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642Y1 - 벽 걸이구 - Google Patents

벽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642Y1
KR200315642Y1 KR20-2003-0007140U KR20030007140U KR200315642Y1 KR 200315642 Y1 KR200315642 Y1 KR 200315642Y1 KR 20030007140 U KR20030007140 U KR 20030007140U KR 200315642 Y1 KR200315642 Y1 KR 200315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wall
attached
hook
hoo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오연
Original Assignee
김오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오연 filed Critical 김오연
Priority to KR20-2003-0007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6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6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08Suspension fittings for cabinets to be hung 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2Picture members for connection to a conventional wall hook or nai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33Wall members for connection to a conventional pictur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나 거울등 각종 벽부착물을 간편하게 걸어 설치하기 위한 벽 걸이구를 제시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벽체(100)에 부착 설치되는 벽 부착구(10)와 부착물(110)에 부착 설치되는 부착물 부착구(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벽 부착구(10)는 외측으로 구부려진 걸고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물 부착구(20)에는 상기 벽부착구의 걸고리부(11)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걸고리부(22)가 형성되어 벽 부착구에 부착물 부착구를 걸어 고정함으로서 부착물의 벽체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걸이구이다.

Description

벽 걸이구 { Wall tapestry }
본 고안은 싱크대나 거울등 각종 벽부착물을 간편하게 걸어 설치하기 위한 벽 걸이구에 관한 것이며, 상세히는 벽에 부착 설치되는 벽 부착구와 부착물에 부착 설치되는 부착물 부착구로 벽걸이구를 구성하여 각 부착구가 상호 접촉 결합됨으로서 각종 부착물을 손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벽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나 거울 또는 장식장등 벽체에 부착설치되는 가구류의 벽체 부착은 통상 나사못등을 이용하여 벽체에 직접 부착 설치하거나 벽걸이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벽걸이구를 사용한 경우가 나사못등을 이용하여 직접 부착하는 경우에 비해 필요시 쉽게 떼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벽 걸이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00)에 나사못(101) 또는 못을 박고, 벽부착물(110)에 홈(121)을 형성한 철물(120)을 부착하여 상기 홈에 나사못을 끼워 거는 구조로 이루어져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나사못의 수평위치나 간격이 부정확하면 나사못을 철물의 홈에 끼울 수 없고, 간격을 정확하게 한 경우에도 수평위치가 비틀어지면 부착물이 비틀어져 나사못을 다시 박아 주어야 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부착물이 무거운 경우에는 나사못 또는 못에 직접 과도한 하중이 작용함으로 벽체 또는 나사못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벽체 고정 수단은 부착물과 벽체사이의 간격이 거의 없이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기 때문에 욕실과 같이 습기가 많은 장소에서는 벽체와 부착물 사이의 통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합판등으로 제조되는 부착물이 쉽게 훼손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각종 벽 부착물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또는 필요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부착물의 수평을 간편하게 교정할 수 있고, 부착물의 무게를 효율적으로 지탱 할 수 있는 구조의 벽걸이구를 제시하고, 벽체와 부착물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곰팡이나 습기등에 의한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벽 부착구의 다른 실시례도
도 4는 부착물 부착구의 다른 실시례도
도 5는 도 4의 결합 상태도
도 6은 종래 벽걸이구의 구성도
* 주요 부호의 설명
10.벽 부착구 11.걸고리부 12.부착부
13.장형 홈 14.돌기 20.부착물 부착구
21.부착부 22.걸고리부 23.장형홈
24.돌기 30.나사못 100.벽체
110.부착물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벽에 부착 설치되는 벽 부착구와 부착물에 부착 설치되는 부착물 부착구로 이루어지는 벽걸이구를 제시하여 벽 부착구에 부착물 부착구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의 벽걸이구를 새로이 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한 실시례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벽부착구(10)와 부착물 부착구(20)로 이루어진다.
벽 부착구(10)는 나사못(30)이나 못에 의해 벽체(100)에 미리 부착되는 요소로서 걸고리부(11)와 부착부(12)로 이루어지며, 걸고리부(11)가 벽부착부(12)에 대하여 외측으로 구부려진 형상을 갖고, 벽 부착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형홈(13)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벽 부착구는 플라스틱을 성형하여 구성할 수 있고, 평판형의 철물을 사용하여 상부의 걸고리부를 하부의 부착부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30°- 50°각도로 구부린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벽 부착부에 형성된 장형홈(13)은 나사못을 사용하여 벽체에 완전 고정하기 전단계에서 상하로 일정한 유격을 갖도록 함으로서 좌우 측 벽부착구의 높낮이를 교정하여 정확한 수평위치를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장형홈은 중량물의 벽체 부착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 부착부에 2줄로 형성하여 2개의 나사에 의해 하중을 부담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부착물 부착구(20)는 부착물(110)의 배면에 부착하는 요소로서 하부의 부착부(21)와 상부의 걸고리부(22)로 이루어지고, 걸고리부는 외측으로 충분히 구부린 형상으로 구성하여 구부려진 안쪽으로 상기한 벽부착구(10)의 걸고리부(11)가 걸리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부착물 부착구(2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벽체에 고정되는 벽 부착구(10)에 양 단부가 걸릴 수 있도록 길게 형성하며, 플라스틱을 성형하여 구성할 수 있고, 평판형의 철물을 사용하여 하부의 부착부(21)에 대하여 상부의 걸고리부를 시계방향으로 120°-140°각도로 구부린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벽부착구와 부착물 부착구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벽체(100) 및 부착물(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부착물을 상기 벽부착구에 걸어주는 간단한 방법으로 부착물의 설치가 가능하고, 벽부착구의 설치폭 보다 부착물 부착구의 길이를 약간 크게 형성함으로서 벽부착구의 간격에 구애됨이 없이 설치가 가능해지고, 부착물을 균형있게 고정하여 지탱하여 줌으로서 안정감을 갖게 된다.
또한, 벽부착구의 부착시 대강의 위치에 나사못을 박은 후 나사못을 완전히 박기전에 장형홈(13)을 이용하여 벽부착구의 수평위치를 교정한 상태에서 최종 고정시킴으로서 수평을 유지시키기 위해 나사못을 다시 박아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벽 부착물의 청소등을 위해 벽체로 부터 분리시에도 약간 들어 올려 줌으로서 간편하게 분리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구조의 벽걸이구는 벽체와 부착물이 서로 밀착되지 않고 약간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기 때문에 그 사이 공간을 통하여 통풍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욕실과 같이 습기가 많은 장소에서 사용시에도 습기에 의한 부착물(거울, 선반, 장식장 등)이 훼손되거나 곰팡이류의 번식등이 방지되어 청결하고 깨끗한 상태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한 벽 부착구 및 부착물 부착구의 각각의 몸체에는 파형의 돌기(14)(24)를 형성한 구조로 실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서 벽체와의 마찰에 의한 접촉압력을 증대시키고, 나사못에 의한 고정시 자체의 탄력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벽체와의 고정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부착물부착구와 벽체부착구의 접촉시 각돌기에 의해 요철구조로 맞추어 지도록 함으로서 접촉저항을 증대시켜 설치시 미끄러짐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도4는 부착물 부착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박스형상으로 부착물 부착구(20')를 구성하고, 부착물 부착구(20')의 외측면에는 상기한 벽 부착구 결합위치에 가로방향의 장형홈(23)을 형성한 구조를 보인것이다.
상기한 실시례에서 장형홈의 길이는 벽부착구의 폭보다 5-10mm정도 크게 형성하여 벽부착구의 설치간격에 어느 정도 오차가 있다 하더라도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벽 부착물의 설치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며,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며, 벽체와 부착물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됨으로서 통풍이 원활히 유지되어 벽체 부착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여름철에 벽체 접촉부에서 곰팡이등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벽체(100)에 부착 설치되는 벽 부착구(10)와 부착물(110)에 부착 설치되는 부착물 부착구(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벽 부착구(10)는 외측으로 구부려진 걸고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물 부착구(20)에는 상기 벽부착구의 걸고리부(11)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걸고리부(22)가 형성되어 벽 부착구에 부착물 부착구를 걸어 고정함으로서 부착물의 벽체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걸이구.
  2. 제1항에 있어서, 벽 부착구(10)는 벽체에 접촉하는 부착부(12)와 부착부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30°- 50°각도로 구부린 걸고리부(11)로 이루어지고 부착부(21)에는 상하방향으로 장형홈(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걸이구.
  3. 제1항에 있어서, 부착물 부착구(20)는 부착물에 부착되는 부착부(21)과 상기 부착부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120°- 140°각도로 구부린 걸고리부(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걸이구.
  4. 제1항,제2항 또는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 부착구(10) 및 부착물 부착구(20)의 몸체에는 돌기(14)(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걸이구.
  5. 제1항에 있어서, 부착물 부착구는 박스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한 부착물 부착구(20')의 외측면에는 벽 부착구(10) 결합위치에 가로방향의 장형홈(23)을 형성한 구조로 하여 상기 장형홈에 벽 부착물의 걸고리부(11)가 끼워 짐으로서 부착물의 부착이 이루어 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걸이구.
KR20-2003-0007140U 2003-03-11 2003-03-11 벽 걸이구 KR200315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140U KR200315642Y1 (ko) 2003-03-11 2003-03-11 벽 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140U KR200315642Y1 (ko) 2003-03-11 2003-03-11 벽 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642Y1 true KR200315642Y1 (ko) 2003-06-09

