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473Y1 - Drink vessel - Google Patents
Drink vess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3473Y1 KR200313473Y1 KR20-2003-0003956U KR20030003956U KR200313473Y1 KR 200313473 Y1 KR200313473 Y1 KR 200313473Y1 KR 20030003956 U KR20030003956 U KR 20030003956U KR 200313473 Y1 KR200313473 Y1 KR 20031347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verage
- beverage container
- wrinkles
- fixing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산 음료를 저장하는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ET병 몸체의 외주면에 주름부를 형성하여 몸체의 부피를 줄임과 동시에 몸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여, 개봉후 탄산 음료를 장시간 보관하여도 탄산 음료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탄산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부를 가지며, 뚜껑을 개방하여 상기 음료의 주입 또는 배출이 가능하고, 몸체 표면에는 압착이 가능하도록 다단의 주름부가 형성된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측에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압착시 내부의 기체에 의해 다시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주름부가 압착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for storing carbonated beverages, in particular, to form a wrinkl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T bottle body to reduce the volume of the body and at the same time to completely block the flow of air into the body, the carbonated beverage after opening for a long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which can prevent deterioration of carbonated beverages even when store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the opening of the lid is capable of injecting or discharging the beverage, the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formed with a multi-stage wrinkles to be compressed, the outer side of the body Fixing means is provided to prevent expansion by the internal gas during the compression of the body to fix the wrinkles to be kept in a compressed state.
Description
본 고안은 탄산 음료를 저장하는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ET병 몸체의 외주면에 주름부를 형성하여 몸체의 부피를 줄임과 동시에 몸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여, 개봉후 탄산 음료를 장시간 보관하여도 탄산 음료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for storing carbonated beverages, in particular, to form a wrinkl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T bottle body to reduce the volume of the body and at the same time to completely block the flow of air into the body, the carbonated beverage after opening for a long time It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that can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carbonated beverage even if stored.
일반적으로, 음료 용기는 과일쥬스나 탄산 음료 및 커피 음료, 이온 음료, 스포츠 음료 등 다양한 음료 또는 생수 등을 담는 포장용기로, 이는 음료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제작되며, 상기의 음료를 담는 용기는 유리병이나 알루미늄 캔 또는 PET병 등으로 제작되어 내부에 음료를 저장하여 이동되거나 판매됨으로써, 우리 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그 수요량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the beverage container is a packaging container containing a variety of beverages, such as fruit juices, carbonated drinks and coffee drinks, ionic drinks, sports drinks or bottled water, etc., which are mad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beverage, Containers are made of glass bottles, aluminum cans, PET bottles, etc., and the drinks are stored and moved or sold insid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our lives, and the demand is increasing.
통상의 음료 용기중 PET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나 주류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도록 소정의 공간부(미도시)를 갖는 몸체(10)와, 이 몸체(10) 내부에 상기 내용물을 주입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주입구(11)를 밀봉하기 위해 결합되는 뚜껑(1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상의 PET병은 주입구(11)의 외주면과뚜껑(12)의 내주면에 각각 상호 대칭을 이루는 나사산(11a)(미도시)이 형성되어서 나합고정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PET bottle in a typical beverage container, as shown in Figure 1, the body 10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not shown) to accommodate the contents, such as beverages and alcohol, and the inside of the body (10) It consists of a lid 12 that is coupled to seal the inlet 11 for injecting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The conventional PET bottle has a structure in which screw threads 11a (not shown)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1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d 12 to form a symmetrical fixation.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료용기는, 뚜껑을 개봉하게 되면 음료수 속에 녹아 있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고, 또한 음료수가 빠져나간 공간에 외부기체가 유입 또는 음료수 내 녹아 있던 기체가 빈 공간만큼 용액 속에서 빠져나와 있다가 이후 뚜껑 개봉시 빠져나가게 되어 음료수를 비운 양이 늘어날수록 상기 기체가 용액에 녹아 있는 양이 줄어들어 탄산음료의 경우 탄산가스의 과다배출로 특유의 톡쏘는 맛을 잃게 되고 주류나 일반 음료의 경우에는 특유의 향을 잃게 되는 것이다. 또한, 뚜껑을 일단 개봉하여 장시간 보관하게 되면 뚜껑을 아무리 꽉 잠근다 하더라도 주입구와 뚜껑 사이에는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미세한 틈이 발생되므로 이 틈을 통해 외부 공기의 유입, 유출이 계속적으로 진행되며, 이와 같이 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내용물을 산화시켜 변질시키게 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id is opened, the gas dissolved in the beverage is leaked to the outside, and the outside gas flows into the space where the beverage is drained or the gas dissolved in the beverage is empty in the solution. The amount of the gas dissolved in the solution decreases as the amount of emptying of the beverage increases as the lid is removed. In the case of a unique flavor will be lost. In addition, once the lid is opened and stored for a long time, no matter how tightly the lid is closed, minute gaps are invisible to the naked eye between the inlet and the lid, so the inflow and outflow of external air continues through this gap.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oxidizes and deteriorates the content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례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261386호에는 압착이 가능한 플라스틱 음료 용기가 이미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for solving this problem,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61386 has already disclosed a plastic beverage container that can be crimped.
