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963Y1 - 리액터용 마그네트 러버 캡 - Google Patents

리액터용 마그네트 러버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963Y1
KR200312963Y1 KR20-2003-0002444U KR20030002444U KR200312963Y1 KR 200312963 Y1 KR200312963 Y1 KR 200312963Y1 KR 20030002444 U KR20030002444 U KR 20030002444U KR 200312963 Y1 KR200312963 Y1 KR 2003129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reactor
rubber cap
insertion space
magnet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규
Original Assignee
파츠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츠닉(주) filed Critical 파츠닉(주)
Priority to KR20-2003-0002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9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9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9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7Auxiliary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Regulation Of General Use Transformer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액터용 마그네트 러버 캡에 관한 것으로, 핀쿠션 개선용 리액터(100)의 마그네트(130)가 수납되도록 내부에 삽입공간(220)을 형성시킨 몸체(210)가 구비된 리액터용 마그네트 러버 캡(200)에 있어서, 상기 몸체(210)의 외주 상측 중심에 만곡(彎曲) 형성된 돌출구조의 만곡부(230)를 형성되게 하되 그 일측 끝단에 절개부(240)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간(220)의 전면에 연계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210)의 내주면 상측 중심에 절개홈(250)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기존의 러버 캡에 비하여 더욱 유연한 탄성 및 연성을 갖는 이점이 있으며 이는 수납되는 마그네트의 진동이나 유동에 대응력이 향상되어 기존의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던 소음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개선의 향상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Description

리액터용 마그네트 러버 캡{MAGNET RUBBER CAP FOR REACTOR}
본 고안은 리액터용 마그네트 러버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향요크에 있어서 핀쿠션 개선을 위한 리액터의 구성시 좌/우측에 형성되는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리액터용 마그네트 러버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액터는 편향요크의 전자빔 편향에 의해 투영되는 스크린의 화면 내에 수직선의 휨 현상이나 모서리 부분의 화면이 휘어지는 현상인 핀쿠션(pin cushion) 왜곡이 발생하는데 이 핀쿠션 왜곡을 보정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쿠션 개선용 리액터(10)는 수직편향 자계를 보정하기 위한 수직보정코일이 권선된 코어(11)와, 수평편향 자계를 보정하기 위한 수평보정코일이 권선된 I형 코어(12)와, 수평편향되는 자계에 영향을 미치도록 한 마그네트(13)로 구성되는데, 코어(11)가 중심에 위치하고 그 좌·우측에 한쌍의 I형 코어(12)가 각각 위치하며 그 측면으로 다시 마그네트(13)가 각각 위치한다.
이러한 리액터(10)는 리액터를 보호하기 위한 보빈(미 도시됨)에 수납되어 편향요크의 네크부 측면으로 결합되는 회로기판에 장착된다.
이때, 리액터(10)의 마그네트(13)는 보빈에 수납시 안정적인 수납 및 소음방지를 위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마그네트 러버 캡(20)에 삽입된다.
이러한 종래의 마그네트 러버 캡(20)은 그 내부에 마그네트(13)에 대응되는크기의 삽입공간(21)을 형성하여 삽입되는 마그네트(13)의 외부가 밀접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마그네트 러버 캡은 마그네트의 외부를 완전 밀접하게 감싸도록 된 구조로 인하여 자계 형성에 따른 마그네트의 진동이나 유동시 이의 대응력 부족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마그네트 러버 캡의 구조를 개선하여 삽입되는 마그네트의 진동/유동에 따른 대응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개선하거나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리액터용 마그네트 러버 캡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핀쿠션 보정용 리액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그네트 러버 캡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 러버 캡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리액터 회로 130: 마그네트
200: 마그네트 러버 캡 210: 몸체
220: 삽입공간 230: 만곡부
240: 절개부 250: 절개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핀쿠션 개선용 리액터의 마그네트가 수납되도록 내부에 삽입공간을 형성시킨 몸체가 구비된 리액터용 마그네트 러버 캡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주 상측 중심에 만곡(彎曲) 형성된 돌출구조의 만곡부를 형성되게 하되 그 일측 끝단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간의 전면에 연계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의 내주면 상측 중심에 절개홈을 형성하여 구성되게 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 러버 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 러버 캡에 대한 설명의 편의 및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을 병용해서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향요크의 핀쿠션을 보정하기 위한 리액터(100)는 수직편향 자계를 보정하기 위한 수직보정코일이 권선된 코어(110)와, 수평편향 자계를 보정하기 위한 수평보정코일이 권선된 I형 코어(120)와, 수평편향되는 자계에 영향을 미치도록 한 마그네트(130)로 이루어지며, 리액터용 보빈(미 도시됨)에 수납되어 회로기판(미 도시됨)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리액터(100)의 마그네트(130)는 리액터용 보빈에 수납시 안정된 수납 및 소음방지를 위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마그네트 러버 캡(200)을 사용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마그네트 러버 캡(200)은 내부에 리액터(100)의 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공간(220)을 갖는 몸체(21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210)의 외주 상측 중심에 만곡(彎曲) 형성된 돌출구조의 만곡부(230)가 형성되되 그 일측 끝단에 절개부(240)를 형성하여 삽입공간(220)과 연계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210)의 내주면 상측 중심에 절개홈(250)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의 마그네트 러버 캡(200)은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공간(220)을 통해 리액터(100)의 마그네트(130)를 수납하게 되고 돌출된 만곡부(230)와 그 끝단에 형성된 절개부(240) 및 절개홈(250)은 기존의 평면 러버 캡에 비해 더욱 향상된 좌/우측 신장력과 수축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는 러버 캡(200)에 더욱 유연한 탄성 및 연성을 주게 되므로 수납된 마그네트(130)의 자계 형성에 따른 진동 또는 외부 요인에 의한 떨림이나 유동시 유연하게 대처하는 작용을 하게 되어 마그네트(13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거나 또는 기존에 비해 소음개선이 향상되는 이점을 지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액터용 마그네트 러버 캡에 의하면, 러버 캡의 내/외주에 만곡부와 절개부 및 절개홈을 형성하되 상호 연계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러버 캡에 비하여 더욱 유연한 탄성 및 연성을 갖는 이점이 있으며, 이는 수납되는 마그네트의 진동이나 유동에 대응력이 향상되어 기존의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던 소음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개선의 향상된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

