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801Y1 - System of leak detecting - Google Patents

System of leak detec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801Y1
KR200311801Y1 KR20030004056U KR20030004056U KR200311801Y1 KR 200311801 Y1 KR200311801 Y1 KR 200311801Y1 KR 20030004056 U KR20030004056 U KR 20030004056U KR 20030004056 U KR20030004056 U KR 20030004056U KR 200311801 Y1 KR200311801 Y1 KR 200311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output
current
detec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040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승용
Original Assignee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 filed Critical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
Priority to KR20030004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80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801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수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 설치된 센서를 통해 누수(물, 기름등)가 감지되면 일정한 전류값을 발생시켜 각 개소별 누수 위치를 구별하여 해당 지역의 경보를 발하는 방식으로 구동되는 누수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 detection system. When a leak (water, oil, etc.) is detected through a plurality of installed sensors,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constant current value and distinguishes the leak location of each location to be driven in a manner that alerts the corresponding area. Leak Detection System

일정한 장소에 설치된 센서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이 제어수단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과 이 신호변환수단의 출력신호를 투입받아 표시하는 감시수단을 갖춘 누수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며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소정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를 통해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신호를 제어(조절)하여 상기 신호변환수단에 입력하는 전류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eakage with control means for receiving and controll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ensor installed at a certain place, signal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means into a predetermined signal, and monitoring means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converting means In the detection system, the control means i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the driving power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power supply is operated by the sensing unit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leak through the signal; And a current signal output unit for controlling (adjusting) the current signal output from the sensing unit and inputting the signal to the signal converting means.

본 고안에 따른 누수감지시스템은 누수(물, 기름등)의 신속하고 정확한 검출(Display)과 경보(Alarm)기능을 가지며 이로인해, 누수 및 누출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quick and accurate detection and display of leaks (water, oil, etc.),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leaks and leaks. .

Description

누수감지시스템{SYSTEM OF LEAK DETECTING}Leak Detection System {SYSTEM OF LEAK DETECTING}

본 고안은 누수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정한 장소에 누수발생시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센서에 의해 누수가 감지되면 일정한 전류값을 발생시켜 누수 위치를 구별하여 해당 지역의 경보를 발하는 방식으로 구동 되는 누수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 detection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when a leak is detected by a sensor installed in a plurality of leaks in a certain place, a constant current value is generated by distinguishing the leak location to generate an alarm in a corresponding area. A leak detection system driven in a manner.

오늘날 누수감지시스템은 각종 액체(물, 기름등)의 노출을 감지하여 액체가 누출되는 지점까지 정확하고 신속하게 알려주는 최적의 누수 및 누유감지 시스템으로 자리잡고 있는 실정이다.Today, the leak detection system is an optimal leak and leak detection system that detects the exposure of various liquids (water, oil, etc.) and accurately and quickly informs the point where the liquid leaks.

각종 액체(물, 기름등)의 누출은 커다란 빌딩이나 공장의 전 시스템을 마비시킬 수 있는 엄청난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고 특히, 화학 물질이나 기름의 유출은 심각한 환경적 오염이나 화재를 야기시키기 때문에 현대 사회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안전장치로 각광받고 있다.The leakage of liquids (water, oil, etc.) can have enormous consequences that can paralyze the entire system of a large building or factory. Especially, the spillage of chemicals or oil can cause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or fire. Esau is in the spotlight as an essential safety device.

종래에는 누수 감지를 위한 별도의 시스템이 상용화 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며 최근에는 4개의 와이어(wire)로 구성되는 센싱 케이블(Sensing Cable)을 적용한 누수 감지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으나 누수의 발생량이 많지 않고서는 쉽게 감지하기가 어렵고 그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울러, 그 설치비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a separate system for leak detection has not been commercialized. Recently, a leak detection system using a sensing cable composed of four wires has been applied, but it is easy to operate without a large amount of leakag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etect and the accuracy is low,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cost is expensive.

