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468Y1 -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 - Google Patents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468Y1
KR200312468Y1 KR20-2003-0003932U KR20030003932U KR200312468Y1 KR 200312468 Y1 KR200312468 Y1 KR 200312468Y1 KR 20030003932 U KR20030003932 U KR 20030003932U KR 200312468 Y1 KR200312468 Y1 KR 200312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weight
sound absorbing
parts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덕현
이용무
최형기
Original Assignee
가람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람테크(주) filed Critical 가람테크(주)
Priority to KR20-2003-00039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4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4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Abstract

본 고안은 경량음 및 중량음에 대한 흡음성이 우수하고 시공성이 뛰어난 흡음판에 관한 것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내층부(10);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보강섬유 내에 혼합용융된 중간층부(20); 및 외부장식재로 이루어진 표층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간층부(20)는 저밀도흡음층(22), 중밀도흡음층(24) 및 고밀도흡음층(26)이 다중으로 적층되어 복합섬유매트로 구성되는 바, 저밀도흡음층(22)은 폴리프로필렌 섬유 20 ~ 40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60 ~ 80 중량부로 구성되어 저음을 흡수하고, 중밀도흡음층(24)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섬유 41 ~ 59 중량부 및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41 ~ 59 중량부로 구성되어 중음을 흡수하며, 고밀도흡음층(26)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섬유 60 ~ 80 중량부 및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20 ~ 40 중량부로 구성되어 고음을 흡수한다. 이에 따라, 본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은 흡차음 능력이 우수한 특징이 있으며,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서 재활용이 용이하고, 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에너지절감 효과가 큰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Multilayered fibrous sound-absorbing plate}
본 고안은 흡음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내장 마감재, 바닥재, 벽면재 등으로 사용되는 시공성, 공정성 및 흡차음성이 우수한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달이 가속화됨에 따라 소음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흡음재의 개발이 시도되어 왔다. 종래의 흡음재로서는 주로 폐타이어칩, 코르크, 발포고무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흡음재료는 가격이 저렴하고 환경친화적인 장점이 있으나 충진두께가 불일정하며 작업속도를 저하하며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코르크나 발포고무의 경우 충진두께가 일정하고 시공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공정이 복잡하고 틈새가 분리되며 크랙이 생기는 문제점이 역시 발생하였다.
보다 진보된 기술로서는 합성수지에 보강섬유를 혼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장 섬유상에 보강섬유를 합성수지 내에 분포시키는 방법과 보강섬유를 mm단위 이하로 미세한 단섬유로 가공하여 합성수지 내에 분말상으로 분산시켜서 사출 또는 압출가공용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장섬유 상태의 보강섬유를 사용하는 예로서는 섬유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재료의 가공방법과 같이 유리섬유를 제품의 형틀 속에 깔아두고 그 위에 열경화성 플라스틱 수지를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과 GMT(glass mat thermoplastics)처럼 보강섬유인 유리섬유를 제직하거나 부직포 상태로 가공하여 소재의 보강심재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 바, 전자의 경우 중량이 큰 단점이 있다. 미세한 단섬유의 보강섬유 사례는 일반적인 사출용 또는 압출용 수지의 고강성 특수 그레이드로 콤파운딩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장섬유상의 보강섬유를 합성수지 내에 분포시키는 방법은 균일한 분포가 이루이지지 않아 분산이 약하며 장섬유가 스크류상에 막히는 문제점이 있다. 보강섬유를 분말상으로 분산시키는 방법은 섬유의 강도가 약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완충작용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경량음 및 중량음에 대한 흡음성이 우수하고 시공성이 뛰어난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내층부(10);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보강섬유 내에 혼합용융된 멀티층으로 구성된 중간층부(20); 및 외부장식재로 이루어진 표층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멀티층으로 구성된 중간층부(20)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와 보강섬유의 비율에 따라 저밀도, 중밀도 및 고밀도로 다중적층하여 이를 고온고압의 롤에 통과시킴으로써 제조되며, 이에 따라 저음, 중음, 고음을 모두 흡수하는 기능을 갖춘 흡음판을 생산하고자 한다.