도 2는 상기 압착이 가능한 음료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음료 용기는 몸체(20)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다단의 주름부(25)를 갖는 구조로 제공된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mpressible beverage container, and as shown, the beverage container has a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pleats 25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body 20.
이러한 구조로 된 종래 음료 용기는, 사용자가 뚜껑(22)을 개봉하여 몸체(2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부 마신 다음, 내용물이 빠져나가 발생된 소정의 공간에 탄산기체가 채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입구(21) 부근을 잡고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몸체(20) 표면에 형성된 주름부(25)가 접히면서 몸체(20)의 부피가 줄어들고 이로 인해 몸체 내부에 빈공간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몸체(20) 내부에 공기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최소화시켜 몸체(2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내용물을 산화시켜 변질시키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having such a structure, the user opens the lid 22 to drink some of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body 20, and then prevents the carbonated gas from filling the predetermined space where the contents are released. Holding the vicinity of the injection port 21 is pressed downward. In this case, as the wrinkles 25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20 are folded, the volume of the body 20 is reduced, thereby removing the empty space inside the body. Therefore, the space in which the air is filled in the body 20 is minimized to minimiz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20 by oxidizing the content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음료 용기는, 음료수가 빠져나간 공간에 외부기체가 유입 또는 음료수 내 녹아 있던 기체가 빈 공간만큼 용액 속에서 빠져나와 있다가 이후 뚜껑 개봉시 빠져나가게 되고, 특히 음료 용기를 개봉한 후 내용물을 보관할 때 뚜껑을 일단 개봉하면 기밀성이 떨어지므로 뚜껑과 주입구 사이의 틈을 통한 공기 유입 및 유출을 여전히 막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the outside gas flows into the space in which the beverage is drained or the gas dissolved in the beverage is released in the solution as much as the empty space, and then the lid is released when the lid is opened, in particular, the beverage container is opened When the contents are stored after the lid is opened, there is a problem that air inflow and outflow through the gap between the lid and the inlet can still be prevented because the airtightness is decreas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음료수 내에 녹아있는 기체가 빈 공간으로 빠져나올 수 있는 공간을 제거함과 동시에 별도의 토출코크를 통해 음료수를 마시기 때문에, 음료 용기를 개봉시킨 후 내용물을 장시간 보관할 때나 음료수를 마실 때에도 내용물이 변질되지 않는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 and since the gas dissolved in the beverage removes the space to escape into the empty space and drinks the beverage through a separate discharge cock, the contents after opening the beverage contain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that does not deteriorate even when stored for a long time or drink beverages.
도 1은 종래 음료 용기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도 2는 종래 음료 용기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다른 음료 용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detail "A" in FIG. 4; FIG.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변형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deforma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따른 음료 용기의 변형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deform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FIG.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B"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detail "B" in FIG. 8;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몸체 100a: 주입구100: body 100a: injection hole
100b: 나사산 102: 요홈부100b: thread 102: groove
110: 주름부 110a: 보조주름부110: wrinkle portion 110a: auxiliary wrinkle portion
120: 토출코크 130: 뚜껑120: discharge cock 130: lid
200: 고정수단 200a: 걸림돌기200: fixing means 200a: locking projection
210: 고정부재 212: 관통공210: fixing member 212: through hole
220: 고정띠 220a: 걸림홈220: fixing band 220a: locking groove
300: 손잡이300: handl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부를 가지며, 뚜껑을 개방하여 상기 음료의 주입 또는 배출이 가능하고, 몸체 표면에는 압착이 가능하도록 다단의 주름부가 형성된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측에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압착시 내부의 기체에 의해 다시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주름부가 압착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시킨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opening the lid is possible to inject or discharge the beverage, the body surface is formed with a multi-pleat wrinkles to be compressed In the container, a fixing means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to prevent expansion by the gas inside when the body is compressed to fix the wrinkles to remain in a compressed state.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이 상기 몸체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몸체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주름부가 압착된 상태에서 압착부분의 최하단에 걸림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means has one e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an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the locking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imp is maintained in the state of being held at the lower end of the crimping portion is compressed.