따라서, 본 고안의 누수감지기는 설비자동제어 시스템의 모듈(PTM6.2I420) 한 개의 포인트(POINT)를 이용하여 상기 모듈에서 제공되는 26V의 입력전압을 받아 다수개(6개)의 감지기에서 감지되는 상태를 일정한 전류값으로 출력하여 디지털 투 디지털 변환기(DDC)에 전류신호로 전달되고 설비운용실의 프로그램(POOGEE INSIGHT PPCL)에 의해 다수개의 감지위치를 구별하여 보다 더 신속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근거로 해당 누수지역의 경보를 발하는 방식으로 구동되는 누수 감지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그 주안점이 있다.Accordingly, the leak de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26V input voltage provided by the module using one point of the module (PTM6.2I420) of the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is detected by a plurality of detectors (6). It outputs the state with a constant current value and transmits it as a current signal to the digital-to-digital converter (DDC) and distinguishes multiple sensing positions by the program of the facility operation room (POOGEE INSIGHT PPCL), which is based on faster and more accurate data. The main focus is on implementing a leak detection system that is driven by an alarm in the leak zone.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 내부의 일정한 장소에 설치하여 누수 발생시 경보를 발생시켜주는 저가의 설치비용으로도 적용 가능한 누수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ak detection system that can be applied at a low installation cost to generate an alarm when a leak occurs by installing in a certain place inside the building.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관리자 또는 감시자가 사용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데이터를 근거로 누수 현상을 최단시간에 감지할 수 있는 누수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k detection system that is not only convenient for an administrator or a supervisor to use, but also detects a leak in the shortest time based on more accurate and rapid data.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빌딩이나 누수지점이 많은 개소 뿐만아니라 건물이 건물이 있는 장소이면 어디에나 적용 가능한 누수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k detection system that can be applied wherever a building is located, as well as a lot of buildings or leak point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누수감지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누수감지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제어수단의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of the control means of FIG.

도 4a는 도 3의 전원공급부의 일실시예이다.4A is an embodiment of the power supply unit of FIG. 3.

도 4b는 도 3의 전원공급부의 다른실시예이다.4B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ower supply unit of FIG. 3.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감시수단 200 : 신호변환수단100: monitoring means 200: signal conversion means

300 : 제어수단 320 : 누수감지판넬300: control means 320: leak detection panel

400 : 전원공급부 500 : 감지부400: power supply unit 500: detection unit

540 : 제어부 600 : 전류신호출력부540 control unit 600 current signal output unit

본 고안은 누수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장소에 설치된 센서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이 제어수단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과 이 신호변환수단의 출력신호를 투입받아 표시하는 감시수단을 갖춘 누수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며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소정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를 통해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부 및 상기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신호를 제어(조절)하여 상기 신호변환수단에 입력하는 전류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control means for receiving and controlling an output signal of a senso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lace, a signal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means into a predetermined signal, and an output signal of the signal conversion means. In the leak detection system having a monitoring means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input, the control means is operated by receiving the output signal of the power supply and the power supply for supplying the driving power and receives the predetermined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leakage through the current signal output unit for controlling (adjusting) the current signal output from the detection unit to the signal conversion means.

본 고안에 따른 누수감지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누수감지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누수감지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어수단의 회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전원공급부의 일실시예이며, 도 4b는 도 3의 전원공급부의 다른실시예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ircuit diagram of the control means of Figure 1, Figure 4a is a power supply of Figure 3 4b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ower supply of FIG. 3.

도 1과 도 2에 따르면, 본 고안인 누수감지시스템은 건물의 일정한 장소에 설치된 감지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전류 제어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300)과 이 제어수단(30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200)과 이 신호변환수단(20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함으로써 감시자가 누수위치를 확인 가능하도록 마련된 감시수단(100)으로 구성되어 있다.According to Figures 1 and 2, the leak det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means 300 for receiving the signal of the current installed in a certain place of the building to control the current received It consists of a signal conversion means 200 for converting into a predetermined signal and the monitoring means 100 is provided so that the monitor can check the leak position by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conversion means 200.