  1. 핀쿠션 개선용 리액터(100)의 마그네트(130)가 수납되도록 내부에 삽입공간(220)을 형성시킨 몸체(210)가 구비된 리액터용 마그네트 러버 캡(200)에 있어서,
    상기 몸체(210)의 외주 상측 중심에 만곡(彎曲) 형성된 돌출구조의 만곡부(230)를 형성되게 하되 그 일측 끝단에 절개부(240)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간(220)의 전면에 연계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210)의 내주면 상측 중심에 절개홈(250)을 형성하여 구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액터용 마그네트 러버 캡.
KR20-2003-0002444U 2003-01-25 2003-01-25 리액터용 마그네트 러버 캡 KR2003129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444U KR200312963Y1 (ko) 2003-01-25 2003-01-25 리액터용 마그네트 러버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444U KR200312963Y1 (ko) 2003-01-25 2003-01-25 리액터용 마그네트 러버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963Y1 true KR200312963Y1 (ko) 2003-05-16

Family

ID=4933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444U KR200312963Y1 (ko) 2003-01-25 2003-01-25 리액터용 마그네트 러버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9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12963Y1 (ko) 리액터용 마그네트 러버 캡
KR100376994B1 (ko) 편향 요크
KR200365171Y1 (ko) 편향요크의 세퍼레이터 구조
KR200365173Y1 (ko) 편향요크의 페라이트코어 유동방지구조
KR910004067Y1 (ko) 편향요크용 컨버어젼스 보정장치
JP2574392B2 (ja) 偏向ヨーク
KR200376875Y1 (ko) 편향요크 마그네트 삽입구조
KR200317361Y1 (ko) 편향요크용 코일스페이서 구조
KR200365174Y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삽입구조
KR930000784Y1 (ko) 미스콘버젼스 및 불요복사 방지용 편향요크
KR200310067Y1 (ko)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커버
KR200365169Y1 (ko)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 구조
JP3932986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20020018406A (ko)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
KR100356298B1 (ko) 편향요크
KR19980051482A (ko) 편향요크
KR100696652B1 (ko) 일체형 코일 세퍼레이터를 갖는 편향 요크
KR950000506Y1 (ko) 편향요크의 코일세퍼레이터
KR950001338Y1 (ko) 편향요크의 누설자계 방지용 구조체
JP3552521B2 (ja) 偏向ヨーク
KR200216037Y1 (ko) 편향요크의 퍼멀로이 보정편 결합구조
KR100451946B1 (ko) 편향요크
KR200258820Y1 (ko) 편향요크의코일세퍼레이터구조
KR920001579Y1 (ko) 슬리트(Slit)형 세퍼레이터
KR200376880Y1 (ko)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의 틸트코일 일체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