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115Y1 - A Picture Frame of Tombstone - Google Patents

A Picture Frame of Tombst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115Y1
KR200316115Y1 KR20-2003-0006466U KR20030006466U KR200316115Y1 KR 200316115 Y1 KR200316115 Y1 KR 200316115Y1 KR 20030006466 U KR20030006466 U KR 20030006466U KR 200316115 Y1 KR200316115 Y1 KR 2003161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tombstone
picture
sunlight
pho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46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환
Original Assignee
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환 filed Critical 조환
Priority to KR20-2003-0006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11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1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115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묘비에 세워 설치되고 사진이 삽입되는 묘비용 사진액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mbstone photo frame that is installed on the tombstone and inserted into the picture.

본 고안의 기술구성은, 묘비의 상면에 놓여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중앙에 세워 결합되고, 그 내부에 사진이 결합되는 판넬; 로 이루어진 묘비용 사진액자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세워 설치되고, 사진이 하부에서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투명재질의 판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mbstone; A panel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support and which is photographed therein; A tombstone photographic frame comprising: a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support; It is installed in the coupling groove, the panel of the transparent material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picture is inserted from the botto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사진액자의 전면과 후면에서 서로 다른 모습의 사진을 볼 수 있게 되고, 햇빛으로부터 사진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고인의 얼굴만 있는 모습의 사진과 함께 생전의 활동사진이나 생활사진을 볼 수 있게 되어 후손들에게 조상의 모습이나 생활상을 보여주어 그 근본을 느낄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cture of the picture frame can be seen from the front and the back, and the picture can be protected from the sunlight, so that the picture of the life of the deceased with the picture of only the face of the deceased, Being able to see them shows their ancestors 'ancestors' lives and their life, bringing the effect to their roots.

Description

묘비용 사진액자 {A Picture Frame of Tombstone}Gravestone Photo Frame {A Picture Frame of Tombstone}

본 고안은 묘비에 세워 설치되고 사진이 삽입되는 묘비용 사진액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mbstone photo frame that is installed on the tombstone and inserted into the picture.

일반적으로 묘지에는 고인의 성명과 간단한 비문이 새겨진 비석이 놓여 있게 된다. 이러한 통상적인 비석은 해당 묘지를 안내하게 되므로, 묘지를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Graveyards are usually laid with headstones engraved with the deceased's name and simple inscription. Such a tombstone guides the cemetery and thu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ongoing maintenance of the cemetery.

그러나, 상기의 비석은 간단한 비문만이 새겨져 있어서, 고인의 얼굴이나 모습을 모르는 후손들에게는 별다른 느낌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고, 비석이 없는 경우에는 장기간이 경과한 이후에 후손들이 자신의 선조 묘지를 정확히 인지하기가 매우 곤란한 경우도 있다.However, the monument is engraved with only simple inscriptions, so that the descendants who do not know the face or appearance of the deceased often do not feel very much. Sometimes it is very difficult to know the graveyard correctly.

또한, 성묘를 와서 조상님 앞에 절을 올릴 때에도 조상에 대한 기억이 전혀 없어, 자신의 근본을 생각하는 중요한 시간이라기 보다는 단지 일년에 한 두 번씩 갖는 형식적인 행사정도일 수 밖에 없게 된다.In addition, there is no memory of ancestors when they come to the grave and bow before their ancestors, so it is only a formal event that is held once or twice a year rather than an important time to think about their roots.

상기의 사항들을 개선하고자 고인의 생전모습을 석재로 된 묘비에 직접 새기거나, 고인의 사진 또는 초상화가 내장된 사진판넬을 묘비에 간단하게 수납 또는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었으나, 상기의 사진판넬은 사진이 한 장만 삽입되어 다른 모습의 사진을 보려면 다수개의 사진판넬을 묘비에 놓아두어야 하며, 햇빛에 의해 사진이 변색되므로 사진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matters, the deceased's life was directly engraved on a stone tombstone, or a photographic panel containing a photograph or portrait of a deceased person was simply stored or attached to the tombstone. If only one sheet is inserted to see a different picture, a plurality of photo panels must be placed on the tombstone, and the photo is discolored by sunlight, and thus there is an uncomfortable and cumbersome problem of replacing the pictures frequently.