후술 될 상기 감지부는 다수개(6개)의 센서로 구성되며 그 각각의 센서The sens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6) sensors, each of the sensors

(Sensor1 ~ Sensor6)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전류신호로서 최종 출력은 디지털 2진값으로 출력되도록 하는데 이하, 상기 다수개(6개)의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ignal output from Sensor1 to Sensor6 is a current signal, and the final output is output as a digital binary value. Hereinafter, the signal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전류 신호는 0.05mA 당 신호값 '1'이 출력됨을 기본으로 하여 센서1 감지(0.2mA)시 : '4'출력, 센서2 감지(0.4mA) : '8'출력, 센서3 감지(0.8mA)시 : '16'출력, 센서4 감지(1.6mA)시 : '32'출력, 센서5 감지(3.2mA)시 : '64'출력, 센서6 감지(6.4mA)시 : '128'이 출력되는 것으로 센서에서 감지 되는 신호는 전류이고 최종 출력신호는 2진값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First, the current signal is based on the output value of '1' per 0.05mA. Sensor 1 detection (0.2mA): '4' output, Sensor 2 detection (0.4mA): '8' output, sensor 3 detection ( 0.8mA): '16' Output, Sensor 4 Detection (1.6mA): '32' Output, Sensor 5 Detection (3.2mA): '64' Output, Sensor 6 Detection (6.4mA): '128' The output signal is detected by the sensor and the final output signal is converted into a binary value.

상기 다수개(6개)의 센서(Sensor1~Sensor6)로 부터 출력된 신호는 누수감지기(LEAK DETECTOR)(320)로 입력된 후 후술될 제어수단(300)을 통해 제어된다.The signal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six sensors 1 to 6 are input to the leak detector 320 and then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means 3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누수감지기(이하 누수감지 판넬이라 통칭함)(320)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322)와 전원공급 여부를 알 수 있는 전원램프(324)와 노말(Nomal)과 테스트(Test)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스위치(326)와 사용자가 실시하는 테스트 모드의 선택을 위해 마련된 테스트용 스위치부(328)와 그 테스트용 스위치부The leak detec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eak detection panel) 320 is a power switch 322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and a power lamp 324 capable of knowing whether or not the power is supplied, and a normal and a test. Mode selection switch 326 for selecting a mode and a test switch unit 328 provided for selecting a test mode performed by a user and the test switch unit

(328)의 선택에 대응하여 점멸되며 동작 상태를 경보와 함께 알려주는 표시부(550)로 이루어져 있다.The display unit 550 blinks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328 and informs of an operation state together with an alarm.

상기 누수감지판넬(320)로부터 출력된 합산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200)은 '2I420' 모듈(2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신호변환수단(200)을 통해 변환된 신호는 감시실의 모니터(102)로 전송된다. 따라서 감시자는 모니터(102) 등으로 이루어진 감시수단(100)을 통해 현장의 누수정보를 감시할 수 있게 된다.The signal conversion means 200 for receiving the sum signal output from the leak detection panel 320 and converting the signal into a predetermined signal is composed of a '2I420' module 220 and is converted through the signal conversion means 200. The signal is sent to the monitor 102 of the surveillance room. Therefore, the monitor can monitor the leakage information of the site through the monitoring means 100 consisting of a monitor (102).

도 3 내지 도 4b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300)은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0)와, 이 전원공급부(400)의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되 건물의 일정한 장소에 설치된 다수개(6개)의 센서를 통해 누수(물, 기름등)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500)와 이 감지부(500)의 출력단에 구성되어 상기 감지부(50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신호를 제어하는 전류신호출력부(600)로 구성되어 있다.3 to 4b, the control means 300 is operated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power supply unit 400 for supplying the driving power and the power supply unit 400, but a plurality of installed in a certain place of the building (6 Sensor (500) for detecting leakage (water, oil, etc.) through the sensor of the dog) and the current signal is configured in the output terminal of the detection unit 500 to control the current signal output from the detection unit 500 The output part 600 is comprised.

