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533Y1 - 인/이젝터의스프링이탈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인/이젝터의스프링이탈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533Y1
KR200316533Y1 KR2019970045370U KR19970045370U KR200316533Y1 KR 200316533 Y1 KR200316533 Y1 KR 200316533Y1 KR 2019970045370 U KR2019970045370 U KR 2019970045370U KR 19970045370 U KR19970045370 U KR 19970045370U KR 200316533 Y1 KR200316533 Y1 KR 200316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ejector
handle
lock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5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609U (ko
Inventor
권윤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70045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53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26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6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5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4Frames or mounting racks for selector switches; Accessories therefor, e.g. frame cover

Abstract

본 고안은 인/이젝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인쇄회로기판과 볼팅결합되는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와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며, 타단부에 손잡이부(7)가 형성된 바디부(1)와, 상기 바디부(1)에서 손잡이부(7)가 형성된 부근에 힌지결합되되, 일단에 베이스부(10)의 돌출부(13)와 걸림.해제되는 걸림부(32)가 형성되고, 타단에 손잡이부(33)가 형성되어 있는 록커부(30)와, 상기 바디부(1)의 손잡이부(7) 내측에 형성된 제 1스프링수납홈(8)과, 상기 록커부(30)의 손잡이부(33) 내측에 형성된 제 2스프링수납홈(34) 사이에 삽설되어 상기 록커부(30)에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0)을 포함하여 구성된 인/이젝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수납홈들(8,34)중 적어도 한곳에 훅(50)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60)의 일면에는 상기 훅(50)이 탄성삽입되는 홀(61)이 형성되어 구성된 인/이젝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스프링의 장착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의 삽설시키기가 용이할뿐만 아니라 또한, 상기 스프링의 홀이 제 1스프링수납홈에 형성된 돌기부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작동중 이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이젝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구조
본 고안은 인/이젝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회로기판을 셸프에 고착시키는 인/이젝터에 있어서, 록커부에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함과 아울러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인/이젝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교환기와 같은 전자통신장비는 다수개의 인쇄회로기판이 셸프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통상 인쇄회로기판의 상하 양단 모서리부 위에는 셸프로부터 인쇄회로기판을 용이하게 착탈시킬수 있도록 각각 인/이젝터가 구비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용 인/이젝터의 바디부를 각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베이스부를 각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역시 록커부를 각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3의 록커부가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이젝터의 바디부(1)는 일단에 베이스부(10)와 힌지결합하도록 제 1가이드홈(2) 및 제 1삽입홈(3)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도 역시 록커부(30)와 힌지결합하도록 제 2가이드홈(4) 및 제 2삽입홈(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가이드홈(2) 및 제 1삽입홈(3)이 형성된 부위에는 셸프서포트(미도시됨)의 요홈에 착탈되는 돌기부(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가이드홈(4) 및 제 2삽입홈(5)이 형성된 부위에는 일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손잡이부(7)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에 제 1스프링수납홈(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이젝터의 베이스부(20)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됨)에 볼팅되는 볼팅홀(11)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같이 바디부(1)의 제 1가이드홈(2)을 통해 제 1삽입홈(3)에 삽입되는 제 1힌지부(12)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록커부(30)의 걸림부(32)가 걸리게 되는 돌출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이젝터의 록커부(30)는 바디부(1)의 타단에 형성된 제 2가이드홈(4)을 통해 제 2삽입홈(5)에 삽입되는 제 2힌지부(31)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힌지부(31)를 기점으로 일측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베이스부(10)의 돌출부(13)와 걸리거나 해제되는 걸림부(3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걸림부(32)를 베이스부(10)의 돌출부(13)와 해제시키도록 하는 손잡이부(33)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손잡이부(33)의 내측면에도 바디부(1)의 손잡이부(7)에 형성된 제 1스프링수납홈(8)과 상호 대향되게 제 2스프링수납홈(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된 스프링(20)이 상기제 1 스프링수납홈(8)과 제 2스프링수납홈(34)에 삽입, 안착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디부(1), 베이스부(10), 록커부(30), 스프링(20)등이 인/이젝터를 구성하는 것들로서, 상호 조립되는 상태 및 그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중 도 5를 참조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부(10)를 양측에 형성된 볼팅홀(11)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고정시키고,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힌지부(12)를 바디부(1)의 일단에 형성된 제 1가이드홈(2)을 통하여 제 1삽입홈(3)에 삽입시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제 1힌지부(12)는 제 1삽입홈(3)에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힌지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바디부(1)가 이를 기점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록커부(30)의 제 2힌지부(31)를 바디부(1)의 타단에 형성된 제 2가이드홈(4)을 통하여 제 2삽입홈(5)에 삽입시켜 고정시킨다.