상기 고정수단은 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길이방향으로 감싸는 고정띠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띠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내벽에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돌기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홈이 상기 고정돌기에 걸려 압착시 상기 주름부가 압착상태로 유지 가능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means has a fixing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to surround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and the fixing band passes, and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It is made of a fixing protru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rimping portion can be maintained in a crimped state when the engaging groove is caught by the fixing protrusion.
상기 몸체의 압착에 의해 음료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에 토출코크가 돌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harge cock is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body to enable the discharge of the beverage by the compression of the body.
상기 토출코크는 상기 주름부의 하방으로 상기 몸체의 하측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harge cock i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below the wrinkles.
상기 토출코크의 일측에는 음료를 받기 위해 컵을 댈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표면이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discharge c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body recessed inwardly so as to touch the cup to receive a drink.
상기 주름부에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보조주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주름부는 상기 주름부의 주름의 수보다 많은 수로 형성하고 주름의 깊이도 얕게 하여 주름간의 상하 간격을 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or more auxiliary wrinkles are formed in the wrink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the auxiliary wrinkles are formed in a larger number than the number of wrinkles of the wrinkles, and the depth of the wrinkles is shallow so that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wrinkles is narrowed.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도면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를 보여 주고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etailed "A" portion of FIG. Is showing the cross section shown.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외측에 소정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200)이 구비된 음료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수단(200)의 일단이 상기 몸체(100)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몸체(100) 방향으로 걸림돌기(200a)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200a)는 주름부(110)가 압착된 상태에서 압착부분의 최하단에 걸림상태로 유지된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provides a beverage container provided with one or more fixing means 20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outside of the body 100. One end of the fixing means 20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100,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200a)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100). The locking protrusion 200a is held at a lowermost end of the crimping portion in the crimped portion 110.
이와 같이 걸림돌기(200a)가 압착된 주름부(110)의 최하단에 걸리면서 상기 주름부(110)가 상기 몸체(100) 내부의 기체 압력에 의해 다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그로 인해 몸체(100) 내부로의 공기 유입은 차단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ile the locking protrusion 200a is caught at the lower end of the crimped wrinkled part 110, the wrinkled part 110 is prevented from being inflated again by the gas pressure inside the body 100. The inflow of air to the inside can be blocked.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10)와 고정띠(22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210)에는 상기 고정띠(220)가 통과하는 관통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12)의 내벽에는 고정돌기(210a)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띠(220)는 상기 관통공(212)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부(222)의 너비가 하부(224)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띠(220)의 하부(224)의 일면에 다수의 걸림홈(220a)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220a)이 상기 고정돌기(210a)에 걸려 압착시 상기 주름부(110)가 팽창하는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참조번호 300은 '손잡이'를 나타낸다.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and 5, includes a fixing member 210 and the fixing band 220, the fixing member 210 to the fixing belt 220 )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12 is formed,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212 is formed with a fixing protrusion 210a protrudes, the fixing band 220 is easy to insert into the through hole (212).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222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portion 224, and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220a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224 of the fixing belt 220, so that the locking groove 220a is The crimping part 110 is prevented from expanding when compressed by being caught by the fixing protrusion 210a. Here, reference numeral 300 denotes a 'knob'.