상기 전원공급부(400)는 점퍼(JP1)의 세팅을 달리함으로써 DC 24V 용 SMPS(전원공급장치)로 구성된 외부전원(402)과 모듈전원 DC 26V가 공급되는 모듈(220)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입력단(420)과 입력된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평할부(440)와 전원의 투입 여부를 확인하는 전원표시부(460)가 구성된 출력단(480)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power supply unit 400 may selectively use an external power source 402 configured as a SMPS (power supply device) for DC 24V and a module power source 220 supplied with a module power source DC 26V by varying the setting of the jumper JP1. The input terminal 42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utput terminal 480 configured to include a flat portion 440 for removing noise included in the input power and a power display unit 460 for checking whether the power is turned on.

먼저, 외부전원(402)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점퍼(JP1)의 1,2번 단자를 연결하여 상기 감지부(500)의 구동전원을 외부전원으로 공급하며 후술될 전류신호출력부(600)의 구동전원은 상기 신호변환수단(200)의 모듈(200) 전원으로 공급한다.First, in case of using the external power source 402,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the jumper JP1 are connected to supply the driving power of the sensing unit 500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current signal output unit 600 to be described later. The driving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of the module 200 of the signal conversion means 200.

위와 같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모듈(2I420)(220) 단자번호 3은 상기 전원공급부(400)의 4HEADER의 2번으로, 단자번호 7번은 4HEADER의 4번으로 결선되고 외부전원(402)인 전원공급장치(SMPS)의 24V 전원은 4HEADER의 1번으로 결선되며 컴온(COMMON)은 4HEADER의 3번으로 연결(결선)하면 구현 가능하게 된다.In order to supply power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number 3 of the module (2I420) 220 is connected to the number 2 of the 4HEADER of the power supply unit 400, the terminal number 7 is connected to the number 4 of the 4HEADER and the external power 402 24V power supply of SMPS is connected to No.1 of 4HEADER, and COMON can be realized by connecting (wiring) No.3 of 4HEADER.

그리고, 모듈(220)전원을 사용할 경우에는 점퍼(JP1)의 2,3번 단자를 연결하여 상기 감지부(500)와 전류신호출력부(600)의 구동전원을 모두 공급하며 상기모듈(2I420)(220)의 1포인트 당 정격허용전류는 50mA로 하고 최대 사용전류는 40mA를 넘지 않도록 회로를 구성하되, 상기 모듈(2I420)(220) 단자번호 3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4HEADER의 2번으로, 단자번호 7번은 4HEADER의 4번으로 결선되며 단자번호 8은 4HEADER의 3번 컴온(COMMON)으로 연결하면 구현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odule 220 power is used, terminals 2 and 3 of the jumper JP1 are connected to supply both driving power of the sensing unit 500 and the current signal output unit 600, and the module 2I420. The rated allowable current per one point of the 220 is 50 mA and the maximum operating curr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ircuit does not exceed 40 mA. No. 7 is connected to No. 4 of 4HEADER, and terminal No. 8 is possible by connecting to No. 3 COMMON of 4HEADER.

상기 평활부(440)는 상기 입력단(420)으로 부터 입력전원이 결정되어 공급된 전압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전단에는 2개의 콘덴서(C1,C2)가 병렬로 연결되고 후단에는 2개의 콘덴서(C3,C4)가 병렬로 연결되며 그 사이에는 인덕터(L1)가 연결되어 있다.The smoothing unit 440 removes the noise of the voltage supplied by the input power determined from the input terminal 420. Two capacitors C1 and C2 are connected in parallel at the front end and two at the rear end. Capacitors C3 and C4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an inductor L1 is connected therebetween.

상기 전원표시부(460)는 저항(R13)과 발광다이오드(LED7)에 의해 공급전압의 여부를 알 수 있으며 최종 출력은 전원 Vcc를 제공하게 되고 후술될 전류신호출력부(600)의 전원은 모듈(220)전원 26V가 공급되도록 한다.The power display unit 460 can know the supply voltage by the resistor (R1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ED7) and the final output provides a power supply Vcc and the power supply of the current signal output unit 600 to be described later is a module ( Make sure that 26V power is supplied.

상기 감지부(500)는 차단부(510)와 스위칭부(520)와 센서부(530)와 제어부The detector 500 includes a blocker 510, a switch 520, a sensor 530, and a controller.

