plate combination beam
KR100457173B1 (en) Frame for construction
KR100664874B1 (en) The truss
KR100985181B1 (en) Gider using FRP unit
CN110878591A (en) Girder and crossbeam connection structure of H shaped steel concrete
JP2004156291A (en) Bridge girder structure and erection method for bridge girder
CN212714472U (en) Steel truss-UHPC composite beam bridge hogging moment area structure
CN220908166U (en) Combined compression bar structure based on ultra-wide box girder construction matching
CN213572652U (en) Anti-bending steel column component for assembly type building
US20060150560A1 (en) Truss systems and methods
CN210288076U (en) Prefabricated assembled steel truss combined beam bridge
JP3763074B2 (en) Joining structure and joining member of diagonal material and horizontal member
CN211472855U (en) Steel construction primary and secondary roof beam connected node
CN216552933U (en) Cold-formed steel supporting beam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16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