상기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전면과 후면에서 서로 다른 모습의 사진을 볼 수 있는 사진판넬을 구성하여 묘비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햇빛으로부터 사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묘비용 사진액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and solve the above problems, to configure the photo panel that can see the picture of the different views from the front and rear to be installed on the tombstone and to protect the photo from sunlight Its purpose is to provide photo frames for tombstones.

본 고안에 의해 고인의 얼굴만 있는 모습의 사진과 함께 생전의 활동사진이나 생활사진을 함께 볼 수 있으므로 후손들에게 조상들의 모습이나 생활상을 보여주어 그 근본을 느끼게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e the photographs of the life of the deceased together with the photographs of the faces of the deceased.

또한, 상기와 같이 조상을 느끼고 근본을 알게 되므로 성묘를 함에 있어 형식적이기 보다는 진정으로 조상을 찾아뵙는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In addition, as you feel the ancestors and know the roots as described above, you have a feeling that you are really looking for an ancestor rather than a formal one.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과 부수되는 많은 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작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Many of the objects and accompanying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 사진액자가 묘비에 설치된 상태도1 is a state in which the subject photo frame is installed in the tombstone

도 2는 본 고안 사진액자의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bject photo frame

도 3은 본 고안 햇빛차단수단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n protection means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of use of FIG.

도 5는 본 고안 햇빛차단수단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nlight blocking means

도 6은 본 고안 햇빛차단수단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nlight blocking means

도 7은 본 고안 햇빛차단수단의 제4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nscreen mean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0 - 묘비 1 - 사진액자100-Gravestone 1-Photo Frame

2 - 지지대 21 - 결합홈2-support 21-coupling groove

3 - 판넬 31 - 삽입홈3-Panel 31-Insertion Groove

4 - 사진 10 - 햇빛차단수단4-Picture 10-Sun protection Measures

본 고안의 기술구성은, 묘비의 상면에 놓여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중앙에 세워 결합되고, 그 내부에 사진이 결합되는 판넬; 로 이루어진 묘비용사진액자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세워 설치되고, 사진이 하부에서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투명재질의 판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mbstone; A panel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support and which is photographed therein; A tombstone photo frame comprising: a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support; It is installed in the coupling groove, the panel of the transparent material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picture is inserted from the botto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그리고, 상기 판넬에 삽입된 사진이 햇빛에 의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햇빛차단수단을 더 구비함에 있어, 상기 햇빛차단수단은, 판넬의 상면에 접착제 또는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 후 끝단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판넬의 전, 후면 전체를 덮어주는 연질의 차단판;으로 이루어진다.Further, in order to prevent the photo inserted into the panel from being discolored by sunlight, further comprising a sunscreen means, the sunscreen means, the fixing portion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nel by an adhesive or fixing member; It is formed in each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of a soft blocking plate covering the entire front, rear of the panel.

또한, 상기 햇빛차단수단은, 상기 판넬의 전면과 후면 및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 형상으로 형성된 차단구로 할 수 있고, 상기 판넬의 하부를 제외한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자형상으로 형성하되 하부가 개방되어 끼움홈이 구비된 차단상자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unlight blocking means may be a block formed in a "┌┐" shape to cover the front, rear and top of the panel, formed in a box shape so as to cover the entire surface except the bottom of the panel but It can also be configured as a blocking box is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그리고, 상기 햇빛차단수단을, 전면과 후면 복수 개소에 결합공이 형성된 판넬과; 상기 결합공과 대응 결합되는 결합구가 형성되고, 판넬의 전면과 후면으로 각각 결합되는 차단판;으로 구성함에 있어, 상기 판넬에 결합구를 형성하고, 차단판에 결합공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차단판을 판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판넬의 양측면 또는 상면에 요홈을 더 구비하거나, 상기 차단판의 양 측면 또는 상면에 돌출편을 더 구비함도 바람직하다.And, the sunlight blocking means, a panel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in a plurality of front and rear; A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is formed, and the blocking plate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anel, respectively. In the configuration, the coupl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panel, and the coupl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blocking plate. In order to easily separate the blocking plate from the panel, grooves may be further provided on both sides or the upper surface of the panel, or protruding pieces may be further provided on both sides or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ing plat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은 본 고안 사진액자가 묘비에 설치된 상태도로서, 일반적인묘비(100)는 지면에 위치하는 기초석(101)과, 상기 기초석(101) 위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어 고인의 이름과 간단한 비문이 새겨지는 비문석(102)과, 상기 비문석(102)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삿갓석(103)으로 이루어진다.First, Figure 1 is a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photo frame is installed on the tombstone, the general gravestone 1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vertically placed on the foundation stone 101, the name of the deceased and a simple inscription The inscription stone 102 is engraved, and consists of a hat 103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inscription stone (102).

