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751Y1 - The supplying equipment for liquor - Google Patents

The supplying equipment for liqu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751Y1
KR200316751Y1 KR20-2003-0005573U KR20030005573U KR200316751Y1 KR 200316751 Y1 KR200316751 Y1 KR 200316751Y1 KR 20030005573 U KR20030005573 U KR 20030005573U KR 200316751 Y1 KR200316751 Y1 KR 200316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liquor
supply
alcoho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57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일
이은철
Original Assignee
이상일
이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일, 이은철 filed Critical 이상일
Priority to KR20-2003-0005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75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751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님이 위치된 테이블에서 손님이 직접 술을 공급받아 마실 수 있도록 한 술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or supply device that allows a guest to drink directly from a table where the customer is located.

본 고안의 술 공급장치는, 다량의 맥주가 저장되는 맥주저장탱크와; 손님이 위치되고, 맥주가 유출되는 맥주유출구 및 맥주의 유출을 제어하는 제어콕를 갖는 맥주공급기가 설치된 복수 개의 테이블과; 일측이 맥주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측이 맥주공급기에 연결된 맥주공급관과; 소량의 술이 저장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에 저장된 술이 유출되는 술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술의 유출을 제어하는 제어콕를 갖고, 상기 테이블에 위치되어 있는 술저장공급기와; 소정의 시점부터 상기 맥주와 술저장공급기의 술이 유출된 양을 누적하여 표시하는 주량표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lcohol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eer storage tank in which a large amount of beer is stored; A plurality of tables provided with a beer feeder on which a guest is located, the beer outlet having a beer outlet and a control cock for controlling the outflow of beer; A beer supply pipe connected to a beer storage tank on one side and connected to a beer supply on the other side; A liquor storage supplier having a container in which a small amount of liquor is stored and a liquor outlet through which liquor stored in the container is discharged, and having a control cock for controlling the liquor leakag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edetermined amount of time indicator for accumulating and displaying the amount of leakage of the beer and the liquor storage supplier from a predetermined time point.

본 고안에 의하면, 가격이 저렴한 맥주는 맥주공급관을 통해 손님이 위치된 테이블로 공급하고, 비교적 고가인 소주나 양주 등은 테이블에 위치된 술저장공급기에 저장해 두고 공급하여 여러 종류의 술 중 손님이 마시고자 하는 술을 원하는 만큼 직접 공급받아 마실 수 있는 술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expensive beer is supplied to the table where the customer is located through the beer supply pipe, and relatively expensive soju or liquor is stored and supplied in the wine storage container located on the tabl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quor supply device to drink directly to drink as much as you want to drink.

Description

술 공급장치{THE SUPPLYING EQUIPMENT FOR LIQUOR}Alcohol supply device {THE SUPPLYING EQUIPMENT FOR LIQUOR}

본 고안은 저장된 다량의 맥주가 맥주공급관을 통해 손님이 위치된 테이블로 공급되고, 소주나 양주 등 고가의 술은 테이블에 위치되어 있는 술저장공급기로부터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손님이 마시고자 하는 술을 원하는 만큼 직접 공급받아 마실 수 있도록 한, 술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large amount of stored beer is supplied to the table where the customer is located through the beer supply pipe, and expensive liquors such as shochu and yangju are supplied from the wine storage supplier located on the table, so that the customer wants to drink. It is related to a drink supply device, so that you can drink directly.

일반적으로 술을 판매하는 업소에서는 손님이 주문하는 술을 공급할 때 소정분량의 술이 포장되어 있는 술병을 사용하여 공급하거나 소정의 분량을 담을 수 있는 용기에 일정 분량을 담아 공급한다.In general, a business selling liquor supplies a predetermined amount to a container capable of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liquor or a predetermined amount of liquor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liquor is supplied.

따라서, 술을 주문하고 공급받는데 공백기간이 발생되며, 이러한 공백기간은 손님이 많을수록 길어져 손님의 입장에서는 짜증스러움을 느끼고, 업주의 입장에서는 분주함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었다.Therefore, a space period occurs when ordering and receiving alcohol, and this space period becomes longer as the number of customers increases, causing annoyance from the customer's point of view, and causing a busyness from the owner's point of view.