또한, 내층부(10)는 고무재질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를 사용하므로써 외부의 충격음에 대하여도 완충작용을 갖춘 흡음판을 생산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연관되어지는 이하의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의 바닥충격음 레벨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내층부
20 : 중간층부
22: 저밀도흡음층
24 : 중밀도흡음층
26 : 고밀도흡음층
30 : 표층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은 내층부(10), 중간층부(20) 및 표층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층부(10)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수지와 같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중간층부(20)는 매트릭스 수지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의 열가소성 합성수지와 이 보다 녹는점이 높은 보강섬유가 혼합된 복합섬유매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층부(30)는 외장재 또는 마감재로서, 방염천이나 두꺼운 종이재질 등의 장식재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층부(20)는 저밀도흡음층(22), 중밀도흡음층(24) 및 고밀도흡음층(26)이 다중으로 적층되어 있다.
상기 저밀도흡음층(22)은 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일 예로서 폴리프로필렌 섬유 20 ~ 40 중량부 및 상기 보강섬유의 일 예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60 ~ 80 중량부로 구성된다. 상기 중밀도흡음층(24)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섬유41 ~ 59 중량부 및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41 ~ 59 중량부로 구성된다. 상기 고밀도흡음층(26)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섬유 60 ~ 80 중량부 및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20 ~ 40 중량부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내층부(10)는 충격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를 사용하였다.
상기 중간층부(20)는 저밀도흡음층(22), 중밀도흡음층(24) 및 고밀도흡음층(26)이 다중으로 적층되어 복합섬유매트로 구성되는 바, 상기 복합섬유매트는 강화섬유를 입체적인 방향에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바늘이 다량 분포된 바늘판을 통하여 니들펀치의 타공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는 강화섬유가 혼합된 복합섬유매트에 밀도를 높이고 균일 분산이 이루어 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때 타공회수는 분당 500 ~ 1000회로 섬유의 특성과 혼합된 섬유의 조성에 따라 섬유의 이동속도와 타공회수를 조정하여 재료의 중량과 두께 분포를 조정할 수 있다.
다음 공정인 용융공정을 거치는 바, 강화섬유는 그대로 섬유상으로 존재하면서 매트릭스 섬유만 용융될 수 있도록 120 ~ 250℃의 고온과 고압롤을 통과시킨다. 이에 따라 열가소성 수지는 용융되어 존재하며 그 중에 혼합된 강화섬유는 섬유상으로 수지 내에 존재하게 되어 고강도, 고강성의 열가소성 복합소재가 제조된다. 이는 열가소성 수지와 강화섬유와의 녹는점이 차이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사용하였으며, 강화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사용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저음, 중음, 고음 각각의 음을 분리흡수시키기 위하여 상기 섬유들의 밀도비에 따라 저밀도, 중밀도, 고밀도의 다중층으로 적층한 후 이를 니들로 타공하여 용융하였다.
즉, 저밀도흡음층(22)은 폴리프로필렌 섬유 20 ~ 40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60 ~ 80 중량부로 구성되어 저음을 흡수하고, 중밀도흡음층(24)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섬유 41 ~ 59 중량부 및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41 ~ 59 중량부로 구성되어 중음을 흡수하며, 고밀도흡음층(26)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섬유 60 ~ 80 중량부 및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20 ~ 40 중량부로 구성되어 고음을 흡수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에 대한 바닥충격음 레벨을 측정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은 경량음이나 중량음 모두 1급 공동주택이나 2급 학회 권장사항의 레벨 보다도 낮게 측정됨을 알 수 있다.