그리고, 본 고안 사진액자(1)는 기초석(101)의 상면 전방에 놓여지는 지지대(2)와, 상기 지지대(2)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고 그 내부에 사진 및 다른 모습의 사진이 앞뒤로 삽입되는 투명재질의 판넬(3)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재질의 판넬은(3) 투명유리나 투명 아크릴판 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hotographic fram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support 2, which is plac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tone 101, the support 2 is inserted into the picture and other pictures of the front and back It is made of a transparent panel (3), the panel of transparent material (3)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glass or a transparent acrylic plate.

이때, 상기 판넬(3)의 전면에는 고인의 얼굴사진을 그리고, 후면에는 고인의 생전 활동모습이 담긴 사진을 삽입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판넬(3)의 전면에만 사진을 삽입하여도 무방하다.At this time, the front of the panel 3 is preferably a picture of the deceased person's face, the back is inserted into the picture containing the life of the deceased activity, it is also possible to insert a picture only on the front of the panel (3).

그리고, 상기 사진액자(1)는 묘비(100)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무덤앞의 제단에 설치하여도 되며, 일반가정이나 직장 등에서 일반사진 등을 넣어서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the photo frame 1 may be installed on the altar in front of the tomb, not only installed in the tombstone 100, it is obvious that the general picture or the like can be used to put a general picture.

상기와 같이 묘비(100)의 비문석(102)에서는 고인의 이름과 간단한 비문을 볼 수 있고, 상기 사진액자(1)의 전면에서는 고인 얼굴을, 후면에서는 고인의 생전활동 모습을 볼 수 있으므로 고인에 대한 느낌을 더욱 강하게 느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nscription stone 102 of the tombstone 100, the deceased's name and a simple inscription can be seen, and the deceased's life can be seen in the front of the photo frame 1 and the deceased's life in the rear. You will feel a stronger feeling about.

도 2는 본 고안 사진액자의 분해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icture frame of the subject innovation.

상기 사진액자(1)는, 상기 기초석(101)의 상단에 놓여지는 지지대(2)에는 결합홈(2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1)으로 결합하여 세워 설치되는 투명재질의 판넬(3)에는 사진(4)이 하부에서 삽입되도록 삽입홈(31)이 형성된다.The photo frame 1, a coupling groove 21 is formed in the support (2) which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base stone 101, the panel of the transparent material which is installe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1 ), The insertion groove 31 is formed so that the photo 4 is inserted from the bottom.

즉, 상기 사진(4)을 판넬(3)의 삽입홈(31)으로 삽입한 후 지지대(2)의 결합홈(21)으로 판넬(3)을 결합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지지대(2)와 판넬(3)의 접촉면으로 습기나 빗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와 접착력을 갖는 실리콘 접착제등을 도포함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picture 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 of the panel 3, and then the panel 3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1 of the support 2, wherein the support 2 and the panel In order to prevent moisture or rain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contact surface of (3),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ilicone adhesive having waterproof and adhesive strength.

그리고, 상기 판넬(3)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진(4)을 앞, 뒤로 삽입하여 전면과 후면에서 사진(4)을 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anel 3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photo 4 can be seen from the front and rear by inserting the photo 4 back and forth.

이때, 상기 사진액자(1)는 기초석(101)에 홈을 파고 상기 홈에 지지대(2)를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지지대(2)를 기초석(101)에 접착제나 고정부재 등에 의해 고정시킨 후 판넬(3)이 착탈 가능하도록 지지대(2)에 결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photo frame 1 can be installed by digging a groove in the base stone 101 and inserting the support (2) in the groove, and fixed to the base stone 101 by an adhesive or a fixing member, etc. After the panel 3 may be attached to the support (2) to be removable.