또한, 공급된 술 중 손님이 마시지 않고 남긴 술은 버리게 되므로 낭비의 원인이 되며, 손님의 입장에서는 마시지 않고 남긴 술에 대한 대가까지 지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alcohol left without drinking the drink among the supplied alcohol is a cause of waste, and from the customer's point of view there was a problem to pay for the alcohol left without drink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저장된 다량의 맥주를 맥주공급관을 통해손님이 위치된 테이블로 공급하여 손님이 직접 맥주를 공급받아 마실 수 있도록 한 "파이프라인 연결식 생맥주 직접 공급장치"(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004673호, 출원일 1992. 04. 06)와 "생맥주의 보냉 이송 시스템"(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271835호, 2001. 12. 07) 등이 안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ipeline-connected draft beer direct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large amount of stored beer to the table where the customer is located through the beer supply pipe so that customers can directly receive and drink beer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0004673) No., filed on Apr. 06, 1992) and "cold transfer system of draft beer"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027835, Dec. 7, 2001).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들은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맥주의 공급을 위한 장치일 뿐 가격이 비교적 고가인 소주 및 양주의 공급을 위한 장치는 아니었다.However, the above devices are only devices for supplying beer, which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are not devices for supplying shochu and liquor, which are relatively expensive.

즉, 그 양과 비교하여 볼 때 비교적 고가인 소주나 양주 등의 술을 원거리에 위치시켜 놓고 배관을 통해 공급하는 것은 배관에 채워지는 용량이 대량이어서 가격 경쟁력 등 현실적인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하여 실용화할 수 없었던 것이다.In other words, compared to the amount of alcohol, such as shochu or liquor, which is relatively expensive, is placed at a distance and supplied through the pipe, there is a practical problem such as price competitiveness due to the large amount of filling capacity in the pipe. It was not there.

이는 맥주는 직접 공급받아 마실 수 있어도 소주나 양주는 별도의 주문을 하여야 한다는 문제를 가져왔다.This caused the problem that shochu or liquor should be ordered separately even though beer can be supplied directly.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맥주는 맥주공급관을 통해 손님이 위치된 테이블로 공급하며, 비교적 고가인 소주나 양주 등은 테이블에 위치된 술저장공급기에 저장해두고 공급하여 여러 종류의 술 중 손님이 마시고자 하는 술을 원하는 만큼 직접 공급받아 마실 수 있도록 하려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eer is supplied to the table where the customer is located through the beer supply pipe, the relatively expensive soju or liquor is stored and supplied in the wine storage supply located on the table to supply a variety of The purpose is to ensure that customers can drink as much as they want.

도 1은 본 고안의 술 공급장치를 사용한 술 공급시스템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ine supply system using a wine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술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wine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술저장공급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wine storage supplier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전자저울과 술잔감지수단과 제어기를 갖는 본 고안의 술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wine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electronic balance, a wine glass sensing means and a controll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맥주저장탱크 11. 냉각수단10. Beer Storage Tank 11. Cooling Means

20. 맥주공급관 30. 테이블20. Beer supply pipe 30. Table

40. 맥주공급기 41. 맥주유출구40. Beer feeder 41. Beer outlet

42. 제어콕 50. 술저장공급기42. Control cock 50. Alcohol storage feeder

51. 제어콕 52. 용기51. Control cock 52. Container

53. 술유출구 54. 냉각수단53. Sake outlet 54. Cooling means

55. 팽킹 56. 클램프55. Panking 56. Clamp

60. 주량표시기 70. 카운터테이블60. Tare indicator 70. Counter table

80. 계산기 90. 전자저울80. Calculator 90. Electronic scale

100. 술잔감지수단 110. 제어기100. Drinking glass detection means 110. Controller

본 고안은 손님이 위치된 테이블에서 손님이 직접 술을 공급받아 마실 수 있도록 한 술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or supply device that allows a guest to drink directly from a table where the customer is located.

본 고안에서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맥주는 소정의 위치에 다량을 저장해두고 배관을 통해 손님이 위치된 테이블로 공급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relatively inexpensive beer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in large quantities and supplied to the table where the customer is located through the pipe.

그러나 소주나 양주 등 비교적 고가인 술은 테이블에 비교적 소량을 위치시켜 놓고 공급한다.However, relatively expensive liquor, such as shochu and liquor, is placed on the table with a relatively small amount.

이러한 본 고안의 술 공급장치는,Alcohol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량의 맥주가 저장되는 맥주저장탱크와;A beer storage tank in which a large amount of beer is stored;

손님이 위치되고, 맥주가 유출되는 맥주유출구 및 맥주의 유출을 제어하는 제어콕를 갖는 맥주공급기가 설치된 복수 개의 테이블과;A plurality of tables provided with a beer feeder on which a guest is located, the beer outlet having a beer outlet and a control cock for controlling the outflow of beer;

일측이 맥주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측이 맥주공급기에 연결된 맥주공급관; 을 갖는다.A beer supply pip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eer storage tank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beer supplier; Has

또, 소량의 술이 저장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에 저장된 술이 유출되는 술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용기에 저장된 술의 유출을 제어하는 제어콕를 갖고, 테이블에 위치되어 있는 술저장공급기;를 갖는다.In addition, it has a container for storing a small amount of alcohol and a liquor outlet for the liquor stored in the container is discharged, having a control cock for controlling the outflow of the liquor stored in the container, the liquor storage supplier is located on the table.