표 1에서는 종래에 사용된 흡음재와 본 고안에 따른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의 장, 단점을 비교하여 나타내었으며, 표 2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의 각종 물성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종래 흡음재와의 장, 단점 비교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주재료 타이어칩 코르크 발포고무 PET 섬유 표층:방염천중간층:PET/PP 혼섬내층:EVA 고무
설치방식 습식,건식 건식 건식 건식 건식
장점 가격 저렴환경친화적틈새시공 용이 충진두께일정시공성 우수 충진두께일정시공성 우수 충진두께일정시공성 우수저융점 PET섬유융착경량음 우수 충진두께 일정시공성 우수가격,내구성 우수경량 및 중량음우수
단점 충진두께 불일정작업속도 저하크랙발생 공정 복잡틈새 분리크랙 발생 공정 복잡틈새 분리크랙 발생 틈새 분리내후성 미흡중량음 미흡 틈새 분리
물성평가 결과
시험항목 기준치 본고안품 유사제품 비고 참고(건축시방서)
흡음율 0.72이상 0.75 0.72 0.7
열전도율(W/m.h.K) 0.035~0.040 0.038 0.039 KSL 9016 폴리에스테르흡음단열재기준
가스유해성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KSF 2271 이상없음
방화도 잔염시간(초) 3이내 0 0 소방법시행 중멕켈버어너법 10이내
잔진시간(초) 3이내 0 0 30이내
탄화면적(cm2) 40이내 24 34 50이내
탄화길이(mm) 15이내 12.6 15 20이내
비중(g/cm3) 1.0 0.75 1.0 KSF 3503폴리에스테르흡음단열재기준 1.0
음향투과손실(dB) 30이상 36 30 -
바닥충격음저감효과 중량 7.9이상 8.1 7.8 제진매트 : 8~9dB유리면 : 7~8.5dB -
경량 14이상 21 14 제진매트 : 5~16dB유리면 : 20~22dB -
흡습성(%) 0.5%이하 0.25 0.31 KSF 6303암면단열재기준 1.0%이하
비고 : 바닥충격음(3회타격 후 충격음 측정결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중간층부(20)로서 저밀도흡음층(22), 중밀도흠음층(24) 및 고밀도흡음층(26)의 순서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순서와는 무관하게 적층한 경우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흡음판에 의하면, 다층구조의 제품으로서 고기능성 제품화가 가능하며 종래의 제품보다 흡차음 능력이 우수한 특징이 있으며,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서 재활용이 용이하고, 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에너지절감 효과가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은 열융착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제품의 특성에 의하여 표면에 직접 벽지나 장식필름을 부착시킬 수 있어 시공성이 뛰어나고, 열융착에 의한 견고한 층상결합력으로 박리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어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에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2)

  1.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로 이루어진 내층부(10);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보강섬유 내에 혼합용융된 중간층부(20); 및
    외부장식재로 이루어진 표층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부(20)는,
    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섬유(PP Fiber) 20 ~ 40 중량부 및 상기 보강섬유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PET Fiber) 60 ~ 80 중량부로 구성되는 저밀도흡음층(22);
    상기 폴리프로필렌 섬유 41 ~ 59 중량부 및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41 ~ 59 중량부로 구성되는 중밀도흡음층(24);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섬유 60 ~ 80 중량부 및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20 ~ 40 중량부로 구성되는 고밀도흡음층(26);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
KR20-2003-0003932U 2003-02-11 2003-02-11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 KR200312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932U KR200312468Y1 (ko) 2003-02-11 2003-02-11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932U KR200312468Y1 (ko) 2003-02-11 2003-02-11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468Y1 true KR200312468Y1 (ko) 2003-05-12

Family

ID=49406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932U KR200312468Y1 (ko) 2003-02-11 2003-02-11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4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50199B (zh) 具有表面覆盖层的纤维增强的热塑性片材
US11780215B2 (en) Composite articles including surface layers that provide enhanced formability
US7674522B2 (en) Wood fiber insulating material board or mat
US20030060113A1 (en) Thermo formable acoustical panel
US20060141260A1 (en) Sandwich composite material using an air-laid process and wet glass
US20180311929A1 (en) Multi-layer assemblies with one or more mesh layers
US11708036B2 (en) Composite articles including textured films and recreational vehicle articles including them
KR102422191B1 (ko) 개선된 열팽창 계수를 갖는 폴리머 기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A2804167A1 (en) A panel comprising a polymeric composite layer and a reinforcement layer
US20240092988A1 (en) Methods of improving lofting agent retention using bicomponent fibers
US8663809B2 (en) Surface material substrate, surface material and molded body
KR200312468Y1 (ko) 다층구조 섬유계 흡음판
US20200130611A1 (en) Composite articles with a variable basis weight and uniform thickness
KR100603424B1 (ko) 다층구조 섬유계 난연흡음판
CN208376176U (zh) 客车顶板用连续纤维增强热塑性发泡板
US20200001568A1 (en) Composite articles including textured films and furniture articles including them
JPH11254568A (ja) 繊維板及びその製造法
KR20060125146A (ko) 재활용 섬유를 이용한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WO2024091555A1 (en)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articles including reproduced polymeric fibers
KR20050050848A (ko) 건축용 흡차음 단열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