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974Y1 - 분리형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974Y1
KR200312974Y1 KR20-2003-0002859U KR20030002859U KR200312974Y1 KR 200312974 Y1 KR200312974 Y1 KR 200312974Y1 KR 20030002859 U KR20030002859 U KR 20030002859U KR 200312974 Y1 KR200312974 Y1 KR 200312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ower blower
upper filter
filter uni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식
Original Assignee
임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식 filed Critical 임정식
Priority to KR20-2003-0002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9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9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46/004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by using v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형 공기청정기에 관한것으로, 공기청정기에 구비된 각 구성품들의 교환 및 수리가 용이하도록 상부필터부와 하부송풍부가 분리 가능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하부송풍부 내부에 임펠러를 구동함으로서 상부필터부에 구비된 필터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유입된 공기를 하부송풍부에 공기배출망으로 배출하는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필터부와 하부송풍부에는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상부필터부와 하부송풍부에 결합수단을 형성하여 결합 과 분리가 가능하게 함으로서, 구성품들의 교환 및 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공기청정기{Separating type air cleaner}
본 고안은 분리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필터부와 하부송풍부가 각각 분리 가능하여 공기청정기 내부에 구비된 필터 또는 구성품들의 교환이나 수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분리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공기 속의 이물질이나 먼지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상술하면, 대기중에 흐르고 있는 공기속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이물질이나 먼지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호흡시 사람의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기청정기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었다.
이처럼 전술한 공기청정기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설치된 임펠러를 구동함으로서 필터를 통하여 강제적으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이와 같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는 비교적 깨끗한 공기로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반복함으로서, 호흡기질환과 같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기청정기에 구비되는 필터는 외측 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구비되어 있어 오염된 공기를 이중으로 여과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여 원활하게 순환 하는 기능은 있었으나, 내부에 구비된 필터가 그 수명을 다하여 제 기능을 못할 경우에는 필터를 교체해서 사용해야 하는데, 단지 필터를 교환하고자 하는 이유로 공기청정기 전체를 분해하고 다시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욱이, 필터의 교체를 위해서 뿐 만 아니라, 사용상 부주의나 부품의 마모 등으로 인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수리를 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공기청정기 전체를 분해해야만 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통상적으로 실내에 국한하여 사용되는 공기청정기는 실내의 공기를 정화 시킴과 아울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공기청정기 내부에 방향제를 구비하여 사용되는 것도 있었으나, 이것 역시 방향제가 공기청정기 내부에 구비되어 있어 교체하여 사용하기가 불편한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안출되었으며,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상부필터부와 하부송풍부가 각각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수명을 다하거나 손상된 구성품들의 교체 또는 수리가 용이하도록 한 분리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부필터부 상면에 방향제 케이스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방향제를 마련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방향제의 리필이 용이하도록 한 분리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상부필터부와 하부송풍부의 분리 형상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a, 도 2b는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절개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방향제 케이스의 구비형태를 나타낸 요부확대사시도.
도 4는 결합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결합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정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상부필터부 110 - 삽입홈
115 - 억지끼움돌기 150 - 결합돌기
150a - 상부결합돌기 150b - 하부결합돌기
160 - 패킹 200 - 하부송풍부
210 - 삽입관 215 - 억지끼움홈
300 - 방향제 케이스 320 - 통풍홀
350 - 방향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하부송풍부 내부에 임펠러를 구동함으로서 상부필터부에 구비된 필터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유입된 공기를 하부송풍부에 공기배출망으로 배출하는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필터부와 하부송풍부에는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부필터부와 하부송풍부가 서로 맞물리는 삽입홈과 삽입관에 결합수단을 형성하여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됨으로서, 수명을 다하거나 손상된 구성품들의 교체 또는 수리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상부필터부와 하부송풍부의 분리 형상을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상부결합돌기와 하부결합돌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2a, 도 2b는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절개정단면도로서, 상부결합돌기와 하부결합돌기에 의해 상부필터부와 하부송풍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였고, 상부필터부 상면에 결합된 방향제 케이스의 구비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방향제 케이스의 구비형태를 나타낸 요부확대사시도로서, 상부필터부 상면에 결합되는 방향제 케이스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결합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억지끼움돌기와 억지끼움홈의 구비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결합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정단면도로서, 억지끼움돌기가 억지끼움홈에 의해 상부필터부와 하부송풍부가 결합된 상태를 표현하고 있다.