이러한 구성으로, 고정부재(210)의 관통공(212)에 너비가 좁은 고정띠(220)의 상부(222)를 삽입시킨 후 상기 고정띠(220)를 상측으로 잡아당겨 상기 고정띠(220)의 하부(224)에 형성된 걸림홈(220a)이 상기 고정돌기(210a)에 걸리게 위치시켜 휴대하고 다니다가 음료수를 마시기 위해 음료용기의 몸체(100)를 압착시킬 때, 상기 몸체(100)의 상측면에 고정된 고정부재(210)가 상기 몸체(100)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고정부재(210)에 형성된 고정돌기(210a)가 상기 고정띠(220)에 형성된 걸림홈(220a)에 걸리면서 상기 주름부(110)가 다시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this configuration, after inserting the upper portion 222 of the narrow fixing band 220 in the through hole 212 of the fixing member 210, the fixing belt 220 by pulling the fixing band 220 upwards. Hanging groove (220a)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224) is located on the holding projection (210a) to carry and carry the press the body 100 of the beverage container to drink the beverage, the top of the body 100 The fixing member 210 fixed to the side is moved downward with the body 100, the locking projection (210a) formed on the fixing member 210 is a locking groove 220a formed in the fixing band 220 While caught in the wrinkles 110 is prevented from expanding again.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로서, 변형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로서, 변형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새로운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새로운 도면부호를 부여하되, 상기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before deformation as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after deformation as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elements as in the embodiment of FIG. 3, and new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new ele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elements will be omitt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는 몸체(100), 주름부(110), 요홈부(102), 토출코크(120), 고정수단(200) 및 뚜껑(130)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ody 100, pleats 110, grooves 102, discharge cock 120, fixing means 200 and the lid 130 Is done.
몸체(100)는 PET병 형태로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내용물은 주로 콜라와 사이다 등과 같은 탄산가스가 함유된 음료를 가리키지만,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 속한 당업자라면 주류 등의 다양한 내용물을 상기 몸체(100) 내에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Body 100 is in the form of a PET bottle, a space portion (not shown) that can accommodate the contents is 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ent mainly refers to a beverage containing carbon dioxide gas such as cola and cider,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accommodate various contents such as alcohol in the body 100.
주름부(110)는 상기 몸체(10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데, 주입구(110a) 부분을 잡고 어느 일방향, 바람직하게는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다단으로 절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주름부(110)는 하방으로 압착되면서 상기 몸체(100)의 부피가 줄어들게 된다.The wrinkle portion 11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100, when holding the injection port 110a portion is pressed in any one direction, preferably downward is to be folded in multiple stages. At this time, the wrinkle portion 110 is compressed downward to reduce the volume of the body (100).
상기 몸체(1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하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방향으로 인입되어 소정 깊이의 'ㄷ'자 형상으로 함몰된 요홈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102)의 상단에는 몸체 내부의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토출코크(120)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One side of the body 100, preferably the lower portion, as shown, is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 102 recessed in the 'c' shape of the predetermined depth is introduced in the inward direction, the groove portion 102 The discharge cock 120 is installed to protrude so that the contents can be withdrawn from the inside of the body.
요홈부(102)는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고자 할 경우 컵 등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요홈부(102)가 없더라도 몸체(100)의 소정위치에 토출코크(120)만을 형성하여 이 토출코크(120)가 몸체(100)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한 구조로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The recess 102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a cup when the user wants to drink a beverage.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re is no groove 102 is formed only the discharge cock 12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ody 100, the discharge cock 120 is drawn into the body 100 And it may be formed with a structure to be drawn out.
또한, 토출코크(120)는 뚜껑(130)과는 다르게 음료 용기의 몸체(10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몸체(100) 내부의 음료를 외부로 유출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장착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unlike the lid 130, the discharge cock 120 can be mounted in a variety of structures that can leak or close the beverage in the body 100 to the outside without separating from the body 100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re will be.
특히, 상기 몸체(100)의 하단부는 상기 요홈부(102)의 형성으로 인해 음료 용기가 좌굴되지 않도록 단단하고 두꺼운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부(110)는 상기 토출코크(120)의 상측까지만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lower end of the body 100 may be configured using a hard and thick material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is not buckled due to the formation of the recess 102. In addition, the wrinkle part 110 is formed only up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cock (120).