(540)와 표시부(550)와 신호전달부(560) 및 전류출력부(570)로 구성되어 있다.540, a display unit 550, a signal transfer unit 560, and a current output unit 570.

상기 차단부(510)는 Vcc 전원이 상기 각각의 센서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유도전압 및 노이즈의 역방향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다수개의 다이오드(D1~D6)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부(520)는 상기 다이오드(D1~D6)와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스위치(SW1 ~SW6)로 구성되며 상기 센서부(530)는 상기 다수개의 스위치(SW1 ~SW6)와 병렬로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센서(Sensor1~Sensor6)로 구성되어 있다.The blocking unit 5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odes (D1 ~ D6) to block the reverse flow of the induced voltage and noise that the Vcc power can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each sensor, the switching unit 520 is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witches (SW1 ~ SW6) to correspond to the diode (D1 ~ D6) and the sensor unit 530 is a plurality of sensors (Sensor1 ~ Sensor6) to correspond in parallel with the plurality of switches (SW1 ~ SW6) Consists of

상기 제어부(540)는 달링톤 트랜지스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달링톤드라이버The control unit 540 is a Darlington driver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a Darlington transistor

(TD62083)로 구성되되, 1차측은 상기 센서부(530)에서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2차 측의 큰 전류를 온오프(ON/OFF) 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아이씨(IC)로 오픈콜랙터(OPEN COLLETOR) 타입의 드라이버이지만 컴온핀(COMMON PIN)을 사용하지 않고 인풋(INPUT)을 베이스로, 아웃풋(OUTPUT)을 콜랙터(COLLETOR)로 그리고 그라운드(GND)를 이미터(EMITTER)로 사용하게 되면 단순한 달링톤 트랜지스터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It consists of (TD62083), the primary side is open to the IC (IC) having a function to turn on and off (ON / OFF) a large current of the secondary side at the same time receives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530 It is a collector type OPEN COLLETOR driver but does not use COMMON PIN, but based on INPUT, OUTPUT to COLLETOR, and GND to EMITTER. When used as a simple Darlington transistor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센서(Sensor1~Sensor6) 양단에 물이 유입되면 Vcc의 전압에 의해 달링톤드라이버로 이루어진 상기 제어부(540)의 베이스 전류를 공급하게 되며 물의 저항변수(수㏁)에 의한 베이스 전류의 값이 변화하더라도 달링톤을 구동할 수 있는 최소베이스 전류가 공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어 동작이 수행되는것이다.Accordingly, when water flows in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ensors (Sensor1 to Sensor6), the base current of the controller 540 including the Darlington driver is supplied by the voltage of Vcc and the base current due to the resistance variable of the water ((). Even if the value of is changed, the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by supplying the minimum base current capable of driving the darlington.

상기 표시부(550)는 상기 제어부(540)의 출력에 따라 점등되는 다수개의 엘이디(led1~led6)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신호전달부(560)는 상기 표시부(550)를 거쳐 입력된 신호를 제어하여 후술 될 전류신호출력부(600)로 전달하며 상기 감지부The display unit 55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 (led1 ~ led6) that is lit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of the control unit 540 and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560 controls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550 Transmitting to the current signal output unit 6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detection unit

(500)와 전류신호출력부(600)를 구별해 주는 역할을 하되, 상기 제어부(540)로 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1차측과 그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2차측으로 이루어진 포토커플러로 구성되어 있다.(500) and the current signal output unit 600, the role of distinguishing, as a photocoupler consisting of the primary side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540 and the secondary side to selectively output the signal Consists of.

결국, 상기 감지부(500)의 다수개(6개) 센서에서 회로도통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540) 각각의 인풋핀(INPUT PIN : I1~I6)에 인풋 커런트(Input Current)가 인가되는데, 이때 센서에 감지된 물의 저항 변화로 인한 인풋 커런트(InputCurrent)의 변화에도 아웃풋핀(Output Pin : O1~O6)과 그라운드(GND) 사이에 도통되는 전류는 변화가 없도록 최대 전류증폭률을 이용하기 위해 포화상태가 되도록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As a result, when a plurality of (6) sensors of the sensing unit 500 are in a circuit conduction state, an input current is applied to input pins (INPUT PIN: I1 to I6) of each of the controllers 540. At this time, the current conducted between the output pins (O1 to O6) and the ground (GND) does not change even when the input current (InputCurrent) changes due to the change in resistance of the water sensed by the sensor. The circuit is configured to be in a state.