또한, 소정의 시점부터 상기 맥주와 술저장공급기의 술이 유출된 양을 누적하여 표시하는 주량표시기;를 갖는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amount of time from the beer and the liquor storage supply to the liquor flow rate indicator for accumulating and displaying the amount of spilled.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since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examples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에서는 분량에 비하여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맥주는 맥주공급관(20)을 통해 손님이 위치되는 테이블(30)로 공급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eer, which is relatively inexpensive compared to the quantity, is supplied to the table 30 where the customer is located through the beer supply pipe 20.

이는 가격이 저렴한 맥주는 손님들이 마시는 양이 다량이기 때문에 많은 양을 저장해두어야 하고, 이로 인하여 테이블(30)에 위치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nexpensive beer is stored in large quantities because customers have a large amount of drinking, and thus can not be placed on the table (30).

따라서, 본 고안에는 다량의 맥주가 저장되는 맥주저장탱크(10)와 손님이 위치되는 복수 개의 테이블(30)이 구비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eer storage tank 10 in which a large amount of beer is stored and a plurality of tables 30 in which customers are located.

또, 별도의 주문을 하지 않고 손님이 직접 술을 공급받아 마시기 때문에 손님이 위치되는 다수 개의 테이블(30)에는 맥주공급기(40)가 각각 설치된다.In addition, the beer supplier 40 i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ables 30, where the customer is located because the customer is directly drinking alcohol drink without placing a separate order.

상기와 같은 맥주공급기(40)는 맥주가 유출되는 맥주유출구(41)를 가지며, 맥주의 유출을 제어하는 제어콕(42)를 갖는다.The beer supplier 40 as described above has a beer outlet 41 through which beer is discharged, and has a control cock 42 for controlling the outflow of beer.

또한,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맥주저장탱크(10)에 저장된 맥주를 맥주공급기(40)로 보내기 위하여 일측이 상기 맥주저장탱크(10)에 연결되고 타측이 맥주공급기(40)에 연결된 맥주공급관(20)을 갖는다.In addition, a be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beer storage tank 1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beer supply tank 40 in order to send the beer stored in the beer storage tank 1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beer supply 40 ( 20).

상기 제어콕(42)은 맥주에 함유된 알코올 성분 등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The control cock 42 should be able to maintain the airtight to prevent the alcohol component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beer.

이와 같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제어콕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이므로 별도의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such, a control cock capable of maintaining confidentiality is a generally known technology, and thus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은 맥주공급관(20)은 부식이 생기지 않는 합성수지재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eer supply pipe 20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stainless material that does not cause corrosion.

상기와 같이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술은 원거리에 저장탱크를 위치시켜 놓고 배관을 통해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a relatively inexpensive liquor is preferably placed in a storage tank at a long distance and supplied through a pipe.

그러나, 비교적 가격이 비싼 소주나 양주 등은 배관을 통해 공급할 경우 배관에 채워지는 양이 많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 등이 없어 현실성이 없다.However, the relatively expensive soju or liquor is not practical because there is no price competitiveness because the amount is filled in the pipe when supplied through the pipe.

그렇지만 가격이 저렴한 술만을 직접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경우 소주나 양주 등은 별도의 주문을 통하여 공급받아야 하므로 가격이 비싼 소주나 양주 등의 술도 테이블(30)에서 직접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다.However, if you want to be able to directly supply only low-priced alcohol, soju or liquor must be supplied through a separate order, so it is necessary to have a means to directly receive alcohol, such as expensive soju or liquor, directly from the table (30). Do.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테이블(30)에 술저장공급기(50)를 위치시키고, 이 술저장공급기(50)에 소주나 양주 등 비교적 고가의 술을 비교적 소량 저장해 둔 상태에서 손님이 제어콕(51)을 조작하여 저장된 술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or storage supplier 50 is placed on the table 30, and in the liquor storage supplier 50, the customer has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relatively expensive liquor such as shochu or liquor stored in the control cock 51. Manipulate so that you can receive stored wine.