Family

ID=4940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140U KR200315642Y1 (ko) 2003-03-11 2003-03-11 벽 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6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0589C (en) Vertically stabilized shelf bracket assembly
US6196141B1 (en) Vertically stabilized adjustable shelf bracket assembly
US10149558B2 (en) Picture frame wall hanging and leveling assembly
US20090014401A1 (en) Slotwall mounting assembly
US10550577B2 (en) Face mounting system
US20160113447A1 (en) Shower rod assembly and related method
US9335033B2 (en) Ceiling support system and apparatus
KR200448088Y1 (ko)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KR200315642Y1 (ko) 벽 걸이구
WO2021133241A1 (en) Bracket plug
KR100378557B1 (ko) 선박 벽면 하단부의 걸레받이 장착구조
KR20170003197U (ko) 천정 루바 설치구조
KR0134744B1 (ko) 조립식 천정시설재
KR100903966B1 (ko) 선반 설치대
US20180168410A1 (en) Bathware product mounting assembly and system
JP5730796B2 (ja) スクリーン装置
KR200317788Y1 (ko) 슬라이드 결합식 옷걸이
KR970005298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고정바
CN210107187U (zh) Led窗台灯
JPH0711669Y2 (ja) 隙間カバー付カーテンボックス
KR200267662Y1 (ko) 벽붙이용 걸이대
KR200389706Y1 (ko) 걸이형 수납가구용 고정설치구
KR200280537Y1 (ko) 걸이장공이 구비된 벽걸이
KR200411728Y1 (ko) 선반 고정구
KR200205403Y1 (ko) 설치가 용이한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