상기 전류출력부(570)는 상기 제어부(540)에 의해 2차측(O1~O6) 핀과 그라운드(GND)가 동작하여 상기 신호전달부(560)의 1차측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최종, 2차측의 회로를 도통시키며 이때, 상기 신호전달부(560) 또한 포화시켜 상기 제어부(540)의 2차측의 핀(PIN)별 출력전류가 일정하도록 저항(R1~R6)을 통해 1차측의 전류를 제어하게 된다.The current output unit 570 is operated by the secondary side (O1 ~ O6) pin and the ground (GND) by the control unit 540, the current flows to the primary side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560, the final, secondary side In this case,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560 is also saturated to control the primary current through the resistors R1 to R6 so that the output current for each pin of the secondary side of the controller 540 is constant. Done.

상기 전류신호출력부(600)는 전류조절부(620)와 정전압부(640) 및 모드선택부(660)로 구성되어 있다.The current signal output unit 600 includes a current controller 620, a constant voltage unit 640, and a mode selector 660.

상기, 전류조절부(620)는 상기 센서부(530)에 의해 누수를 감지하였을 경우 상기 신호전달부(560)의 출력신호를 1차측으로 입력받아 2차측이 도통되고 그 2차측의 출력전류는 다수개의 가변저항(VR1~VR7)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When the leakage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530, the current controller 620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560 to the prim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is turned on. It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by a plurality of variable resistors VR1 to VR7.

상기 가변저항(VR1)은 상기 모듈(220)의 입력전류범위 인 4mA ~ 20mA의 범위에서 초기값인 4mA를 출력하여 누수관제점의 표시범위를 "0"으로 맞추기 위한 가변저항이며 가변저항(VR2 ~ VR7)은 누수센서(1 ~ 6포인트)의 각각에 출력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저항이다.The variable resistor VR1 is a variable resistor for adjusting the display range of the leakage control point to "0" by outputting an initial value of 4 mA in the range of 4 mA to 20 mA, which is the input current range of the module 220, and the variable resistor VR2. VR7) is a variable resistor that can adjust the output current to each of the leak sensors (1 to 6 points).

상기 정전압부(640)는 입력전압의 변화(21V ~ 33V)에 따른 출력전압의 변화를 18V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레귤레이터 아이씨(MC7818 Voltage Regulator IC)(642)가 구성되고 그 레귤레이터 아이씨(642)의 입력측 1번핀과 출력측 3번핀에는 콘덴서(C5,C6)가 각각 연결되고 3번핀은 접지되어 있다.The constant voltage unit 640 is configured with a regulator IC (MC7818 Voltage Regulator IC) 642 to maintain a constant change in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input voltage change (21V ~ 33V) to 18V and the regulator IC (642) Capacitors (C5, C6) are connected to pin 1 on the input side and pin 3 on the output side, respectively, and pin 3 is grounded.

따라서, 상기 신호전달부(560)와 상기 전류조절부(620)에 의해 각각의 감지 포인트(Point)에서 출력되는 전류는 일정하지만 신호변환수단(200)에 입력되는 전류가 모듈(220)전압 26V에서 각각의 포인트가 온(ON)되어 부하가 증가되면 전압강하에 의해 상기 전류조절부(620) 2차측에서 오옴의 법칙에 의해 전류변화가 발생하므로 전류조절부(620) 2차측에 상기 정전압부(640)를 적용시켜 정격 18V의 전압 출력을 유도함으로써 부하증가에 따른 전압강하를 보정시켜 각각의 감지 센서별 해당 전류신호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Therefore, the current output from each sensing point (Point) by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560 and the current control unit 620 is constant, but the current input to the signal conversion means 200 is the module 220 voltage 26V When each point is turned on and the load is increased, a current change is generated by the Ohm's law on the secondary side of the current regulator 620 due to the voltage drop, so that the constant voltage unit on the secondary side of the current regulator 620 By applying 640 to induce a voltage output of rated 18V to compensate for the voltage drop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load to ensure that the corresponding current signal value for each sensor is kept constant.