따라서, 상기 술저장공급기(50)는 소량의 술이 저장되는 용기(52) 및 상기 용기(52)에 저장된 술이 유출되는 술유출구(53)를 가지며, 술의 유출을 제어하는 제어콕(51)을 갖는다.Thus, the liquor storage supplier 50 has a container 52 for storing a small amount of liquor and a liquor outlet 53 through which liquor stored in the container 52 flows out, and a control cock 51 for controlling the outflow of liquor. Has

상기 술저장공급기(50)에 저장되는 술의 양은 술저장공급기(50)의 크기를 감안할 때 통상 2 ∼ 5ℓ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mount of liquor stored in the liquor storage supplier 50 is preferably about 2 to 5L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liquor storage supply 50.

이는 한 그룹의 손님이 술을 공급받아 마시기에 부족하지 않을 정도이고, 통상 3그룹 정도의 손님을 받을 때까지 용기(52)를 교체하지 않아도 될 정도이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a group of guests is not enough to drink and drink, and usually does not need to replace the container 52 until the group of about 3 guests.

술저장공급기(50)는, 시판되는 대용량의 술병을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도록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음)The wine storage supplier 50 may be used to directly connect a large capacity commercially available wine bottles. (Not shown)

이와 같은 경우 그 연결부는 기밀(氣密)이 유지되도록 하여 알코올 성분 등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여야 한다.In such a case, the connection part should be kept airtight so that the alcohol component cannot escape.

또, 상기 제어콕(51)은 소주나 양주 등에 함유된 알코올 성분 등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기밀(氣密)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cock 51 is used to keep the airtight so that alcohol components and the like contained in shochu, liquor and the like can not escape.

손님이 위치되는 테이블(30)에 상기와 같은 술저장공급기(50)를 복수 개 설치하면 다양한 종류의 술을 테이블(30)에서 직접 공급받을 수 있다.If a plurality of the above-described wine storage supplier 50 is installed on the table 30 where the customer is located, various types of alcohol can be directly supplied from the table 30.

즉, 테이블(30)에 복수 개의 술저장공급기(50)를 설치하고 각각의 술저장공급기(50)에 각각 종류가 다른 고가의 술을 저장해 두어 손님이 원하는 술을 폭 넓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 plurality of wine storage supplies 50 are installed on the table 30 and each of the wine storage supplies 50 stores different types of expensive liquors so that customers can select a wide range of desired liquors.

이와 같은 경우의 예를 설명하면, 소주를 공급하는 술저장공급기와 양주를 공급하는 술저장공급기를 각각 구비하는 예가 있다.An example of such a case will be described. An example is provided with a liquor storage supplier for supplying shochu and a liquor storage supplier for supplying liquor.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주량표시기(60)는 한 그룹의 손님이 술을 공급받아 마실 때 그 공급받은 양을 표시하는 것이다.Dosage indicator 6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the supplied amount when a group of guests drink and receive a drink.

즉, 손님이 마신 술에 대한 대가를 지급 받기 위한 연산의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술의 공급량을 표시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amount of alcohol supplied is displayed in order to use as a data for the operation to receive payment for the liquor drank by the customer.

따라서, 주량표시기(60)는 소정의 시점부터 유출된 맥주의 양과 술저장공급기(50)로부터 유출된 술의 양을 누적하여 표시한다.Therefore, the alcohol display 60 accumulates and displays the amount of beer spilled from the predetermined time point and the amount of alcohol spilled from the wine storage supplier 50.

또, 한 그룹의 손님이 대가를 지급한 후 새로운 손님이 왔을 경우를 위하여 소정의 시점에서 누적되어 표시되어 있는 술의 양을 초기화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In addition, it has a function of initializing the amount of liquor accumulated and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int in time for a new guest when a group of guests has paid.

상기와 같은 주량표시기(60)는 공급된 맥주를 비롯한 술의 종류와 술의 양에 따른 가격도 표시하여 손님이 지급해야 할 대가를 확인하면서 술을 마시도록 할 수도 있다.The alcohol indicator 60 as described above may also display the price according to the type of alcohol and the amount of alcohol, including the supplied beer, so that the customer can drink alcohol while checking the price to be paid.

또, 카운터테이블(70) 등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계산기(80)로 술의 공급량과 가격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여 손님이 카운터테이블(70)에서 요금을 지불하려 할 때 업주가 지급 받아야 할 요금을 계산기(80)에 표시된 자료를 통해 빨리 알아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alculator 80,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uch as the counter table 70, transmits data on the amount and price of liquor so that the owner must be paid when the customer tries to pay the fee at the counter table 70. It is also possible to quickly find the fee to be checked through the data displayed on the calculator (80).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2와 같이 맥주저장탱크(10)에 저장된 다량의 맥주는 맥주공급관(20)을 통하여 맥주공급기(40)로 연결되어 있고, 제어콕(42)을 누르면 맥주유출구(41)를 통해 유출될 수 있는 상태이다.A large amount of beer stored in the beer storage tank 10 as shown in Figure 2 is connected to the beer supplier 40 through the beer supply pipe 20, press the control cock 42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beer outlet 41 It is in a state.