이때에도 상기 제 2힌지부(31)는 제 2삽입홈(5)에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힌지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록커부(30)가 이를 기점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상기 록커부(30)를 바디부(1)에 장착시키기전에 상기 바디부(1)의 손잡이부(7)에 형성된 제 1스프링수납홈(8)과, 록커부(30)의 손잡이부(33)에 형성된 제 2스프링수납홈(34) 사이에 일단이 절곡된 형상의 스프링(20)을 삽착시켜 고정시킨다. 즉, 상기 스프링(20)의 양면중 일면이 제 1스프링수납홈(8)에 밀착되게 하고, 타면이 록커부(30)의 손잡이부(33)에 형성된 제 2스프링수납홈(34)에 밀착되게하여 고정시킨다.
이와같이 조립된 인/이젝터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전화교환기와 같은전자통신장비의 셸프에 장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인/이젝터의 베이스부(10)에 인쇄회로기판을 볼팅시키고 바디부(1)를 제 1힌지부(12)를 기점으로 회동시킨후 록커부(30)의 손잡이부(33)를 눌러 걸림부(32)가 베이스부(10)의 돌출부(13)에 걸리도록 하면 된다.
이때, 상기 바디부(1)의 돌기부(6)는 셸프서포트의 요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되며, 상기 록커부(30)의 걸림부(32)와 베이스부(10)의 돌출부(13)의 체결과 더불어 양측에서 고정되게 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이 셸프에 고착되게 된다.
반대로,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록커부(30)의 손잡이부(33)를 누르게 되면 상기 록커부(30)의 손잡이부(33)와 바디부(1)의 손잡이부(7) 사이에 삽설된 스프링(20)의 탄성에 의해 눌려지게 되고 이에따라 타측의 걸림부(32)가 회동하여 베이스부(10)의 돌출부(13)와 상호 해제되게 되는바, 이때 바디부(1)의 손잡이부(8)를 잡고 제 1힌지부(12)를 기점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후단의 돌기부(6)가 셸프서포트의 요홈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용 인/이젝터에 있어서, 걸림부를 포함하는 록커부에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걸림부가 베이스부의 돌출부와 걸림, 해제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상기 바디부의 손잡이부 내측에 형성된 제 1스프링수납홈과, 록커부의 손잡이부 내측에 형성된 제 2스프링수납홈 사이에 이탈되지 않도록 정확히 삽설시키기가 곤란하고 이에따라, 상기 스프링이 쉽게 이탈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록커부에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록커부의 걸림부가 베이스부의 돌출부와 걸림,해제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상기 바디부의 손잡이부 내측에 형성된 제 1스프링수납홈과, 록커부의 손잡이부 내측에 형성된 제 2스프링수납홈 사이에 이탈되지 않도록 정확히 삽설시킬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록커부의 작동시 스프링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인/이젝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과 볼팅결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며, 타단부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손잡이부가 형성된 부근에 힌지결합되되, 일단에 베이스부의 돌출부와 걸림.해제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록커부와, 상기 바디부의 손잡이부 내측에 형성된 제 1스프링수납홈과, 상기 록커부의 손잡이부 내측에 형성된 제 2스프링수납홈 사이에 삽설되어 상기 록커부에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인/이젝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수납홈들중 적어도 한곳에 훅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면에는 상기 훅이 탄성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이젝터의 바디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인/이젝터의 베이스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인/이젝터의 스프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인/이젝터의 록커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일반적인 인/이젝터가 조립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인/이젝터의 바디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인/이젝터의 스프링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인/이젝터가 조립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바디부 7 : 손잡이부
8 : 제 1스프링수납홈 10 : 베이스부
30 : 록커부 33 : 손잡이부
34 : 제 2스프링수납홈 50 : 훅
51 : 요홈부 52 : 요부
60 : 스프링 61 : 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인/이젝터의 바디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고안에 의한 인/이젝터의 스프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인/이젝터가 조립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이젝터의 바디부(1)는 일단에 베이스부(10)의 제 1힌지부(12)가 삽착되도록 제 1가이드홈(2) 및 제 1삽입홈(3)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도 역시 록커부(30)의 제 2힌지부(31)가 삽착되도록 제 2가이드홈(4) 및 제 2삽입홈(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가이드홈(2) 및 제 1삽입홈(3)이 형성된 부위에는 셸프서포트의 요홈에 착탈되는 돌기부(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가이드홈(4) 및 제 2삽입홈(5)이 형성된 부위에는 일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손잡이부(7)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에 제 1스프링수납홈(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스프링수납홈(8)에는 훅(5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훅(50)은 도 8에 확대도시된 바와같이 하단부에 요홈부(51)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요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단이 절곡되어진 스프링(60)의 일면부에 홀(61)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스프링(60)의 일면부에 형성된 홀(61)의 지름은 바디부(1)의 제 1스프링수납홈(8)에 형성되어진 훅(50)의 지름보다는 다소 작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스프링(60)의 홀(61)을 훅(50)에 삽입시킬때에는 상기 훅(50)이 중앙의 요부(52)를 좁히면서 압착되어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60)의 홀(61)이 훅(50)의 요홈부(51)에 이르면, 다시 훅(50)이 복원되어 스프링(60)이 고정되게 된다.