상기 모드선택부(660)는 셀렉터 스위치(SEL S/W)로 구성되며 그 스위치의 단자번호 2,3이 연결되면 누수 감지시스템의 동작상태 즉 노말(nomal)상태이고 단자번호 1,2 를 연결하면 테스트(Test) 위치로 선택되어 전류측정용 멀티메터 (Multimeter : 미도시)를 연결한 후 각각의 센서(Sensor1 ~ Sensor6)에 해당하는 테스트(Test) 버튼을 눌러 출력되는 신호(전류의 값)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며 설비운용실의 감시수단(100)에서 누수감지 관제점의 신호값을 전류조절부(620)를 통해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e mode selector 660 is composed of a selector switch (SEL S / W). When terminal numbers 2 and 3 of the switch are connected, the operating state of the leak detection system, that is, a normal state, is connected to terminal numbers 1,2. If it is selected as a test position, connect a multimeter for measuring current (Multimeter: not shown) and press the test button corresponding to each sensor (Sensor1 ~ Sensor6) to output the signal (current value). It is possible to check and to control the signal value of the leak detection control point in the monitoring means 100 of the equipment operating room through the current control unit 620.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an embodiment substantially equal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누수감지시스템은 누수(물, 기름등)의 신속 정확한 검출(Display)과 경보(Alarm)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As can be see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having a quick and accurate detection (Display) and alarm (Alarm) of the leak (water, oil, etc.).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에 따른 누수감지시스템으로 인해 누수 및 누출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Due to the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operate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accidents due to leaks and leaks in advance.

아울러, 본 고안의 누수감지 시스템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the leak det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일정한 장소에 설치된 센서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이 제어수단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과 이 신호변환수단의 출력신호를 투입받아 표시하는 감시수단을 갖춘 누수감지시스템에 있어서,Leakage with control means for receiving and controll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ensor installed at a certain place, signal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means into a predetermined signal, and monitoring means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converting means In the detection system, 상기 제어수단은The control means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driving power;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며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소정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를 통해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부 및;A sens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d operate an output signal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to receive a predetermined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and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leak through the signal; 상기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신호를 제어(조절)하여 상기 신호변환수단에 입력하는 전류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And a current signal output unit which controls (adjusts) the current signal output from the detection unit and inputs the signal to the signal conversion mean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원공급부의 입력단에는 3단자를 갖는 점퍼가 마련되되, 그 점퍼의 1,2번 단자가 연결되면 상기 감지부에 외부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점퍼의 2,3번 단자가 연결되면 상기 감지부와 전류신호출력부에 구동전원을 동시에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A jumper having three terminals is provided at an input end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the jumper are connected, external power is supplied to the sensing unit and the second and third terminals of the jumper are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And a leakage detection system for simultaneously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current signal output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는 상기 입력단으로부터 공급된 전압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평활부와 전압 공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전원표시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Leak detec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a smoothing unit for removing noise of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input terminal and a power display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voltage supply is provided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감지부는 상기 센서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유도전압 및 노이즈의 역방향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다수개의 다이오드(D1~D6)로 구성된 차단부와;The detection unit and the blocking uni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diodes (D1 ~ D6) for blocking the reverse flow of the induced voltage and noise that can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sensor; 상기 차단부의 다이오드(D1~D6)와 직렬 연결되어 사용자가 테스트 모드에서 선택하는 다수개의 스위치(SW1~SW6)로 구성된 스위치부와;A switch unit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diodes D1 to D6 of the blocking unit and configured by a plurality of switches SW1 to SW6 selected by the user in a test mode; 상기 스위치부 각각의 스위치(SW1~SW6)와 대응되도록 병렬 연결되며 누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센서(Sensor1~Sensor6)로 구성된 센서부와;A sensor unit connected in parallel to correspond to the switches SW1 to SW6 of each of the switch units, the senso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S1 to S6 to detect a leak; 상기 센서부를 통해 출력된 감지 신호를 1차측으로 입력받아 2차측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utput through the sensor unit to the primary side and controls the flow of the secondary side current;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점멸 되는 다수개의 엘이디(led1~led6)로 구성된 표시부와;A display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EDs led1 to led6 blinking according to an output of the controller; 상기 표시부를 거쳐 입력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해 포토커플러로 구성된 신호전달부와;A signal transfer unit configured to include a photocoupler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상기 신호전달부의 1차측에 다수개의 저항(R1~R6)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신호전달부의 2차측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류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And a current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primary side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by a plurality of resistors (R1 to R6) to control current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current on the secondary side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류신호출력부는 상기 신호전달부에서 출력되는 2차측 전류를 조절하기 위해 다수개의 가변저항(VR1~VR7)으로 구성된 전류조절부와;The current signal output unit and the current control uni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variable resistors (VR1 ~ VR7) to adjust the secondary current output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상기 전류조절부의 2차측에 연결되어 일정 전압을 출력하도록 하는 정전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Leakage de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current control unit consisting of a constant voltage unit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voltag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류신호출력부에는 노말(nomal)과 테스트(test)모드를 선택 가능하도록 셀렉터 스위치로 구성된 모드선택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The current signal output unit further comprises a mode selector configured to selector switch to select the normal (normal) and test (test) mode; Leakage de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nfigured.
KR20030004056U 2003-02-12 2003-02-12 System of leak detecting KR20031180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4056U KR200311801Y1 (en) 2003-02-12 2003-02-12 System of leak detec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4056U KR200311801Y1 (en) 2003-02-12 2003-02-12 System of leak detec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801Y1 true KR200311801Y1 (en) 2003-05-09