또, 술저장공급기(50)의 용기(52)에 저장된 소량의 술은 제어콕(51)을 누르면 술유출구(53)를 통해 유출될 수 있는 상태이다.In addition, a small amount of liquor stored in the container 52 of the liquor storage supplier 50 is in a state tha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liquor outlet 53 by pressing the control cock (51).

손님이 테이블(30)에 위치하여 맥주유출구(41)의 하부에 컵을 가져가 제어콕(42)을 누르면 맥주가 맥주유출구(41)를 통해 유출되어 컵에 채워진다.When the customer is located at the table 30 and takes the cup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eer outlet 41 and presses the control cock 42, the beer flows out through the beer outlet 41 and fills the cup.

이때, 주량표시기(60)에는 유출되는 맥주의 양이 표시된다.At this time, the amount indicator 60 is displayed the amount of beer spilled.

다시 맥주유출구(41)의 하부에 컵을 가져가 제어콕(42)을 누르면 맥주가 맥주유출구(41)를 통해 유출되어 컵에 채워지는데 주량표시기(60)에는 종전에 유출된맥주의 양에 새로 유출되는 맥주의 양이 누적되어 표시된다.Take the cup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eer outlet 41 again and press the control cock 42, the beer is discharged through the beer outlet 41 is filled in the cup, the amount indicator 60 is newly added to the amount of beer previously leaked The amount of beer spilled is accumulated and displayed.

또한, 술저장공급기(50)의 술유출구(53) 하부에 컵을 가져가 제어콕(52)을 누르면 내장된 용기(52)에 저장된 술이 술유출구(53)를 통해 유출되어 컵에 채워진다.In addition, by taking the cup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quor outlet 53 of the liquor storage supplier 50 and pressing the control cock 52, the liquor stored in the built-in container 52 is discharged through the liquor outlet 53 is filled in the cup.

이때 주량표시기(60)에는 유출되는 술저장공급기(50)를 통해 유출되는 술의 양이 표시된다.At this time, the liquor indicator 60 is displayed the amount of liquor spilled through the liquor storage supply 50 is spilled.

또, 술저장공급기(50)로부터 술이 추가로 유출되면 주량표시기(60)는 종전 술저장공급기(50)를 통해 유출된 술의 양에 추가로 유출된 술의 양을 누적하여 표시한다.In addition, when alcohol is additionally spilled from the wine storage supplier 50, the liquor indicator 60 accumulates and displays the amount of alcohol additionally spilled over the amount of alcohol previously leaked through the wine storage supplier 50.

그러나, 술저장공급기(50)가 다수 개인 경우에는 각각의 술저장공급기(50)마다 별도의 누적된 양을 표시한다.Howeve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wine storage supplies 50, each of the wine storage supplier 50 displays a separate accumulated amount.

또한, 맥주를 비롯한 술의 종류에 따른 유출량과 이 유출량에 따른 지급금액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는 술의 종류와 유출량에 따른 금액을 연산하여 표시한다.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spillage according to the type of alcohol, including beer, and the amount of paym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spillage are to be displayed, the amount according to the type of alcohol and the amount of spillage is calculated and displayed.

또, 주량표시기(60)가 술의 유출량과 지급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카운터테이블(70)에 위치된 계산기(8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경우 카운터테이블(30)에 위치된 계산기(80)는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내용을 디스플레이 한다.In addition, when the alcohol display 60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data on the amount of alcohol spillage and the amount of payment to the calculator 80 located in the counter table 70, the calculator 80 located in the counter table 30 Receive the transmitted data and display its contents.

따라서, 업주는 소비자로부터 대금을 지급 받을 때 계산기(80)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금을 지급 받는다.Therefore, when the employer receives the payment from the consumer, the employer receives the payment based on the data displayed on the calculator 80.

