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382Y1 -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 - Google Patents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382Y1
KR200312382Y1 KR20-2002-0036907U KR20020036907U KR200312382Y1 KR 200312382 Y1 KR200312382 Y1 KR 200312382Y1 KR 20020036907 U KR20020036907 U KR 20020036907U KR 200312382 Y1 KR200312382 Y1 KR 200312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bobber
fishing
endothelial
chikab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주
Original Assignee
최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주 filed Critical 최현주
Priority to KR20-2002-0036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3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3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대 보호용 찌까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멍찌와 수중찌를 감싸는 내피와; 상기 내피를 낚시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내피는 8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피의 외측면에는 낚시줄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따라 낚시중 이동시 찌와 낚시대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낚시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float cover for fishingrod}
본 고안은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찌를 감싼 후 낚시대에 고정시키는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갯바위 낚시는 찌의 중심에 관통공을 형성한 구멍찌와 흑단나무등의 소재에 납추를 부착하여 물속에서 조류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중찌를 함께 채비하여 낚시하는 추세이다. 이에따라 낚시줄에 고정되지 않은 구멍찌에 의해 수심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부피가 큰 수중찌가 조류에 의해 이동하게 되어 보다 자연스럽게 수중에서 미끼가 움직이도록 하여 조과가 높아졌다.
그러나 이러한 구멍찌와 수중찌를 이용하여 낚시를 하다가 이동할 경우 일반적으로 낚시대를 쥔 손으로 낚시줄을 함께 잡고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수중찌와 구멍찌는 고정되지 않아 낚시대와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럴 경우 수중찌와 구멍찌의 재질이 단단하여 낚시대가 상기 충돌에 의해 파손되는 결과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찌와 낚시대를 고정시켜 이동시 찌와 낚시대의 충돌을 방지하는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 : 본 고안에 의한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
도2 : 구멍찌와 수중찌의 위치를 표시한 도.
도3 : 낚시대에 고정된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
<도면 기호의 상세한 설명>
10 : 내피 11 : 매직테이프
20 : 고정수단 31 : 구멍찌
32 : 수중찌 33 : 낚시대
34 : 낚시줄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구멍찌와 수중찌를 감싸는 내피와; 상기 내피를 낚시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피는 8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피는, 외측면에 낚시줄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는 내피(10)와 고정수단(20)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내패(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내피(10)는 가죽, 인조가죽, 합성섬유등의 접을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 구멍찌(31)와 수중찌(32)를 감싸게 된다. 이때 내피(1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매직테이프(11)를 부착하여 손쉽게 착탈 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낚시채비에는 상측에 구멍찌(31), 하측에 수중찌(32) 또는 봉돌을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내피(10)의 형상을 8자형으로 하여 상기 구멍찌(31)와 수중찌(32) 또는 봉돌을 분리하여 각각 감쌀수 있도록 구성하게된다. 그러나 내피(10)를 8자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구멍찌(31)와 수중찌(32) 또는 봉돌을 함께 감싸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내피의 외측면에는 낚시줄고리(40)가 형성된다. 상기 낚시줄고리(40)는 낚시대(33) 선단측으로 휘어지며 돌출되어, 상기 구멍찌(31)와 수중찌(32)를 내피(10)에 감싼후 남은 목줄을 릴과 상기 낚시줄고리(40)에 감아 이동시 목줄이 흔들려 바늘에 부상을 입거나 다른 물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고정수단(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내피(10)의 외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내피(10)에 감싸인 찌들을 낚시대(33)에 고정하기 위해 끈형상으로 구성되어 낚시대(33)에 감게된다. 낚시대(33)에 감은후 고정하거나 쉽게 분리하기 위해 고정수단의 양측 말단에 매직테이프(21)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고정수단의 양측 말단에 매직테이프(21)를 부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매직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고정수단의 양측말단을 묶어 고정하거나 클립, 단추등을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구멍찌(31)와 수중찌(32)는 일정한 범위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낚시 도중에는 수면과 수중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낚시 채비를 물에서 꺼내면 상기 구멍찌(31)가 하부로 이동하여 수중찌(32)와 가까워지게 된다.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할 경우 본 고안의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의 내피(10)에 상기 구멍찌(31)와 수중찌(32)를 놓고 내피(10)에 형성된 매직테이프(11)를 이용하고 감싸서 고정하게 된다. 구멍찌(31)와 수중찌(32)를 감싼 내피(10)를 낚시대(33)에 밀착시킨후 상기 고정수단을 낚시대에 감은후 상기 고정수단에 부착된 매직테이프(21)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면 사용자가 이동시 구멍찌와 수중찌가 흔들리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의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에 의하면 이동시 찌와 낚시대의 충돌을 방지하여 낚시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구멍찌와 수중찌를 감싸는 내피와;
    상기 내피를 낚시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8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외측면에 낚시줄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
KR20-2002-0036907U 2002-12-10 2002-12-10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 KR200312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907U KR200312382Y1 (ko) 2002-12-10 2002-12-10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907U KR200312382Y1 (ko) 2002-12-10 2002-12-10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382Y1 true KR200312382Y1 (ko) 2003-05-13

Family

ID=4933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907U KR200312382Y1 (ko) 2002-12-10 2002-12-10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3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4127A (en) Device for a casting float
JP2023516619A (ja) 可動釣り針を有する人造えさ
US2592441A (en) Bobber for use in casting for fish
US2684550A (en) Casting reel
US2931124A (en) Fishing bobber
US3613289A (en) Spinning bobber
KR200312382Y1 (ko) 낚시대 보호용 찌카바
US7363743B2 (en) Safety bobber
US6484435B1 (en) Fishing sinker device
US3208182A (en) Bait casting and fishing bobber
US4672769A (en) Adjustable fishing float
US2659544A (en) Attachable reel for fishing rods
US5077928A (en) Fishing line rod bobber
AU2014302011B2 (en) Automatic retractable float
US4697381A (en) Linear crab trapping device
JPS595324Y2 (ja) 釣用錘
KR20030013511A (ko) 낚시용 구멍찌
KR20240000526U (ko) 등부분에 핀 고정구가 설치되는 에기
KR200377185Y1 (ko) 포장 낚시용구
KR200188172Y1 (ko) 낚싯줄 감기용 손잡이장치
SU1200871A1 (ru) Блесна
KR200344530Y1 (ko) 맞춤찌세트 채비
JPH0127663Y2 (ko)
JP3541242B2 (ja) 瞬間着脱式ウキ
SU1600659A1 (ru) Снасть А.Г.Карбивничего дл ловли рыб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