상기 도면에서 미설명부호인 "100a"는 주입구, "100b"는 나사산을 각각 나타낸다.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 “100a” denotes an injection hole and “100b” denotes a thread.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몸체(100) 내부의 공간부에 저장된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 컵(미도시)을 요홈부(102)에 안착시킨 후 사용자는 주름부(110) 부근을 손으로 잡고 하방으로 가압하면, 주름부(110)가 절첩되면서 압착되어 몸체(100) 내부의 공간부에 수용되어 있던 음료가 토출코크(120)를 통해 컵으로 토출되고, 이 과정에서 컵으로 토출된 음료의 부피만큼 주름부(110)가 하방으로 압착되면서 몸체(100)의 부피는 줄어들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음료 용기는 뚜껑(130)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공기의 유입이 없을 뿐 아니라 몸체(100)의 압착으로 인해 음료의 유출로 인한 빈 공간의 발생이 방지되는 것이다.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user wants to drink a beverage stored in the space inside the body 100, the user seats the cup (not shown) in the recess 102 and then the user holds the vicinity of the wrinkle part 110 by hand. When pressurized, the wrinkles 110 are folded and squeezed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space inside the body 100 is discharged into the cup through the discharge cock 120, and the volume of the beverage discharged into the cup in this process. As much as the wrinkle part 110 is pressed downward, the volume of the body 100 is reduced. At this time, the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pened because the lid 130 does not have the inflow of air as well a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empty space due to the outflow of the beverage due to the compression of the body (100).
한편, 음료를 마시고 난 후에는, 사용자가 토출코크(120)를 밀어 넣음으로써 토출코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는 남은 음료가 몸체(100)에 수용된 상태로 장시간 저장되더라도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였기 때문에, 공기와 음료가 산화반응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개봉후 보관시간과 관계없이 남은 음료를 개봉하지 않은 것처럼 신선한 상태로 마실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drinking a drink, the user can prevent the air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cock by pushing the discharge cock 120. This completely prevents the air from being oxidized, since the remaining beverage is completely blocke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air even if the beverage is stored in the body 100 for a long time. In other words, regardless of the storage time after opening, you can drink the drink as fresh as unopened.
또한, 몸체(100) 내부의 음료를 상당량 마신 후 주름부(110)가 완전히 압착되어 토출코크(120)를 통해 더이상 음료가 나오지 않게 된다. 즉, 음료가 토출코크(120)의 상측에 위치한 경우에는 중력 및 주름부(110)가 압착되면서 형성되는 가압에 의해 원활하게 외부로 유출되는 반면, 음료가 토출코크(120)의 하측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토출코크(120)를 통해 외부로 유출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음료용기의 뚜껑(130)을 개방시켜 주입구(100a)를 통해 음료를 유출시켜 사용자가 마실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상기 주입구(100a)를 통해 마실 수 있는 용량은 대략적으로 300~500㎖정도가 적당하다.In addition, after drinking a considerable amount of the beverage in the body 100, the wrinkles 110 is completely compressed so that the beverage no longer comes out through the discharge cock 120. That is, when the beverage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cock 120, the gravity and wrinkles 110 is smoothly flowed out to the outside by the pressure formed while pressing, while the beverage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cock 120 It is difficult to outflow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cock 120. Therefore, in this case, the user can drink by opening the lid 130 of the beverage container to spill the beverage through the inlet (100a). In this way, the capacity to drink through the injection hole (100a) is approximately 300 ~ 500ml is suitable.
결론적으로, 본 고안은 몸체(100)의 표면에 형성된 주름부(110)가 압착이 되면서 음료가 주입구(100a)가 아니라 토출코크를 통해 유출됨으로써, 몸체(100)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되고, 특히 주입구(100a)와 뚜껑(130) 사이의 틈을 통해 공기가 유입될 소지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항상 신선한 상태의 음료를 마실 수가 있게 된다.In conclusion, the subject innovation is that the wrinkles 110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100 is compressed and the beverage flows out through the discharge cock instead of the inlet 100a, so that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This is to prevent the source, in particular through the gap between the inlet (100a) and the lid 130 does not cause the inflow of air to be generated is always possible to drink a fresh drink.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음료 용기는 주입구를 통한 음료의 토출시, 도 7과 같이 주름부의 절첩부분에 음료의 일부가 잔류됨으로 인해 주입구를 통한 음료잔량의 유출이 용이하지 않은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새로운 구조의 음료 용기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4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새로운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새로운 도면부호를 부여하되, 상기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container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is not easy to outflow of the remaining amount of beverage through the inlet because the portion of the beverage remaining in the folds of the folds, as shown in Figure 7 when discharging the beverage through the inlet,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beverage container of the new structure is shown in Figures 8 and 9.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elements as in the embodiment of FIG. 4, and new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new ele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elements will be omitt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보조주름부(110a)를 형성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보조주름부(110a)는 상기 주름부(110)의 주름의 수보다 많은 수로 형성하고 주름의 깊이도 훨씬 얕게 하여주름간의 상하간격을 훨씬 좁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서는 몸체(100)의 내주면을 따라 네 방면에 보조주름부(110a)를 형성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더 많은 수의 보조주름부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shown, the subject innovation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auxiliary wrinkle portion (110a)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0). The auxiliary wrinkle part 110a is formed in a larger number than the number of wrinkles of the wrinkle part 110, and the depth of the wrinkles is much shallower, so that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wrinkles can be much narrower. In FIG. 8, the auxiliary wrinkle parts 110a are formed in four direction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larger number of auxiliary wrinkle parts can be formed.