상기와 같이 한 그룹의 손님이 술을 마시고 계산을 완료한 후에는 주량표시기(60)에 표시된 데이터를 초기화하여 새로운 손님이 테이블(30)에 앉았을 때 유출된 술의 양이 처음부터 다시 누적되어 표시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after a group of guests drink and complete the calculation, the data displayed on the alcohol display 60 is initialized so that when the new guest sits at the table 30, the amount of spilled alcohol is accumulated and displayed again from the beginning. Be sure to

한편, 본 고안에는 맥주공급기(40)를 통해 유출되는 맥주의 온도와 술저장공급기(50)를 통해 유출되는 술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온도유지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with a temperature maintain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beer flowing out through the beer supplier 40 and the temperature of the alcohol flowing out through the wine storage supply 50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이러한 온도유지수단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 맥주저장탱크(10)에 냉각수단(11)을 구비하고, 맥주공급관(20)은 단열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When explaining a specific example of such a temperature holding means, the beer storage tank 10 is provided with a cooling means 11, the beer supply pipe 20 has a method of adiabatic treatment.

즉, 냉각수단(11)에 의하여 맥주저장탱크(10)의 맥주가 소정의 온도 이하로 유지되고, 맥주공급관(20)을 통하여 맥주공급기(40)로 보내지도록 하되 맥주공급관(20)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맥주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맥주공급관(20)의 외측에 단열재를 감싸는 것이다.That is, the beer in the beer storage tank 10 by the cooling means 11 is maintained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o be sent to the beer supplier 40 through the beer supply pipe 20 but via the beer supply pipe 20 In order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beer rises in the process is to wrap the insulation on the outside of the beer supply pipe (20).

다른 방법으로는 냉각수단을 맥주공급기(40)에 구비하여 맥주가 맥주공급기(40)에서 정체 및 경유되는 과정에서 소정의 온도 이하로 냉각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도시하지 않음)Another method is to provide a cooling means in the beer supplier 40 so that the beer is cooled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the course of stagnation and transit in the beer supplier 40. (Not shown)

술저장공급기(50)의 경우에는 술저장공급기(50)에 냉각수단(54)을 설치하여 용기(52)에 저장된 술이 소정의 온도 이하로 냉각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In the case of the liquor storage supplier 50, there is a method of installing the cooling means 54 in the liquor storage supply 50 so that the liquor stored in the container 52 is cooled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상기 술저장공급기(50)의 냉각수단으로 용기(52)의 외측에 얼음 등을 충진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술이 차가워지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There is also a method to cool the liquor by using a method of filling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52 with the cooling means of the liquor storage supplier 50.

또한, 본 고안에서는 공급되는 술이 술잔에 채워질 때 일정량 이상 채워지지않도록 함으로써 술이 술잔에서 넘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pplied alcohol is filled in the wine glass, the wine may not be filled by a certain amount or more, so that the wine does not overflow in the wine glass.

이와 같은 구성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 도 4와 같은 경우가 있다.Referring to a specific example of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 case as shown in FIG.

도 4에서는 맥주유출구(41)와 술유출구(53)의 하부에는 전자저울(9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전자저울(90)은 상부에 안착된 술잔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Figure 4, the beer outlet 4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iquor outlet 53 is provided with an electronic balance (90), the electronic balance (90) is capable of detecting the weight of the wine glass seated on the top.

또, 술잔이 전자저울(90)에 안착된 것을 감지하는 술잔감지수단(100)과 맥주공급기(40)의 제어콕(42)과 술저장공급기(50)의 제어콕(5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기(110)가 구비되어 있어, 술잔이 전자저울(90)에 안착되면 맥주공급기(40)를 통해 맥주가 공급되거나 술저장공급기(50)를 통해 술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rol cup 42 of the wine glass detecting means 100 and the beer supplier 40 and the control cock 51 of the wine storage supplier 50 for detecting that the wine glass is seated on the electronic balance 90. The controller 110 is provided so that when the glass is seated in the electronic balance 90, beer is supplied through the beer supplier 40 or alcohol is supplied through the wine storage supplier 50.

또, 술이 공급됨에 따라 술잔의 무게가 소정의 수치 이상이 되면 맥주공급기(40)의 제어콕(42)과 술저장공급기(50)의 제어콕(51)을 제어기(110)가 제어하여 공급되는 맥주 및 술저장공급기의(50) 술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the weight of the wine glass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as the alcohol is supplied, the controller 110 controls and supplies the control cock 42 of the beer supplier 40 and the control cock 51 of the wine storage supplier 50. 50 of the beer and liquor storage supply is to be blocked.

상기와 같은 술잔감지수단(100)은 센서 또는 리밋스위치를 사용한 방법 등으로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기(110)는 통상의 전자제품에 구비되는 제어기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wine glass detecting means 100 may be simply implemented by a method using a sensor or a limit switch, and the controller 110 may use the same controller as that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product.