한편, 도 1 내지는 도 2a,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필터부(100) 외측과 내측에는 대기중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가 여과하여 흡입될 수 있도록 필터가 다수겹 구비되고, 도면으로 표현하지는 않았으나 오염된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하부송풍부(200)의 내부에는 모터와 임펠러를 설치하여 여과된 공기를 공기배출망(250)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하도록 하였으며, 이때 상기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에는 각각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은 다수개의 결합돌기(150)를 형성함으로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상술하면, 상기 상부필터부(100) 저면 중앙으로는 여과된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보다는 더 크게 삽입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110) 내주면에는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는 상부결합돌기(150a)가 다수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상부결합돌기(150a)는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송풍부(200) 상부에는 상기 삽입홈(110)과 견고하게 끼워질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의 삽입관(210)이 대략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관(210) 외주면으로는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는 하부결합돌기(150b)가 다수개 형성되며 이때, 상기 하부결합돌기(150b)는 상부필터부(100)에 형성된 상부결합돌기(150a)와 동일한 기울기와 동일한 개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필터부(100)에 형성된 삽입홈(110)은 하부송풍부(200)에 형성된 삽입관(210)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단순히 끼워져 있는 상태인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는 그 결합력을 유지하거나 분리하기 위하여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중 어느 하나의 유동을 방지한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회전시킴으로서, 상부결합돌기(150a)와 하부결합돌기(150b)는 맞물림이 조여지거나 풀리게 되고, 마침내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는 결합 또는 분리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되는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 사이에는 필터를 통하지 않고 공기가 내부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패킹(16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의 결합수단은 전술한 결합돌기(150)로 체결되는 방식이 아닌, 억지끼움돌기(115)와 억지끼움홈(215)을 구비하여 결합될 수도 있는데, 상술하면 첨부도면 도 4 또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필터부(100) 저면에는 내부가 중공된 억지끼움돌기(115)가 적어도 3개 이상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하부송풍부(200) 상부에는 억지끼움돌기(115)와 상호 결합되는 위치에 억지끼움홈(225)을 형성하여 억지끼움돌기(115)를 억지끼움홈(215)에 결합함으로서 결합력을 유지하거나 분리하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억지끼움돌기(115)는 유선형의 형태로 비교적 탄성력이 좋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의 재질을 갖도록 구비하여, 상기 억지끼움돌기(115)의 대략 중앙을 억지끼움홈(215)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함으로서 억지끼움홈(215)에 억지끼움돌기(115)가 강제로 결합될 경우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2a,b와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필터부(100) 상면 중앙은 중공되어 방향제 케이스(30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방향제 케이스(300) 상부에는 방향제 케이스뚜껑(310)을 구비하고, 내부에 구비되는 방향제(350)를 지지하는 저면에는 그 크기가 비교적 작은 다수개의 통풍홀(320)을 형성하여 상기 통풍홀(320)을 통해 방향제(350)의 향기가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청정기 내부의 필터 또는 구성품들이 수명을 다하거나 손상을 입어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를 분리하게 되는데 도 2a,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세하게 서술하면, 상기 상부필터부(100)의 삽입홈(110)과 상기 하부송풍부(200)의 삽입관(210)에 각각 형성된 상부결합돌기(150a)와 하부결합돌기(150b)는 서로 맞물려 그 결합력을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중 어느 하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 하나는 각각의 결합돌기(150)가 맞물리지 않는 방향 즉,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상부결합돌기(150a)의 윗면과 하부결합돌기(150b)의 밑면이 서로 만나지 않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결합돌기(150)가 서로 맞물려 있는 구간을 지나치게 되면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는 그 결합력을 잃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송풍부(200)를 고정시키고 상부필터부(100)를 들어올리게 되면 삽입관(210)과 삽입홈(110)에 의해 단순히 끼워져 있는 상태인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는 용이하게 분리가 됨으로서 내부에 구비된 구성품들의 교체 및 수리를 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구성품들의 교체나 부품의 수리 등을 모두 완료하고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를 다시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부필터부(100)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110)을 하부송풍부(200) 상부에 형성된 삽입관(210) 위에 끼운 상태에서,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중 어느 하나를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는 분리했을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일정구간 회전력을 가하게 되면 각각의 상부결합돌기(150a)와 하부결합돌기(150b)는 서로 맞물려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됨으로서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는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호 맞물려 끼워지는 각각의 상부결합돌기(150a)와 하부결합돌기(150b)는 일정한 기울기와 동일한 갯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결합돌기(150)의 위치에 상관없이 삽입관(210)을 삽입홈(110)에 맞추어 끼우고, 상기 상부결합돌기(150a)의 윗면과 하부결합돌기(150b)의 밑면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함으로서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품들의 교체 및 수리 등이 필요할 경우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교체 및 수리 등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결합수단은 결합돌기(150)를 형성하여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였고, 상기 결합수단의 일실시예로서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억지끼움돌기(115)와 억지끼움홈(215)을 구비하여 결합력을 유지하거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상술하면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를 잡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억지끼움홈(215)에 삽입되어 결합력을 유지하고 있는 억지끼움돌기(115)는 그 힘을 이기지 못하고 억지끼움홈(215)에서 빠져나와 서로 분리된다.