이러한 구성으로, 주름부(110)가 압착된 상태에서 절첩부분의 음료잔량이 상기 주름부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주름부(110a)를 통해 음료수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거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것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In this configuration, the remaining amount of beverage in the folded portion in the crimped portion 110 is compressed, as well as the beverage to mov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r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rough the auxiliary wrinkles (110a) It will be made smoothly.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몸체의 부피를 압착함으로써 기체가 빠져나올 공간을 없애주고 음료를 마심에 따라 음료용기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보관시 기체가 빠져나올 공간을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항상 신선한 상태로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liminating the space to escape the gas by pressing the volume of the body by using a fixing means and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beverage container as the drink, the space from which gas will escape during storage Because it minimizes the effect that you can always drink fresh drink.
또한, 본 고안은 상부에 형성된 뚜껑을 개봉하지 않고 일정 부피까지는 몸체의 하측부에 형성된 토출코크를 통해 음료수를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종래 구조의 PET병과 같이 뚜껑을 개봉함과 동시에 음료에 함유된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므로 음료를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마지막까지 음료의 독특한 맛이나 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withdraw the beverage through the discharge cock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to a certain volume without opening the lid formed on the upper portion, the lid is opened at the same time as the PET bottle of the conventional structure Since the gas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even if the beverage is stored for a long time, there is another effect of maintaining the unique taste or aroma of the beverage until the end.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below. Any number of changes can be mad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3956U KR200313473Y1 (en) | 2003-02-11 | 2003-02-11 | Drink vess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3956U KR200313473Y1 (en) | 2003-02-11 | 2003-02-11 | Drink vesse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3473Y1 true KR200313473Y1 (en) | 2003-05-16 |
Family
ID=49333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3956U KR200313473Y1 (en) | 2003-02-11 | 2003-02-11 | Drink vess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3473Y1 (en) |
-
2003
- 2003-02-11 KR KR20-2003-0003956U patent/KR200313473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04611B2 (en) | Mixing container and method of filling | |
KR101635318B1 (en) | Bottle cap | |
KR200313473Y1 (en) | Drink vessel | |
KR101376289B1 (en) | Kit for making mixture berverage | |
KR101643341B1 (en) | Capsule caps equipped with leak-proof hollow | |
KR200449488Y1 (en) | Gas leak prevention bottle | |
EA038731B1 (en) | Dosing plug for a vessel for storing and dispensing an effervescent beverage | |
WO2019112633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air from fluids | |
KR200433697Y1 (en) | Foldable pet for multi-section | |
KR200461749Y1 (en) | vessel for decreasing expose to the air | |
KR200437310Y1 (en) | Aging container haved a plug for rising prevention | |
KR200259252Y1 (en) | Cap contained powdered beverage or tea bag for bottle of spring water | |
KR200304802Y1 (en) | Sealing Structure of the bottleneck using the liquid-contents of a bottle | |
KR200237024Y1 (en) | One over another case for door pocket of refrigerator | |
KR200392841Y1 (en) | Plastic bottle | |
KR200197922Y1 (en) | Hygienic can for beverage container | |
KR200225681Y1 (en) | Folding potable water P.E.T Bottle | |
KR200295520Y1 (en) | Cap | |
KR200202293Y1 (en) | Vessel for carbonated drink | |
KR200355752Y1 (en) | Plastic bottle for carbonated beverage | |
KR200396029Y1 (en) | Gas leaking out prevention plug | |
KR200344567Y1 (en) | A beverage container | |
KR200203047Y1 (en) | The liner and plastic cap | |
KR200363592Y1 (en) | A vessel of preventing gas-leakage | |
KR200359480Y1 (en) | A beverage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