상기와 같은 구성은 맥주 및 술저장공급기(50)의 술을 공급받을 때 손님이 술잔을 들고 있는 것이 아니라 전자저울(90) 위에 술잔을 안착시켜 놓는 구성이다.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ustomer is not holding the glass when receiving the drink of the beer and the liquor storage supplier (50) to seat the glass on the electronic scale (90).

또, 본 고안에는 손님이 테이블에 앉아서 음식의 메뉴를 선택하여 업주에게 알릴 수 있도록, 제공되는 음식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뉴선택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menu selector that stores information on the type of food provided, so that the customer can sit at the table and select the menu of the food to inform the owner. (Not shown)

이와 같이 구성하면 손님은 테이블에 구비되어 있는 메뉴선택기를 통해 업소에서 제공되는 안주, 식사 등의 음식 중에서 원하는 음식을 선택하여 업주에게 알릴 수 있으므로 소음이 심한 업소에서도 메뉴선택 의사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 customer can select a desired food from among foods such as snacks and meals provided by the restaurant through a menu selector provided at the table and inform the owner of the menu, so that the menu selection intention can be accurately transmitted even in a noisy store.

이와 같은 경우 메뉴선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메뉴선택기를 통한 메뉴선택이 업주에게 전달된 경우 업주가 메뉴선택 의사를 다시 확인하기 위한 신호를 손님에게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을 메뉴선택기에 구비할 수도 있다.In such a case,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menu selection, when the menu selection through the menu selector is delivered to the owner, the menu selector may hav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customer to confirm the intention of the menu selection.

또, 본 고안에는 테이블에 앉은 손님이 음악을 선곡하여 업주에게 신청할 수 있는 노래신청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ong request machine that allows the customer sitting at the table to select music and apply to the owner. (Not shown)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업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음악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노래신청기를 테이블에 구비하여, 노래신청기에 저장된 음악 중 듣고싶은 음악을 손님이 직접 선택하여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로 음악의 정보를 전송하면 업주가 이를 확인하여 음악을 들려주도록 하는 것이다.In detail, a table is provided with a song requester that stores information about music held by the store, and the customer directly selects the music he wants to listen to among the music stored in the song requester and uses the display devic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f you send the information of the owner to check the music to play.

이와 같은 장치는 라이브 카페 등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Such a device can be utilized in a live cafe.

즉, 라이브 카페에서는 오디오 등을 통하여 음악을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가수가 직접 노래를 부르므로 신청된 노래를 가수가 확인하여 직접 부르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a live cafe, the singer sings the song directly, instead of outputting the music through audio, etc., the singer checks the applied song and sings it directly.

미설명 부호 55는 용기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이고, 56은 클램프이다.Reference numeral 55 is a packing for keeping the container airtight, and 56 is a clamp.

본 고안에 의하면, 가격이 저렴한 맥주는 맥주공급관을 통해 손님이 위치된테이블로 공급하고, 비교적 고가인 소주나 양주 등은 테이블에 위치된 술저장공급기에 저장해 두고 공급하여 여러 종류의 술 중 손님이 마시고자 하는 술을 원하는 만큼 직접 공급받아 마실 수 있는 술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expensive beer is supplied to the table where the customer is located through the beer supply pipe, and relatively expensive soju or liquor is stored and supplied in the wine storage facility located on the tab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quor supply device to drink directly to drink as much as you want to drink.

따라서, 버려지는 술을 줄일 수 있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대가의 지급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feature that can reduce the alcohol is discarded, and reduce the payment of unnecessary costs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Claims (7)