상기와 같이 사진액자(1) 전체 또는 판넬(3)만을 들어서 돌릴 수 있게 함으로서 전면만이 아닌 후면의 사진(4)도 볼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only the front picture frame 1 or the panel 3 can be lifted and rotated so that the rear view picture 4 can be seen instead of the front.

그러나, 상기 사진액자(1)를 제단에 설치할 경우에는 지지대(2)를 제단에 고정시키고 판넬(3)도 지지대(2)에 고정시켜 사용하여도 평면상인 제단으로 인해 전면과 후면을 다 볼 수 있으므로 모두 고정시켜 설치해도 된다.However, when the photo frame 1 is installed at the altar, the front and rear can be seen due to the altar which is flat even when the support 2 is fixed to the altar and the panel 3 is also fixed to the support 2. Therefore, you may fix and install all.

이때, 상기 사진액자(1)의 사진(4)을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도 있으므로 판넬(3)과 지지대(2)의 결합은 착탈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hoto frame 4 of the photo frame 1 may be replaced as necessary, so that the combination of the panel 3 and the support 2 may be detachable.

한편, 상기 판넬(3)의 외부에는 햇빛차단수단(10)이 결합되어 햇빛으로부터 판넬(3)의 내부에 삽입된 사진(4)을 보호하여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side of the panel 3 is coupled to the sunlight blocking means 10 to protect the photo 4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anel 3 from sunlight to prevent discoloration.

즉, 도 3은 본 고안 햇빛차단수단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That is,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n protection means,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FIG.

상기 햇빛차단수단(10)은, 상기 판넬(3)의 상면과 접촉하며 고정되는 고정부(11)와, 상기 고정부(11)의 전, 후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판넬(3)의 전면과 후면을 덮는 연질의 차단판(12)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평상시에는 차단판(12)이 판넬(3)의 전면과 후면을 덮고 있으나 성묘나 기타의 이유로 사진(4)을 볼 때에는 도 4의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보고자 하는 면쪽의 차단판(12)을 반대방향으로 들어서 뒤로 넘기게 되면 사진(4)을 볼 수 있게 된다.The sunlight blocking means 1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nel 3 and fixed to the fixed portion 11, and formed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ixing portion 11 and the front of the panel 3 and It consists of a soft blocking plate 12 covering the back side, usually the blocking plate 12 covers the front and back of the panel 3, but when looking at the photo (4) for sacred or other reasons As shown in the figure, if the barrier plate 12 on the side to be viewed is lif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urned over, the photo 4 can be seen.

또한, 다른 면의 사진(4)을 보고자 할 때에도 본 고안 사진액자(1)를 돌려놓은 뒤 보고자 하는 면의 차단판(12)을 들어서 뒤로 넘기게 되면 다른 면의 사진(4)도 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you want to see the picture (4) of the other side, after turning the picture fram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turn over the blocking plate 12 of the side you want to see, you can see the picture (4) of the other side do.

도 5는 본 고안 햇빛차단수단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n protection means.

상기 햇빛차단수단(10)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판넬(3)의 전면과 후면을 덮을 수 있는 차단구(13)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판넬(3)의 상부에서 끼움 삽입 할 수도 있고, 측면에서 끼움 삽입 할 수도 있도록 한 것이다.The sunlight blocking means 10, made of a "┌┐" shape and made of a block 13 to cover the front and rear of the panel 3, it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nel (3). It can also be inserted from the side.

또한, 도 6은 본 고안 햇빛차단수단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un protection means.

상기 햇빛차단수단(10)은, 하부가 개방되어 끼움홈(15)이 형성된 상자형상으로 구비된 차단상자(14)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판넬(3)의 상부에서 끼움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The sunlight blocking means 10 is made of a blocking box 14 provided in a box shape in which a lower portion is opened and a fitting groove 15 is formed so as to be inser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anel 3.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 햇빛차단수단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And,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un protection means.