Family

ID=41347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04056U KR200311801Y1 (en) 2003-02-12 2003-02-12 System of leak detec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80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9159A2 (en) * 2007-11-02 2009-05-07 King Kegan Y Pressure tank fault detector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9159A2 (en) * 2007-11-02 2009-05-07 King Kegan Y Pressure tank fault detector and method
WO2009059159A3 (en) * 2007-11-02 2009-08-06 Kegan Y King Pressure tank fault detector and method
US8134372B2 (en) 2007-11-02 2012-03-13 King Kegan Y Pressure tank fault detector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4747Y1 (en) The Control System for a numerous Lighting
EP2212879B1 (en) Led light controller system and method
CN202600077U (en) Multi-board combined test board and test system of remote controller
CN101650411A (en) Universal power-aging testing system
MX2011000957A (en) Short-circuit isolator.
CN108711391B (en) Display panel test system, control method and air conditioner
JP6896215B2 (en) A short-circuit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for an LED lighting system, an LED lighting device having the device, and a short-circuit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for an LED lighting system.
WO2008141384A9 (en) Determining proportion of faulty leds in a traffic light display
KR20150106358A (en) Dimming device and illumination system using same
JP5364559B2 (en) Field equipment controller
KR200311801Y1 (en) System of leak detecting
KR20060134238A (en) The control system for a numerous lighting
KR100482611B1 (en) Fault circuit detection system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CN101896951A (en) An LED driver method for traffic lanterns
KR101362453B1 (en) Lamp breakdown checking monitoring for lighting fixture
US20140009280A1 (en) Fire alarm system
KR101263414B1 (en) A condition lamp sensing system using neautral-earth diagnosis and sens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593142B1 (en) Dimming Control System
KR101879260B1 (en) Monitoring system for normal operation of photovoltaic system
US9752792B2 (en) Building ventilation system connection detection
KR100944798B1 (en) Crosswalk safety system
KR102403567B1 (en) A System for Detecting a Breakdown of a Plurality of LED Modules
CN114222413B (en) Fault self-checking method of lighting system and lighting system
CN211860612U (en) Presence sensor and lighting system
JP4120287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