손님이 위치된 테이블에서 손님이 직접 술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된 술 공급장치에 있어서,In the liquor supply device so that the customer can be directly served alcohol at the table where the customer is located, 다량의 맥주가 저장되는 맥주저장탱크와;A beer storage tank in which a large amount of beer is stored; 손님이 위치되고, 맥주가 유출되는 맥주유출구 및 맥주의 유출을 제어하는 제어콕를 갖는 맥주공급기가 설치된 복수 개의 테이블과;A plurality of tables provided with a beer feeder on which a guest is located, the beer outlet having a beer outlet and a control cock for controlling the outflow of beer; 일측이 상기 맥주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측이 맥주공급기에 연결된 맥주공급관과;A beer supply pip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beer storage tank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beer supply unit; 소량의 술이 저장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에 저장된 술이 유출되는 술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술의 유출을 제어하는 제어콕를 갖고, 상기 테이블에 위치되어 있는 술저장공급기와;A liquor storage supplier having a container in which a small amount of liquor is stored and a liquor outlet through which liquor stored in the container is discharged, and having a control cock for controlling the liquor leakage; 소정의 시점부터 상기 맥주와 술저장공급기의 술이 유출된 양을 누적하여 표시하는 주량표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술 공급장치.And a liquor indicator that accumulates and displays the amount of the alcohol spilled from the beer and the liquor storage supply from a predetermined time poin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테이블에는 복수 개의 술저장공급기가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 공급장치.Alcohol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wine storage supply is located on the tab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테이블에는 저장되어 있는 음식에 대한 정보 중 원하는 음식에 대한 정보를 선택하여 업주에게 알릴 수 있는 메뉴선택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 공급장치.And a menu selector for selecting information on a desired food from among stored information on the food and informing a business owner of the tabl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맥주공급기를 통해 유출되는 맥주의 온도와 술저장공급기를 통해 유출되는 술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온도유지수단;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 공급장치.And a temperature hold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beer flowing through the beer suppli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alcohol flowing through the wine storage supplie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주량표시기는 유출된 상기 맥주 및 술의 양에 따른 가격을 표시하며, 맥주 및 술의 유출량과 가격에 대한 데이터를 소정의 위치에 놓인 계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 공급장치.The liquor display device displays a pri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beer and liquor spilled, and transmits data on the amount and price of beer and liquor to a calculator plac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맥주유출구와 술유출구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술잔을 안착시킬 수 있고, 안착된 술잔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전자저울과;An electronic scale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eer outlet and the alcohol outlet and configured to seat the wine glass and detect the weight of the wine glass; 술잔이 상기 전자저울에 안착된 것을 감지하는 술잔감지수단과;A wine glass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at a wine glass is seated on the electronic balance; 술잔이 상기 전자저울에 안착되면 맥주공급기를 통해 맥주가 공급되거나 술저장공급기를 통해 술이 공급되도록 하고, 술잔의 무게가 소정의 수치 이상이 되면 공급되는 맥주 및 술저장공급기의 술을 차단하도록 맥주공급기의 제어콕과 술저장공급기의 제어콕을 제어하는 제어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 공급장치.When the glass is placed in the electronic balance, beer is supplied through the beer supply or alcohol is supplied through the wine storage supply, and when the weight of the glass exceeds the predetermined value, the beer is blocked so as to block the supply of the beer and the wine storage suppl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ontrol cock of the feeder and the control cock of the liquor storage feeder.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테이블에는 저장되어 있는 음악을 선곡하여 업주에게 신청할 수 있는 노래신청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 공급장치.The table is a song supply device for selecting the stored music to apply to the owner; alcohol supp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vided.
KR20-2003-0005573U 2003-02-25 2003-02-25 The supplying equipment for liquor KR20031675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573U KR200316751Y1 (en) 2003-02-25 2003-02-25 The supplying equipment for liqu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573U KR200316751Y1 (en) 2003-02-25 2003-02-25 The supplying equipment for liqu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751Y1 true KR200316751Y1 (en) 2003-06-18

Family

ID=4940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573U KR200316751Y1 (en) 2003-02-25 2003-02-25 The supplying equipment for liqu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751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10Y1 (en) 2007-07-30 2010-06-07 김솔 Beverage supplier with counting function
KR101661061B1 (en) 2015-03-25 2016-09-28 강인구 Device for serving be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10Y1 (en) 2007-07-30 2010-06-07 김솔 Beverage supplier with counting function
KR101661061B1 (en) 2015-03-25 2016-09-28 강인구 Device for serving be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7666B2 (en) Wine dispensing system
US7681605B2 (en)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potable liquid
US20050029287A1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JP2008507337A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beverage sales
US10364137B2 (en) Multi-container refrigeration, dispensing, and management unit
JP2017007715A (en) Beverage dispenser
JP2017509556A (en) Beverage dispensing device, control system and beverage dispensing method
KR200316751Y1 (en) The supplying equipment for liquor
DK3049365T3 (en) Combination of dispenser and container for a plurality of boxes and having a proper positioning system
CN210836325U (en) Wine placing device
US202200639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everage dispenser
CN111566041B (en) Liquid selling management system
SK286509B6 (en) Self-service beverage bar or desk
CN206026043U (en) Beverage supply device
TWI597035B (en) Cocktail mak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432885Y1 (en) Beverage sales and menu ordering device
JP6465534B1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JP3073384U (en) Drink supply equipment
KR100762351B1 (en) Beverage sales and menu ordering device
KR102057707B1 (en) Beverage gauging and selling system using rfid tags
ES2271089T3 (en) A BEER DISTRIBUTOR.
JP2581779Y2 (en) Beverage supply device
JPH04115199U (en) beer pouring device
KR101787915B1 (en) Automatic beverage supply apparatus
CN111080897A (en) Wine pla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