상기 햇빛차단수단(10)은, 상기 판넬(3)의 전면과 후면 복수개소에 결합공(32)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32)과 대응 결합되는 결합구(17)가 형성되어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결합되는 차단판(16)으로 이루어진 것이다.The sunlight blocking means 10, the coupling hole 32 is formed in a plurality of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panel 3, the coupling hole 17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32 is formed and the front and It is made of a blocking plate 16 coupled to each back.

이때, 상기 판넬(3)에 결합구를 형성하고 차단판(16)에 결합공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차단판(16)을 판넬(3)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서 판넬(3)의 상면 또는 양 측면 복수개소에 요홈(33)을 형성하여도 되고, 상기 차단판(16)의 상면 또는 양 측면 복수개소에 돌출편(18)을 형성하여도 된다.In this case, a coupl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panel 3 and a coupl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blocking plate 16. In order to easily separate the blocking plate 16 from the panel 3, the panel 3 may be separated. The grooves 33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grooves 33, and the protruding pieces 18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blocking plate 16.

이상에서 설명한 햇빛차단수단(10)은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모든 재질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상기 햇빛차단수단(10)의 전면에는 고인의 모습이나 이름 등을 인쇄 또는 새겨 넣어 멀리서도 고인의 묘소임을 알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Naturally, the above-described sunscreen means 10 may be formed of any material capable of blocking sunlight, and the front of the sunscreen means 10 may be printed or engraved with a deceased person's name or the like. It may be known that it is a mausoleum.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설계변경, 재료의 변환, 치수 등의 변경도 모두 권리범위에 속한다할 것이다.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ign changes, material conversions, and changes in dimensions will all fall within the scope of rights.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사진액자의 전면과 후면에서 서로 다른 모습의 사진을 볼 수 있게 되고, 햇빛으로부터 사진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고인의 얼굴만 있는 모습의 사진과 함께 생전의 활동사진이나 생활사진을 볼 수 있게 되어 후손들에게 조상의 모습이나 생활상을 보여주어 그 근본을 느낄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cture of the picture frame can be seen from the front and the back, and the picture can be protected from the sunlight, so that the picture of the life of the deceased with the picture of only the face of the deceased, Being able to see them shows their ancestors 'ancestors' lives and their life, bringing the effect to their roots.

Claims (8)

묘비의 상면에 놓여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중앙에 세워 결합되고, 그 내부에 사진이 결합되는 판넬; 로 이루어진 묘비용 사진액자에 있어서,A support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ombstone; A panel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support and which is photographed therein; In the tombstone photo frame consisting of, 상기 지지대(2)에 형성된 결합홈(21)과;A coupling groove 21 formed in the support 2; 상기 결합홈(21)에 세워 설치되고, 사진(4)이 하부에서 삽입되도록 삽입홈(31)이 형성된 투명재질의 판넬(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비용 사진액자.Tombstone photo frame is installed in the coupling groove 21, the panel 3 of the transparent material formed with the insertion groove 31 so that the photo (4) is inserted from the bottom.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판넬(3)에 삽입된 사진(4)이 햇빛에 의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햇빛차단수단(1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비용 사진액자.The photographing cost pictur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nlight blocking means (10) to prevent the photo (4) inserted into the panel (3) to be discolored by sunlight. 상기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햇빛차단수단(10)은, 상기 판넬(3)의 상면에 접착제 또는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11)와;The sunlight blocking means 10, the fixing portion 11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nel 3 by an adhesive or a fixing member; 상기 고정부(11)의 전, 후 끝단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판넬(3)의 전, 후면 전체를 덮어주는 연질의 차단판(1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비용 사진액자.Tomb cost photo fram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lexible blocking plate (12) extending from the front, rear ends of the fixing portion 11 to cover the entire front, rear of the panel (3). 상기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햇빛차단수단(10)은, 상기 판넬(3)의 전면과 후면 및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 형상으로 형성된 차단구(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비용 사진액자.The sunlight blocking means (10), tombstone photo fram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lock 13 formed in the "┌┐" shape to cover the front, rear and top of the panel (3). 상기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햇빛차단수단(10)은, 상기 판넬(3)의 하부를 제외한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끼움홈(15)이 구비된 차단상자(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비용 사진액자.The sunlight blocking means 10 is formed in a box shape so as to cover the entire surface except the lower portion of the panel 3, the lower portion is made of a blocking box 14 is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15). Tomb cost photograph frame to assume. 상기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햇빛차단수단(10)은, 전면과 후면 복수 개소에 결합공(32)이 형성된 판넬(3)과;The sunlight blocking means 10 includes a panel 3 having coupling holes 32 formed in a plurality of front and rear surfaces; 상기 결합공(32)과 대응 결합되는 결합구(17)가 형성되고, 상기 판넬(3)의 전면과 후면으로 각각 결합되는 차단판(1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비용 사진액자.Gravity photo fram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coupling hole (17)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32) is formed,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panel (3), respectively. 상기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판넬(3)에 다수개의 결합구를 형성하고, 상기 차단판(16)에 결합구와 대응 결합하는 결합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비용 사진액자.Tombstone photo fram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upling spheres are formed in the panel (3), and coupl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spheres are formed in the blocking plate (16). 상기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차단판(16)을 판넬(3)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판넬(3)의 양측면 또는 상면에 요홈(33)을 더 구비하거나 차단판(16)의 양 측면 또는 상면에 돌출편(18)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비용 사진액자.In order to easily separate the blocking plate 16 from the panel 3, grooves 33 are further provided on both sides or the upper surface of the panel 3, or protruding pieces 18 on both sides or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ing plate 16 are provided. Gravestone pictur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KR20-2003-0006466U 2003-03-05 2003-03-05 A Picture Frame of Tombstone KR20031611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466U KR200316115Y1 (en) 2003-03-05 2003-03-05 A Picture Frame of Tombst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466U KR200316115Y1 (en) 2003-03-05 2003-03-05 A Picture Frame of Tombst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115Y1 true KR200316115Y1 (en) 2003-06-12