참고로, 상기 훅(50)은 제 1스프링수납홈(8)과, 제 2스프링수납홈(34)중 어느곳에 형성시켜도 무방하고, 스프링(60)의 일면에 형성된 홀 또한 양면중 어느곳에 형성시켜도 무방하다.
위와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바디부의 손잡이부 내측에 형성된 제 1스프링수납홈과, 록커부의 손잡이부 내측에 형성된 제 2스프링수납홈과 사이에 삽설되어 상기 록커부의 걸림부를 베이스부의 돌출부와 걸림 또는 해제시키도록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의 장착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삽설시키기가 용이할뿐만 아니라 또한, 상기 스프링의 홀이 제 1스프링수납홈에 형성된 훅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작동중 이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인쇄회로기판과 볼팅결합되는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와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며, 타단부에 손잡이부(7)가 형성된 바디부(1)와, 상기 바디부(1)에서 손잡이부(7)가 형성된 부근에 힌지결합되되, 일단에 베이스부(10)의 돌출부(13)와 걸림.해제되는 걸림부(32)가 형성되고, 타단에 손잡이부(33)가 형성되어 있는 록커부(30)와, 상기 바디부(1)의 손잡이부(7) 내측에 형성된 제 1스프링수납홈(8)과, 상기 록커부(30)의 손잡이부(33) 내측에 형성된 제 2스프링수납홈(34) 사이에 삽설되어 상기 록커부(30)에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0)을 포함하여 구성된 인/이젝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수납홈들(8,34)중 적어도 한곳에 훅(50)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60)의 일면에는 상기 훅(50)이 탄성삽입되는 홀(61)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이젝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훅(50)은 그 하단부에 상기 스프링(60)의 홀(61)이 걸림되는 요홈부(5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는 훅(50)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절개된 요부(5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이젝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구조.
KR2019970045370U 1997-12-31 1997-12-31 인/이젝터의스프링이탈방지구조 KR200316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370U KR200316533Y1 (ko) 1997-12-31 1997-12-31 인/이젝터의스프링이탈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370U KR200316533Y1 (ko) 1997-12-31 1997-12-31 인/이젝터의스프링이탈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609U KR19990032609U (ko) 1999-07-26
KR200316533Y1 true KR200316533Y1 (ko) 2003-11-21

Family

ID=4940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370U KR200316533Y1 (ko) 1997-12-31 1997-12-31 인/이젝터의스프링이탈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5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609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1165A (en) Electrical connector incorporating an improved hold-down device for securing to a printed circuit board, or the like
US5813877A (en) Connector for flexible circuit boards
US5257948A (en)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s
JP3328764B2 (ja) エッジコネクタ
US6164998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latching device
KR940017007A (ko) 고정 기구를 가지는 전기 접속기
MY101528A (en) Locking clip
KR19980080461A (ko) 회로기판용 전기커넥터
JP3049608B2 (ja) 改良された基板取付ペグ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US5759057A (en) Connector with hybrid latch device
US4795362A (en) Circuit connector for use with printed wiring board
US6679727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board lock
US5738541A (en) Assembling mechanism of connector having boardlock and spacer
JP2000067959A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KR200316533Y1 (ko) 인/이젝터의스프링이탈방지구조
KR20090042728A (ko) 커넥터
KR100377390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장치
US6135788A (en) Connector with board fixing means on vertical standoffs thereof
JPH0992410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KR200280104Y1 (ko) 통신장비용셀프의이젝터장치
JPH04223014A (ja) リレーおよびソケット
JP2003086273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200179749Y1 (ko) 인쇄회로기판의 지지 및 가이드구조
KR940002409Y1 (ko) 컴퓨터용 주변기기의 고정장치
KR200176804Y1 (ko) 통신기기용 커넥터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