이처럼, 분리되어 내부의 필터나 구성품들의 수리 또는 교환을 모두 마친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를 다시 결합하기 위하여 그 개수와 구비된 위치가 동일한 억지끼움돌기(115)와 억지끼움홈(215)을 서로 맞추고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를 잡고 밀어넣게 됨으로서, 억지끼움돌기(115)는 억지끼움홈(215)에 끼워지게 되고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는 서로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억지끼움돌기(115)의 대략 중앙은 억지끼움홈(215)보다 그 크기를 약간 크게 형성하여, 힘을 가하여 밀어넣게 됨으로서 억지끼움돌기(115)가 탄성변형을 일으켜 강제적으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호 결합된 상기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는 분리하려는 목적으로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쉽게 분리가 되지 않게 됨으로서 결과적으로 결합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나 부품의 교체 및 수리를 마친 후에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경우 첨부도면 도 2a, 도 2b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향제 케이스(300) 내부에 방향제(350)를 구비하고, 방향제 케이스뚜껑(310)을 닫은 후에 공기청정기를 가동하게 되면, 방향제 케이스(300)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풍홀(320)을 통하여 방향제(350)의 향기가 공기청정기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되고, 이와 같이 유입된 방향제(350)의 향은 공기배출망(250)을 통하여 여과된 공기와 같이 밖으로 배출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방향제(350)를 오랜 기간 사용하여 그 수명을 다한 경우, 방향제 케이스(300)가 밖으로 노출되어 있어 방향제(350)를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은 상부필터부의 삽입홈과 하부송풍부의 삽입관이 결합되는 부분에 각각 결합수단을 형성하여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수명을 다하거나 손상을 입은 필터와 같은 구성품들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고,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부필터부와 하부송풍부중 원인이 되는 부분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탁월한 효과도 있다.
또한, 방향제 케이스를 설치하고 방향제를 마련함으로서 공기정화 기능 뿐만 아니라, 방향기능을 더 포함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방향제 케이스가 외측으로 구비되어 있어 수명을 다한 방향제의 리필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하부송풍부 내부에 임펠러를 구동함으로서 상부필터부에 구비된 필터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유입된 공기를 하부송풍부에 공기배출망으로 배출하는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필터부(100)와 하부송풍부(200)에는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수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청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필터부(100) 상면에는 방향 기능을 갖도록 방향제 케이스(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청정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부필터부(100)의 삽입홈(110)과 하부송풍부(200)의 삽입관(21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다수개의 결합돌기(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청정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부필터부(100) 저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억지끼움돌기(115)와, 상기 억지끼움돌기(115)와 결합되도록 하부송풍부(200)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억지끼움홈(21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청정기.
KR20-2003-0002859U 2003-01-29 2003-01-29 분리형 공기청정기 KR2003129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859U KR200312974Y1 (ko) 2003-01-29 2003-01-29 분리형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859U KR200312974Y1 (ko) 2003-01-29 2003-01-29 분리형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974Y1 true KR200312974Y1 (ko) 2003-05-16

Family

ID=4940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859U KR200312974Y1 (ko) 2003-01-29 2003-01-29 분리형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9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850B1 (ko) * 2008-12-17 2015-06-05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공기청정기
KR20190026322A (ko) 2017-09-05 2019-03-13 정창무 대기 환기형 산소클러스터이오나이져 공기청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850B1 (ko) * 2008-12-17 2015-06-05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공기청정기
KR20190026322A (ko) 2017-09-05 2019-03-13 정창무 대기 환기형 산소클러스터이오나이져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1319B2 (en) Air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4061010B (zh) 空气净化器
KR100818365B1 (ko) 습식 공기청정기
US20060230713A1 (en) Wet type air cleaner
KR20190023212A (ko) 공기청정기
KR102050586B1 (ko) 멀티형 공기 청정기 및 그 멀티형 공기 청정기 운전 제어방법
US20060102003A1 (en) Wet type air cleaner
KR102231447B1 (ko) 필터 다단 적층형 공기청정기
US7513938B2 (en) Wet type air cleaner
KR19980064318U (ko) 침전식 공기정화기
KR200312974Y1 (ko) 분리형 공기청정기
KR102032401B1 (ko) 공기청정기
KR20080026466A (ko) 공기청정기
KR101916881B1 (ko) 공기 누설 방지 구조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200329780Y1 (ko) 공기 청정 멸균기
KR20200137279A (ko) 적심필터형 공기청정기
KR200432774Y1 (ko) 공기청정기용 필터
KR102546344B1 (ko) 공기청정기
KR100540694B1 (ko) 실내공기질 제어를 위한 창호 일체형 환기장치
KR200422742Y1 (ko) 공조시스템용 송풍기
KR20080085372A (ko) 공기 활성장치
KR200355152Y1 (ko) 실내공기질 제어를 위한 창호 일체형 환기장치
KR20210009591A (ko) 공기 청정기용 필터
KR200239376Y1 (ko) 실링팬의 공기정화장치
KR102535116B1 (ko) 공기청정기용 조립식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