Family

ID=49408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466U KR200316115Y1 (en) 2003-03-05 2003-03-05 A Picture Frame of Tombst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115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635B1 (en) * 2021-09-24 2022-04-08 이귀재 ossuary decoration stand
KR20220055586A (en) * 2020-10-27 2022-05-04 진상국 acrylic picture fr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586A (en) * 2020-10-27 2022-05-04 진상국 acrylic picture frame
KR102484526B1 (en) * 2020-10-27 2023-01-03 진상국 acrylic picture frame
KR102384635B1 (en) * 2021-09-24 2022-04-08 이귀재 ossuary decoration st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7625A (en) Air-chambered, weatherproof picture frame
US11591818B2 (en) Patron-accessible memorialization structures
US9175495B1 (en) Grave stone marker with protected viewing chamber
US4790088A (en) Permanent photographic memorial marker
US6076292A (en) Hybrid grave marker and cremains container
US5813099A (en) Burial casket with photographic memorial marker
US5517791A (en) Monument with movable element
KR200316115Y1 (en) A Picture Frame of Tombstone
US4285149A (en) Grave marker
US8215067B2 (en) Vase with photographs, inscriptions and deposit of flowers for cemetery memorials
US20100165639A1 (en) Light-Transmitting Columbarium Niche Shutter
KR200248492Y1 (en) Photo panel and tombstone using the same photo panel
CN111794583A (en) Grandma tower for placing cinerary casket
US20190192369A1 (en) Gravestone marker with protected viewing chamber
US20220307283A1 (en) Personalized waterproof memorial container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208984Y1 (en) Fixture capable of adherring photograph
CN212957957U (en) Grandma tower for placing cinerary casket
JPH057382Y2 (en)
KR910000979Y1 (en) Photo flame for tombstone
JP3085799U (en) Stone material for tombstones
KR200380729Y1 (en) Funerary urn utilizing natural stone
JP2022140706A (en) Structure of common small-sized gravestone group in outdoor graveyard, and small-sized gravestone serving as urn for both indoor and outdoor mounted on outdoor common small-sized gravestone group or offered for indoor memorial service in handy manner
KR20220081766A (en) Tombstone with QR code and Body member for use on the tombstone
KR200189937Y1 (en) A crypt
KR200210612Y1 (en) A tombst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